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 고등학생 인권에 대한 교육주체별 의식 차이 분석

        조금주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6

        This research is aimed to discern between consciousness difference and the experience of students, parents, teachers about human rights and to explore ways to overcome this. After analyzing equal rights, fee rights, connection between protection welfare rights and infringement experience, a difference in consciousness by the educational group of student human rights, there is a striking difference in groups. Meanwhil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s appeared in an occurrence factor and an improvement subject about infringement of student right. In particular, the remarkable difference in groups is appeared in students and teachers, too. After all, this gap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makes an oppositional composition by grasping the problem. That is, teachers thought of student right as an object of regulation, not the right of students. Therefore, to improve student's human rights and to overcome the gap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next subjects have to be preceded. First, the democratic school life rules that teachers and students join together are established and reformed so that reduce the gap of consciousnes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econd, the human rights education of students, their parents, teachers is fortified in order not to be happen in the situation that an infringement upon human rights. Third, the human rights education must be a formal subject at school for human right consciousness. Finally, we must get the utmost out of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the opera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the teacher who is interested in the human rights of students. 이 연구는 중등학생 인권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들의 인권침해 경험 및 인권 의식 차이를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평등권, 자유권, 보호복지권과 관련한 인권 침해 경험, 학생 인권에 대한 교육주체들의 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집단 간 커다란 차이를 나타냈다. 한편 집단 간 차이는 학생 인권 침해 발생 요인 및 개선 과제에 있어서도 드러났다. 특히 집단 간의 두드러진 차이는 학생과 교사에게서 나타났다. 결국 이러한 학생과 교사간 간극은 학생 인권 문제를 놓고, 학생은 당연히 보장되어야 할 권리로, 교사들은 학생들이 누려야할 권리로서가 아니라 규제해야 할 대상으로 파악함으로써, 서로간의 대립 구도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학생과 교사간의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극복하고, 학생 인권을 증진시켜 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들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첫째, 교사와 학생간 인권문제를 둘러싼 마찰을 줄이기 위해,교사와 학생이 함께 참여하는 민주적인 학교생활규칙 제· 개정 절차가 보장되어야 한다.둘째,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사,학생간 인권을 둘러싼 인권 침해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학생, 교사, 학부모에 대한 인권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인권 의식의 강화를 위해 인권교육을 정규 교육과정으로 제도화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만하다. 넷째,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인권교육 실시 시,학생 인권에 관심있는 교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 KCI등재

        인권에 대한 관계적 접근

        이주영 법과사회이론학회 2020 법과 사회 Vol.0 No.65

        The Covid-19 pandemic has revealed the inherent vulnerability of all human beings and the connectedness between people. It has also become clear that the burdens under the crisis are unequally distributed among people and reinforce the existing inequalities. What role can human rights play in addressing the vulnerability of human persons and the critical issues of social inequalities? Conceiving the issue of human rights in times of pandemic and other crisis as the clash between liberty rights on one hand and health and safety-related rights on the other hand forces us to choose one and give up the other between the equally important values, and also fails to capture the gaps in the enjoyment of either liberty rights or health and safety-related rights between people. While this problem presented by the traditional human rights approach seems magnified in times of pandemic, it is fundamentally linked with the limitations inherent to liberal individualism embedded in the traditional human rights thinking. This article alternatively examines a relational approach to human rights. A relational approach to human rights critically acknowledges both unique individuality of and social connectedness between human being. This approach considers that one’s enjoyment of human rights is influenced by social relationships, and the interpretation and practice of human rights also reversely shap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 central question to a relational approach to human rights lies with what relationships can better facilitate the realization of values, such as, human dignity, autonomy, equality, safety, and well-being, embedded in human rights. 코로나19 감염병 사태는 사람들은 모두 취약성을 지니고 있고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시켜 주었다. 위기 상황에서의 피해는 불평등하게 분배되고 기존의 불평등을 강화한다는 점도 확연하게 드러내 주었다. 감염병 사태가 선명하게 보여 주는 인간의 취약성과 사회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인권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가. 개인의 자유와 개인 및 공동체의 안전과 건강을 서로 대립항에 두고 감염병을 비롯한 위기 상황의 인권 문제에 접근하는 것은, 중요성을 갖는 양쪽의 가치 중 하나만 선택하거나 포기할 것을 요구하는 한편, 자유든 안전이든 그 향유에 사람들 사이에 격차가 존재한다는 점을 제대로 포착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는 판데믹 시대에 더 극적으로 나타났지만, 근본적으로는 자유주의적 개인주의를 전제로 하는 권리에 대한 주류적인 시각에 내재되어 있는 한계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대안으로서 인권에 대한 관계적 접근을 고찰한다. 인권에 대한 관계적 접근은, 사람은 고유하게 개별적이면서도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어 있는 사회적 존재이며, 사회적 관계가 사람들의 인권의 향유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을 전제로 한다. 또한 인권을 어떻게 해석하고 실천하느냐에 따라 사람들 사이의 관계도 다르게 구성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인권에 대한 관계적 접근은 권리가 품고 있는 존엄, 자유, 안전, 안녕과 같은 기본적 가치를 관계성 속에서 이해하면서, 어떠한 관계가 그러한 가치들을 온전히 실현할 수 있는지를 인권 해석과 적용에서 중심적인 질문으로 삼는다.

