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알 가잘리의 신과 인간의 관계

        박성은 ( Seung Eun Park ) 한국기독교철학회 2008 기독교철학 Vol.7 No.1

        본 논문은 알 가잘리의 신과 인간의 관계를 정통 이슬람과 수피즘의 입장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한다. 알 가잘리의 "신과 인간의 관계"에 있어서 신은 `신은 초월적인가? 아니면 내재적인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따위히드(Tawhid, 신의 유일성) 개념은 신의 전적 초월성과 신의 약한 내재성을 함축한다. 알 가잘리가 신과 인간과의 관계에서 신의 현존(現存)을 추구함은 "신의 유일성(따위히드)"개념에 결여(缺如)된 신의 내재에 대한 보완이라 사료된다. 정통 이슬람의 관점에 따르면, 신과 인간의 관계에서는 신의 전적 초월과 약한 내재성이 동시에 나타나며 이것은 신의 완전성과 모순되지 않는다. 창조주신에 대한 인간의 응답은 신에 대한 절대 복종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신과 인간의 인격적인 관계는 아주 약하다. 결국 신과 인간과의 밀접한 관계를 추구하는 무슬림은 그들의 실존에서 영적(靈的) 갈증을 체험하게 되고 영적 구원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알 가잘리에 따르면, 인간은 신을 추구하는 존재이다. 그러므로 알 가잘리는 수피즘에서 신과의 합일을 추구한다. 수피즘에서 말하는 신의 내재란 인간이 주체가 되어 신에게로 가는 신과의 합일이다. 그러므로 신이 주체가 되어 인간을 향해 내려오는 내재를 주장하는 기독교의 입장과 상반된다. 알 가잘리는 "따위히드(Tawhid, 신의 유일성)" 개념에 결여된 신의 전적 내재성을 수피즘의 화나(Fana, 신과의 합일) 개념을 통해서 그의 신 개념을 보완 혹은 심화시켰다. 이러한 현상은 정통 이슬람의 "따위히드" 신 개념이 완전한 신 개념이라고 전제할 때 모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 가잘리가 신과 인간과의 관계에서 신의 전적 내재성을 요청한 것은 신의 사랑을 갈망하였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Al-Gahzahli`s orthodoxy Islam position with supism`s on relationship between Islamic God and human being. I try to analyze the reason why having process of changing the concept of Al-Gahzahli`s Islamic God from orthodoxy Islam`s position to supism`s. I think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 is closely with the concepts of transcendence and of immanence. In Orthodoxy Islam, the concept of God`s transcendence is emphasized, at the same time concept of God`s immanence is very weak. God`s immanence is compatible with His transcendence. Human being should obey to God. Therefore Al-Ghazali Pursues entire God`s immanence in sufism. In sufism, Al-Ghazali emphasizes the concept of fana, union of God with Human being. The concepts of unity of God are very differ in both`s position. In orthodoxy Islam`s position, It means unity of God, Tawhid, According to sufism`s position it means union of God with human being, Fana. In fact, this phenomenon is in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Islamic God. I think that Sufism is a Al-Ghazali`s magnificent theological work. In orthodoxy Islam`s view point, Immanence of God is very weak, therefore Al-Ghazali tried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immanence of God. Between Immanence in Sufism and God`s immanence in Christianity, concepts of immanence are so different. God`s immanence in Christianity can be well known in the event that God becomes human, namely Incarnation. But immanence in Sufism means union with God from Human being.

