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교수자의 플립드러닝 수업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지은 ( Choi Jieun ),김필성 ( Kim Pilseong ),윤마병 ( Yoon Mabyeong ),김수진 ( Kim Sujin ),최영준 ( Choi Yeongj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에서 교수자의 플립드러닝 수업 운영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이해함으로써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했다. 최근 대학교육에서 플립드러닝 교육방법이 PBL, TBL 등과 함께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에 효과성 및 수업 설계, 전략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교수자가 수업을 변화시키는 것은 결국 교수자의 몫이기 때문에 교수자의 수업 운영 경험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J대학교에서 플립드러닝강좌 운영의 우수교원으로 선정된 3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겪은 고민과 문제, 갈등, 해결 전략 등을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이해하고자 했으며, 이를 세 교수자의 플립드러닝 수업 운영의 내러티브로 구성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성공적인 플립드러닝 수업 운영을 위해 학생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며, 사전학습과 수업 학습 간대립 및 가르칠 지식과 학습자 활동 간 대립의 극복을 위한 전략을 구상해야 하고, 기대하는 학습성과 및 바람직한 학습활동 방법을 고려한 플립드러닝 수업 운영 구조를 고안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플립드러닝 방법을 활용하는 교수자나 이를 지원하는 교수학습센터 등 기관이 고려해야 할 시사점에 대해 논의했다. This study aimed to find implications by understanding professors’ experiences in the operation of flipped learning class in university education through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In the recent university education, the flipped learning educational method is widely used together with PBL and TBL. Thus,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its effectiveness, class design, and strategies. However, the changes in class eventually depend on the professors’ decision, so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research the professors’ experiences in their class operation. Selecting three professors, including a professor selected as an excellent teacher of flipped learning course in J university,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ir concerns, problems, conflicts, and resolution strategies through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In the results, those three professors discussed the necessity to establish the strategies to compose the narrative for the operation of flipped learning class, to make their students empathize with the necessity of changes in class, and to overcome the conflicts between pre-class and in-class, and between knowledge to teach and learners’ activities, and also the necessity to design the flipped learning class operating structure considering the desirable learning activity methods and students’ results expected by professors. Based on thi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the faculty who utilize the flip learning method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that supports it.

      • KCI등재

        문법교육 : 문법 탐구 과제의 해결 경험에 대한 학습자 반응 사례 연구

        문영은 ( Young Eun Moon ),김은성 ( Eun Sung Kim ),최신인 ( Shin In Choi ),최은정 ( Eun Jeong Choi ),이세연 ( Se Yeon Lee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4 문법 교육 Vol.21 No.-

        This study investigates which intellectual stimulus learner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the inquiry learning of grammar and which reponses they make as a result.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necessity that learners should be considered as a principal factor in studies on the inquiry learning of grammar. For this, experiences of grammar inquiry were provided for learners, and then by making them free to write about their experiences, the learners were required to verbalize their thoughts occurred in the inquiry process. This material shows an introspective character since it describes the inner side of learners. Therefore, by conduct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this study attempts to draw more reasonable and objective results. In conclusion, the responses of learners which are revealed in the resolution experiences of grammar inquiry task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dimensions. In the aspect of process, two noteworthy responses were “‘Finding Flow’ through problem solving by stages” and “experiences of intellectual interaction through horizontal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aspect of results, on the other hand, the remarkable responses were“experiences of three-dimensional recognition for languages” and the “enhancement of self-confidence through the manifestation of potential language abilities.” The responses of learners reveal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practical clue for planning grammar inquiry tasks or conducting practice study of the inquiry tasks.

