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 소설의 재미 찾기

        신재홍 ( Shin Jae-ho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3 고전문학과 교육 Vol.26 No.-

        고전 문학의 연구와 교육에서 재미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오늘날 왜 고전을 읽어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 중의 하나가 고전의 흥미성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관심, 이해, 해석 등을 통해 즐거움, 감동, 보람 등을 맛보는 전 과정에 걸쳐 재미의 요인이 들어 있을 것이다. 본고는 고전 소설이 지닌 재미의 영역과 편폭을 생각해 보고 그중 어느 지점에서 재미를 찾아 즐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연구와 교육의 장에서 고전 소설에 대한 관심과 해석, 교육 과정의 내용과 교수 학습 방법 등에 일정한 경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체로 여성, 환상, 생활ㆍ문화 등의 주제로써 작품을 감상, 분석하는 경향이 우세하고 재담이나 해학 문화의 면에서 고전 소설의 재미를 맛보도록 하는 학습활동이 위주가 되었다. 독자의 태도와 의식, 고전 소설의 내적 요소를 가지고 고전 소설이 지닌 재미의 편폭을 가늠해 보았다. 역사성에 대해 가깝게 느끼는 재미와 멀리 느끼는 재미, 형식에 대해 크게 보는 재미와 작게 보는 재미, 내용에 대해 현실 맥락의 재미와 현실을 뛰어넘는 재미 등 세 영역에서 재미의 편폭을 그려 보았다. 이 편폭은 단면적이지 않아서 여러 가지 요인의 상호 작용에 의해 얻게 되는 재미의 다양한 지점들을 지닌 채 펼쳐져 있다. 고전 소설연구와 교육은 이와 같은 재미의 영역을 새롭게 인식하고 확장하는 방향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앞의 논의를 바탕으로 고전 소설에서 재미를 찾는 방법을 실례를 들어 제시해 보았다. 옛날의 신분 제도나 세시 풍속과 같이 현대에서 멀리 떨어진 역사적 배경을 접하며 시간적 거리감을 느끼는 중에 고전 소설의 재미를 맛볼 수 있다. 또한 고전 소설의 문학적 관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한층 더 깊이 있게 재미를 경험하는 길도 열려 있다. 이와 함께 시대를 뛰어넘어 과거와 오늘을 연결하는 보편적인 주제가 담긴 작품에서 인물, 사건, 배경이 어울려 형상화되는 주제의 보편성에 공감하는 방향에서 재미를 찾을 수도 있다. 고전에 대한 관심은 어느 시대나 있어 왔고 변화하는 시대에 대응하는 주체의 역량도 고전을 통해 더욱 신장되어 왔다. 우리 시대, 우리 사회의 문화적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도 고전 읽기는 필수적이다. 고전 소설 읽기는 인간다운 삶을 위한 기초 교양을 쌓기 위해 현대의 삶과 중첩되는 동시에 과거, 미래와도 연결되는 즐겁고 보람된 일이다. 우리의 삶에 밀착된 인문정신을 새롭게 고양하는 길에서 고전 소설과 재미있게 만나기를 기대한다. The problem of interest in the study and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very important. It may be one of answers to the question why we who live today should read the classics. The factor of interest lay on the whole process to experience of pleasure, impression, and worth through attention,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So this paper examine the categories and breadth of interest of Korean classical novels and the points of finding out interest of it. Through this paper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certain trends these ten years in the study and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novels. Generally speaking,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classical works have been done with themes of female, fantasy, and daily life. And the education of the works in the curriculum of Korean middle school have been done to make students to experience the interest in the fun stories or humorous traditional language culture. We can measure the categories and breadth of interest of Korean classical novels with three levels. First, the interest from near to far encountering the historicity of works. Second, the interest from macroscopic to microscopic viewing the forms of works. Third, the interest from inner to over taking the contents of works. The interest of these levels could be took by interactions with various factors. We should study and educate to extend the range of interest of classical novels. In this paper the ways to find out interest from Korean classical novels are suggested with giving examples. We taste the interest by senses of distance between today and past with encounter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like ancient status systems or seasonal customs. And the way is opened to experience the interest of works in the basis of understanding of literary convent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Also there are the interest from the sympathy of common topics of the works with connection between today and past. The concern to classics have flowed ceaselessly all the times and the power to manage change of times could be gained by establishing self identity through reading classics. The reading of Korean classical novels is one of the pleased experiences to pile up the basic cultivations for human life.

