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바에츠(D. Narvaez)의 윤리적 스킬에 기반한 윤리상담(Ethics Consultation) 기법

        최혜정,박형빈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echniques of ethics counseling that can be used in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Ethics consultation can complement the content aspects of moraleducation in that it is possible to have a customized moral guidance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estudent's individual and to have a more in-depth moral dialogue. It can also complement themethodical aspects of moral education because it can overcome the time constraints of moral classin elementary school. Ethics consultation is distinguished from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counseling in that it directly deals with the morality of the clients, has educational goals, andultimately aims to practice moral behavior. Based on the 4-components model of Rest, Narvaezpresented a list of ethical skills that students should learn to live a happy and excellent life. Narvaez's ethical skills theory and ethics consultation have a common purpose to complement thespecifics and realities of moral education. In this study, the list of Navaez's ethical skills wasreconstructed based on the 'development sta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practicality','theeducational environment of Korea' and 'the 2015 moral curriculum'. The ethics consultation processin this study consists of seven stages and is progressed in the order of 'Name of the skill → What'sgood about learning skill?/Myself who has learned the skills → My current self → Best model → Howto practice the skill → Sponsors/Cheering comments → Celebration party'. At the same time asproposing the ethical consultation process, this study specifically suggested the ethical consultationactivities that could be used in the fifth step, the 'How to practice the skill'. The value of this studylies in that it specifically proposed the techniques of ethics consultation that have not been studiedso far, and connected ethics consultation theories with school demanding ethics consultations. 윤리상담은 학생 개인의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도덕지도가 가능하고 보다 심층적인 도덕적 대화를나눌 수 있다는 점에서 도덕교육의 내용적 측면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도덕과 수업의 시간적 제약을극복할 수 있어 도덕교육의 방법적 측면을 보완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윤리상담은 크게 내담자의도덕적 건강이나 치유를 지향하는 상담으로 정의되거나,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윤리학적 관점을이용하는 상담으로 정의되었다. 윤리상담은 내담자의 도덕성을 직접적으로 다루며 교육적 목표를 지니고 궁극적으로 도덕적 행동의 실천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철학상담 및 심리상담과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윤리상담을 ‘도덕적 성찰을 바탕으로 내담자의 윤리적 스킬 습득 및 실천을 촉진하는 상담’으로정의하였다. 나바에츠는 레스트의 4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행복하고 탁월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 익혀야 할 윤리적 스킬 목록을 제시하였다. 나바에츠의 윤리적 스킬 이론과 윤리상담은 도덕교육의구체성과 현실성을 보완하려는 공통된 목적의식을 지닌다. 그러나 나바에츠의 윤리적 스킬 목록은 미국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작성되었고, 그 내용과 범위가 매우 방대하여 한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한 윤리상담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바에츠의 윤리적 스킬 목록을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 ‘실현가능성’, ‘한국의 교육 환경’, ‘2015 도덕과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재구성하였다. 재구성한 윤리상담 절차는 총 7단계로 이루어지며, ‘기술의 이름 → 기술을 배우면 좋은 점/기술을 배운 내 모습→ 현재 나의 모습 → 모범 사례 → 기술 연습 방법 → 후원자/응원 댓글 → 축하활동’의 순서로 진행된다. 본 윤리상담 기법은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에 적합하고 도덕적 행동을 습관화하는데 기여하며 도덕적 담화 공동체를 형성하고, 도덕교육 환경을 응원과 지지의 분위기로 변화시킨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임상윤리상담과 병원윤리위원회

