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성인의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의 관계에서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곽인희(Inhee Kwak),조용주(Yongjoo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초기 성인을 대상으로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의 구조적인 관계를 탐색하고 각 변인들이 어떤 경로를 거쳐 건강한 자기애를 형성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의 19세 이상 39세 이하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533명(남 233명, 여 3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추정하기 위해 SPSS 25와 MPLUS 8.6(Muthén & Muthén, 1998-2014)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대상경험, 건강한 자기애, 공감지각, 자기위로능력 변인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셋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의 단일매개효과는 없었으나 자기대상경험이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을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여 건강한 자기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Kohut의 자기심리학 관점에서 볼 때,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 및 자기위로능력이 과정 변인으로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건강한 자기애를 형성하기 위해 교육현장, 직장, 상담 등 다양한 장면에서 자기 및 자기대상에게 개입해야 할 방향과 교육자료 및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adults’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that was explored, and which paths each variable formed healthy narcissism through. Method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aged 19 to 39 across the country, and data of a total from 533 people (233 men and 300 women)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 and MPLUS 8.6 (Muthén & Mutén, 1998-2014)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empathy, healthy narcissism,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were all significant.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 narcissism. Fourth, the single mediation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was found insignificant, however,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self-object experience through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on healthy narcissism was significant. Conclusions Based on Kohut’s self psycholog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play the role of procedural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erefore, in order to form healthy narcissism, the direction to intervene in various scenes such as education site, workplace, and counseling, and the need to provide educational materials and programs were confirmed.

      • KCI등재

        영성과 정신 장애의 관계에서 자기애의 조절효과

        박성현,박수지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3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narciss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mental disorders. In the development perspective, the moderating effect of defensive narcissism was verifi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effect would vary depending on the age(under 40's and over 40's). The total of 671 participants, including the general public,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volunteered for the research, whose age ranging from 20s to 60s and who live both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in the province. Sub-factors(Transcendence, Connectivity) of Integral Spirituality Scale(ISS) was used to measure spirituality, the Korean General Health Questionnaire(KGQ) was used for mental disorders. Korean Inventory of self Psychology(KISP) was used for narcissism. The results turn out that, first of all, spirituality and mental disorders show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the level of healthy narcissism. For people at the high levels of healthy narcissism, high spirituality is associated with the lower degree of mental disorder. On the other hand, for people at the low levels of healthy narcissism, high spirituality was associated with higher degree of mental disorder. The same results were turned out for the entire age, for less than 40 and over 40. Thus, healthy narcissism has been found to moderate the influence of the spirituality upon mental disorders. Secondly, moderating effect of defensive narcissism in relation to spirituality and mental disorders show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the their age. In the more than 40 years specimen, for the people at the high levels of defensive narcissism, high spirituality was associated with higher degree of mental disorder and for the people at the low levels of defensive narcissism, high spirituality was associated with lower degree of mental disorder. On the other hand, in less than 40 years old specimen, moderating effect of defensive narcissism i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irituality can not be simply said to have a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the mental health. What suggestions for the important role in the influence of the spirituality for mental health is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personality as the center of personal experience and of independency in accepting spirituality. 본 연구는 영성과 정신장애의 관계에서 자기애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발달적 관점에서 방어적 자기애의 조절효과가 연령에 따라(40대 미만과 40대 이상) 다를 것이라는 가설 하에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 및 지방에 거주하는 20대~60대 이상의 일반인 및 대학생, 대학원생 등 총 671명이었다. 영성을 측정하기위해 통합적 영성 척도(Integral Spirituality Scale: ISS)의 하위요인(초월성, 연결성)을 사용하였고, 정신장애 측정 도구로는 한국판 일반정신건강척도(the Korean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KGQ)를 사용하였다. 자기애의 측정 도구는 한국판 자기애 측정도구(Korean Inventory of Self Psychology: KISP)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성과 정신장애는 건강한 자기애의 수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건강한 자기애의 수준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 높은 영성은 낮은 정신장애와 관련되었다. 반면 건강한 자기애의 수준이 낮은 경우, 높은 영성은 높은 정신장애와 관련되었다. 이는 연령 전체와 40대 미만, 40대 이상에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건강한 자기애가 영성이 정신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영성과 정신장애의 관계에서 방어적 자기애의 조절효과는 연령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40대 이상 표본에서 방어적 자기애의 수준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 높은 영성은 높은 정신장애와 관련되었고, 방어적 자기애의 수준이 낮은 경우 높은 영성은 낮은 정신장애와 관련되었다. 그러나 40대 미만 표본의 경우 방어적 자기애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영성이 단순히 정신건강에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기여를 한다고 말할 수 없으며, 이를 받아들이는 개인경험과 주도성의 중심으로서 성격의 특정한 구조가 영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대상경험과 자기애 간의 관계