      • KCI등재

        그래픽 이야기책을 활용한 초등 영어 리터러시 수업에 대한 연구

        이예지(Lee, Yeji),김혜리(Kim, Hae-Ri)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17 영어교과교육 Vol.16 No.4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developing English literacy skills and English reading interests of primary English learners by using graphic novels for children. For these objectiv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what are the impacts of graphic novels on primary students’ English reading interests? 2) how do after-reading activities based on graphic novels influence the primary students’ English literacy skills? In an attempt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describes how 25 fourth grade students were taught reading and writing through five graphic novels for 14 weeks. Data from diverse sourc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a qualitative manner. The data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using graphic novels in the English literacy class increased students’ reading interests and led them to read more English books. Second, literacy classes based on graphic novels helped students improve their reading and writing skills. The results of the present research on using graphic novels in an EFL English clas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primary English education: First, this study demonstrated the benefits of using graphic novels that Korean primary teachers were not familiar with. Second, this study offers an effective way to enhance students’ reading interest and analyzed the features of graphic novels which improved students reading interests. Third,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to combine reading and writing in primary EFL contexts by using the graphic novels.

      • KCI등재

        『南柯錄』의 서술상 특징과 작가의식

        강경미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50 No.-

        This study is intended to clarify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author's consciousness of 『Namgarok(南柯錄)』 and to contemplate its novel-historical significance. 『Namgarok』 is a full-length novel written in Chinese Letters, with the whole story that four heroes overcome the calamity of a hypothetical country, Namgaguk(南柯國). 『Namgarok』 describes many different stories of wars, which contain various tactics, diverse showdown aspects and Taoist magic based battles, etc. Namely, it can be said that the stories of the war occupy the centerpiece of 『Namgarok』. Therefore 『Namgarok』 can be characterized as full-length Martial Novels because stories of wars act as the core that leads the narrative. The 『Namgarok』 is the work that made up of various previous era novels. In particular, it received strong influences of the Four Master Works(四大奇書) of the Ming(明) Novel such as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三國志演義)』. But these influences do not mean that 『Namgarok』 imitated Chinese Novels unilaterally. It was newly composed of a mixture of Chinese Novels and Korean long piece Novels, Novel of Manners(世態小說), our nation's historical tales and so on. The fact is that Korean Classical Novels written in Chinese Letters in the 19th Century shared the characteristic of a hybrid parody and a stylistic combination. The author, Choi, Man-sung(崔晩成) clearly recognized of interesting and entertaining in novels. He enjoyed a full measure of pleasure, through a variety of reading novels. Furthermore, through the creation of novels, he was willing to forget pains and lacks of the real world. So the pleasures of the novel creation can be regarded as a kind of imaginative play. In short, 『Namgarok』 described aspects of the war wholly is a work that shows a tendency to approach vulgar interests as for novels written in Chinese Letters of the Late Chosun Dynasty, away from moral and debating tendency. 본고는 한문 장편소설 『南柯錄』의 서술상의 특징과 서술 의도를 규명하고 작품의 소설사적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권 2책의 필사본으로 전하는 『남가록』은 가상의 佛鄕 南柯國에 닥친 재액을 4천왕의 現身으로 설정된 네 명의 주인공의 활약으로 물리치는 과정을 그린 한문 장편소설이다. 다양한 공간을 배경으로 많은 인물들이 펼치는 복잡다단한 대결 구도가 작품의 주류를 이루고 있어서, 가히 軍談의 비중이 압도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남가록』 내의 군담은 영웅적 인물들의 비범함을 드러내고 立身의 수단으로 작용한다기보다 군담의 전개 과정 그 자체에 초점이 놓여 있다. 『남가록』에는 다양한 대결 구도에 어울리는 다양한 전술과 전법이 그려지며, 대결 구도가 이승을 넘어서 冥府에서까지 全一하게 이어진다. 또한 神術이나 道術에 의지하여 전쟁 국면이 비약적으로 전개되는 등 실로 각양각색의 군담이 펼쳐진다. 군담이 작품 전편에 걸쳐 서사를 이끌어가는 중핵으로 작용하고 있기에 『남가록』은 장편 군담소설적인 면모를 지닌 작품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때문에 복수 영웅들의 비범성과 활약상을 그린 영웅소설로 국한하여 이해하는 관점은 자칫 『남가록』 서사의 핵심이라 할 군담의 역할과 의미를 제한할 우려가 있다. 『남가록』은 전대의 다양한 소설들이 錯綜, 혼융되어 이루어진 작품이다. 우선 전체 서사 구도에서부터 戰術⋅戰法 등에 이르기까지 『三國志演義』와의 친연성이 분명히 드러난다. 또 『西遊記』의 공간 배경과 신이한 분위기, 『水湖誌』의 인물 형상화 양상, 『金甁梅』를 방불하는 성애의 묘사 등 이른바 四大奇書의 흔적과 영향을 쉽게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방적인 중국 소설의 모방은 아니며, 우리나라의 야담, 국문 장편소설, 세태 소설 등과의 착종을 통해 새롭게 엮어진 것이다. 이같은 일종의 문체 혼융과 혼성 모방은 19세기 한문 장편소설들과 공유하는 특징이다. 『남가록』의 작가 崔晩成은 소설의 흥미성과 오락성을 분명하게 자각하고 있었던 인물이다. 다양한 소설 독서를 통해 소설을 읽는 즐거움을 만끽한 것은 물론이고, 소설 창작을 통해서도 자신이 처한 현재적 억눌림과 결핍을 잊고자 하였다. 이는 일종의 상상적 유희로 소설 창작의 즐거움을 인식한 것으로, 군담의 흥미 본연에 기대어 이를 한껏 펼쳐낸 바이다. 그런즉 다채로운 군담의 흥미진진함을 견지하며 전면적인 전쟁의 상황을 여일하게 엮어낸 『남가록』은 조선후기 한문 소설이 교훈성이나 의론성에서 벗어나 통속적 흥미에 보다 근접해 가는 양상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 KCI등재

