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부간 재정정책과 지방자치단체 재정형평성에 관한 연구

        이미애 한국지방정부학회 2014 지방정부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정부간 세원배분 및 재정이전 정책에 의한 지방재정의 변화가 지방재정의 형평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7년부터 2011년까지 15년 동안 226개 시, 군, 구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Coulter의 비형평계수 측정을 통해 지방재정의 형평성 수준을 살펴보고, 종속변수에 해당하는 자치단체별 재정형평성의 조정계수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패널교정표준오차(PCSE: Panel Corrected Standard Errors) 모형을 이용한 결합시계열회귀분석을 통해 정부의 재정정책과 지방정부 재정형평성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Coulter의 비형평계수 측정결과 시, 군, 구 등 자치단체의 유형에 따라 정책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세원이양 정책의 경우 재산과세는 시, 군, 구 모두 형평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소비과세와 소득과세의 경우 자치단체별로 형평 수준에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비형평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세원이양은 지방정부 별 세원의 차등분포로 인하여 지역 간 차별적인 효과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일부 국세 세목이 기존의 부유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심한 지역적 편재현상을 보이고 있어, 일부 국세의 지방이양은 지방재정력의 지역간, 자치단체간 불균형을 가중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재정이전 정책에 있어서는 지방교부세, 보조금, 지방양여금 모두 시, 군, 구의 재정 불균형 완화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재정정책과 지방재정 형평성에 대한 효과 분석의 결과, 재정이전 정책의 경우에는 재원의 재분배를 통해 지역간의 불균형을 완화시킬 수는 있지만, 전체 재원의 형평성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세원이양 정책의 경우에는 세원의 이양을 통해 지역간 불균형 완화에는 기여하지 못하지만, 전체 재원의 형평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세원이양을 통한 재원의 배분이 전체 재원의 형평성에 기여하며, 이는 지방재정 운용의 효율성 제고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The study analyzes how the changes in local finance caused by central fiscal policy in relations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ffects equity of local fiscal. This study is the intergovernmental fiscal policy changes in local fiscal effects of local fiscal equity analysis. The data of 226 local governments from 1997 to 2011 were analyzed with the Coefficient of Inequity of Coulters. Next, it has been analyzed to see how revenue source of local government depending on central government's fiscal policy affects equity of local fiscal using PCSE(Panel Corrected Standard Errors) model. The analysis result shows, First, different policy impact depending on types of local government such as city, county and district and capacity of each entity. Specifically, in tax revenue transfer policy, taxation on property is conducted equity across entire city, county and district but inequity has been detected in taxation on consumption and on incomes. On the other hand, in fiscal transfer policy, all city, county and district are found to contribute to mitigate fiscal inequity. Secondly, In the analysis result on equity of central fiscal policy and local fiscal, in fiscal transfer policy, imbalance among regions might be to mitigate with reallocation of tax revenue but it is known to have negative effect on equity of entire revenue source. On the other hand, in tax revenue transfer policy, the tax revenue transfer itself does not directly to mitigate regional imbalance but has positive effect on equity of entire tax revenue. The result indicates resource allocation through tax revenue transfer could contribute to ensuring equity in entire tax revenue and this in turn has important impact in enhancing efficiency of fiscal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2단계 재정분권이 기초자치단체 재정에 미치는 영향