        최경석 한국의료윤리학회 2017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0 No.4

        This article addresses the question of what is an appropriate Korean translation of “clinical ethics consultation” and also interprets clinical ethics as a branch of medical ethics. Three models of clinical ethics consultation are introduced: an authoritarian approach, a pure facilitation approach, and an ethics facilitation approach. The author argues that an ethics facilitation approach is the most desirable one in a pluralistic society.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s moving in the direction of a pluralistic society, with both eastern and western influences as well as progressive and traditional forces. Where there is no single, dominant value system, it is desirable that consultants try to help relevant parties reach reasonable conclusions within moral boundaries rather than recommend one conclusion. In a pluralistic society, an ethics facilitation approach does not imply moral relativism. Hospital ethics committee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current law should be organized to provide clinical ethics consultation. While the current law limits the role of hospital ethics committees to the withholding or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at their role should be broadened into fully-fledged hospital ethics committees that cooperates with a team taking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to the resolution of ethical issues. 이 글은 임상윤리를 의료윤리의 하위 범주로서 개별사례에 집중하며 그 해결책을 모색하는 학문영역으로 규정하고, “clinical ethics consultation”을 어떻게 번역할 것인지 논의한 후, “자문”보다는 “상담”이적절한 번역어임을 주장한다. 나아가 임상윤리상담의 모델로서 권위주의적 접근, 순수 지원 접근, 윤리지원 접근을 소개하고, 다원주의 사회에서 바람직한 모델은 윤리 지원 접근 모델임을 주장한다. 한국사회 역시 동서와 고금이 혼재한 다원주의 사회라고 평가할 수 있으며, 하나의 가치 체계가 지배적이지않은 상황에서는 어느 하나의 결론을 권장하고 주입하기보다 갈등을 상담하는 주체들이 윤리적으로허용 가능한 범주 내에 있는 결론에 도달하도록 지원하고 도와주는 것이 상담가의 역할이라고 주장한다. 다원주의 사회의 윤리 지원 접근은 윤리적 상대주의를 함축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공통 도덕의 존재는 윤리적 상대주의가 올바른 이론이 아님을 보여준다. 한국의 의료기관윤리위원회는 임상윤리상담의 역할을 수행하는 위원회로서 운영될 필요가 있으며, 현행법이 의료기관윤리위원회의 역할로 연명의료의 유보 및 중단만 언급하고 있으나, 이번 설치를 계기로 보다 일반적인 병원윤리위원회를 활성화하고 학제적 임상윤리상담팀을 운영하는 계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변화된 연구 환경에 적합한 연구윤리 제도로서연구윤리자문 서비스의 제안

        이은영,장승경,이일학 한국의료윤리학회 2018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1 No.1

        As biomedical research becomes more interdisciplinary and subjects more diversified, an increasing emphasis is being placed on the ethics of biomedical research. Conventional research ethics is based on the oversight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s (IRBs), which are commonly criticized for being ineffective in today’s changing research environment. Although various suggestions have been made concerning how to improve IRB-based research ethics, relatively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ethics. Yet in order to improve the decision-making of individual researchers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organizations in which those decisions are made. Research ethics consultation(REC) takes a systemic approach to organizational ethics and assists the decisions and practices of both individuals as well as organizations. This article argues for the necessity of REC and describes how REC services should be structured. 오늘날 연구 프로그램의 수행과정에서 연구자 개인이 지켜야 하는 윤리적 책임이 점점 복잡해지고 그 기준도 강화되고 있다. 오늘날 연구윤리는 개인의 윤리적 감수성과 실천의지를 강조하고 있을 뿐 실천의 차원에서 개인에게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 개인은 윤리적 결정과 실천 과정에서 상담, 자문뿐 아니라 위기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중재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도움을 기관 차원에서 제공해야 연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하고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다. 저자들은 이와 같이 연구윤리가 개인의 차원을 넘어 조직의 차원에서 이해되고 실천되는 조직윤리(organizational ethics)의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연구윤리가 연구의 형식적인 측면을 감독하는 것을 넘어서야 조직 구성원의 윤리적 결정과 실천 과정을 이해하고 지원하는 데 이르러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조직윤리의 구성요소를 조율하고 실천으로 옮기도록 하는 방식을 고안하는 것을 목표하는 “연구윤리자문(research ethics consultation)”에 주목한다. 연구윤리자문은 연구의 이익을 최대화하고 연구에 대한 잠재적인 위해를 최소화하려는 전반적인 목표를 갖고 기관에서 서비스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연구윤리자문 서비스에 참여하는 전문가의 독립적이고 투명한 공유된 의사결정(shared decision making) 과정을 통해 해당 사건에 적시에 개입하고, 축적된 자료는 교육 자료로 활용가능하다.