      • KCI등재

        국제법상 제3세대 인권과 국내적 이행

        장복희 헌법재판연구원 2022 헌법재판연구 Vol.9 No.1

        Human rights law is in the development stage, and in this process third-generation human rights are the product of a changing era. Czech lawyer Karel Vasak, with the motto “Freedom, Equality and Fraternity” of the spirit of the French Revolution classified human rights are into three generation human rights : first generation (liberty rights) of ‘freedom’, second generation human rights (equal rights) from the spirit of ‘equality’, and third-generation human rights (collective rights, solidarity rights) stemming from the spirit of ‘fraternity’, and the concept of third-generation human rights is used for the first time by him. Third generation rights are not rooted in human rights ideology, but rather in the experience of colonization. The underlying idea of the rights is solidarity. Human rights were believed to be enjoyed only by individuals, but the third generation human rights is that ‘peoples’ and ‘states’ can also enjoy this right. Third-generation rights are viewed as rights that guarantee and complete the rights of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that have already been recognized by the social community. Third-generation rights consist of : the right to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elf-determination; the right to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and use of the general heritage of mankind; the right to peace; rights of minorities, such as sexual, ethnic, religious, or linguistic rights. Third-generation rights are still in the process of being formed, and the most realistic way is to develop a legal concept that is flexible and expands the concept in the process of local legislation and legal application through state practice. Currently, the world is shifting from a priority of ‘freedom’ to a priority of ‘equality’ within the human rights community, and the priority is shifting markedly to groups rather than individuals. It is confirmed that this change of direction ha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and perfecting basic rights. It began to recognize that a shift in thinking and strategy centered on the right to coexistence from the center of the right to life is the way to guarantee the right to life. 인권법은 발전단계에 있고, 이 과정에서 제3세대 인권은 변화하는 시대의 산물이다. 체코 법률가 Karel Vasak은 프랑스혁명의 정신인 “자유, 평등, 박애”를 모토로 하여, ‘자유’의 정신인 제1세대 인권(자유권), ‘평등’의 정신인 제2세대 인권(평등권), ‘박애’의 정신에서 비롯되는 제3세대 인권(집단권, 연대권)으로 인권을 분류하고 3세대 인권개념을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제3세대 권리는 인권이념에 뿌리를 두기보다는 식민화 경험에서 그 근원을 찾는다. 근거가 되는 사상은 연대이다. 인권은 개인 만이 향유할 수 있다고 보았는데 제3세대 인권은 ‘인민’과 ‘국가’도 이 권리를 향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3세대 권리는 사회공동체에서 이미 인정된 1세대 2세대 권리를 보장하고 완성시키는 권리로 보고 있다. 제3세대 권리는 다음으로 구성된다 :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자결권, 경제적 및 사회적 개발권, 인류의 일반유산개발과 사용에 참여할 권리, 평화권, 깨끗하고 건강한 환경에서 살 권리, 소통과 인도적 지원을 받을 권리, 성별, 종족, 종교적, 언어적 등의 소수자 권리. 제3세대 권리는 아직 형성 과정에 있고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국가관행을 통하여 현지 입법과 법적용 과정에서 개념의 확대와 유연성을 띤 법적 개념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현재 세계는 인권 공동체 내에서 ‘자유’ 우선에서 ‘평등’ 우선으로 바뀌고 있고, 우선순위가 개인보다는 집단으로 현저히 이동하고 있다. 이러한 방향 전환은 기본권을 강화하고 완성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는 결과를 확인하고 있다. 생존권 중심에서 공존권 중심의 사고의 전환과 전략이 생존권을 보장하는 길임을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 KCI등재