        주현정,임상수 한국지방세학회 2021 지방세논집 Vol.8 No.3

        The main purpose of fiscal decentralization is to grant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local governments’ revenues and expenditures and to narrow the fiscal power gap between local governments. The government is promoting fiscal decentralization in two stages from 2019 to 2022, but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government’s fiscal decentralization policy are insignificant. This study compared how the fiscal decentralization system promoted in two stages actually affected the fiscal decentralization of local governments in three aspects: the effect of tax expansion, equity improvement, and ranking change. In particular,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two-stage fiscal decentralization method on the finances of local governments by comparing it with the first-stage fiscal decentralization. It analyzes the impact of the second-stage fiscal decentralization on basic local government finances by dividing it into scenario A, which is promoted by the second-stage fiscal decentralization, and scenario B, which is promoted by the first-stage fiscal decentraliz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overall, scenario A was superior to scenario B. In addition, in the city scenario A was superior to scenario B in terms of tax revenue expansion and ranking fluctuations, while scenario B was superior to scenario A in terms of tax revenue equity. In terms of tax revenue expansion and equity in autonomous districts, scenario A was superior to scenario B, while scenario B was superior to scenario A in terms of ranking fluctuation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ain local governments, scenario A was found to be superior to scenario B in terms of equity and ranking fluctuations, excluding tax revenue expansion.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basic local governments, scenario A is evaluated as superior to scenario B for the second stage of fiscal decentralization. 재정분권의 주요 목적은 지방정부의 세입과 세출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부여하고 지방정부 간 재정력 격차를 완화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정부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2단계에 걸쳐 재정분권을 추진 중에 있으나 정부의 재정분권 정책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2단계로 추진된 재정분권 제도가 실제 기초자치단체의 재정분권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세수 확충 효과, 형평성 개선 효과, 순위 변동 효과 등 3가지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특히 본 논문은 2단계 재정분권을 추진하는데 있어 2단계 재정분권 방식이 기초자치단체 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1단계 재정분권과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2단계 재정분권 방식으로 추진하는 경우인 시나리오 A와 1단계 재정분권 방식으로 추진하는 경우인 시나리오 B로 구분하여 2단계 재정분권이 기초자치단체 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군은 모든 면에서 시나리오 A가 시나리오 B보다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는 세수 확충 측면과 순위 변동 측면에서 시나리오 A가 시나리오 B보다 우월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세수 형평성 측면에서 시나리오 B가 시나리오 A보다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구는 세수 확충 측면과 형평성 측면에서 시나리오 A가 시나리오 B보다 우월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순위 변동 측면에서 시나리오 B가 시나리오 A보다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청의 경우 세수 확충 측면을 제외하고 형평성 측면과 순위 변동 측면에서 시나리오 A가 시나리오 B보다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합해보면, 기초자치단체 입장에서 2단계 재정분권은 시나리오 A가 시나리오 B보다 우월한 것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후보

        정부의 학교재정지원에 대한 공평성 연구 : 서울특별시 공립 초·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설인환 한국정책개발학회 2014 정책개발연구 Vol.14 No.1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여 학교 지원에 대한 선거 공약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지역 간 교육 불공평에 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1년 기간 동안 서울에 있는 초·중·고등학교에 대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학교비 지원 시스템에 공평성이 있는지에 대해 학교 공평성 분석 도구들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공평성이 있다고 판정을 내리는 것은 수평적 공평, 수직적 공평, 그리고 재정적 중립성 등 3가지 공평을 모두 갖춘 경우이다. 수평적 공평성 측정에는 범위, 변동계수, 맥룬지수, 버스티겐지수 등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지원에 대한 분포를 살폈으며, 수직적 공평성 측정에는 학생당 수입액 크기와 학교 복지지표와의 상관관계를 알게 해주는 상관계수와 학교 급별로 수입액을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재정적 중립성 측정에는 강남 3구(강남, 서초, 송파) 소재 학교의 학생당 수입액과 나머지 구의 학교학생당 수입의 크기를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분석결과, 수평적 공평성과 수직적 공평성은 없었고, 재정적 중립성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합해 볼 때, 정부의 초·중·고등학교에 대한 재정지원시스템에는 공평성이 확보되어 있지 못했다. Since the start of Local Government,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campaign pledges on school finance equity. But debate on regional inequity in education is still ongoing. This study analyzes the equity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chool funding system for all types of public schools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by utilizing current equity analysis tools. The system is assessed as equitable only when it fulfills all three factors of finance equity; horizontal equity, vertical equity and fiscal neutrality. For horizontal equity, the distribution of funds was analyzed through the use of equity statistical methods such as coefficient of variation, McLoone index and Verstegen index. The test for vertical equity was assessed based 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revenue per student and welfare index, and comparison of revenue by school type. For fiscal neutrality assessment, the revenue per student in 3 areas in Gangnam (Gangnam, Seocho and Songpa) was compared with other areas in Seoul. The result shows th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fiscal neutrality, but not horizontal or vertical equity in funding to public schools. Overall, it proves that the funding system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or public schools in Seoul is inequitable.