      • KCI등재

        외국인 한국학 전공생의 이데올로기적 되어가기: 바흐친 대화주의에 기반한 한국어 학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황은하 한국교육인류학회 2019 교육인류학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s and identity of Korean Studies students in Europe through narrative inqui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hich regards the learner as a social entity from the viewpoint that the language learning process is fundamentally social, is based on Bakhtin's Dialogism. This study confirmed that language learning is an 'identity work' as well as a process of 'ideological becoming.' In both the Netherlands and Korea, the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use was a process of reconstructing identity beyond the accumulation of linguistic knowledge or the acquisition of communication skills. The process of identity reconstruction had three characteristics: relational, emotional, and dynamic. The participant's experience was essentially a relational process with the existence of the 'other.' The emotional eager for belonging and recogni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investment of Korean learning. Also, the reconstruction of identity i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was not only dynamic & gradual, but also an unfinalized process. In addition, the identity of participant was multi-faceted and even contradictory according to an interlocutor. This paper emphasizes language learning as an identity work, and challenges the existing view, which regards communication skills as the top priority in language learning, suggesting critical approach towards interculturality. 이 연구는 유럽에서 한국학을 전공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과 사용의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언어 학습 과정이 근본적으로 사회적이라는 관점에서 학습자를 사회적 존재로 바라보는 본고는 바흐친의 대화주의(dialogism)를 바탕으로 언어 학습이 자아와 타자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정체성 작업’이자 ‘이데올로기적 되어가기(ideological becoming)’의 과정임을 확인하였다. 네덜란드와 한국이라는 각각의 공간에서 한국어를 매개로 겪는 참여자의 한국어 경험은 단지 언어 지식의 축적이나 의사소통 기술의 습득으로만 국한되지 않는 끊임없는 정체성 인식과 갈등을 동반하는 정체성 경험이었다. 특히 교환학생이라는 단기 유학을 포함한 다양한 시공간에서 한국어 학습과 사용을 통해 재구성되는 참여자의 정체성은 관계적, 정서적, 역동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참여자의 경험은 본질적으로 ‘타자’의 존재 없이는 불가능한 관계적인 과정이었고, 소속과 인정에 대한 정서적 갈망은 한국어 사용과 학습의 ‘투자’와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또한 참여자의 학습 경험에서 나타나는 정체성 재구성은 역동적이자 점진적인 변화의 과정이며 순환적으로 지속되는 미완결적인 과정이었다. 따라서 참여자가 형성하는 정체성은 ‘한국학 전공생’, ‘한국어 학습자’, ‘언어 전문가’, ‘110% 네덜란드인’, ‘아시안적인 백인’ 등 다면적이며 때로는 모순적이었다. 따라서 참여자의 한국어 학습 경험은 한국어라는 타자와의 조우에서 발생하는 정체성 인식에 따른 갈등과 협상 속에서 자기 자신을 재발견하고 ‘선택적 동화’를 통해 자신의 ‘내적-설득 담화’를 구성해가는 총체적인 삶의 ‘이데올로기적 되어가기’를 이루고 있었다. 본고는 정체성 작업으로서 언어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국어교육 관계자들의 언어 학습자에 대한 인식 재고 및 언어 학습에서 의사소통 기술 습득을 최우선으로 보는 기존의 관점에 변화가 필요함을 제기한다.

      • KCI등재

        교사의 문법 탐구 학습 경험과 탐구 단계 평가의 상관성 고찰

        양영희 우리말글학회 2023 우리말 글 Vol.99 No.-

        본 연구는 수요자 중심의 탐구 학습 모형 설계를 위한 과정으로, 탐구 학습 경험 정도를 ‘전혀 없었음, 가끔 있었음, 자주 있었음’의 집단으로 구별하여 이에 따른 탐구 단계에 대한 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에 탐구 경험이 ‘자주 있었음’ 집단의 결괏값이 다른 두 집단과 다른 것으로 파악되었다. 먼저 일반화ㆍ자료 분석ㆍ원리 발견 단계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이는 교사들이 이 세 단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면서도 수업 시간에 많이 활용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가설 검증’이 4순위로 평정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다른 두 집단의 결과는 5순위로 문제 제기 단계 다음이었지만 이 집단에서는 문제 제기 단계보다 우선순위였다. 본 연구의 최종 목표가 교육 현장에 효율적인 문법의 탐구학습 모형을 개발하려는 데 있음에 주목하면 위와 같은 차이를 파악하는 것은 의미 있는 과정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design a consumer-centered inquiry learning model that aligns with teachers'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Teachers' inquiry experience was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never," "sometimes," and "often." Subsequently, the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ived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inquiry steps across these experience groups were analyzed. The findings revealed a distinct pattern for the "often" group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Firstly, there was minimal variation i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generalizing, analyzing data, and discovering principles. This suggests that teachers consistently value and utilize these three steps in their grammar instruction. Secondly, "verifying the hypothesis" was ranked fourth in importance by the "often" group, even surpassing "posing the problem." In contrast, the other two groups ranked "verifying the hypothesis" as the fifth, following "posing the problem." Given that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ffective model of grammar inquiry learning for classrooms, these findings hold significance to identify these differences.