        최서현(Seohyun Choi),최수미(Sumi Choi)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2

        자기애가 개인의 병리적인 특성으로 보고되었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 자기애 연구들은 자기애가 개인의 성격적인 특성이며 자기애 안의 적응적인 면과 부적응적인 면이 공존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심리학에서 설명하고 있는 자기애 형성에 중요한 자기대상경험이 공감지각과 수치심을 매개로 하여 어떻게 적응적인 건강한 자기애 혹은 부적응적인 방어적 자기애가 나타나는지의 과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경상지역의 565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18.0과 AMOS 20.0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간의 관계는 공감지각이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학생의 건강한 자기애를 위해서는 자기 존재를 인식하는데 중요한 자기대상의 존재와 공감적인 환경 그리고 스스로 그 환경을 지지적으로 지각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대상경험과 방어적 자기애 간의 관계는 수치심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족한 자기대상경험은 수치심이 내면화됨으로써 자신의 존재 자체에 대한 부적절감이 결국 대학생의 부적응적인 방어적 자기애를 형성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perception and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object experience and narcissism(healthy narcissism and defensive narcissism) based on Kohut’s self psychology. The total of 565 university students was included for the data analysis, and the data were composed of 226 of male and 339 of female. For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employed and all analyses were completed by using SPSS 18.0 and AMOS 20.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was analyzed. As a result, effect of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was partially mediated by empathy percep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defensive narcissism was analyzed. As a result, effect of selfobject experience and defensive narcissism was perfectly mediated by shame. These results showed that university students basically need to have selfobject experiences much for narcissism. Furthermore it shows empathy perception is an important construct for the healthy narcissism and shame is much for the defensive narcissism. Based on that, implication and potential for follow-up study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이야기치료를 통한 이야기 정체성 형성과 건강한 자기애 발달

        최종일,최종일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1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hose who have distorted self-identity to get healed by virtue of the narrative therapy and to experience the development of desirable narcissism. To this end, the researcher had a theoretical review of self-identity and narcissism. And then, based on the narrative therapy cases in which the researcher was directly involved, participants’ distorted self-identity disclosed by case and alternative self-identity stories found in the process of study have been categorized by theme. Participants for the case study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eriod of nearly 1 year and 6 months from January, 2016 to July, 2017. Of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30s to 50s who visited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 located in Paju-si, 3 adult men and 3 adult wome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Case selection, according to the center’s regulations, was made among cases that were continued up to 10th session at a minimum and 15th session at a maximum. This study, furthermore, as the narrative therapy was introduced, was committed to analysis and review of studies on the healing process of participants who had failed to form self-identity in a desirable manner during adolescence and had experienced the arrested development of narcissism. To sum up, this study aimed to create various opportunities for some adults who visited the counseling center, despite their experiences of distorted self-identity and arrested development of narcissism, to be able to achieve the formation of their narrative identity, as well as the redevelopment of healthy narcissism, by virtue of discovering diverse resources, resilience, and basic capabilities in them. 본 연구의 목적은 왜곡된 정체성을 지닌 이들이 이야기치료로 치유되고 건강한 자기애의 발달을 경험하도록 돕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정체성과 자기애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자가 직접 개입한 이야기치료 사례를 통하여 사례별로 드러난 참여자의 왜곡된 정체성과 연구 과정에서 드러난 대안적 정체성 이야기들을 주제별로 범주화하였다. 사례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참여자들을 선정하였다. 연구 시기는 2016년 1월부터 2017년 7월까지 약 1년 6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참여자들은 파주시 소재의 심리센터를 내원한 30∼50대 성인 남녀로 성인 남자 3명, 성인 여자 3명이었다. 사례선정은 센터의 규정에 따라 최소 10회기에서 최대 15회기까지 진행한 사례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아정체성 형성에 어려움을 겪기 시작하면서 자기애 발달이 함께 정지된 참여자들이 이야기치료 개입을 통해 치유되어가는 과정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센터를 내원한 성인들이 경험한 왜곡된 정체성과 자기애 발달이 정지되었음에도 자신들이 소유한 다양한 자원과 탄력성 및 기본 자질들을 발견함으로써 자신의 이야기 정체성 형성과 건강한 자기애를 재발달 시킬 수 있는 다양한 계기를 만들고자 하였다.

