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딜타이와 짐멜의 개인과 사회의 상호작용

        양해림 ( Yang Hae-rim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6

        딜타이는 『인간, 사회, 국가에 관한 학문의 역사 연구에 대하여』(1870)라는 논문에서 개인과 사회의 상호작용을 역사와 사회의 관계에서 상호작용해 나가듯이, 부분과 전체의 근본 관계를 현재의 관점에서 전개한다. 딜타이에게서 사회적 상호작용의 근본문제는 개인과 사회사이의 긴밀한 긴장관계에 있다. 이러한 개인과 사회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정신과학의 입문』(1883)에서 새롭게 전환된다. 짐멜은 『사회학』(1908)에서 딜타이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용하여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사회학의 근본문제라 보았다. 짐멜에게서 사회는 실체하는 존재가 아닌 개인들 사이에서 전개되는 상호작용들의 총합이다. 그 상호작용들이 객관적 구조물로 응축되거나 결정화된 제도, 조직, 체계, 구조 등을 포괄한다. 여기서 사회가 사회적 상호작용 혹은 사회화로 해체되고 다시 재구성된다. 짐멜은 『사회학』의 “사회적 영역의 교차점”의 표제어에서 개인으로부터 사회가 형성되고, 사회에서 개인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짐멜에게서 개인과 사회의 상호작용의 이해는 동시에 딜타이의 사회학 비판을 인정하고 극복해 나가는 것이었다. Dilthey articulates the primary relation between the part and the whole with a present perspective like the interaction between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in a similar vein of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and society in his academic paper, 'Foundation of the sciences of man, society and history'(1870). According to Dilthey, the primary problem in social interaction occurs in tensions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Such social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become a new transformation in his book 'Introduction to the Human Sciences'(1883). In 'Sociology'(1908), Simmel encompasses the social interaction of Dilthey and elaborates on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 and society as a fundamental problem. His principle was that society is not a real entity but an integration of interactions among individuals. These interactions embrace all the systems, organizations, structures and institutions which are condensed into an objective structure. In this context, the society is disorganized by social interaction or socialization and then is reconstituted. The headword 'intersection of social domains' in Simmel's 'Sociology' refers to all the forms of association by which the sum of separate individuals are made into a society which he describes as a society composed of individuals. For him, understanding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 and society implies his acknowledgement of the critique of sociology by Dilthey and overcomes it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울리히 벡의 개인개념과 한국사회

        이하준(Ha-Jun Lee)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8

        이 논문은 ‘한국사회와 개인’의 문제를 벡의 ‘개인화 논제’을 원용해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사회이론 영역에서 벡의 이론들을 준용해 한국사회의 개별문제를 다룬 연구 성과물은 종종 찾아 볼 수 있다. 그런데 철학의 영역에서 벡의 비판적 사회이론이나 개별 주제에 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거나 그의 이론적 성과에 입각해 한국사회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시도하는 연구물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해 벡의 ‘개인화 논제’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의 개인개념을 규명하고 그의 논제가 ‘한국사회에서 개인’의 문제를 밝혀내는 데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으며 어떤 이론적 한계를 갖는지 가늠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첫째, 아도르노의 개인이 종말에 관한 벡의 비판이 제한적 타당성만을 갖는 다는 것을 논증한다. 둘째, 근대적 개인과 위험사회에서 개인에 대한 벡의 이론적 입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셋째, 개인화의 논제를 재구성하고 개인화의 양의성과 개인의 위기를 규명한다. 넷째, 초위험 사회로서 한국의 압축적 개인화의 양상과 성격을 벡의 논점과 비교 검토 한다. 다섯째, 한국사회에서 진정한 개인화와 개인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meaning of Korean society and Individual through the theory of individualization by Ulrich Beck. In the field of social theory, there are some researches which are applied to individual problems of Korean society. However, it is hard to find researches connected with philosophy or philosophical reflection on Korean society through Beck’s theory. From t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I will prove how much analysing of his theory of individualization can contribute to inquiry of individual in our society and show what its limits are. The main poi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 argue that Beck’s criticism on Adorno’s thesis on the end of individual is restrictive valid. Second, I review that Beck’s theoretical position on modern individual and individual in risk society. Third, I reconstruct the theory of individualization and prove ambivalence of individualization and crisis of individual. Fourth, I cross check the issue between the whol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mpressed individualization of Korea as a ‘High-Risk Society’ and Beck’s aspects. Last, I search the possibility of true individualization and individual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청동기시대 계층사회의 발전 단계 검토 -경남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이명훈 한국청동기학회 2023 한국청동기학보 Vol.33 No.-