      • KCI등재후보

        초월인가 내재인가: 영성이해, 갈등에서 통합으로

        김화영(Kim Hwa-Young)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09 신학논단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integrate conflicts in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based on transcendence and immanence, and was also to prepare such a foundation as the integrated spirituality can be realized in our daily life. Starting from the above purpose of this study, the introduction sought to pose a question on needs to integrate dualistic conflicts between transcendental and immanent spirituality and also look into major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respective spirituality. As a part of alternatives for such an integration of spirituality, this study proposed a numinous archetype of contemplative intuition as well as possible ways to implement such archetype in our daily life. Contemplative intuition contains a sense of paradoxical archetype that is characterized by both transcendental and immanent spirituality. Here, it was found that transcendence becomes revealed on the way of evolution to ambivalent irrationality(mysterium tremendum and mysterium fascinosum), while immanence becomes revealed on the way of evolution to sacredness via rational equilibriu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uch equilibrium of integration is maintained by recovery resulting from breakthrough of distortion like irrationally biased mystification and rationally deteriorated conceptualization. Particularly, it was found that the archetype is a priori in the aspect of archetype immanent in anybody, but it works when it is expressed a posteriori because it is already structured within our experiences. Such an archetype comes side by side to its maturity through equilibrium and breakthrough. When arriving at critical point, it forms through a cycle of great shift involving breakthrough.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integrate conflicts in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based on transcendence and immanence, and was also to prepare such a foundation as the integrated spirituality can be realized in our daily life. Starting from the above purpose of this study, the introduction sought to pose a question on needs to integrate dualistic conflicts between transcendental and immanent spirituality and also look into major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respective spirituality. As a part of alternatives for such an integration of spirituality, this study proposed a numinous archetype of contemplative intuition as well as possible ways to implement such archetype in our daily life. Contemplative intuition contains a sense of paradoxical archetype that is characterized by both transcendental and immanent spirituality. Here, it was found that transcendence becomes revealed on the way of evolution to ambivalent irrationality(mysterium tremendum and mysterium fascinosum), while immanence becomes revealed on the way of evolution to sacredness via rational equilibriu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uch equilibrium of integration is maintained by recovery resulting from breakthrough of distortion like irrationally biased mystification and rationally deteriorated conceptualization. Particularly, it was found that the archetype is a priori in the aspect of archetype immanent in anybody, but it works when it is expressed a posteriori because it is already structured within our experiences. Such an archetype comes side by side to its maturity through equilibrium and breakthrough. When arriving at critical point, it forms through a cycle of great shift involving breakthrough.

      • KCI등재

        내재적 초월의 사회철학: 하버마스와 호네트의 경우

        서도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9 도시인문학연구 Vol.11 No.1

        The meaning of immanent transcendence in social philosophy can be found in the idea of inner-worldly transcendence of Left Hegelianism. It means the realization of the rational or the normative within the real world. For this, the real world must be pathological, but this pathology must be derived from the normative structure of social practices in the real world. That is, the criticism of the distortion and damage of the rational or the normative and the overcoming of it in the real world are the contents of the idea of immanent transcendence of social philosophy. In this paper, I examine how this idea of immanent transcendence is being embodied in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and Honneth’s theory of recognition, since the paradigm shift of criticism carried out by Harbermas. First, it is mentioned that the normative foundation that enables transcendence in modern society should be found in the realm of social practice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 of Left Hegelianism, and that since the paradigm shift undertaken by Habermas, communicatively rational actions in case of himself and the actions of social recognition in case of Honneth have emerged as such normative practices. Next, it is pointed out that in justifying this normative foundation, Habermas’ concept of communicative rationality and Honneth’s concept of recognition is reasonable for the condition of postmetaphysical modernity. Finally, the idea of immanent transcendence of Harbermas’ and Honneth's critical theory is to deviate from subjectivism while following the structure of the theory of alienation in the traditional Left Hegelianism. To sum up, it is the core idea of social philosophy today that the immanent transcendence of modern times is able to be made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normative potential of modern times itself. 사회철학에서 내재적 초월의 의미는 좌파헤겔주의의 내세계적 초월 이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즉 이성적인 것, 규범적인 것을 현실 세계 내에서 실현한다는 뜻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실 세계가 병리적인 것이되 이러한 병리는 현실 세계의 사회적 실천의 규범 구조에서 발생하는 것이라야 한다. 현실에서의 규범적인 것, 이성적인 것의 왜곡과 훼손에 대한 비판 및 이의 극복이 바로 사회철학의 내재적 초월 이념의 내용인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내재적 초월 이념이 하버마스에 의해 수행된 비판 패러다임의 전환 이래, 그러니까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행위 이론과 호네트의 인정 이론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우선, 좌파헤겔주의의 전통에 따라 근대 사회에서의 초월을 가능하게 하는 규범적 토대는 사회적 실천 영역에서 찾아야 한다는 점, 그리고 하버마스에 의해 수행된 패러다임 전환 이후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합리적 행위 및 호네트의 사회적 인정 행위가 그러한 규범적인 실천 행위로 부상하게 되었다는 점이 언급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규범적 토대를 정당화함에 있어서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합리성 개념과 호네트의 인정 개념이 탈형이상학적 근대성이라는 조건에 합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하버마스와 호네트의 비판 이론의 내재적 초월 이념이 전통적인 좌파헤겔주의의 소외 이론의 구도를 따르면서도 주체 중심주의에서 벗어나려고 한다는 점이 지적된다. 총괄하자면, 근대의 내재적 초월은 근대 자체의 규범적 잠재력의 실현으로 가능하다는 것이 오늘날 사회철학의 핵심 이념이라 하겠다.