        『남가록(南柯錄)』의 서술상 특징과 작가의식

        강경미 ( Kyeong Mi Kang )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50 No.-

        This study is intended to clarify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author`s consciousness of 『Namgarok(南柯錄)』 and to contemplate its novel-historical significance. 『Namgarok』 is a full-length novel written in Chinese Letters, with the whole story that four heroes overcome the calamity of a hypothetical country, Namgaguk(南柯國). 『Namgarok』 describes many different stories of wars, which contain various tactics, diverse showdown aspects and Taoist magic based battles, etc. Namely, it can be said that the stories of the war occupy the centerpiece of 『Namgarok』. Therefore 『Namgarok』 can be characterized as full-length Martial Novels because stories of wars act as the core that leads the narrative. The 『Namgarok』 is the work that made up of various previous era novels. In particular, it received strong influences of the Four Master Works(四大奇書) of the Ming(明) Novel such as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三國志演義)』 But these influences do not mean that 『Namgarok』 imitated Chinese Novels unilaterally. It was newly composed of a mixture of Chinese Novels and Korean long piece Novels, Novel of Manners(世態小說), our nation`s historical tales and so on. The fact is that Korean Classical Novels written in Chinese Letters in the 19th Century shared the characteristic of a hybrid parody and a stylistic combination. The author, Choi, Man-sung(崔晩成) clearly recognized of interesting and entertaining in novels. He enjoyed a full measure of pleasure, through a variety of reading novels. Furthermore, through the creation of novels, he was willing to forget pains and lacks of the real world. So the pleasures of the novel creation can be regarded as a kind of imaginative play. In short, 『Namgarok』 described aspects of the war wholly is a work that shows a tendency to approach vulgar interests as for novels written in Chinese Letters of the Late Chosun Dynasty, away from moral and debating tendency.