      • KCI등재

        부동산상담윤리에 관한 일고

        정윤(Jung, Yoon),이창석(Lee, Chang Suck) 대한부동산학회 2008 大韓不動産學會誌 Vol.27 No.-

        부동산상담에 있어서 부동산상담자와 클라이언트는 서로간의 상호관계를 통하여 비밀보장, 전문가로서의 책임, 재산권의 보호 등에서 여러 가지 윤리적 문제들이 발생한다. 이러한 윤리적 문제들은 복잡한 성격으로 나타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부동산상담자는 상담을 수행할 때 부동산에 관련된 전문적인 교육과 훈련만을 주로 받고 있기 때문에 상담에서 유의하여야 할 윤리적문제에 대하여는 준비가 부족하다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전문적인 부동산상담 윤리의 역할이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부동산상담윤리에 관한 이론적 부분을 고찰하여 보고 부동산 상담윤리의 저해요인과 발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부동산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상담윤리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Real estate consultants bring about many problems such as those in confidential securities, liabilities as experts, and property right protection, when they make progress of a consultation. This ethic problems have complex characteristics. Morally, real estate consultants take expert trains and educations related with real estate, when they consult on real estate, and as a result they are lack of ethical matters. So, expert real estate consultation demands ethnic roles. This thesis examines theoretical aspects on real estate consultation ethics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presents obstruction factors and development ways of real estate consultation ethics, and present the proper ways of consultation ethics which real estate consultants have to prepare for.

      • KCI등재

        학교상담자의 자문 관계에서의 윤리 문제와 해결

        손현동(Son Hyun d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3

        자문은 학교상담자의 주요한 역할 중 하나이다. 효율적인 자문을 위해서는 자문자 가 자문 관계의 특성과 이와 관련된 윤리 문제는 무엇이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 것인 지를 알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의 목적은 자문의 정의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자문 관계의 독특한 특징을 알아보고, 이런 자문 관계의 특징이 학교상담자가 자문 을 실시함에 있어 어떤 윤리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는지를 알아본 후, 각 윤리적 문 제에 대한 해결책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자문의 정의에서 나타난 자문 관계 의 특징은 ‘삼자 관계’, ‘자발적 관계’, ‘일 관련 문제 중심의 관계’, ‘동등한 관계’로 나 타났다. 이런 자문 관계의 특징에 따라 학교상담자에게 요구되는 윤리적인 문제는 ‘비밀 보장’, ‘사전동의’, ‘다중 관계’, ‘힘의 균형’이었다. 각 자문 관련 윤리 문제에 대 한 해결책을 분석하여 제시하였고, 학교상담자들이 윤리적인 자문자가 되기 위해 요 구되는 바들을 제언하였다. Consultation is one of the key roles of school counselors. For an effective consultation it is necessary for consultants to acknowledge the characteristics of consultation relationships and to understand ethical issues related with the relationships. So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nsultation relationships by reviewing the definition of consultation and to find out which ethical issues are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consultation relationship, and then to explore the way to cope with the ethical issu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onsultation relationships were ‘tripartite’, ‘voluntary’, ‘problem focused related with work’, ‘equivalent’. The ethical issues rel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were ‘confidentiality’, ‘informed consent’, ‘multiple relationships’, ‘power’. The ways to deal with the ethical issues were discussed. This study will enlarge the interests in ethical issues in consultation and will help school counselors solve ethical dilemmas related to consultation.

      • KCI등재

        응용현상학과 임상의료윤리: 리차드 M. 제이너의 경우

        이일학 한국의철학회 2023 의철학연구 Vol.36 No.-

        제이너의 임상윤리상담은 자문가로서의 윤리학자가 아니라 임상가로서의 윤리학자를 전제로 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는 지식을 바탕으로 최선의 선택을 조언하는 사람이 아니라 스스로 드러나는 책임 있는 선택을 선명하게 깨닫도록, 혹은 인정하도록 이끄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논문은 제이너의 임상윤리상담의 태도와 그 과정을 살펴보고 이런 접근이 한국의 의료윤리학계에서 그 중요성에 어울리는 관심을 받지 못했던 임상윤리상담에 갖는 함의를 논할 기회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의 주요한 저작과 학문적 방향성을 간략히 살펴본 후, 현상학자로서 제이너의 의철학인 임상적 만남(clinical encounter)을 소개할 것이다. 이어 그의 초기 상담 기록을 바탕으로 그의 현상학자적인 접근이 드러나는 방식과 이런 접근이 갖는 함의를 모색하려고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intersection of applied phenomenology and clinical medical ethics, focusing on the work of Richard M. Zaner. The paper discusses how philosophers often find themselves in a precarious position in the clinical environment, where their principles, concepts, and theories are not directly applicable to clinical practice. The core argument revolves around the concept of human dignity, autonomy, and the “situated subject” in the context of illness. Zaner's approach to clinical ethics counseling suggests a shift from traditional ethical decision-making processes to a more engaged and dialogical method. He emphasizes understanding the patient's experience and context, considering the complexities of human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in medical settings. The paper elaborates on Zaner's life and major works, his commitment to phenomenology, and his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medical ethics. Zaner's methodology in clinical encounters and ethical consultations is examined, showcasing his unique approach to addressing ethical dilemmas in healthcare. Two cases are presented to illustrate Zaner's method in practice. The first case discusses the ethical dilemmas surrounding a critically ill newborn and the parents' role in decision-making. The second case involves the ethical considerations in the treatment of a terminally ill patient, highlighting the complexities of family dynamics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In conclusion, the paper asserts that Zaner's achievements demonstrate the potential benefits of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clinical ethics. It suggests that this approach can bridge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medical ethics, providing a more holistic and empathetic way of addressing ethical issues in healthcare.