        The issues of the study of hierarchical society in the Bronze Age can be divided into two. The first i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Bronze Age hierarchical society is an unequal society or an equal society. The second is the question of whether dolmens are indeed symbols of the ruler's power in the Bronze Age. Based on this perspective, we reviewed how to view the hierarchical society of the Bronze Age. In particular, we looked at whether large single tombs, belonging status, professional public figures, and distribution networks of economic goods, known as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izing Chiefdom Society, were confirmed in the Bronze Age. In the Bronze Age, tombs were not recognized as single tombs because they were only clustered and did not show an independent arrangement, but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dolmens with large-scale graveyard facilities were built as tombs and large tombs were built for one person. As for the social origins, it was identified that dolmens with large-scale graveyard facilities built in connection with the tomb where infant bones were excavated meant the existence of not only powerful individuals but also powerful groups, and suggested that the attribution status appeared during the Bronze Age. The appearance of professional craftsmen and the formation of networks for the distribution of economic goods were observed through the production and trade of jade, stone tools, and red burnished jar. The appearance of professional craftsmen and the formation of networks for the distribution of economic goods were also confirmed in the Bronze Age. Professional craftsmen was identified in the form of semi-full-time, and the distribution network of economic goods remained at the level of trade, not distribution.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is thought that the Bronze Age hierarchical society has reached a Individualizing Chiefdom Society in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However, the economic aspect is thought to be a transitional aspect that did not reach the Individualizing Chiefdom Society. The community meaning of dolmen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repeated implementation of extraordinary acts. As the construction and rituals of dolmens were repeatedly performed, dolmens became ‘special thing’ and expanded to various meanings, such as tombstones, tombstones, altars, and public monuments. Therefore, the community meaning of dolmens is not a concept opposed to the symbol of the authority of the head.

      • KCI등재후보

        위험사회와 불안한 음악

        최유준 ( Yu Jun Choi ) 한국음악학학회 2015 음악학 Vol.23 No.1

        한국은 오래 전에 울리히 벡이 말한 ``위험사회``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핵심적 면모는 크고 작은 사고들 자체보다는 오히려 그 이면에서 사회 전역에 퍼져가는 개인화 현상에 있다. 세월호 참사가 한국인들에게 주었던 감성적 충격도 그러한 개인화 현상을 배경으로 한 위험사회의 발견과 관련되어 있다. 위험사회의 지배적 감정은 불안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위험사회가 음악과 맺는 정서적 관계에 대해서 분석한다. 특히 최근의 대중음악에서 위험사회의 불안이 드러나는 모습을 몇 가지 예를 들어 밝힐 것이다. 울리히 벡이 말하는 새로운 근대(``2차 근대``)는 ``정치적인 것``을 재발견하도록 촉구한다. 여기서 정치적인 것은 거시적 차원의 정치가 아니라 미시의 정치이며 일상의 정치, 생활 정치다. 자본주의 시장의 무한경쟁과 효율성에 대한 요구에서 벗어날 수 있는 한 가지 통로가 예술과 음악의 정치적 실천에 있다. 이 위험사회에서 돌이킬수 없는 개인화의 흐름을 성찰적으로 전환해야 한다. 미적 소통과 공감의 확장 속에서 이루어지는 개인의 예술적 실천은 생존에 대한 불안이 아닌 심미적 혼란이 될 것이며, 그 혼란은 오히려 이 사회의 물화된 체제를 정지시키고 잊혀진 감성의 공동체를 일깨울 것이다. It is possible to say that Korea has become what Ulrich Beck called the ``Risk society`` since long before. The essential symptom of risk society lies not just in accidents and disasters frequently happened and caused by human error, but in the accelerated individualization that is now rampant in this society. The emotional shock the Koreans had gotten from ``Sewol-ferry disaster`` was also associated to the recognition of a risk society with an individualization setting. Anxiety is a dominant feeling in this risk society. This paper analyses the emotional relations between music and risk society. I will also suggest how anxiety of this risk society reveals in recent popular music scene through several examples. The new modernity(``second modernity``), as Beck suggested, urges to find ``the political``, which is not about a macro-politics but about a micro- and life politics. A path to escape from demands for unlimited competition and efficiency by capitalist markets lies in political practices of arts and music. We should change the irreversible individualizing process to a self-reflective one. The individual artistic practice made through aesthetic communication and empathic understanding causes not anxiety about survival but an aesthetic chaos, which would rather stop the reified system of this society and arouse a forgotten emotional community.