      • KCI등재

        복지지출 확대가 세대 간 형평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세대 간 회계를 이용한 접근

        전영준 한국개발연구원 2012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34 No.3

        We study the sustainability of the current fiscal policy of Korea, and the effects of the social welfare policy expansion, which has been recently discussed among the political circles, on the government budget and the generational equity, using generational accounting. We follow the generational accounting approach, considering the fact that most of the social welfare policies are the entitlement programs, which imposes the limitation of the policy maker's discretion to control the cost of their provision.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will change due to the change in the policy environments of the future, such as population aging. Therefore, we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government cash flow of the future as well as of the present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the fiscal sustainability, which implies that the national debt or the budget balance is not a proper index for the investigation. Ou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current fiscal policies are not sustainable, and the long-term budgetary imbalance is shown very serious. The required tax adjustment, which is defined as the percentage change of tax burden required to attain the long-term budgetary balance, is very large. Unless the level of the government expenditure is properly controlled, the tax burden and the social contribution level will rise to the untolerable level. Moreover, the expansion of the social welfare policies, which has been discussed among the political circles, will substantially increase the fiscal burden of the future generations. Even though the provision of the free lunch to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free child care, and the discounted college tuition do not increase the fiscal burden much, because their magnitude at present is not large and will decrease due to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the newborns and the students resulting from the fall in the fertility rate, that of the free health care service will increase tax burden of the future generations very much, because the magnitude of the government expenditure needed at present is very large and the population aging will further increase the magnitude of the health care expenditure.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tructural reforms, to prevent the explosive increase in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 the future, are necessary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welfare policy expansion. In particular, the cost control of the social transfers to the elderly needs to be made, because the speed of the population aging of Korea is among the highest in the world. The findings also indicate that the budget balance or the national debt can cause the fiscal illusion, which makes the Korean government budget look sound, even though the fiscal policy will rapidly increase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 the future, as the population ages. The generational accounting,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cash flow of the future as well as of the present, unlike the budgetary balance and the national debt, which shows the results of the government financial activitie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is a useful method to overcome the fiscal illusion. 본 연구에서는 세대 간 회계를 이용하여 현행 재정정책의 유지 가능성과 최근 논의되고 있는 복지확대정책이 재정건전성과 세대 간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행 재정정책은 유지 가능하지 못하며, 재정수지 불균형도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지출 수준을 통제하지 않는 한 납세자의 재정부담이 감내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최근 논의되고 있는 무상의료와 같은 복지지출 확대정책은 납세자의 재정부담을 대폭적으로 높이게 된다. 무상급식, 무상보육, 반값등록금 지급과 관련된 복지확대정책은 현시점에서의 금액이 비교적 크지 않으며 낮은 출산율로 인해 향후 보육인구와 학령인구가 줄어듦에 따라 지출액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어 이들 정책으로 인한 재정부담의 증대규모가 비교적 크지 않은 반면, 무상의료의 경우는 현시점에서의 금액도 매우 클 뿐만 아니라 인구의 노령화로 인해 수급자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로 인한 재정부담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Equity in educational resources at the school level in Korea

        Myung Suk Woo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11 No.4

        This paper analyzed the equity of resource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in Korea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The data included 2,327 Korean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101 Local Governments within five Local Educational Offices (LEOs). This study found that schools in low property tax per resident areas receive fewer grants, showing a possibl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wealth and educational resources. HLM analyses found that schools with higher percentages of free lunch students received more educational resources, indicating vertical equity. However, schools with higher percentages of special students received fewer resources, indicating inequity. These findings suggest recalibrating the school funding formula so that schools with high percentages of special students and with fewer grants from Local Governments could receive more funds from LEOs.

      • KCI등재

        서울시 공립 초ㆍ중학교 교육비의 공평성 분석

        이혜진(Lee Hye-Jin),한유경(Han You-Ky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5 No.2

          이 연구는 서울시 공립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학교회계 결산자료를 기초로 단위 학교재정의 공평성을 측정하고 학부모와 학교가 소재한 자치구의 재정능력이 학생 1인당 교육비와 어떠한 상관관계에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 학생 1인당 교육비 측면에서 볼 때 서울특별시 초등학교의 학생 1인당 평균 교육비 수준이 중학교의 학생 1인당 평균 교육비 수준보다 지역 간 격차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 단위학교 세입ㆍ세출 총액만을 기준으로 수평적 공평성을 측정했을 때 학생당 교육비는 지역 간에 공평하게 배분되고 있었다. 3) 그러나 세입ㆍ세출의 각 항목별로는 지역 간에 차이가 있었는데, 세입 항목 중에서는 목적사업비, 자체수입, 학교발전기금, 보조금 및 지원금 항목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중학교의 수익자부담경비 중 현장학습비의 차이가 눈에 띄게 나타났다. 4) 지역 간 차이에 비해 동일 지역 내 단위학교 간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5) 학교발전기금과 학생 1인당 교육비와의 관련성은 상관계수 0.1 미만으로 재정적 중립성의 원칙이 지켜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볼 때 단위학교 재정배분 기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데, 특히 동일 지역에 소재한 학교의 교육여건이 같다고 전제하는 배분방식은 지역 내 학교간의 격차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educational expenditure per pupil among regions and schools. It has been sampled a total number of 510 public elementary schools and 249 public middle schools in Seoul, and analyzed the settled school account of revenue and expenditure in 2004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educational expenditure between districts and schools within same district according to horizontal equity.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degree of relation between educational expenditure per pupil and property wealth of school districts according to fiscal neutrality. As the method of analysis, Gini coefficient, McLoone index, Coefficient index, Range, Restricted range,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adopted for analyzing equity.<BR>  An analysis of educational expenditure per pupil in different school levels and different districts shows highly significant results; (1) Educational expenditure per pupil is inequal in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especially inequity of elementary schools is more higher than that of middle schools. (2) There appeared to be greater differences within same district"s schools than between districts. (3) The equity of educational special accounts transferred income is highest, but horizontal equity of subsidy, supporting fund and self-revenue is highly low. (4) There were the differences between school districts where the residents are in high per capita income and those in low per capita income. There appeared to b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residents" wealth(as the sum of inhabitants" tax).