      • KCI등재

        이야기치료를 통한 이야기 정체성 형성과 건강한 자기애 발달

        최종일(Choi, Jong Il)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1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왜곡된 정체성을 지닌 이들이 이야기치료로 치유되고 건강한 자기애의 발달을 경험하도록 돕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정체성과 자기애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자가 직접 개입한 이야기치료 사례를 통하여 사례별로 드러난 참여자의 왜곡된 정체성과 연구 과정에서 드러난 대안적 정체성 이야기들을 주제별로 범주화하였다. 사례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참여자들을 선정하였다. 연구 시기는 2016년 1월부터 2017년 7월까지 약 1년 6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참여자들은 파주시 소재의 심리센터를 내원한 30∼50대 성인 남녀로 성인 남자 3명, 성인 여자 3명이었다. 사례선정은 센터의 규정에 따라 최소 10회기에서 최대 15회기까지 진행한 사례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아정체성 형성에 어려움을 겪기 시작하면서 자기애 발달이 함께 정지된 참여자들이 이야기치료 개입을 통해 치유되어가는 과정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센터를 내원한 성인들이 경험한 왜곡된 정체성과 자기애 발달이 정지되었음에도 자신들이 소유한 다양한 자원과 탄력성 및 기본 자질들을 발견함으로써 자신의 이야기 정체성 형성과 건강한 자기애를 재발달 시킬 수 있는 다양한 계기를 만들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hose who have distorted self-identity to get healed by virtue of the narrative therapy and to experience the development of desirable narcissism. To this end, the researcher had a theoretical review of self-identity and narcissism. And then, based on the narrative therapy cases in which the researcher was directly involved, participants’ distorted self-identity disclosed by case and alternative self-identity stories found in the process of study have been categorized by theme. Participants for the case study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eriod of nearly 1 year and 6 months from January, 2016 to July, 2017. Of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30s to 50s who visited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 located in Paju-si, 3 adult men and 3 adult wome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Case selection, according to the center’s regulations, was made among cases that were continued up to 10th session at a minimum and 15th session at a maximum. This study, furthermore, as the narrative therapy was introduced, was committed to analysis and review of studies on the healing process of participants who had failed to form self-identity in a desirable manner during adolescence and had experienced the arrested development of narcissism. To sum up, this study aimed to create various opportunities for some adults who visited the counseling center, despite their experiences of distorted self-identity and arrested development of narcissism, to be able to achieve the formation of their narrative identity, as well as the redevelopment of healthy narcissism, by virtue of discovering diverse resources, resilience, and basic capabilities in them.

      • KCI등재

        외상후스트레스 증상 경험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건강한 자기애의 순차적 매개효과

        박민아,이동귀 한국재활심리학회 2019 재활심리연구 Vol.26 No.3

        This study examined the sequential medit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healthy narciss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Participants included 185 adults who met study criteria for having had a traumatic experience.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administered, with offline data collected in Seoul and the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Hayes’ PROCESS Macro (2013) for SPSS (Model 6)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indicated that: (a) the mediation effect of healthy narcissism in the link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b) the sequential medita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healthy narcissism linke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c) for healthy narcissism, the full mediation effect was significant. This study extends the posttraumatic growth literature related to the self-other relationship by considering narcissism in addition to the ro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presented.

      • KCI등재

        상담자의 자기애적 특성이 상담과정에 미치는 영향: 역전이 관리와 역전이 행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강소영,한미선,황숙양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4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unselor's narcissism on counseling sessions in relation to countertransference. Counselors (N=120) completed the ISP, Inventory of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and Countertransference Factors Inventory.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ounselor's healthy narcissism was positively related with self integration and the ability to manage anxiety as sub-factors of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ies and was negatively related with disinterest/ expulsion of countertransference behaviors. Second, the counselor's defensive narcissism was negatively related with self integration and the ability to manage anxiety as sub-factors of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nd was positively related with disinterest/expulsion, control/admonition of countertransference behavior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상담자의 자기애적 특성과 역전이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상담자의 자기애적 특성이 상담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자 120명을 대상으로 자기애 성격검사, 역전이 관리능력 질문지, 역전이 행동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상담자의 건강한 자기애 측면은 역전이 관리능력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자기통합과 불안관리와 의미 있는 상관을 나타냈다. 역전이 행동과의 관계에서는 무관심/배척 요인과 의미 있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상담자의 방어적 자기애 측면은 역전이 관리능력 중 자기통합과 불안관리 요인과 의미 있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역전이 행동과의 관계에서는 무관심/배척, 통제/훈계 요인과 의미 있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는 상담자의 자기애적 특성과 역전이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상담자의 자기애적 특성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실제 상담 과정에서 어떤 양상으로 드러나는지 경험적 연구를 통해 확인해 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자기애 측정도구(KISP) 구조모형 검증: Heinz Kohut의 자기심리학적 접근