      • KCI등재

        학습자의 사회학 : 범주적 집단에서 질적 개인으로

        김두환 지역사회학회 2022 지역사회학 Vol.23 No.3

        This study raises the issue that the practice of classifying learners into categories in the existing sociology of education no longer meets the needs of the times. This is because it cannot reflect the demands of our times that emphasize the ability of free self-creation latent in individuals. Education that suits human life that shares interest and meaning of life based on individual uniqueness, requires enhancing the ability to associate with others rather than the traditional educational emphasis on socialization. In order to newly empower individuals who have been separated from abstract society as society grows and becomes more complex, this study examines how a particular but influential conception of society in the West and Korea has lost the individual as a concrete and real entity to a large group such as a nation state or nation. The process of inventing the modern individual paired with the evolution of such a modern society is examined through Western history, and how it has rolled out in Korean society is also is examined. It also includes the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that is emerging in the most recent Korean society. Lastly, this study discuss why the learner of our time must be a qualitative individual that Simmel distinguished from a quantitative individual. In addition, through Simmel's ‘Law of The Individual,’ we discuss how it can be the categorical imperative of education in our time to allow individual uniqueness and self-based specificity to create a purely individualized personal life. In conclus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sociology of learners proposed by this study should be a new educational sociology that can contribute to efforts to transform the current school into a place where students and teachers grow together. 본 연구는 기존의 교육사회학이 주로 학습자를 범주로 분류해온 관행이 시대적 요구에 더 이상 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제기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개인에게 잠재된 자유로운 자기창조의 능력을 강조하는 우리시대의 요구를 반영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개인의 고유성에 기초한 관심과 삶의 의미를 공유하는 인간적 삶에 어울리는 교육은 사회화라는 전통적 교육의 관점보다는 관계 맺기의 능력(associational competence)을 신장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커지고 복잡해지면서 추상화된 사회로부터 분리되어 버린 개인의 역량을 고양하기 위해서, 우선 본 연구는 기존의 사회에 관한 관념이 서구와 한국에서 어떻게 구체적, 사회적 실재로서 개인을 국가 또는 민족 같은 거대집단에 망실하고 말았는지 검토한다. 또한 근대적 사회의 진화과정과 짝을 이루는 근대적 개인의 발명과정을 서구의 역사를 통해 살펴보고 그것이 한국사회에서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도 살펴본다. 그것은 최신의 한국 사회에서 발현하고 있는 개인화의 과정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우리시대의 학습자는 왜 짐멜(Simmel)이 양적 개인과 구별한 질적 개인일 수밖에 없는지 논의한다. 그런 후 짐멜이 주창한 개인법칙을 통해 학습자가 개인의 유일성과 자기 자신에 근거한 특수성을 바탕으로 순전히 개인적인 삶을 만들 수 있게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 우리 교육의 새로운 정언명령이라고 주장한다. 그것은 바로 본 연구가 제안하는 학습자의 사회학이 현재의 학교를 학생과 교사가 함께 성장하는 교학상장(敎學相長)의 장소로 전환하는 노력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사회학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 KCI등재

        공동체와 개인 ; 무위적 개인과 현동 사회 -노자의 개인-공동체 모형을 중심으로

        이임찬 ( Im Chan Le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3 한국 철학논집 Vol.0 No.38

        노자 철학에서 우리는 유위적 개인과 무위적 개인이라는 두 가지 유형의 개인을 유추할 수 있다. 유위적 개인은 확장성을 그 특징으로 하는데, 이들의 확장성은 곧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공격성으로 나타나고, 이것이 문화적으로 고착된 사회가 허위적 사회이다. 무위적 개인은 허위적 권력과 권위를 버리고 자신의 참모습과 생명에 집중하며, 나아가 자발적으로 자신의 권리를 제한한다. 이들의 이러한 행위 방식은 상대방에게 자율 공간을 마련해 줌으로써 상대방 스스로 자신의 생명력을 충실히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무위적 개인들의 관계로 형성된 것이 현동 사회이다. 노자의 현동 사회는 개인권을 제한하지만 오히려 개인의 자율, 생명, 행복을 보장하고, 공동선을 세우지 않지만 오히려 공동선이 끊임없이 생성되는 개인-공동체 모형을 제시한다. 이는 개인권을 보장하는 동시에 공동선도 함께 실현하려는 시도와 다른 관점이다. From the philosophy of Laozi, we can infer the two types of the individuals, such as Youwei individual and Wuwei individual. The Youwei individual characterizes its expandibility, which appears as an aggressive character, and the society where this has set in is a false society. The Wuwei individual discards a false power and authority, concentrates on its realities and life, and further restricts its rights in a voluntary way. Their behavioral pattern like this allows the other party to secure an autonomous space and ensures that he or she can live a full life in person. The society these Wuwei individuals have formed through their own relationships is Xuantong Society. The Xuantong Society proposed by Laozi restricts individual rights, but it rather guarantees individual`s autonomy, life and happiness, and suggests an individual-community model in which common good is created endlessly even though it does not establish the common good. This is very different from the points of view which guarantees individual rights and at the same time attempt to realize the common good together.