      • KCI등재후보

        儒家思想에 있어서 超越性과 內在性의 문제 : 모종삼과 홀-에임즈의 담론과 관련하여 In Relation to Mon Tsung-san and Hall-Ames' Discourse

        문병도 동양철학연구회 2004 東洋哲學硏究 Vol.39 No.-

        도덕철학적 관점에서 볼 때, 모종삼의 '초월성' 주장과 홀-에임즈의 '내재성' 주장의 근본적 차이는 관습적 도덕률의 총체인 禮를 정당화해주고 또 도덕적 가치를 부여하는 초월적 입법자나 원리에 상당하는 것이 모종삼은 원시 유가사상 속에 있다는 것이고 홀-에임즈는 그런 것이 없다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孔孟의 사유 속에는 '초월성'이 없다는 홀-에임즈의 주장은 도덕철학적 관점에서 볼 때 타당성이 없어 보인다. 恕의 원리는 관습적 도덕률인 禮를 정당화해주는 형식적 도덕원리로서 그 내용에 있어서 칸트의 정언명법과 합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홀-에임즈가 말하는 '초월성'의조건을 만족시키는 초월적 도덕원리이다. 유가의 天은 이러한 초월적 도덕원리에 따라서 도덕판단을 하는 이상적 존재라는 의미에서 초월적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天의 이러한 도덕능력이 인간에게 미약한 단서로서 내재되어있다고 유가는 보기 때문에 현대 신유가의 '超越而內在'의 주장은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모종삼이 말하는 '초월성'과 홀-에임즈가 말하는 '내재성'은 원시유가의 도덕사유 속에 모두 존재한다고 생각된다. 이 둘은 상호보완적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초월성'이 없는 것이 좋은 것이 아니라, 양쪽을 겸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From a viewpoint of moral philosophy,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Mou Tsung-san's transcendence claim and Hall and Ames' immanence claim lies in that Mou thinks that early Confucianism has something similar to transcendent law-giver or principle that justifies li(禮) and gives moral values to li, while Hall-Ames thinks that there is no such a thing. Hall-Ames' lack of transcendence claim seems not to be persuasive in the ethical point of view. It is because shu is a formal moral principle which justifies li. and shu is equivalent to Kant 's categorical imperative in its implication. So, Shu is a transcendent moral principle which satisfies with Hall-Ames' condition of transcendence. Tien(天) in Confucianism is a transcendent entity in the sense that it is an ideal entity which makes moral judgment in accordance with such a transcendent moral principle. Therefore, modern Confucians' assertion of 'transcendent but immanent' is persuasive, because early Confucianism believes that sprouts of Tien's moral capacities are immanent in men. Finally, aspects of transcendence and that of immanence all exist in early Confucian moral thinking. Both aspects are in complementary relationship. So, lack of transcendent aspect is not desirable. The combination of both aspects is required for complete moral thinking.