      • KCI등재

        박경리의 ‘소설가 주인공 소설’ 연구

        조윤아(Cho Yun-A) 한국비평문학회 2008 批評文學 Vol.- No.2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k Kyung-ni's literary and world views reflected in her novels whose protagonists were novelists, which include My Heart Is A Lake(〈내 마음은 호수〉), The Eternal Partner(〈영원한 반려〉), and Winter Rain(〈겨울비〉). Novels whose protagonists are novelists are called 'novelist-novels,' which term was derived from 'artist-novels.' Artist-novels deal with the protagonist artists' missions, creations and issued regarding their reality and society. In Korean literature, novelist-novels used to be categorized as autobiographical novels where the authors' personal experiences were presented first-hand after the early modern days. But the case of Park begs to differ from the tendency. It's true that her main characters are novelists, but she sets different environments and situations from hers to emphasize that they are, after all, fictional characters. But her novelist-novels are still enough to examine her own experiences and literary and world views. Among the three novels, Winter Rain turned out to be the closest to the definition of an 'artist-novel' with My Heart Is A Lake having the longest distance from it. In face, My Heart Is A Lake is closer to a romance novel. At the same time, Park depicted the character of an individual with political positions with emphasis as she went through the 4ㆍ19 Revolution while writing the novel. In the novels, she described novelists as artists that failed to adapt to the ordinary everyday life and the reality with self-interest instead of regarding them as 'literary men' who had social reputations to protect and responsibilities to take. The novels also reveal her highly critical views of those literary men who acted as if they were celebrities in the name of authors and the climate of the literary society that gossiped about female authors.