      • KCI등재

        개인과 사회 발전 개념의 재구성

        박상필(Sangpeel Park) 한국NGO학회 2015 NGO연구 Vol.10 No.1

        개인과 사회의 발전은 개인의 정체성과 삶의 질 향상에 매우 중요한 문제로 서, 개인과 사회는 근원적으로 발전을 지향한다. 이때 개인과 사회의 발전 개념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에 하는 중대한 문제를 마주하게 된다. 이 글은 개인과 사회의 발전을 초월론적 존재론과 행복발전론에 근거하여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개인의 발전에 대해서는 정신적이고 사회적 존재로서의 정체성에 비추어 자기실현과 인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기실현에 대해서는 우주적 본성을 지닌 존재에 근거하여 영성, 이타, 과정을 중심으로 개인의 발전개념을 재구 성하였고, 인정과 관련해서는 다중적 욕구와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여 존경과 시민성에 대해 새롭게 규정하였다. 사회의 발전에 대해서는 발전의 양상과 주체 문제를 고찰하였다. 발전의 양상에서는 공리주의에 기초하는 근대 물질문명의 경제환원론적 발전이 아니라 행복지수의 개발을 통한 삶의 질 평가가 중요성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발전의 주체에 대해서는 국가가 아니라 개인이 발전의 주체가 되어야 하며, 공공영역의 의사결정뿐만 아니라 시장과 시민사회에서의 공정한 참여를 중시하였다. 끝으로 개인과 사회의 발전은 서로 밀접하게 상호작용하 는데, 비록 양자를 독립항으로 설정하더라도, 이중주의 화음처럼 조화를 이루는 것이 개인의 행복과 조화로운 사회 건설에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An Individual and society fundamentally aim for their own development because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and society is very critical to the identity and life quality of an individual. At this juncture, we confront the problem of how to define the development of an individual an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truct the concept of individual and societal development based on the transcendental ontology and theory of happiness development. I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I inquired of self-actualization and acknowledge considering the mental and social identity of a man. I focus my works on spirituality, altruism, and process of the self-actualization, and respect and citizenship of the acknowledge. In the development of society, I studied on the developmental aspect and agent. Of the developmental aspect, I put emphasis on that the development of a society should not be evaluated by the material development, but by the happiness of the people. Of the developmental agent, I argued that individuals must be the principals of the societal development, and that it is important for the individuals to fairly participate in the market and civil society as well as in the public sphere. Finally, I proposed that individual development and societal development should be in harmony like duet for the happiness of all the people in a society and balanced societal development.