      • KCI등재

        언어 표현 방식에서 본 초월성과 그 내재성의 원리- 플로티노스의 ‘일자’와 수운의 신관을 중심으로

        김영철 동학학회 2013 동학학보 Vol.0 No.27

        This paper discusses transcendence and immanence in Metaphysics of Plotinos. And thought of Plotinos appears from God of Donghak, specially Suun's God immanent transcendence characteristics are similar to the discussion. The One of Plotinos as the cause of all things has transcendence. And the generation process participates in all of the thing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and it has the fact in the immanence that is properties that are inherent in all things. Thought of Donghak of God is the same concept as the 'the One' Plotinos's. He creates the universe including human beings and is being living in the universe including humans. That is inherent in being. So to speak, God of Donghak admits the transcendent God. At the same time He recognizes the immanent God. Transcendent God created the universe, and has inherent in all things and in humanat the same time. God of Donghak is transcendental existence to create the universen on the one hand and is the inherent existence on the other hand. 이 논문은 플로티노스의 형이상학에서 나타나는 초월성과 내재성의 조화, 즉초월적 내재론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그리고 플로티노스의 사상이 동학의 신관, 특히 수운의 신관에서 나타나는 내재적 초월적 특성과 유사한가에 대하여 논의한다. 이 연구에서는 플로티노스의 일자 개념이 만물의 원인으로서, 즉 만물에 앞서 있다는 점에서 초월성을 지니지만, 만물의 생성 과정 처음부터 끝까지 머물면서 참여한다는 점에서 볼 때 만물에 내재하는 속성, 내재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밝힌다. 동학사상에서의 천주 개념도 플로티노스의 ‘일자’ 개념과 마찬가지로 인간을 포함한 우주 만물을 생성하며 동시에 인간을 포함한 우주 만물 안에서 살고 있는 존재, 즉 내재하고 있는 존재로 이해될 수 있음을 논의한다. 말하자면 동학의 신관은초월적 신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내재적 신을 인정한다. 초월적 신은 인간을 비롯한 우주만물을 창조하고 그 개벽을 위해 간섭하고 이끌며, 동시에 인간과 만물 안에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동학의 신(神)으로서의 천주는 한편으로는 우주만물을 생성하는 초월적 존재로, 다른 한편으로는 우주 만물에 내재된 존재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내재로의 초월: 하이데거와 훗설의 철학적 관계에 대한 메를르-퐁티의 이해와 그 의의 및 한계에 관한 소고

        한상연 한국하이데거학회 2007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16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that from beginning to end of his philosophical career, the transcendence of Being in immanence is the most essential concept in Heidegger’s fundamental ontology. If this is indeed the case, Merleau-Ponty’s viewpoint about the philosophical relationship between Heidegger and Husserl that was clearly outlined in the general introduction of his magnum opus Phenomenology of Perception should be revised. According to Merleau-Ponty’s understanding, the essential concepts of Heidegger’s fundamental ontology are mostly derived from the basic ideas of Husserl’s phenomenology. But insofar as Husserl himself never agrees with Heidegger on the meaning of transcendence of Being, the identification of Heidegger’s ontology with Husserl’s phenomenology seems to be a misunderstanding, which was maintained by Merleau-Ponty and many other phenomenologists. 이 글의 목적은 ‘내재로의 초월’이 하이데거 사유의 전 여정에 걸쳐 가장 중요한 기초존재론적 개념으로 기능했다는 사실을 밝히는 것에 있다. 만약 그렇다면 하이데거와 훗설의 철학적 관계에 대한 메를로-퐁티의-그의 대작 지각 현상학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낸-관점은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메를로-퐁티가 이해하는 바에 따르면 하이데거 기초존재론의 핵심적 개념들은 훗설 현상학의 기본적 발상들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그러나 초월이 지니는 존재론적 의미에 대해 훗설 자신이 단 한 번도 하이데거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고려해보면 하이데거의 존재론과 훗설의 현상학을 동일시하는-메를로-퐁티와 그를 따르는 다른 많은 현상학자들의-견해는 잘못된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Qu’en est-il de l’immanence dans la réflexion linguistique et sémiologique de Saussure?