      • KCI등재

        <설공찬전>의 장르 규정과 문학사적 의의

        윤정안 동아시아고대학회 2019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3

        This study was planned in question about the genre setting for <Seolgongchan-jeon> which was used in the academic world. Pilgi and novel(Jeon-gi) are genres derived from similar literary consciousness. Pilgi, which is oriented toward reality, is different from Jeon-gi, which pursues fiction. The ghost in the Pilgi is based on facts, and the ghost in the novel is used for the allegory.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divide a novel and Pilgi with the appearance of ghosts in the works. Also, the ghost can not be seen as a fiction, so it is recognized as a fact by those who believe it to be true. So they gathered stories of ghosts to collect and pass on interesting stories about ghosts. In the context of this, <Seolgongchan-jeon> can understand Pilgi. The scenes that have been recognized as novel conflicts can be rethought. There is no reason for seolgongchan to confront seolchoongran or seolgongchim. The conflict between the king of the underworld and the emperor Seonghwa or allegory through Chujeon choong is insufficient in that it is a normal didactic composition. Rather, it is natural to see that Chaesoo has collected Seolgongchan's grudge and what he heard from underworld as recorded by Eosook kwon. The unorganized structure of <Seolgongchan-jeon> is presumed to have originated from taking the words of Seolgongchan as it was. <Seolgongchan-jeon> differs from Jeon-gi's grammar in that the main character meets ghosts and shows ontological changes. This is the element that allows <Seolgongchan-jeon> to be recognized as Pilgi, not Jeon-gi. The premise that <Seolgongchan-jeon> is a novel seems to be related to the discussion of modernity. <Seolgongchan-jeon> is defined as a novel, and it seems that there is an overriding meaning given the attempt to raise the origin of Hangul novel. However, <Seolgongchan- jeon> is not meaningless in the history of Korean novels. The novel and Pilgi have similar readership and enjoyment methods. This means that the two genres are influenced by each other. The fashion of <Seolgongchan-jeon> is related to the interest of the novel. The fashion of <Seolgongchan-jeon> translated into Hangul has significance for literature history since it predicts the fashion of Hangul novels. 이 글은 그간 학계에서 통용되었던 <설공찬전>에 대한 장르 설정에 대한 의문에서 기획되었다. 필기와 전기는 유사한 문예의식에서 비롯된 장르이지만, 필기가 사실성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허구성을 바탕으로 하는 전기와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필기 속의 귀신은 사실을 전제로 한 것이라면, 전기의 귀신은 우의를 위해 사용된 것이다. 그러므로 작품 속에 귀신의 등장 유무만으로 전기와 필기를 나눌 수는 없다. 더구나 귀신은 반드시 허구라고만 볼 수 없어서, 그것을 사실로 믿는 사람에게는 사실로 인식된다. 필기의 편자들은 귀신 이야기를 사실로 인지하였고, 귀신이 등장하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수집하고 전달하기 위해 귀신 이야기를 수록했다고 볼 수 있다. <설공찬전>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보자면 필기로 이해할 수 있다. 그간 소설적 갈등으로 인식되었던 여러 장면들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설공찬이 설충란이나 설공침과 대결에는 필연적인 이유가 보이지 않는다. 염라대왕과 성화황제의 갈등이나 주전충을 통한 우의는 이것이 일반적인 권선징악의 구도라는 점에서 설득력이 부족하다. 오히려 어숙권의 말대로 설공찬의 원한과 저승에서 들은 것을 채수가 수집했다고 보는 편이 자연스럽다. <설공찬전>의 산만한 구조는 전해들은 설공찬의 말을 그대로 적느라 생긴 것으로 추정되며, 주인공이 귀신을 만나 존재론적인 변화를 보이는 전기의 문법과 다른 점 역시 <설공찬전>이 전기가 아닌 필기로 볼 수 있게 하는 요소이다. <설공찬전>이 소설이라는 전제는 근대성의 논의와 연관된다. <설공찬전>을 소설로 규정함으로써 한글소설의 기원을 끌어올리려는 시도로 인해 과잉된 의미 부여가 있어 온 것은 아닌가 싶다. 그렇다고 해서 <설공찬전>이 소설사에서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다. 소설과 필기는 유사한 향유층과 향유 방식을 갖고 있으며, 이는 두 장르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음을 의미한다. <설공찬전>의 유행은 소설의 흥미성과 관련되며, 한글로 번역된 <설공찬전>의 유행은 이후 한글소설의 유행을 예견한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옷소매 붉은 끝동』 스토리텔링의 고전소설 지식 활용의 효과와 의미

        김문희 한국고전연구학회 2022 한국고전연구 Vol.-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aspects of knowledge application of classical novel and its effect and meaning in 『The Red Sleeve』. 『The Red Sleeve』 is a representative work of cross-media story telling which is adapted for webtoon and drama after it is created as a novel. The story-telling in 『The Red Sleeve』 commonly uses a enjoyment formula of classical novel through Jeon-gi-soo(傳奇叟). It also actively uses joint transcription by court lady, reading aspects of classical novel and way of classical novel circulation through Se-chaek-jeom(貰冊店). It reveals introduction, assessment and awareness about classical novel as well. Three effects and meanings are revealed by using introduction, assessment and awareness about classical novel which are realized by the way of enjoyment, production and reading aspect and circulation method of classical novel. In terms of character composition, it reveals the effect of creating intellectual mentality and independent personality of heroin. It is common effects in novel, webtoon and drama. It reveals the effects of building and resolving tension and creating interest by making laughter in respect of framework of events. It is a effect which is created while being converted to drama and webtoon. In terms of appreciation from reader and viewer, it reveals the effect that makes the reader and viewer cultivate knowledge and refinement about classics and traditional culture. In order to help create successful contents like 『The Red Sleeve』 accurate and easily accessible material about classical novel should be provided. It can be a duty of classical novel researcher to provide relevant material about classical novel which is easily accessible to writer, contents creator and the public. 본 연구의 목적은 소설, 웹툰 드라마로 스토리텔링되는 『옷소매 붉은 끝동』에 나타나는 고전소설에 대한 지식 활용 양상과 그 효과와 의미를 논의하는 것이다. 『옷소매 붉은 끝동』은 소설로 창작된 후 웹툰과 드라마로도 각색된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대표적 작품이다. 『옷소매 붉은 끝동』의 스토리텔링은 전기수(傳奇叟)를 통한 고전소설 향유 방식을 공통적으로 활용한다. 또한 궁녀의 공동 필사, 고전소설의 독서 양상, 세책점(貰冊店)을 통한 고전소설의 유통 방식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더불어 고전소설에 대한 소개와 평가, 인식도 잘 드러난다. 소설에서 웹툰, 드라마로 각색되는 『옷소매 붉은 끝동』의 스토리텔링에서는 고전소설의 향유 방식, 제작과 독서 양상, 유통 방식을 활용하고, 고전소설에 대한 소개, 평가, 인식을 활용함으로써 세 가지 효과와 의미가 드러난다. 인물 구성의 측면에서는 여성 주인공의 지적인 내면과 주체적 성격을 창조하는 효과를 드러낸다. 이것은 소설, 웹툰, 드라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효과이다. 사건 구성의 측면에서는 긴장을 만들고 해소하기도 하며, 웃음을 만들어 흥미를 창출하는 효과를 드러낸다. 이것은 드라마와 웹툰으로 전환되면서 창출되는 효과이다. 독자와 시청자의 수용 측면에서는 독자와 시청자가 고전과 전통문화에 대한 지식과 교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드러낸다. 이것은 소설, 웹툰, 드라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효과이다. 『옷소매 붉은 끝동』과 같은 성공적인 콘텐츠가 창작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접근하기 쉬운 고전소설 자료들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작가를 비롯하여 콘텐츠 창작자나 대중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고전소설 관련 자료를 제공하는 것은 고전소설 연구자의 몫이고, 책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새 資料 「유장옥전」 硏究

