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퍼실리테이터의 성장 과정 탐색 : 비가시적 권력 대응의 근거이론적 접근

        한선미(Han, Sunmi),이희수(Lee, Heesu)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퍼실리테이터의 성장 과정을 이론적 모형으로 제시하고, 퍼실리테이터가 비가시적 권력을 어떻게 대응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퍼실리테이터 11명을 대상으로 근거이론 접근 방법에 의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퍼실리테이터 성장 과정은 비가시적 권력의 갈등 대응을 위해 퍼실리테이터로서 성찰이라는 인지적 과정, 감정적 공감이나 지지의 정서적 과정, 사회적 상호작용이 통합되어 자신-관계-퍼실리테이션으로 변화한다. 둘째, 퍼실리테이터의 갈등 대응 과정은 비가시적 권력이 참여자에게 전이되지 않도록 상황에 따라 저항과 타협 그리고 수용을 반복하며 확인단계-대응단계-조정단계 과정으로 발전하는 순환구조로 나타난다. 셋째, 퍼실리테이터 비가시적 권력은 퍼실리테이터와 의뢰자, 그리고 퍼실리테이터와 참여자 간에 다르게 작용한다. 퍼실리테이터는 참여자에게 활동통제와 동시에 참여자 존중의 형태로 권력을 행사하면서 해방적 차원의 저항이 나타난다. 또 의뢰기관 간, 스태프 간에는 굳어진 갈등적 권력 관계에서 권력을 인식하면서 저항하거나 타협과 수용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는 퍼실리테이터의 불안정한 고용구조로 인해 의뢰기관이나 메인 퍼실리테이터가 일방적인 상황을 형성하고, 의뢰기관으로부터 메인 퍼실리테이터와 스태프에게로 권력이 전이되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만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growth process of the facilitator as a theoretical model and to explore how the facilitator responds to invisible power.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was conducted with 11 facilitators.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facilitator growth, the cognitive process of reflection as a facilitator, the emotional process of emotional empathy or support, and social interaction are integrated to respond to the conflict of invisible power and change into self, relationship, and facilitation. Second, the conflict response process of the facilitator appears as a cyclical structure that develops into a confirmation stage, a response stage, and a mediation stage, repeating resistance, compromise, and acceptance depending on the situation so that invisible power is not transferred to the participants. Third, the invisible power of the facilitator acts differently between the facilitator and the client, and between the facilitator and the participant. As the facilitator exercised power in the form of respect for the participant at the same time as controlling the activity, an emancipatory level of resistance appeared. In addition, while recognizing the power in the conflicting power relationship that has been fixed between the client agencies and the staff, they resisted or responded with compromise and acceptance. This creates a one-sided situation between the requesting organization or the main facilitator due to the unstable employment structure of the facilitator, and repeats a vicious cycle in which power is transferred from the requesting organization to the main facilitator and staff.

      • KCI등재

        운동선수의 성장을 위한 결정요인 탐색: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조선령,유경은 한국체육과학회 2022 한국체육과학회지 Vol.3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ilitation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athletes’ growth. This will be an opportunity for facilitators to change the existing method for the growth of athletes, thereby growing together beyond the winning at all costs philosophy. To this end, samples of 42 elementary school athletes, 13 parents, and 8 coaches were collected using purposive samp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thletes’ perceived facilitation factors of their growth were high in the order of emotional aspect, performance, training aspect, social aspect, technical aspect, and life aspect. On the other hand, athletes’ perceived hindrances of their growth were high in the order of emotional aspect, training aspect, social aspect, and performance. Second, parents’ perceived facilitation factors of athletes’ growth were high in the order of training aspect, performance, social aspect, life aspect, and technical aspect. On the other hand, parents’ perceived hindrances of athletes’ growth were high in the order of training aspect, performance, emotional aspect, life aspect, and social aspect. Third, coaches’ perceived facilitation factors of athletes’ growth were high in the order of social aspect, technical aspect, training aspect, performance, and emotional aspect. On the other hand, coaches’ perceived hindrances of athletes’ growth were high in the order of training aspect, social aspect, performance, physical aspect, and life aspect. The results facilitation and hindrance of athletes’ growth will be baseline data to guide not only athletes but also parents and coaches. Moreover,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data for in-depth analysis of athletes' and facilitators' perceived facilitation and hindrance factors so that they understand their roles and directions for athletes’ growth.