        Michel Arrive 고려대학교 응용문화연구소 2014 에피스테메 Vol.0 No.11

        Le langage relève de l’immanence ou de la transcendance. Il faudrait alors interroger les philosophes. Les prises en compte centrale de Spinoza, dans tout discours sur le langage et les langues, des données relatives au sujet parlant et au changement sont, d’emblée, des indices non trompeurs d’une conception non immanentiste. Après la visée vient l’examen des méthodes à mettre en oeuvre pour aboutir à la théorie immanente du langage. Le «point de vue» (synspunkt) immanentiste consiste à procéder à l’élimination de toute «réalité extralinguistique». S’ensuit l’exclusion des deux «réalités» généralement prises en compte par les approches «transcendantes». Hjelmslev ne dénie pas les modifications que l’histoire apporte inévitablement à toute langue. Cependant son attitude à l’égard duchangement linguistique présente une spécificité, signalée par un phénomène révélateur : il ne reprend pas la dichotomie saussurienne de la synchronie et de la diachronie. Spinoza, parmi beaucoup d’autres, mais sous une forme particulièrement accusée, donne l’exemple d’une réflexion sur le langage aussi éloignée que possible de tout point de vue immanentiste. C’est l’inverse pour Hjelmslev : il est sans doute impossible de mettre en place une conception du langage plus immanentiste. Par rapport à ces deux conceptions opposées, la position de Saussure va pouvoir être appréciée à sa juste mesure. Finalement, il y a de la permanence dans la langue. La langue est en son essence permanente. Language falls within immanence or transcendence. It should then prompt philosophers. Considering approaches to the immanent theory of language, the "point of view" is immanent to dispose of any "extra-linguistic reality," following the exclusion of the two "realities"generally taken into account by the "transcendent" approaches. Among many others, Spinoza, in a particularly marked form, gives the example of a reflection on language as far as possible from any immanent perspective. The reverse is true for Hjelmslev: it is probably impossible to implement a more immanent-design language. Compared to these two opposing views, the position of Saussure will be appreciated at its true value. Finally, there is the permanence in the language: language in its permanent essence.