        장경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1

        This paper is study about classical novel Youjangok-jun that introduce newly. This novel copied by Hangul was possessed in present Jon'gyeong'gak(Library) at Sungkyunkwan University. Hero family's decomposition and process of sufferings by confrontation discord of Youhyeonsuk and Jogongpil are main contents in the first half of a novel. Process that hero Youjangok becomes hero of second half of novel is main contents. Youjangok rescues Emperor who fall at crisis. As a result, Youjangok meets again with family. And Youjangok is to defeat barbarian which invade capital and Youjangok becomes hero. Compo- sition characteristic that this novel has is that include the hero's birth abbreviation story, the woman sufferings story, the forced marriage story, the wive's confliction story, the itinerary's insertion story. These are story used mainly in one's family novel and pansori novel. These stories are story that attracted interest to readers then at that time. This is result that consider reader's interest. Therefore, this novel is seen with the literary works which happened by a process in pursuit of popular interest. 텍스트인 「유장옥전」은 현재 成均館大學校 尊經閣에 소장되어 있으며, 國文 筆寫本이다. 1권은 유현숙과 조공필의 대립 갈등으로 인한 주인공 家族의 解體와 受難의 過程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고, 2권은 유장옥이 위기에 처한 天子를 구함으로써 이산한 가족이 再會하고 중원을 침범한 南蠻을 물리쳐 공을 세운 후에 富貴榮華를 누린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소설의 構成的 特性으로 주인공의 誕生譚이 생략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女性人物의 受難이 강조되어 있는 것과 大夫人에 의한 敎化 장면도 특징적인 구성법이다. 勒婚과 妻妻 葛藤 화소도 활용하고 있는 바 이는 長篇家門小說에서 활용되는 화소이다. 軍談 가운데 여성영웅의 활약상이 제시된다. 유장옥의 유랑과정에서 보여준 路程記는 판소리의 흥미요소를 활용한 것이다. 따라서 유장옥전은 이전 시기 또는 당대의 독자들에게 흥미를 끌던 화소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通俗的 興味를 추구한 작품이라 하겠다.