      • KCI등재

        저탄소 녹색성장산업 육성전략에 관한 연구

        강병주(Kang, Byung-Joo) 한국도시행정학회 2011 도시 행정 학보 Vol.24 No.3

        Governments worldwide agreed that Green Growth is the foremost strategy to ensure environmental and economic sustain-ability of today. Green Economy includes activities of development and investment of alternative and recycling energy. This definition means that the global climate change stems from the increase of carbon dioxide and the solution of this problem is converting current industries to low carbon centered one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strategies of fostering green business for Daejeon Metropolitan City after selection process of green business. Main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is reviewing policy documents of central and lical governments and interviewing with officials in charge of establishing economic plan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Four industries such as green IT, converged industries in green technologies, industries in green environment, and industries in LED parts were selected as green with low carbon and representative future industries of Daejeon. Five strategies of fostering green business for Daejeon City, as a research result, were recommended in this paper after reviewing global trends and domestic circumstances of green growth industries with low carbon. Four strategies of fostering green industries with low carbon for Daejeon Metropolitan City are building clusters, accelerating startups and supporting growth of industries, supporting R&D and commercialization, introducing cap and trade system. Tasks for Dajeon Metropolital City in the future are how to acquire domestic and foreign investors for green industries with low carbon in Daejeon Region.

      • 다문화청소년의 내적성장 촉진요소에 대한 사례연구 : LG사랑의 다문화학교 과학영재학생을 중심으로

        김삼화 글로벌청소년학회 2011 글로벌청소년학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다문화학생들의 다문화배경 유형과 그들의 내적인 성장을 촉진하는 요소들을 밝히고자 ‘LG와 함께 하는 사랑의 다문화학교’학생 26명의 경험을 사례연구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 학교학생들의 다문화 배경유형을 외모특정, 부모님의 출신 국가배경, 가정의 지원능력, 학생들의 발달정도와 다문화 자각정도로 분류하였고 다문화학생들의 내적인 성장 촉진요인은 인지적인 측면과 정의적인 측면으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실용적이면서도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과정, 멘토의 밀착-맞춤식 학업지도와 정서적인 지원, 롤 모델, 유사한 배경을 가진 우수한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이 학생들의 성장에 촉진적인 기능을 하였고 기업체의 교육비의 전액후원, 정기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만날 수 있는 학교운영방식도 학생들의 소속감과 안정감을 느끼는데 촉진적인 기능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다문화청소년에게 제공할 교육방식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새』에 나타난 엄마 찾기 서사와 모성의 구성

        박지영(Park, Ji-yeong)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4 No.-

        이 연구는 오정희의 소설 『새』를 기존의 가부장적 폭력에 대한 고발이자 그로부터의 탈출로만 읽는 것에서 더 나아가, 여성 화자의 자아 성장을 가능케 하는 내적 자질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한다. 『새』의 화자는 어른들의 눈길이 닿지 않는 다락방에서 안도감을 느끼고, 사진첩에서 젊은 여성들의 얼굴을 오리며 엄마를 그리워한다. 또래친구들과는 친밀하게 어울리지 못하며 간혹 부도덕한 면모를 보이기도 하는데, 화자의 결핍된 정서는 아버지의 폭력과 존재하지 않는 어머니가 만들어낸 황폐한 환경에서 비롯된다. 그리하여 『새』의 화자는 자신을 거쳐 가는 여성들에게서 어머니의 모습을 발견하고자 한다. 엄마를 찾는 서사의 진행에서 화자는 불행했던 옛 기억을 재현하고, 동일시를 꿈꾸던 대상에게서는 무력감을 느낀다. 진짜 어머니를 찾으려던 화자의 의지는 점차 모성이라는 가치를 내재하는 것으로 변해간다. 이때의 모성은 가부장적 여성 통제의 핵심 기제인 어머니 노릇과는 구별되는 여성주의적 가치이다.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자기를 창조하는 여성의 발달 심리는, 화자의 의식과 행동 변화의 이유를 뒷받침한다. 『새』의 화자는 엄마 찾기 서사에서 제외된 여성 인물들과의 관계망을 통해 보살핌과 책임 그리고 배려를 배운다. 이는 모성이라는 이름으로 연결 지을 수 있으며, 화자의 자아 성장에 밑바탕이 되어준다. 그동안의 담론이 모성의 자질을 어머니에게만 한정했다면, 이 연구는 그 층위를 보다 확대해 여성성에 대한 새로운 가치 판단으로 접근하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nal qualities that enable female speaker growth in Oh Jung-hee"s novel “Bird”. The speaker of the “Bird” misses her mother. And she is bad with her peers, because the speaker"s lack of emotion is due to his father"s violence and her nonexistent mother. Thus, the speaker of the “Bird” seeks to find her mother in the women who appear before her. But it fails. The speaker"s willingness to find her real mother gradually changes to acquiring the value of motherhood. This motherhood is a feminist value different from maternal ideology. Women"s developmental psychology of creating self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s supports the reason for the speaker"s change of consciousness and behavior. The speaker of "Bird" learns care, responsibility and consideration through her network of relationships with female characters except in the Mother-Finding Epistle. This leads to the name of motherhood, which is based on the speaker"s self-growth. So far, if the maternal discourse has limited the value of motherhood to the mother, the study takes a broader approach to judging new values for femini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