        우리 사회의 인권담론과 어린이 인권교육

        하경수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3

        Human rights education for the child is becoming a central concern of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which should be direc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human personality and to the strengthening of respect for human rights, fundamental freedoms and democracy. Its purpose is to educate the citizen on how important human rights are by starting the education at such a young age. It is intended to raise human rights awareness in children and educate them against discriminatory attitudes and behaviors. But korean discourse on human rights focuses, based on the philosophical- historical approach, on transmitting basic knowledge of human rights issues, and the topics about which it is concerned are those including vulnerable people with personal experiences, such as women and minorities. The human rights education directed by these ideas is geared towards recognizing the abuse of human rights but is also committed to preventing these abuses. However, more important matters for individual who is living ‘now’ and ‘here’ are not theories or declarations, stating every human has its own human rights, but affirmation and confirmation that my human rights are guaranteed in the reality. Human rights are not abstract idea securing identity as a human being toward other types of being, but the right that exist in mutual relationship, that is, in interactiv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I’ and ‘You’. Human rights of a child can be realized only when a child is accepted as a human being just like a adult and they are treated as the subject of being, not a object. The first step toward respecting, promoting and defending those rights is to determine what qualifies as human rights and how to implement these ideas and rights into everyday life. And the purpose of educating children about human rights is to ensure that they are enable to achieve common understanding and awareness with a view to strengthening individual commitment to human rights. This is the critical index to direct goals of human rights education ‘of a child’ and ‘for a child’. 어린이 인권교육은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배양하려는 초등 사회과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영역에 속한다. 그것은 인권교육이 민주시민 교육의 기초가 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인권의식은 사회의 민주성을 확립하는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어린이 인권교육은 초등학교 사회교과 6학년 2학기에 편성되어 있다. 어린이 시민교육을 위해 마련된 “우리나라의 민주 정치” 단원에서 주제학습의 하나로 도입된 “인권과 인권보호”에는 인권에서 시작하여 인권보호 활동으로 마무리되는 학습내용이 담겨 있다. 이를 통해 어린이는 인권의 이해와 실천에 필요한 학습활동을 전개하게 된다. 문제는 그것이 어린이의 인권을 위한 교육인가라는 물음에서 나온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의 기본 원리는 어린이가 주어가 되는 인권현실에서 그들이 헤쳐 나가야 하는 구체적인 상황을 학습주제로 설정하는 것이다. 그런데도 우리의 어린이 인권교육은 그들의 권리를 인정하고 보장하는 내용의 학습주제에 선뜻 다가서지 못한다. 그것은 학교교육을 담당하는 어른이 우리 사회의 인권담론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의 인권담론은 주로 보편적 인권에 대한 이론적 접근에서 출발하여 우리의 인권현실에 대한 자책과 반성에 따른 사회 비판의식으로 모아진다. 그러나 인권과 인권교육의 관건은 인권의 이름으로 각 개인에 부여된 권리의 보장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권에서는 다른 사람의 인권에 대한 사회의식보다는 ‘나’의 인권에 대한 개인의식이 앞서야 한다. 나의 인권이 사회현실에서 인정되고 보장된다는 것에 대한 확신과 확인이 있을 때 남의 인권도 똑같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논리가 수용될 수 있는 것이다. 어린이 인권교육도 추상적인 인권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넘어서 나의 인권에 담긴 스토리를 통해 학습자의 공감과 자율을 이끌어내는 방식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그것이 어린이의 인권의식과 실천능력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려면, 타인의 인권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아니라 나의 인권에 대한 인식과 자각을 통해 그들이 스스로 어디에서, 누구에게, 어떤 이유로 No라고 말을 해야 하는가를 깨우쳐 주어야 한다.