      • KCI등재

        한 대학교수자의 플립러닝 방법에 기초한 수업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박주영,김필성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7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5 No.3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미래인재양성을 위해 대학교육이 다양한 교육방법을 도입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교수자의 성장과 변화에 대해 이해하고자 한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 의 대학교는 과거 어느 때보다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대학교는 교육의 변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 과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의 변화는 교수자의 수업의 변화로부터 가능하다는 점 에서 대학교수자의 실천과 경험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다. 교육의 질은 곧 교사의 질이라 고 말하듯이 대학교육의 변화는 교수자의 경험에 대한 이해로부터 가능할 것이다. 이러 한 관점에서 연구자는 Flipped learning 방법으로 교과목을 개발하고 수업을 운영하는 교수자의 실천과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이해하려고 했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 자는 개인적 삶의 가치관에 기반하여 강의식 수업이 학생을 수업에서 소외시킨다고 보 고 한명의 학생도 소외되지 않는 수업을 지향하면서 Flipped learning 기반 수업을 운영 하고자 했다. 연구 참여자는 이러한 시각에서 수업 운영의 문제를 발견하고 고유한 해결 전략을 추구했다.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 참여자의 수업 운영 경험을 이야기로 구성하여 독자가 자신의 수업을 성찰하고 다른 가능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growth and change of university professor as diverse education methods are introduced to university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the 21st century future talent. Recently, universities of Korea have to establish concrete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us, universities of Korea are attempting diverse efforts for the change of education. As the change of education could be achieved from the change of professors' lesson, however, it would be necessary to research university professors' practice and experience. As the quality of educa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teachers, the change of university education could be done by understanding professors' experience. In this aspect, through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the researcher aimed to understand the practice and experience of a professor developing courses and operating lessons in the flipped learning method. In the results of study, the research participant thought that the instructor-led lesson would alienate students from lesson based on personal life values, so that the participant aimed to operate the flipped learning-based lesson aiming for the lesson with no alienation of a single student. The research participant discovered problems of the lesson operation and pursued the characteristic solution strategies. Compos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lesson operation experience as a story, the researcher gave a chance to readers to introspect their lessons and also to perceive other possibilities.

      • KCI등재

        초등학교 에코뮤지엄 지역사 탐구체험학습의 실제 : 경기도 안성 원곡·양성면 4·1독립만세운동 역사테마로드 만들기

        허영훈 ( Heo Young-hoon ),장현용 ( Chang Hyun-yong ) 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논집 Vol.69 No.-

        Where should we stand between memory and forgetfulness of the 4·1 Wongok·Yangsung independence movement? As a producer doing history, how can they play a central role as a community subject? What do students feel in the process of doing that role? These questions were conscious of the problems I had in mind while continuing to study in the course of my research. The case of the 4·1 Wongok·Yangsung independ ence movement is not a completely liberated past, but an ongoing history that is still implicated in the local people. In this study, we tried to explore the specific aspects and results by conducting Inquiry-experience learning of Local history based on ecomuseum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course focuses on analyzing the perceptions and reactions of students in the process and drawing im plication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pay attention to children as heroes of history. Second, they expressed regret in the absence of the place (traces) where the memories of independence movement were standing. Third, they wanted to summon history's forgotten heroes, ordinary people, into history. Fourth, through museum activities represented by the creation of the history theme road, students acted as historical producers and volunteer practitioners as host of local communities. Finally, in order to realize the inquiry-experience learning of local history based on ecomuseum, it became important to think about the link between school and outside of school, that is, the role of community actors about eco museum. It is important that voluntary participation and network for mation of community 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researches, in keeping a critical and active interest in various ways of reconstructing the place of my life as a history and autonomously recognizing it, We expect that inquiry-experience learning of local history based on eco museum will be practic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ha racteris tics of each region and the aspect of cultural resources.

      • KCI등재

        대학생의 협력적 문제해결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정윤주 ( Yoonjoo Jung ),임규연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1