      • KCI등재

        이상과 김춘수, 내재와 초월: 키르케고르의 신학적 관점으로

        오주리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23 문학과종교 Vol.28 No.3

        이 논문은 김춘수가 이상에 대한 비평에서 ‘이상은 왜 키르케고르의 길을 가지 않았는가?’를 물은 데 착안하여, 시인으로서의 존재론적 지향점이 김춘수는 초월성을 향해 갔으며, 이상은 내재성을 향해 갔다는 전제 아래에 논증되었다. 초월성을 지향한다는 것은 차안으로부터 피안의 신, 존재, 진리, 선을 추구한다는 것이며, 내재성을 지향하는 것은 자연으로부터 유래한 인간의 본성과 생명력을 신뢰하며 자기의식의 체험을 긍정하는 것이다. 김춘수는 초월성의 관점을 키르케고르의 신학에서 취한 바, 이 논문 또한 그의 사상을 원용하여 논증해 나아갔다. 이상 문학의 절망, 불안, 권태 등은 키르케고르의 1단계 심미적 실존에 머문다. 이상은 키르케고르적인 신학적 세계관과 아가페적 사랑을 추구하지는 않았지만, 천재로서 절망과 불안을 감내하며 내면의 자유를 추구하여 예술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는 데 기여하였다. 결론적으로, 키르케고르의 신학적 길을 간 것은 오히려 릴케의 영향을 받은 김춘수였다. 한국현대시사에서 모더니즘의 두 거장 이상과 김춘수는 ‘내재성’의 사상과 ‘초월성’ 사상의 두 축을 담지하여 한국의 정신사를 풍요롭게 하였다. Abstract: Motivated by Chun-Su Kim’s criticisms of Sang Lee’s literature, this thesis argues that Kim adopted an ontological orientation towards transcendence, while Lee leaned towards immanence. Striving for transcendence involves the pursuit of God, existence, truth, and goodness beyond, whereas striving for immanence entails drawing vitality from nature, placing trust in human nature, and affirming the experience of self-consciousness. Kim derived his concept of transcendence from Kierkegaard’s theology. Although Lee did not explicitly follow Kierkegaardian theology, his genius enabled him to confront despair and anxiety, ultimately leading to inner freedom. This endeavor contributed to the foundation of a new realm of art. In conclusion, it was Kim who was influenced by Rilke, a follower of Kierkegaard’s theology. Both Lee and Kim enriched Korea’s spiritual history by embodying the two axes of immanence and transcendence.

      • KCI등재

        스피노자 「윤리학」에서의 신의 개념: 메타프락시스적 관점

        이은경 한국도덕교육학회 2022 道德敎育硏究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God in Spinoza’s Ethics from the viewpoint of metapraxis, and to show its implication on human life. The concept of God in Spinoza’s Ethics is closely related to human perfection, and can be only understood in relation to it. Given Spinoza claims that God is the immanent but not transitive cause of all things(1p18), he can be clearly appeared to be to one side between the two opposite poles, ie immanence and transcendence. But from the viewpoint of metapraxis it should be said that his immanence will ultimately request transcendence which it tries to overcome at first. Spinoza suggests third alternative to immanence and transcendence, ie circularity. In that viewpoint, it will be proved that the fallacy the two concepts of God only lies in leading to misdescribing human life and giving a mispresciption to what to be an ideal human and how to achieve to that. 본 논문의 목적은 스피노자 윤리학에서의 ‘신’의 개념을 메타프락시스적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그것이 우리의 삶에 주는 시사를 살펴보는 데 있다. 스피노자의 신에 관한 논의는 인간의 완성이라는 윤리학적 실천문제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으며, 그것과의 관련에 의해서만 그 의미가 올바로 밝혀질 수 있다. 서양의 철학사에서 신은 초월과 내재, 즉 ‘자연 없는 신’―초자연적 인격신―과 ‘자연으로 환원된 신’―유명론적 자연신―이라는 두 가지 대립적인 구도 하에서 파악되어온 경향이 있다. 스피노자는 그 중에서 ‘신은 만물의 초월적 원인이 아니라 내재적 원인이다’(1p18)라고 말함으로써 초월과 내재의 대립에서 내재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는 인상을 준다. 그러나 스피노자 윤리학을 메타프락시스적 관점에서 고찰할 때 ‘내재성’의 개념은 처음에 그것이 극복하고자 한 초월성을 배제하기는커녕 오히려 요청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스피노자 윤리학에 의하면, 위의 두 관점이 가진 오류는 단지 신에 관한 논증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그것이 인간의 삶에 관한 잘못된 설명을 할 뿐만 아니라 그것으로부터 필연적으로 따라 나오는 결과로서 인간이 추구해야 할 이상과 그것에 이르는 방법에 관하여 그릇된 처방을 내어놓는다는 것, 오직 거기에 있다는 것이 밝혀질 것이다.