      • KCI등재

        윤리상담(Ethics Consultation)의 역할과 적용 방안 -수용전념치료(ACT) 기법 활용을 중심으로-

        박형빈 ( Park Hyoung-bi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7 윤리교육연구 Vol.0 No.45

        교육현장에서 학생 개인의 올바른 인격을 형성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윤리상담은 한정된 시간과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교실 속도덕교육에 대한 보완책이 될 수 있다. 학생들은 윤리상담을 매개로 올바른 가치 확립뿐만 아니라 심적 치유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윤리상담은 철학상담과 임상심리치료, 정신의학과 정신치료들에서의 일부 혹은 전부를 수용한다. 또한 윤리학, 도덕교육, 도덕철학을 토대로 도덕교육학에서 추구하는 내용을 기반으로 구성된다. 윤리상담 실제를 위해 수용전념치료(ACT) 기법이 활용가능하다. 수용전념치료는 가치, 삶의 맥락, 전념행동 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도덕교육, 인성교육과 밀접하기 때문이다. 교사는 아동과 치유적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가치, 정서, 태도, 행동 등 총체적 측면에서 학생의 변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학생들은 교사와 윤리상담을 통해 도덕적 삶에 참여하고 도덕적 정체성을 형성하며 정신건강과 마음치유를 획득할 수 있다. It is important to help students to develop character in the field of education. Ethical Consultation can be a complementary measure for moral education of classroom in limited time and space. Students can participate in moral inquiry, form a moral identity and have opportunities for self-reflection through ethical consultation. At the same time, a series of virtues such as respect, care, participation, empathy, responsibility and fairness can be internalized. Ethical consultation accommodates some or all of philosophical counseling, clinical psychotherapy, and psychiatric care. It is also based on contents pursued by moral education based on ethics and moral philosophy.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techniques can be used for ethical consultation practice. It is because moral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closely relate to the pursuit of value, life context and devotional behavior. Teachers form healing relationships with children and have access to the overall aspects of the student, including values, emotions, attitudes and behaviors.

      • KCI등재

        윤리클리닉으로서 윤리상담에 관한 일 고찰

        박형빈 ( Hyoung Bin Park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48

        청소년기는 인성형성의 중요한 시기이다. 인성교육의 중핵교과로서 도덕과의 내실 있는 교육은 학생들의 올바른 인성형성을 위해 특히 요구된다. 도덕과 교사가 학생들의 인성형성에 기여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충실한 도덕과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도덕과 교사들의 수업 시간 내의 역할과 더불어 수업 시간 외의 역할도 중요하게 논의되어야 한다. 도덕과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는 학생들의 인성이 어떻게 형성되며 각각의 발달 단계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요인은 무엇인가에 대해 인식하고 학생들과 신뢰 속에서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도덕과 교육에서 교사가 상담자로서의 역할도 함께 담당할 것을 요청한다고 할 수 있다. 한정된 도덕과 수업시간과 공간을 극복하고 보다 효율적인 도덕과 교육을 일구어내기 위해서는 도덕과 교사가 학생들을 만나는 모든 순간과 모든 장소가 곧 도덕 수업의 연장선일 수 있어야 한다. 윤리상담에서 도덕과 교사는 학생들 개개인에 대해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안할 수 있다. 첫째, 도덕적 사고의 촉진자로서의 역할이다. 둘째, 학생들의 인성발달 상황에 대한 인지자와 발달촉진자로서의 역할이다. 셋째, 학생과 소통하고 공감할 수 있는 교사의 역할이다. 넷째, 학생들이 삶의 구체적인 맥락에서 삶의 목적과 가치의 문제에 대해 효과적인 대화를 할 것이 요구된다. 궁극적으로 마음치료자, 도덕적 인격 형성 촉진자로서의 도덕교사의 역할을 통해 윤리클리닉으로서의 윤리상담을 제안하고자 한다. Adolescence is a critical period in personality development. Fruitful moral education is particularly required for the formation of upright character as a core curriculum of personality education. To contribute to personality development of students and provide them for the more systematic and substantial moral curriculum, it must be significantly discussed about the role of moral education teachers during not only class but non-class times. Mo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recognize how to build the personality of students, and communicate empathically with students under mutual trust. This is also a calling for counselor role of moral education teacher. To surmount the limited conditions of moral class and cultivate moral education, mo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extend their boundaries in every area wherever or whenever they are. Moral education teachers can suggest individual student for the follwings: (1) the role as facilitator, (2) the role as assistant of each development process of each students, (3) the role as a teacher who can understand and communicate with students, (4) the necessity for effective conversation ability about the issues of the meaning, the purpose, and the value from students`` life experienc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ethics consultation should play a part as a ethics clinic through the study of the moral education teachers`` role as a mind therapist and the ethics consultation.