      • KCI등재

        보통교부세 기초수요 측정항목 별 재정력 형평화 효과 분석

        이창균(Lee, Chang-Kyun),전지성(Jeon, Ji-seong) 경기연구원 2015 GRI 연구논총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sually the basis of subsidy calculation, much as measured by four basic demand measurement items, items calculated between the governments of each. In the process reflects the changes in the changes in measurement variables for governments of the basic demand and make sure that they ar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variance analysis, usually measured amount of demand for basic parameters for calculating the subsidy, most likely have more in municipalities with relatively low financial power.Mean value is reflected in having high. However, the correction factor and residents per capita basis from the governments with relatively low financial power demand higher. Second, by 17 three in four categories for Estimation of Basic Needs a demand for basic amount is all allied governments was cause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power between equity. But, in the financial power between items and differences in the size of the effect of equity, especially lower on the contribution of social welfare item analysis. Thirdly, grants are usually analyzed to not properly reflect the level of increase demand for social welfare.

      • KCI등재

        서울시 재산세 공동과세제도의 재정형평화 효과 분석

        복문수 ( Bok Moon-soo ) 한국거버넌스학회 2018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5 No.2

        서울시 재산세 공동과세제의 도입 이전(2007년)과 그 후 2017년까지 25개 자치구의 재정상태 변화를 재정형평성 개선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공동과세제 도입으로 인한 효과를 보면, 대체적으로 자치구간 재정형평성 개선에 상당히 기여하였으나 세부적 내용에서는 서로 다른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즉, 재산세 공동과세제에 의해 재정형평성 개선효과는 『재산세 수준> 자치구세 수준> 자주재원 수준> 총재정규모 수준』 순으로 나타났는바(총액기준 및 1인당기준 모두), 특히 재산세 수준과 자치구세 수준에서(총액기준 및 1인당기준 모두)는 30%이상의 재정형평화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자주재원 수준(1인당기준)과 총재정규모 수준(총액기준과 1인당기준 모두)에서는 10%미만의 미미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서울시 재산세공동과세제도의 재정형평화 효과 정도를 간단히 판단하기에 무리가 있다. 기초자치단체인 자치구의 재정형평성 개선을 위해서는 첫째, 지방세 전체를 대상으로 종합적 관점에서 재정균등화를 위한 방안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재산세를 포함하는 자치구세만을 가지고 재정형평화를 논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그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둘째, 재산세 공동과세제에 대한 논의가 기본적으로 서울시 자치구에 한정된 것이지만, 이를 다른 광역시에도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더 나아가 국세와 지방세간 그리고 광역과 기초단체간 세목조정도 필요하다. I have analysed on fiscal equity effects of the shared property taxation[SPT] in Seoul Special Metropolitan City during 2007~2017. In general, SPT has worked for fiscal equity improvement between 25 autonomous districts.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on them in detail. (1) Fiscal equity improvement effects are in next order : property tax level > districts tax level > autonomous budget level > total budget level (total amount and per capita in all). To be specific, fiscal equity improvement effects are over 30% in property tax level and districts tax level(total amount and per capita in all). However, in autonomous budget level and total budget level are under 10%(total amount) and in total budget level is under 10%(per capita). Therefore we should not simply insist that SPT has always worked for fiscal equity improvement. In these findings,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fiscal equity improvement plans in all autonomous districts : (1) looking for new plans not only in property tax but also in all local tax system, (2) expanding the local tax reformation to all metropolitan autonomous districts and (3) expanding the all tax systems in local and national level.