      • KCI등재

        교과내용학 : 조선의 인성교육 범례 연구

        김용환 ( Yong Hwa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5 윤리교육연구 Vol.0 No.37

        인성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인격 형성’을 위하는 수양을 ‘공부(工夫)’라고 한다. 인성교육은 범례에 합당한 처방을 요구하고 그에 상응하는 실천과제를 의무화하는 교육이다. 올해부터 인성교육을 의무로 규정한 세계 최초의 ‘인성교육진흥법’을 실시한다. 인성교육은 성품을 궁극적 실재와 연동시켜 어떤 시각으로 접근하느냐에 따라 그 범례가 달라진다. 먼저 퇴계의 인성교육은 궁극실재를 내재적으로 상정하고 향내(向內) 덕성접근의 ‘내재의 내재’ 범례로서 ‘존심성양(存心性養)’ 처방에 따라 거경궁리(居敬窮理)의 실천과제를 제시한다. 퇴계는 존심양성 처방에 내재의 ‘이(理)’를 실천의 ‘선(善)’에 접목하는 ‘거경궁리(居敬窮理)’ 과제로 탁한 기운(氣運)을 정화시키려고 노력한다. 또한 다산의 인성교육은 궁극실재를 초월적으로 상정하고 향외(向外) 덕행접근의 ‘초월의 초월’ 범례로서 ‘신독사천(愼獨事天)’ 처방으로, 권형행사(權衡行事)를 실천과제로 표방한다. 다산에게 신독은 고요히 자신의 행위를 성찰하고 양심을 작동시키고자 ‘상제 섬김’의 사천(事天)을 요체로 한다. 천명지성을 수용하는 권형(權衡)과 선택적 결단을 실천하는 행사(行事) 중시의 인성교육이다. 그리고 수운의 인성교육은 궁극실재를 초월적으로 상정하지만 향내(向內) 덕성접근의 ‘초월의 내재’ 범례로서 ‘수심정기(守心正氣)’ 처방을 마련하고, 영부주문(靈符呪文)의 실천과제를 제시한다. 초월의 한울님을 심령 내재의 지기(至氣)로 체험하기 위한 ‘수심정기(守心正氣)’ 처방이 이루어져 심령기운을 수양한다. 이 처방은 ‘인의예지’의 내재 단서(端緖)로서, ‘화순(和順)’으로 한울님을 모시는 초월방편을 함께 집약한 영부주문(靈符呪文)을 일상의 덕성으로 실천하는 인성교육을 주문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paradigms and tasks in the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Chosen dynasty. we can find three paradigms, such as ‘immanent immanence’ paradigm of Toegye, ‘transcendental transcendence’ paradigm of Dasan and ‘transcendental immanence’ paradigm of Suwun. First, personality education of Toegye(退溪, 1501-1570) focuses on ‘watching on mind and cultivation of nature(存心性養)’ Toegye had tried to combine the centrality of the individual in the inner as ‘li(理)’ with cosmic dwelling principle as ‘heavenly divine command(天命)’ He made practical tasks as ‘dwelling in reverence(居敬)’ free from the mundane desires and ‘continuos pursuit of principle(窮理).’ Second, personality education of Dasan(茶山, 1762-1836) focuses on ‘watching his actions in silence(愼獨)’ and the ‘worship of Heaven(事天)’, paradigm of transcendental transcendence. Dasan suggests the concept of ‘SangJae(上帝)’ as the foundation of human moral autonomy and free will. Dasan’s thought on SangJae does not concur with the Christian concept of God or Confucian God of Early Qin period(先秦). Human moral actions are taken under an ‘autonomic right of choice(權衡).’ Human moral actions are neither innate nor pre-determined, but based on ‘the exercise to practice the decision act(行事).’ He emphasizes ‘the spiritual bright nature(靈明性)’ to be the personality of mind. Third, personality education of Suwun(水雲, 1824-1864) focuses on ‘keeping good mind and having right energy(守心正氣)’ and the paradigm of transcendental immanence. The ‘spiritual amulet and holy mantra(靈符呪文)’ is the tasks of personality education. This practice had resulted in the building of a community to cultivate humanity towards creating a new type of human consciousness and corresponding to new forms of Great Trans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