        협력적 문제해결은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진 팀원과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축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학습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대학생의 협력적 문제해결에 대한 연구는 학습의 효과성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들의 실제 경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대학생의 협력적 문제해결 경험의 의미와 학습의 실제를 질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3개월 이상 지속된 협력적 문제해결 과제를 최소 3회 이상 경험한 대학생 5명을 대상으로 협력적 문제 해결 경험에 대한 인식과 그 과정에서 그들이 마주하는 학습, 그리고 그들의 학습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을 탐색하였다. 이 때 연구 참여자의 내러티브를 시간성, 공간성, 사회성에 따라 연속적, 총체적으로 탐색하는 연구방법인 내러티브 탐구를 기반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은 협력적 문제해결 경험을 축적한 정도, 자신의 가치관과 학습관, 추구하는 역량에의 필요, 팀원 간 관계 등에 따라 각기 다른 맥락으로 협력적 문제해결의 의미를 맺고 있었다. 또한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진 팀원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며 자신의 사고가 확장, 수렴되는 경험을 하였고 그 과정에서 부담감, 찝찝함과 같은 정서에 의해 자신의 참여, 태도 등에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인간관계가 확장되거나 인간관계를 유지, 발전시키는 방법을 익히는 경우도 있었으며, 어떤 참여자는 이러한 기회를 얻지 못했다. 또한 대학생은 팀 분위기, 권한 구조, 팀 구성, 교수자의 피드백과 교수설계에 의해 각기 다른 영향을 받았다. 본 연구는 학습자로 하여금 정답이 아닌 대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학습 환경과 문화가 형성돼야 하며 교수자, 학습자가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을 고찰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is widely used a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for college students to solve ill-structured problems with team member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However, research on the college students’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is focused more on learning effectiveness, and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ir in-depth experienc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targeting fiv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more than three times of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ctivity. This study is based on narrative inquiry, which is a research method to explore the narratives of research participants in a continuous and holistic manner according to continuity, situation, and transaction. Driving questions focused on what college students understood their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experience, what learning they faced, and what environmental elements affected their learning. As a result, college students had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ir own contexts, such as their values, accumulated previous experiences, and relationships with team members. They experienced both divergence and convergence of their understanding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They also felt burdens and confusion in the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process, which affected their attitudes and engagement. Lastly, college students were influenced by team climate, authority structure, team composition, instructor feedback, and instructional design. The results suggest that instructional design that provides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review the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process is needed, and the environment for learners to answer their own opinion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문제해결형 탐구학습에 대한 인식과 학습이 실험 설계 능력에 미친 효과 : 과학 영재학생들에 대한 사례 연구

        주미나 ( Mi Na Ju ),김현주 ( Hyun Joo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2

        이 연구는 과학자의 연구과정을 반영한 문제해결형 탐구학습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고등학교 과학 영재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한 후, 문제해결형 탐구활동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활동 내용 및 수업의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부설 영재학급 1학년 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사전 실험설계능력 검사(DCT)를 한 후, ``주기가 일정한 흔들이 만들기``, ``표면성장 실험``, ``메트로놈의 동기화현상``의 세 모듈을 적용하여 수업을 하였고, 그 후 사후 실험설계능력 검사, 설문과 학생 면담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모듈은 과학적 의문의 생성,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한 실험설계, 문제 해결 활동과 같은 일련의 과정들로 이루어져 있어 이를 통해 학생들이 문제해결형 연구형태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사 결과 학생들은 주어진 과정에 따라 기계적으로 하는 기존의 학교 수업과는 달리 자기주도적으로 실험을 설계하고, 해결 방안을 다양한 각도로 모색하여 직접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에서 문제해결형 탐구활동과 기존 수업과의 차별성을 인식하였다. 수업 과정 중 학생들은 발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사고하고 실험을 설계 해 보고, 직접 실험을 수행하면서 마침내 처음에 발견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자의 연구과정의 한 형태를 경험할 수 있었으며, 문제해결형 연구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과학자의 연구과정에 대한 인식의 변화도 생겼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업의 효과 면에서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체계적인 실험설계 능력의 향상, 현상의 원인에 대해 자유롭게 생각해 보고 의견을 발표하는 기회를 갖게 한 점 등에서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실험 설계 능력 사전 · 사후 검사 점수를 비교한 결과, 수업 후 대부분의 학생들은 실험설계 능력에 향상을 보였다. 기존의 따라 하기 식 실험에 익숙해져 있던 학생들은 처음에는 스스로 실험을 설계하는 데 다소 어려움을 느꼈지만 두 번째, 세 번째 수업을 하면서 체계적으로 실험을 설계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데에 조금씩 익숙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We developed problem-solving type inquiry learning programs reflecting scientists` research process and analyzed the activities of science-gifte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understanding and the effects of the programs after implementation in class. For this study, twelve science-gifted students in the 10th grad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ch consisted of three different modules - making a cycloidal pendulum, surface growth, and synchronization using metronomes. Diet Cola Test (DCT) was used to find out th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to design experiments by comparing pre/post scores, with a survey and an interview being conducted after the class. Each module consisted of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questioning the phenomenon scientifically, designing experiments to find solutions, and doing activities to solve the problems. These enable students to experience problem-solving type research process through the program class. According to this analysis, most students were likel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solving type inquiry learning programs reflecting the scientists` research process. According to the students,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is program class and existing school class. The differences are: ``explaining phenomenon scientifically,`` ``designing experiments for themselves,`` and ``repeating the experiments several times.`` During the class students have to think continuously, design several experiments, and carry them out to solve the problems they found at first. Then finally, they were able to solve the problems. While repeating this kind of activities they have been able to experience the scientists` research process. Also, they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scientists` research by understanding problem-solving type research process. These problem-solving type inquiry learning programs seem to hav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in designing experiments and offering the opportunity for critical argumentation on the causes of the phenomena. The results of comparing pre/post scores for DCT revealed that almost every student has improved his/her ability to design experiments. Students who were accustomed to following teacher`s instructions have had difficulty in designing the experiments for themselves 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but gradually, they become used to doing it through the class and finally were able to do it systematically.