      • KCI등재후보

        서울 자치구들의 학교시설에 대한 공평성 연구

        설인환(Seol In Whan) 한국정책개발학회 2012 정책개발연구 Vol.12 No.1

        This paper analyzes whether the current school facility funding systems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Seoul equally provide school facilities to 25 autonomous districts within. A school funding analysis framework was specially designed for this study, and it was us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funds for school facility is adequately provided to each district, whether it is horizontally and/or vertically equitable, and whether school facilities differ according to the fiscal condition of the distric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urrent school facility funding systems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not equitable. The adequacy ratio in the school site analysis was more than 1.0, which shows it only meets the minimum criteria. The adequacy ratio in the school building analysis was only 0.83 per student. It was concluded that the current funding system is fiscally neutral and horizontally equitable, but not vertically equitable. In the fiscal neutrality analysi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adequacy ratio of school facility per student and property tax per student. Horizontal equity can be inferred from the relevant variables including the range,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McLoone index and Verstegen index. However in the vertical equity analysis, additional support for the growing districts was not significant. 본 연구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학교시설비 지원제도가 서울에 있는 25개 자치구들에게 학교시설을 공평하게 제공하는 시스템인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분석방법은 교육재정 분석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모형을 사용하여 학교시설이 충분한 수준으로 지원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 수평적으로, 수직적으로 공평한 지원이 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아울러 자치구들의 재정형편에 따라 학교시설이 달라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자치구들에 대한 학교시설비 지원시스템은 공평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충분성 분석에서 자치구들의 학교교지 충분도는 1.0 이상으로 나타나 최소한의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건물의 충분도는 학생당 0.83으로 나타나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평적 공평성 분석에서 범위, 변동계수, 맥룬지수, 버스티겐지수등 수평적 공평성 평가척도들의 값을 본 결과 수평적으로 공평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직적 공평성 분석에서는 학생 수가 늘어나는 성장자치구들에 대한 추가적 지원이 뚜렷한 양상으로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수평적 공평성은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다. 끝으로, 재정적 중립성분석에서, 비록 학생당 학교시설의 충분도와 학생당 재산세 간에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재정적 중립성은 확보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학교별 지방교육재정교부금 배분 공평성에 대한 특별교부금의 영향 분석

        정현주(Jeong Hyun Joo),한유경(Han You Ky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7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6 No.1

        이 논문은 단위학교를 대상으로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이 재정형평화 기능을 수행하는데 특별교부금이 기여하고 있는지를 배분 측면에서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보통교부금으로 배분되는 학교기본운영비가 2015년 공립 초·중·고등학교에 배분된 공평성을 측정하고 이에 특별교부금을 추가 배분한 후의 공평성을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여 분배(distribution)의 개선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학교를 시·도지역, 지역규모, 학교규모 등 하위집단으로 분해하였을 때 집단 간·집단 내 차이가 공평성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공평성의 측정은 지니계수(Gini’s coefficient)를 적용하였고 하위집단별 공평성의 개선은 일반화된 엔트로피 지수 분해요법(generalized entropy index decomposition)을 적용하여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특별교부금은 학교에 대한 지방교육재정교부금 배분의 공평성 제고에 제한적으로 기여하며 도지역, 읍지역과 면·도서벽지지역에 대한 분배가 개선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별교부금의 배분은 학교의 특성에 따른 구분한 하위집단 간 공평성보다는 집단 내 공평성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초·중·고등학교 등 각 학교급 전체에 대한 재정 배분은 지니계수 0.5 이상으로 불공평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역규모나 학교규모로 구분하였을 때는 공평한 배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tribution of Educational Special Grant on fiscal equalization of Local Education Grant in terms of fiscal allocation in Korea. Analysis of equity of fiscal allocation implemented to measure distributional improvement of ex ante versus ex post of Educational Special Grant by Gini’s coefficient. And generalized entropy index is used to decompose equity index into within and between group for cities and province, scale of area and school size. Analysis targets are public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and fiscal year of 2015. This empirical analysis shows Educational Special Grant contribute restrictively to distributional improvement of Local Educational Grant. Also Gini’s coefficient analysis indicates Educational Special Grant allocates more to relatively inferior groups of education environment. By decomposition of groups according to school’s characteristics, dedication to equity of within group is increased while between group is decreased. And fiscal allocation of school is influenced by scale of area and school size at local education governments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