      • KCI등재

        Toward Human Rights in the Local Community

        KIM JOONG-SEOP(김중섭)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0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39 No.1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e significance of the implementation of human rights in the local community. Along with the international and national schemes for the collective guarantee of human rights, the local community should be a significant arena for the carrying out of social efforts to protect and promote human rights in practice. For improving the human rights situation at the local level, multiple approaches are suggested: the widespread promotion of a human rights culture in the community, the offering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local schools for children and workplaces for adults, the collective efforts for implementing human rights by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such as agents of the local government and activists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the introduction of local regulations for human rights. These multiple approaches aim to establish a social system for the collective guarantee of human rights at the level of the local community.

      • KCI등재후보

        정신과 의사에게 시행되는 인권교육 이대로 좋은가

        강유리,안준호,주연호,김창윤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6 신경정신의학 Vol.55 No.4

        ObjectivesZZ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annually since Korea enacted human rights legislation in 200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ttitudes of Korean psychiatrists toward human rights education and assess the relevance of the provided education materials. MethodsZZQuestionnaires comprised of 8 items were provided to 274 psychiatrists attending the April 2015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seminar. In addition, 12 cases related to education material developed by the Korean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were examined to determine whether the material’s content was relevant and appropriate for human rights education. ResultsZZData from 267 psychiatrists that answered all requested question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lthough respondents in general accepted the beneficial int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the majority of respondents (71.5%) disagreed with the mandatory 4 h of annual human rights education. Approximately half of respondents (49.4%) believed that frequency of such education should be decreased. A substantial percentage of respondents (38.7%) expressed overall dis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 program, and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55.6%) were skeptical that the current education program could produce a real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human rights. The case reviews highlighted several problems. First, all education materials were heavily weighted toward psychiatric hospitalization legal proceedings rather than human rights. Among the 12 cases examined, four were considered inappropriate for human rights education because they were presented as if human rights abuse was synonymous with violation of a law, even if the law was ambiguous. ConclusionZZThe current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does not meet psychiatrists’ expec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re is a need to reconsider the purpose and means of providing human rights education to psychiatrists.

      • KCI등재

        권리 개념을 중심으로 본 북한의 인권 문제

        추정완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9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2

        북한의 인권 문제에 대한 국내외를 비롯한 국제사회의 우려가 점증하고 있다. 북한의 인권 문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인권을 포괄하고 있는 권리 일반에 대한 이해로부터 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자는 권리일반의 의미와 형성 조건을 간략히 검토한 후 권리문제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권리 주체, 권리 내용, 그리고 권리 보장방법 등으로 정리하였다. 이어서 연구자는 인권의 법적 권리로서의 특성과 도덕적 권리로서의 특성을 구분하여 논의한 후 법적 권리로서 인권의 한계를 언급하여 도덕적 권리로서 인권이 지닌 지향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인권 개념의 종합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최종적으로 북한이 주장하고 있는 우리식 인권관의 특징과 내용을 살펴보고, 북한의 입장이 북한 인권 문제의 비판에 대한 충분한 반론으로 기능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Concerns over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are growing. In order to diagnose and evaluate North Korea's human rights problems, it is necessary to start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rights encompassing human rights. From this point of view, I briefly reviewed the meaning and formation conditions of rights, which is the upper concept of human rights, and then summarized the necessary elements to approve the rights issue by rights holders, rights contents, and rights guarantee methods. Then 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as legal and moral aspects and then emphasized the intention of human rights as a moral right by addressing the limits of human rights as legal rights. Based on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human rights,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the North Korean style human rights asserted by North Korea, and to show that the position of North Korea cannot function as a sufficient reaction against the criticism of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 KCI등재

