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Educational Methods(아랍어 논문)

        Salim Idan Al-Tie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중동연구소 2006 중동연구 Vol.24 No.2

        <Abstract> Educational Methods Salim Idan Al-Tie HUFS Educational methods are becoming very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era. They are aids for the professors and teachers throughout his educational journey as they make the students happy and more opened and willing to study without boredom. That is why professors and teachers should be keen to provide all the essential educational methods and it is not necessary to be expensive, but rather they can use environmental materials in order to enrich these methods and present them in a special and attractive way, but this doesn't mean that neglecting the technological side while we are in the development era. The professors and teachers should use these methods in their classes and teach their students how to use and deal with them as modernized methods. These professors should deal and present these modernized and renewable and not to just stick to one traditional method in presenting his educational methods but he should always work on improving them. This research came to the following important conclusions: 1- Increasing the efforts concerning how to work with the modern educational methods. 2- Having training courses and workshops for the professors and teachers in order to be always updated on the modern and new educational methods. 3- Effectively applying the educational system using computers in the universities and schools. 4- Applying the Internet in universities and schools in order to facilitate the educational system among students. Finally, I hope that this research has gained the approval of the professors and teachers. Key word: Educational method, educational system, Internet, Application of Modern Technology

      • KCI등재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인식 조사 연구와 시사점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중심으로

        이준,방선희 한국교육방법학회 2010 교육방법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education on『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at purpose, the researchers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analyzed the 7 textbooks of the『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courses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the widely used textbooks fit to the purpose of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fter that, we surveyed 140 university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a lesson of『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rom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about teaching professionalism which are evaluating own self and effects of『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which are helping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Overall results are students assessed their own professionalism level as higher than the ordinary level. On the other hand the score about effects of『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which are helping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are lower than their own teaching professionalism level. In the open-ended questionnaire, the pre-servic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need learning 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 as form of practically apply. Several suggestions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First, we need to teach by『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need to teach by practical case, real example in『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class for promote teaching professionalism. Second, students need to get opportunity for practice and actual implementation when they take a class. Finally, we have to consider about the actual classroom environment of K-12 schools. 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직이론 과목은 교원의 전문성 함양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직이론 과목 중『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은 특히 교원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해 개설되는 과목이다. 따라서 사범대, 교육대학원 등 교원양성기관에서 개설되는『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과목은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에 있어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을 배양할 수 있는 이론적, 실천적 지식이 습득되도록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교원양성과정에서 교원의 수업전문성을 위한 기본 이수 과목인『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이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신장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과목 개설 취지에 보다 내실 있게 부합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원양성과정에서의 교직과목 운영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교재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으며,『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과목을 이수하고 현장학교에서 수업실습을 마친 예비교원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교재들은 교원양성과정에 요구되는 교수요목을 적절히 반영하고는 있었으나 교사와 학생간의 의사소통 방법이나 창의적인 수업방법의 개발, 국내 공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한 현장 적용 방안 등은 미흡하게 다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비교원들은 교직과목『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수강이 수업전문성 신장에 도움을 주는 정도가 크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예비교원 스스로 평가한 본인의 수업전문성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비교원들은『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교육내용이 실제 교실 수업장면에서 활용하기에는 이론적이고 추상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현장 중심의 실용적이고 적용 가능한 수업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평가" 방법 재고