      • KCI등재

        Do consultancies compromise academic research and ethics? A case study of Burma/Myanmar

        Ardeth Maung Thawnghmung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17 As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25 No.2

        This paper contributes to ongoing debates about interactions between the political science discipline and policymaking communities by analysing the role played by scholars who work as consultants for government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international aid agencies in conflict-affected and postconflict societies. It argues that although consultancies permit scholars to engage with policy communities and provide convenient access for data collection, they also present methodological constraints and can complicate and compromise research ethics due to the inherent tensions linking the two different realms with their differing norms, agendas, and goals. The findings are based on the author’s decades of field experience in Myanmar, a country which has recently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n interviews with nine PhD candidates or PhD holders who have been employed as consultants for aid agencies in Myanmar and Southeast Asia, and analysis of secondary sources on countries with similar situations.

      • KCI등재

        한국의 대학병원에서 의료진들이 겪는 윤리적 문제 현황 및 임상윤리자문서비스의 필요성 조사

        김민선,김초희,홍진의,안아름,최은경,김범석,윤영호,허대석,박혜윤 한국의료윤리학회 2017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ature and number of ethical conflicts faced by physicians and nurses working at university hospitals in South Korea and also to assess the need for clinical ethics consultation servic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ugust 6 to 24, 2015 at three university hospitals in metropolitan areas; a total of 316 physicians and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85.1% of physicians and 76.6% of nurses answered that they had experienced ethical problems more than once a year during the course of their career, and about one third of respondents experienced such conflicts at least once every three months. For physicians, ethical dilemmas arose most often in the context of end-of-life care, mainly in terminating life-sustaining treatment (65.7%) and notifying patients of the end of medical treatment (63.6%). Ethical dilemmas experienced by nurses related primarily to difficult care decisions other than life-sustaining treatment (73.9%), impaired decision-making in patients (66.7%), and dealing with surrogate decision-makers (66.7%). When faced with ethical dilemmas, healthcare professionals usually made decisions informally by themselves or in consultation with close colleagues. More than 97%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needed a clinical ethics consultation service.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how the ethics consulting services described in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of 2018 can be developed into an effective model for solving ethical problems that arise in medical practice. 본 연구는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의사와 간호사가 임상 진료 시 겪는 윤리적 갈등의 현황을 조사하고 임상윤리자문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수도권 소재 3개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의사와 간호사 총 316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 6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의사직의 85.1%, 간호직의 76.6%가 환자를 진료 및 간호하는 과정 중에 1번이상 윤리적 문제를 경험하였다고 응답하였고 응답자의 1/3 가량이 3개월에 1번 이상 이러한 갈등을겪었다고 하였다. 갈등의 원인으로는 의사직의 경우 인공호흡기 철회 등 연명의료 중지(65.7%), 말기통보 등의 진실 알리기(63.6%)의 빈도가 높았고 간호직은 연명의료 이외의 어려운 치료 결정(73.9%), 환자의 동의 및 의사 결정 능력에 따른 문제(66.7%), 의사결정대리 관련 문제(66.7%)의 순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는 스스로 해결하거나 주변에 의견을 구하는 비공식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임상윤리자문서비스의 도입에 대하여 97% 이상이 필요하다고응답하여 환자 진료의 최전선에 있는 의료진들에게서 윤리자문의 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2018 년 2월부터 시행되는 연명의료결정법에 제시된 윤리위원회의 역할이 실제로 의료 현장의 구체적인 문제의 해결을 도울 수 있는 윤리지원 모델로 발전할 수 있도록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해 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