        기후변화에 대한 인권적 접근

        박병도(Park, Byung-Do) 한국토지공법학회 2013 土地公法硏究 Vol.60 No.-

        기후변화는 인간의 건강에 직ㆍ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기후변화는 직접적으로 인간의 건강에 영향을 미쳐 사망률의 증가, 질병의 유발 등을 가져온다. 기후변화의 직접적인 영향에는 홍수나 열대성 저기압, 태풍, 가뭄 등과 같은 극단적인 기상재해의 증가, 그리고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포자나 곰팡이 등과 같은 오염원 및 알레르기 유발 미소입자를 포함한다. 기후변화의 간접적인 영향으로는 병원 매개체의 범위 및 계절의 확장으로 매개성 감염병의 전염 가능성이 증가한다. 기후변화문제가 인권적 측면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기후변화 관련 법 및 정책의 초점을 인권 보다는 환경적 측면을 중심으로 경제적ㆍ통상적 측면에 두고 있었다. 다시 말해서 지금까지의 기후변화법체계에서는 환경적 및 경제적 고려를 중심에 둔 반면에 인권적 측면을 거의 고려하지 않았다. 실제로 그 동안 기후변화이슈는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의 배출을 감소하여 기상이변, 해수면상승, 사막화 등 지구온난화의 피해와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중심으로 과학기술, 환경 또는 경제정책의 맥락에서 주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 기후변화는 단순히 환경문제 차원을 넘어서서 인권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하여 환경권, 건강권, 생존권 등의 침해가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기후변화문제를 인권맥락에서 다루는 움직임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대표적으로 유엔인권기구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변화는 불가피하게 지구상의 모든 인간에게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인권의 향유에도 영향을 미치고 행복추구도 손상시키거나 물거품이 되게 할 수 있다. 오늘날 인권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은 분명히 주요한 관심사이고 기후변화 정책에 대한 인권의 규범적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후변화 논쟁에 있어서 인권이 기여하는 바는 무엇인가? 또한 이러한 논의에서 우리는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는가?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논의의 기초가 되고 있는 시각, 즉 기후변화를 인권적 시각에서 접근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기본적 인권 중에서 기후변화로 인해 가장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는 건강권을 중심으로 국제인권법상의 건강권의 내용과 법적 성질, 기후변화와 인권 사이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분석할 것이다. 그리하여 기후변화 국면에서 인권, 특히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Climate change is likely to impact human health directly and indirectly. The direct health impacts include those due to changes in exposure to thermal extreme, both hot and cold, increases in extreme weather events, such as floods, cyclones, storms, droughts and increased production of certain air pollutants and aeroallergens, such as spores and moulds which result in severe health repercussions. Climate change represents an extremely grave risk to the health of individuals, communities and populations, especially those living in poverty in developing countries. Climate change poses risks to established human rights and the social processes that make people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often entail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Given the massive public health challenges posed by climate change, especially in the developing worl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global partnership aimed at establishing an effective, integrated environmental regime capable of ensuring healthy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all. Given the broad-based nature of climate change, the focus of law and policy has never been exclusively environmental. Economic and trade issues have played a key role from the out set. While environmental and economic considerations have been central to the climate changed legal regime, the same cannot be said for its human rights aspects. The largest gains in reducing vulnerability may come from eliminating the most severe human rights violations through strengthening and developing the application and enforcement of human rights law. Avoiding human rights violations arising from climate change demands a renewed commitment to human rights to reduce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Crucially, states have an obligation, arising from right to health, to take reasonable steps to slow down and reverse climate change. In this article, I briefly examine the content of the right to health, explore the linkages between climate change and human rights, especially right to health, and outline the right-to-health analytical framework.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and legal nature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on the right to health, climate change and human rights, and of fundamental human rights, being the most negatively affected as a result of climate change in the center of the right to health will also be analyzed. Thus, aspects of climate change, human rights, in particular, I wish to present a plan for to ensure the right to health.

      • KCI등재후보

        비제도권 인권교육 현황분석을 통한 학교인권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조태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0 사회과교육연구 Vol.17 No.3