      • KCI등재

        근대의 한국무속

        이용범(Yi Yong-Bhum) 한국무속학회 2006 한국무속학 Vol.0 No.11

        이 글은 무속의 종교전문가인 무당, 무당에 의해 집행되는 무속의례, 그리고 무속의례에 등장하는 무속의 신격(神格), 무속의 사회적 기반 등을 중심으로, 근대 한국무속의 새롭게 변화된 모습과 아울러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함으로써 근대 한국무속의 역사적 특징을 찾아보고자 한다. 근대 한국무속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변화는 사회문화적 위상의 변화이다. 근대 이전 한국무속은 가정(개인), 지역(마을), 국가(왕실)와 관계를 맺으며 일정한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근대기에 들어오면서 국가(왕실)와의 관계는 완전히 사라지고, 가정(개인), 지역(마을)과의 관련속에서 존재를 지속한다. 무속에 더 근본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은 지역(마을)과의 관계이다. 지역은 근대이전 한국무속의 기본적인 사회문화적 기반으로서, 무속의 많은 부분은 그 기반인 지역과 관련시켜 설명된다. 그러나 근대의 사회문화적 변화와 함께 점차로 지역사회와 문화가 해체되고, 이 과정에서 지역은 더 이상 근대무속의 기반이 되지 못하고, 가정(개인)과의 관계가 중심이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바로 의례종류와 의례형식, 의례의 연행상황의 변화와 맞닿아 있다. 무속처럼 한 지역사회의 조직, 삶과 문화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채 존재하는 종교를 확산종교라고 하는데, 근대기에 나타난 한국무속의 변화는 이러한 확산종교적 성격이 점차로 탈색되어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겠다. 이는 한국무속이 기존의 든든한 지역적 기반을 상실하는 과정임과 동시에 지역적 한계를 탈피한 새로운 종교로 다시 태어날 계기가 주어지는 과정이기도 하다. This paper intend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shamanism by focusing on both the changes and overall features of Korean shamanism in modern era.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nges in modern Korean shamanism is the change of sociocultural status of Korean shamanism. Before modern era Korean shamanism had connections with family(individual), local society, and state(or the Royal Family), and had done its own roles. But in modern era its relation with state(or the Royal Family) was completely died away. Only its relations with family(individual), local society have been maintained. Among its relations with both family(individual) and local society the latter is more fundamental to Korean shamanism for nearly overall features of Korean shamanism may be explained in connection with local society. The local society may be said to be one of the most basic foundations of Korean shamanism. But the local society can not be the base of Korean shamanism any more according as the break-up of local society and its culture. Korean shamanism is a so called diffused religion with close and direct relationship with local society. So the changes of modern Korean shamanism can be said to be a decolorization of the features of diffused religion. This is a loss of the base of local society and is also a possibility of being liberated from the restraint of local society.