        윤정혜 한국상담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1 No.1

        본 연구는 자기심리학적 접근의 자기애 측정도구 한국어판(Korean Inventory of Self Psychology, 이하 KISP)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위한 구조모형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ISP(1989)는 Slyter가 Kohut의 자기애 이중 축 이론에 근거하여 개발한 자기애 측정도구이다. 예비조사에서는 번역과 역번역을 하고 내용타당도를 확인한 후, 예비조사(n=891)와 본 조사(n=604)에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여 4개 요인-HGS, DGS, HIPI, DIPI-이 확인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 4개의 경쟁 모형들을 제시하고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중에서 모형3에 해당하는 4요인의 3차원 위계모형이 이를 가장 적합하게 설명해 주는 측정모형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Slyter(1989)의 연구를 더욱 확증해 주었다. KISP의 요인구조는 자기애의 하위차원으로 과대자기 축과 이상화된 부모원상 축이 있으며 과대자기 축의 하위차원으로 건강한 측면과 방어적 측면이 있고 이상화된 부모원상 축의 하위차원으로 건강한 측면과 방어적 측면이 있다는 내용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KISP가 상담과 임상에서 시사하는 바와 연구의 제한점, 추후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iability and structural model of a Korean version of the Inventory of Self Psychology(KISP). Two samples of university undergraduates and graduates(n=891, n=604))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n=891)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n=604), 61 items were selected. Four factors were identified:, the healthy grandiose self(HGS), the defensive grandiose self(DGS), the healthy idealized parent imago(HIPI), and the defensive idealized parent imago(DIPI). Thus, after the structral model was examined, KISP was identified as a four factor, three dimensional hierarchical model. This study supported and added to Slyter(1989).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범대학 학생들의 자기애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김복미,이종연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사범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애 수준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자기애의 각 요인이 어느 정도 대학생활 적응을 설명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청 소재지에 소재한 2개의 대학에 재학 중인 사범대학 학생 93명(국립 65명, 사립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사범대학 학생들의 자기애 수준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한 자기애가 높고 방어적 자기애가 낮은 수준인 건강 집단이 건강한 자기애와 방어적 자기애가 모두 높은 수준인 혼재 집단, 건강한 자기애와 방어적 자기애가 모두 낮은 수준인 비자기 집단, 건강한 자기애가 낮고 방어적 자기애가 높은 수준인 방어 집단보다 대학생활 적응을 유의미한 수준(F=22.72, p=.000)에서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애의 여러 차원의 특성들 중 건강한 과대자기 영역(34%)이 사범대학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방어적 이상화된 부모원상, 건강한 이상화된 부모원상 영역이 대학생활 적응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바울, 루터, 웨슬리 생애의 다중사례 연구를 통한 외상과 심리영성발달 관계 탐구

        문은영,가요한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2 No.2

        This study is an exploration on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rauma and experiencing much deeper growth and psychospiritual development for the Korean church and Christians in the midst of COVID-19 pandemic.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used major resources on the life, major events, and growing environments of three historical figures, Apostle Paul, Martin Luther, and John Wesley, and employed the research method of multiple case studies. In addition, it draws Heinz Kohut’s self psychology and various psychological studies on trauma in order to underst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those three figures. Through this research, we found out common experiences of three figures: 1) authoritative parenting experience, 2) ideal, aspiration, and self-reflection ability, 3) resilience, 4) seeking spirituality and altruism, and 5) integrative psychospiritual development.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parents and Christian counselors who treat clients with trauma. It is expected to help them continue to experience psychological and spiritual development without avoiding trauma. 이 연구는 Covid-19로 인한 심리적 외상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많은 현재의 한국 사회에서 한국 교회와 기독교인들이 외상을 잘 극복하고 승화시켜 더 깊은 차원의 성장과 심리영성발달을 경험할 수 있을 가능성에 관해서 탐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독교의 영성가였던 사도 바울, 마틴 루터, 존 웨슬리의 생애의 외상과 외상 후 성장 경험을 생애에 관한 주요 자료를 토대로 주요 사건, 양육 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다중사례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탐색하였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세 인물의 심리발달을 이해하기 위해서 Kohut의 자기심리학과 다양한 외상 관련 심리학 연구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세 인물의 공통 경험은 1) 성장기의 권위 있는(authoritative) 양육 경험, 2) 이상, 포부, 자기 성찰 능력, 3) 회복 탄력성, 4) 영성 추구와 이타심, 5) 통합적 심리영성발달 경험으로 요약되었다. 이 연구는 아이를 키우는 부모와 외상 내담자를 만나는 기독상담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고, 인간으로서 겪는 실존적 경험인 외상을 회피하지 않고 지속해서 심리발달과 영성발달을 경험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고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