        The necess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is increasingly stressed along with recent social phenomena. So far, a lot of studies have been implemented on this issue, and human rights education must be provided as part of institutional school education to stay abreast with the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human rights education in a bi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Four noninstitutional human rights-related organizations were selected in this study to serve the purpose from among lots of related institutions: SARANBANG Group for Human Rights, Dasan Human Rights Center and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The selected institutions respectively represented national agencies, nongovernment group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goals and ideology of each group were discussed, and literature review was done to compare their human rights education, objectives of that education and relevant activities by utilizing their websites and data published by them and by having an interview with people in charg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ome limits to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due to a lack of national guidelines about the directions of that, social perception of looking at the issue just from an ideological perspective, physical school environments, and awareness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And there were favorable prospects for this issue as well, which are expected to lead to the realization of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For instance,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the way teachers and students look at the issue, and that education could be offered in social studies class. Besides, human rights-friendly school setting will possibly be created.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state of noninstitutional human rights education provided by human rights groups to discuss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though it produced little immediate visible results. Lots of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 the future into this issue to determine how to actualize human rights education as part of institutional school education. 인권교육은 최근의 사회상과 맞물려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인권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당연히 귀결되어져야 할 것이 바로 ‘학교인권교육의 도입’이다. 본 연구는 비제도권 인권교육의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학교인권교육 도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와 더불어 학교인권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여 그 방향성 정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한 비제도권 인권관련단체는 인권운동사랑방, 다산인권센터, 국제사면위원회,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4곳이다. 먼저 각 단체들이 추구하는 인권교육의 개념, 목표 및 이념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단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인권교육의 세부목표, 인권교육 관련 활동내용, 인권교육의 내용 구성 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홈페이지 및 발간자료 등을 통한 문헌연구와 더불어 인권교육 담당자와의 면담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교인권교육의 한계 요인으로 국가 수준의 인권교육의 방향 정립이 없다는 점, 인권교육은 이념적 접근이라는 사회적 인식, 학교의 비민주적인 환경 요인, 학교의 교사 및 관리자의 인식문제를 들 수 있다. 그리고 학교인권교육이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 요인으로는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의식 변화, 사회과 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인권교육의 가능성, 인권친화적인 학교환경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비제도권 인권단체의 인권교육 현황분석을 통하여 추상적이나마 학교인권교육 도입에 있어서의 체계적인 방향정립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차후, 구체적인 학교인권교육의 도입방안, 목표, 교육내용, 교육과정 수립 등에 대한 연구와 시도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

        Transformations and Challenges: A PRC Perspective on Human Rights and Koreans’ Human Rights in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박선영 한국중국학회 2009 國際中國學硏究 Vol.0 No.12

        This paper examines human rights as a theory that PRC claims to support and addresses how the PRC (People’s Republic of China) applies the theory to ethnic minority groups in reality. First, analyze what the PRC perspective on human rights is in theoretical terms and how the PRC defines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minority ethnic populations. Second, examine how the PRC applies the theory to the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YKAP). Although there are many ethnic groups living in the YKAP, this paper focuses on the human rights issues of Yanbian Koreans and North Korean refugees in that region. This paper will present a case that reviews the reality of the protection of minority ethnic groups’ human rights that the PRC stresses. I will also review the issue of ethnic self‐government that institutionally guarantees the human rights of minority ethnicities. By pointing out the issue of Koreans living in the YKAP (Yanbian Koreans and North Korean refugees) who are in socially and politically poor surroundings, I will describe myths and realities of the PRC perspective on human rights. The autonomous prefecture of an ethnic region sets up an agency for autonomy and allows each ethnic group in the respective region to supervise internal affairs of the region. Thus, in PRC, there are 159 ethnic autonomous areas that consist of 5 self‐governing regions, 30 autonomous prefectures, and 124 autonomous counties. In reality, however, the population of Koreans in the YKAP, for example, has decreased remarkably due to the artificial administrative modification and accelerating segregation against Yanbian Koreans. Moreover, ethnic autonomy policies and systems that should protect the rights of minor ethnicities socially and systematically have faded because of the reduced number of officials from the Korean group. The North Korean refugees are in the dead zone of human rights within the YKAP. Economically poor escapees must endure miserable livings in the northeast region of the PRC, and their survival, which was their main motivation for escape, is threatened once more. Men and women have to endure extremely low wages, labor exploitation, and unjust treatment. Women are especially under a condition of sexual exploitation and sex slave‐like treatment, and even under the threat of human trafficking. The PRC’s perspective and practices of human rights face challenges and need transformations. The PRC perspective on human rights is not confined only to human rights for Chinese but also includes human rights for ethnic minority groups in the PRC, including Yanbian Koreans and North Korean refuge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