      • KCI등재

        한국 근대사의 전개와 불교

        김상현(Sang Hyun Ki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60

        한국의 근대화 과정은 동서 문화와 사상의 충돌로 시작되었다. 서양문화에 취한 개화지식인들이 그 한계와 모순을 눈치 채지도 못하고 찬송하고 있을 때, 불교계의 젊은 지성들은 근대의 여러 화두에 대해서 그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있었고, 분명한 목소리로 응답하고 있었다. 불교는 종교가 아니라는 기독교의 힐난에 대해서도, 사회주의자들의 반종교운동에 대해서도, 사회진화론의 거센 물결에 관해서도, 정치와 종교의 분리, 자유와 평등, 그리고 개인과 사회 등의 담론 등에도 응답하고 있었다. 개화기 한국사회는 불교, 유교, 천도교, 기독교 등 다양한 여러 종교가 혼재하는 상황이었다. 문명개화론자들이 생각한 문명개화란 결국 서구화의 과정이었고, 기독교를 서양문명의 원천으로 파악한 이들은 문명개화를 위해서는 기독교를 믿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명개화론자 중에는 불교는 이미 망하게 되어 있는 종교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었다. 근대사회는 종교의 자유와 정교분리 원칙이 강조되고 실현되었다는 점에서 정교 분리는 근대종교의 특징이었다. 그러나 불교는 寺刹令에 묶여서 여러 정치적인 간섭을 받았다. 이에 조선불교청년회는 정교분립을 주창하면서 사찰령 철폐운동을 전개했다. 불교계의 이 운동은 성공하지 못했지만 그래도 조선총독부를 상대로 사찰령 철폐운동을 전개했던 그 역사적 의미는 적지 않다. 불교계에서도 진화론을수용함으로서 당대를 종교의 경쟁시대로 인식하게 되고, 이를 토대로 불교의 개혁을 강조하기도 했지만 약육강식과 적자생존을 강조하는 진화론의 문제를 비판하기도 했다. 근대화 과정에서 개인이 중시되고 자유 및 평등사상이 강조되었지만, 자유와 평등은 불교의 기본사상이기도 했다. 한용운이 자유와 평등을 인간의 가장 본질적인 것으로 인식했던 것도 이 때문이었다. 따라서 이 주제에 대한 불교계의 논의는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근대의 두드러진 특징은개인의 확립이다. 이에 대한 불교계의 담론도 일찍부터 등장했다. 전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홀로 존재하는 개체란 있을 수 없다. 이 때문에 개체의 확립 과정이 동시에 또 한편에서는 개체를 뛰어넘는 무엇의 탐구와 항상 짝을 지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개인은 사회와 자연스럽게 만나면서도 어느 한 쪽에 빠지지 않는 融二而不一의 불교적 논리였다. 개신교는 스스로는 문명종교라고 하면서 불교는 철학이나 미신이라고 비판했다. 불교는 철학일 뿐 종교가 아니라는기독교 측의 주장에 대해서 불교의 무신론은 기독교적 유신론의 단계를 훌쩍 뛰어넘은 더 진화된 종교라고 응수하기도 했다. 사회주의자들의 반종교운동에 맞서 불교계에서는 반종교운동의 오류와 한계를 지적하면서 종교의 의미와 역할, 그리고 불교개혁 등을 논의했다. 근대 한국불교는 기독교의 비판이나 사회주의의 반종교운동 등에 반응하면서 종교의 의미나 그 역할에 대해서 종래에 비해 한 층 더 깊은 해석에 이르고 있었다. 서구문명의 수용 논의는 전통문화에 대한 비판과 부정으로 전개되었다. 전통의 계승에 대한 노력이나 논의는 무시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조선의 문명화를 위해서는 비서구적인 전통종교나 토속적인 것은 타파의 대상이 되었다. 불교계에서는 한국문화 속에 깊이 뿌리 내리고 있는 불교의 영향에 대해서 그 중요성을 자각하고 있었다.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 had begun with clash of civilizations and ideologies. While progressive intellectuals were fascinated by western culture, young Buddhists intellectuals in Buddhist society were seeing through the core of issues of modernization and they tried to cope with the situation decisively. When Christian society accused Buddhism of superstition or philosophy, socialists conducted anti-religious movement, and Social Darwinism was rapidly popularized, those young Buddhists reacted thoughtfully to it. And they also dealt with issues of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politics, liberty and equality, and individuals and society. There were various kind of religions in early modern Korea; Buddhism, Confucianism, Cheondogyo, and Christianity. For intellectuals who stood by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theory, enlightenment was equal to westernization. They saw Christianity as the origin of western culture and they believed that Christianity was essential for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of Korea. Some of them even said that Buddhism was destined to fail. Freedom of religion and the separation of religions and politics were emphasized and realized in modern society, so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y are unique features of modern religion. But Buddhism in Korea was suppressed by the temple ordinance and numbers of political actions. In this situation, the Young Buddhist Society of Joseon agitated for abolition of the temple ordinance and insisted the separation of religions and politics. Even though they failed to achieve their goals, this agitation agains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has a historical significance. Some of Buddhists also accepted the Social Darwinism. They recognized the reality as the era of competing religions and they claimed the reform of Buddhism based on the recognition. But there were other Buddhists who criticized the Social Darwinism for its emphasis on the law of the jungle. Dur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dividualism, liberty and equality became more important. But liberty and equality are also basic ideas of Buddhism. This is why Han Yong-un regarded those concepts as the most essential attribute of humankind. Therefore, argument on this subject in Buddhist society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for the modernization of Korea. The establishment of an individual is a distinctive feature of modern era and it also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Buddhism. It has been discussed since the early stage of Buddhist history. No individuals can exist by themselve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whole world. Thus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an individual should always go alongwith the pursuit of something beyond individual. The logic of ``融二而不一``, which means that an individual meets the society naturally and without partiality, is also a Buddhist idea. Christianity regarded itself as an enlightened religion and accused Buddhism of superstition or philosophy, and not a religion. To this Christian assertion, Buddhists society answered that Buddhist atheism is much more progressed idea of religion than Christianity. When socialists conducted an anti-religious movement, Buddhist society tried to point out errors and limitations of the movement and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religion as well as the need for Buddhist reform. Korean modern Buddhism could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religion in the course of interaction with accusations from Christians and socialists. In early modern Korea, the argument of embracing western civilization caused negative sentiment on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Any efforts to conserve cultural heritage of Korea were neglected and non-western beliefs or customs were regarded as something to be destroyed. However, Buddhist society was aware of Buddhist influences in Korean culture and understood its importance.

      • KCI등재

        기교적인 삶과 실천을 제약하는 사회적 힘에 대한 기독교사회학적 분석

        이철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7 기독교사회윤리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ciologically the following question: why do Christians find it hard to live by faith in the society? The reason is usually ascribed to such individualistic explanation as lack of faith or willingness, worldly temptation, and worry about life. But this study believes they fall far short of fully accounting for the question, and to answer it more properly an examination of its social aspect is needed.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theories are thus adopted for this study to ask what is the nature and role of society to individuals and why individuals hold a subordinate relationship with their society. The theoretical research leads this study to the second question: in what way Christians become more independent from the power of society. This study suggests a Biblical approach. It believes Biblical interpretation of society can give a way of answering the question. Last, several ways of being more susceptible to live by faith than to follow the world are suggested with sociological and religious point of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