      • KCI등재

        초등학교 에코뮤지엄 지역사 탐구체험학습의 가능성 모색: 경기도 안성 원곡·양성면의 4 · 1독립만세운동을 중심으로

        허영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8 사회과교육연구 Vol.25 No.3

        In this study, we have traced memories on the basis of the remaining memorie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memories to be memorized in the original and the positive 4.1 independence movement were forgotten, and then examined from the view point of memory and oblivion. In addition, the students paid attention not to being alienated as the master of history learning in the classroom space but to the inquiry experience learning that covers the area where students live as a way of doing history as a history producer. In addition, the Ecomuseum, a new concept of museology that allows students to engage in a cultural centering role while creating a participatory and networked network of students in the community beyond the space of the classroom, To find the applicability and to derive educational significance.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has not been able to carry out concrete action in the field because it is a research study. In the future, students will be invited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specific aspects and results while practicing the students’ ecomuseum area exploration experience. 본 연구에서는 우리 지역에서 원곡․양성 4․1독립만세운동의 기억되어야 할 흔적들이 망각되어 있다는 것에 착목하여 남아있는 사료들을 바탕으로 기억들을 추적한 후 기억과 망각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학생들이 교실 공간에서 역사학습의 주인으로서 소외되지 않고, 역사 생산자로서 역사를 행하는(doing) 방안으로 학생들이 살아가는 지역을 범위로 한 탐구체험학습을 주목하였다. 또한, 교실의 공간을 넘어 학생들이 지역 사회에서의 주체적인 참여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문화적 구심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박물관학의 개념인 에코뮤지엄(Ecomuseum)을 교육적 관점으로 원곡․양성 독립만세운동에 도입하여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교육적 의의를 도출하였다. 다만, 본 연구는 시론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현장에 아직 구체적인 실천은 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추후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과 에코뮤지엄 지역사 탐구체험학습을 실천하면서 구체적인 양상과 결과를 면밀히 살펴볼 것을 기약한다.

      • KCI등재

        경험 귀추적 실험을 활용한 탐구 수업 전략이 고등학교 반응 속도 학습에 미치는 효과

        강순희,김덕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6 교과교육학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과학 ‘반응 속도’ 단원에서 경험 귀추적 실험을 활용한 탐구 수업 전략이 학업 성취도, 과학적 사고력,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실험 집단에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생 중심의 경험 귀추적 실험 5차시를 포함한 탐구 수업 전략을, 통제 집단에는 연역적 실험 4차시를 포함한 교과서 중심의 수업을 각각 총 11차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과학 학업 성취도에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p<.05). 해당 집단의 상위 소집단(전 학기 과학 성적 평균 70.82점 이상)에서는 과학 학업 성취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나(p<.05) 하위 소집단(전 학기 과학 성적 평균 70.82점 미만)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p>.05). 과학적 사고력변화에서는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고(p<.05), 해당 집단의 인지 수준별로 살펴볼 때 가설 연역적·과도기적 사고 수준과 경험 귀납적 사고 수준 학생 모두에게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과학에 대한 태도에서 전체 학생뿐만 아니라 해당 집단의 상위, 하위 소집단에서도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p<.0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quiry learning instruction using empirical abductive experiments in ‘the rates of chemical reac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improvement of science achievement, scientific reasoning, science related attitude.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11 classes of inquiry learning instruction using empirical abductive experiments with 5 empirical abductive experiments in the exploration phase. The control group received 11 classes of textbook oriented learning instruction with 4 deductive experiments. After the test period, post-test evaluation instruments (science achievement, scientific reasoning and science related attitude tests) were used, and ANCOVA analysis using SPSS (v.12.0) revealed the effects of them.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for the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test by ANCOVA (p<.05). In the high level group, the statistics showed that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5). However, in the low leve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5). Secondly,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the students' scientific reasoning test (p<.05). In both of high and low level groups, ANCOVA revealed that the result of scientific reasoning for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 (p<.05). Also ANCOVA showed that the effect of scientific reasoning for the hypothetical-deductive·the transitional and the empirical-inductive thinking groups in the treat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p<.05). Third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science related attitude test by ANCOVA (p<.05). The scores of the high and low level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