      • KCI등재

        염상섭과 모델소설 ― 「해바라기」, 『너희들은무엇을어덧느냐』를 중심으로

        ( Park¸ Hyun-so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2 No.-

        이 글의 목적은 「해바라기」, 『너희들은무엇을어덧느냐』 등 염상섭의 모델소설이 지닌 성취와 한계를 가늠하는 데 있다. 염상섭은 자신이 모델을 가지고 소설을 쓴 경험이 흔하지 않음을 밝힌 바 있는데, 그것은 모델소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염상섭이 『동아일보』에 두 소설을 연재한 것은 『동명』이 종간되고 『시대일보』가 창간되기 전이라는 시기와 겹쳐진다. 염상섭은 ‘문인회’의 취지를 밝히는 등 그 결성을 위해 애쓰기도 했다. 당시 작가들에게 꾸며낸 이야기를 통해 삶의 진실을 구현한다는 허구 개념에 대한 이해는 쉬운 일이 아니었음에도 이전 시기 서사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사실에 대한 경도로 이어졌다. 이는 조선의 근대문학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던 일본 근대소설이 사소설로 귀결되는 과정에서도 나타난다. 1920년대 전반기 『동아일보』, 『조선일보』, 『시대일보』 등에 연재된 소설에는 필자인지 번역자인지 모를 이름이 부기되어 있는데, 그것은 연재물을 ‘소설’이나 ‘문학’보다는 흥미 위주의 읽을거리로 여겼던 인식에 따른 것이었다. 많은 독자를 견인하기 위해 ‘기사’로서 문학에 부여된 역할은 흥미 위주의 콘텐츠로 지면을 메우는 것이었다. 실존하는 모델을 상정한 것은 당시의 허구 개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으며, 신여성을 모델로 함에 따라 독자를 견인하는 역할 역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해바라기」, 『너희들은무엇을어덧느냐』 등에 대한 평가는 신문 미디어의 요구를 수용하면서도 현실에 대한 묘파를 제대로 행했는지 가늠하는 것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tudied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 Sunflower(해바라기) > and < What did you get?(너희들은무엇을어덧느냐) >. Yeom Sang-seop said he had a rare experience writing model novels. It is because of the negative perception of model novels. Yeom Sang-seop published the two novels serially in the newspaper between the end of < Dong-Myeong > and the first publication of < Si-Dae newspaper >. Yeom Sang-seop also tried to form of 'literary society'. At the time, it was not easy for writer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fiction. However, the negative perception of narratives in the previous period led to an emphasis on facts. Modern Japanese novels had a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the modern literature of Joseon. Japanese modern novels also resulted in private novels. In the first half of the 1920s, it was difficult to know who wrote the novels serialized in < Dong-A newspaper >, < Jo-Seon newspaper >, and < Si-Dae newspaper >. That is because they thought of the series as an interest-centered story, not as 'novel' or 'literature'. In order to attract a large number of readers, the newspaper demanded interesting content. Writing a novel with a model did not deviate from the fictional concept of the time. Because it was modeled after a new woman, it was able to attract many readers. Research on < Sunflower > and < What did you get? > should reveal whether the demands of the newspaper media have been properly accepted and whether the author's perception of reality has been properly revealed.

      • KCI등재

        우연을 통해 본 한국 근대소설 연구의 제 문제

        박상준(Sang Joon Park) 한국현대소설학회 2013 현대소설연구 Vol.- No.54

        It will be a productive method to survey how contingencies are utilized in modern Korean novels over a period of their formation and development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ir usages for consistent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genres of modern novels. On the basis of this prehens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our problematics rais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ontingencies in modern Korean novels. First af all, this study criticised and corrected the generally accepted wrong comprehension that contingencies found to be abundant in premodern novels have disappeared in the narrative of modern novels via the transient novel form, ShinSoSul[新小說]. Secondly, the problems that arise from the method to study contingency in terms of plot were discussed. Thirdly,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viewpoint that regards the effect of contingency as interesting is very narrow and in fact wrong for it excludes the other productive effects of contingencies. Last but not the least, this study asserted that contingency analysis in the narrative of a novel will be a promising way to objectively and impartially investigate the works in the sub-genres of the modern novel such as naturalism, realism, modernism, popular stories, etc. These conclusions anddiscussions show that the analysis of the contingencies in the novel narrative will be a useful way to widen and improve the method of studying modern Korean nove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uld be found in this f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