        이명실 ( Myung Sil Lee ) 한국작문학회 2008 작문연구 Vol.0 No.6

        본 연구에서는 대학 글쓰기에서 평가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가지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학생들이 쓴 글을 평가하는데 표준화된 지표는 존재 할 수 있는가? 있다면 그 항목은 어떻게 설정되어야 하나? 평가자의 주관을 배제한 공정성·객관성은 담보될 수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글쓰기 교육에서 평가가 객관성, 타당성, 신뢰성을 갖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의 측면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먼저, 평가에서 많이 지적되는 점은 평가의 객관성, 공정성의 문제이다. 이는 평가의 기준이 분명하게 제시되지 않거나 기준이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 기인한다. 즉 평가자의 기준에 학생들이 동의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그러나 학생들도 공감할 수 있는 분명한 기준을 제시한다면 공정성, 객관성의 시비는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분명한 기준을 제시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수업 목표를 구체적인 행동적 용어로 진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학생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를 분명히 제시해 주어 학습 참여도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된다. 다음으로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는 완성된 글만을 가지고 학생의 전체 글쓰기 능력을 측정할 것이 아니라 글쓰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중시해야 한다는 논리에 근거한 것이다. 즉 결과 평가만이 아니라 과정 평가도, 총괄평가만이 아니라 형성평가와 진단평가도, 그리고 능력참조평가와 성장참조평가도 활용한다면 평가의 적절성이 보다 담보될 수 있으리라 본다. 흔히 평가는 학업 성취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고 모든 수업 활동이 일단락 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바꾸어 생각하면 평가는 모든 수업활동의 출발점이 되기도 한다. 평가의 내용은 당연히 수업에서 도달해야 할 목표이며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수업 내용이 되며, 다음 수업의 목표 설정과 수업 내용의 결정에 기반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따라서 ‘평가’의 의미를 수업이 이루어지는 전체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재설정하는 관점의 전환이 요구된다. In this study, it was discussed about how to evaluate the academic writing. Is there a standardized index to evaluate the academic writing made by learners in university? If so, what items are those standardized index made up of? Can we prove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ose items without raters` subjectivity? It was discussed about what must be considered, for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al programs in university, to have objectivity, validity, and reliability. To be considered in the first place is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ose evaluation methods. This is due to alterability and ambiguity of those raters` standards, which means that learners don`t agree with the standards of evaluation methods. But if those standards are clear enough to obtain learners` consents, there will not be “right and wrong” on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methods.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al objectives should be defined in behavior terms to present clear standards. These behaviorally stated objectives can make learners know what behavior they should do and participate in an active process which involves active efforts of the learners themselves. Secondly, evaluation methods have to include various kinds of evaluation methods, which means learners` academic writing abilities should not only be evaluated by their written results, but also by their writing process. That is, more reasonable evaluation methods of the academic writing in university must not only contain evaluation of written results, but also that of writing process. And it also needs not only summation evaluation method, but also formative evaluation method, diagnostic evaluation method and ability / growth referenced evaluation method. Usually, evaluation is used to measure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goals or objectives after completion of the whole educational process. However, in other words, evaluation can be starting point of whole educational process. The contents of evaluation can be helpful to decid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to achieve defined goals. It can also afford materials to meet the next educational courses. Therefore, the meaning of “evaluation” needs to be changed into “evaluation on the whole edu- cational processes.”

      • KCI등재

        공자의 단비교육법 연구

        윤용남 한국동양철학회 2015 동양철학 Vol.0 No.44

        Cramming method of teaching, which is ruling over in our public education system, also has a lot of problems, but it has such advantages for knowledge delivery in quickness and large quantities. Many people point out this method has several defects such as compulsory learning, uniform memorizing education, regression in self regulated competency and creativity, especially in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learning process. Cramming method brings a lot of problems like disregard of the students' personal rights and instigation of private education. Those problems can be solved by the Confucius' education system, Danbi(timely rain) teaching method. The following are several characteristics in the teaching method. First of all, this method tries to draw the spontaneousness of the learner through the excitements of motivating process for learning. That is to say, it is not teacher-centered education but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Second, though the learning motivation process if there are learners who are anxious for learning, just then teaching is done according to the levels and capacities of them. So the learning contents may vary depending on level of the learners. Third, the teacher waits for a ripe opportunity until the learners are fit for the tasks. However if we were to talk about this in more detail, it could be divided into two kinds of methods. One is step-by-step process and the other is waiting for the time when the learners are fit for the tasks of levels by themselves. Forth, teachers teach the very contents which learners are willing to learn. This way of teaching is also divided into two kinds method. One is filling up a lacuna in their knowledge and the other is educating the learners according to their natures or tendencies. Fifth, during the educating, question and answer methods are used for the learner's developmental stages and the contents fit for them. Those concerns can be fulfilled easily if the teachers taugh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ontents, learners inquired into. In other words, the teachers fix their level and course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questioning levels. In the Danbi teaching method, the teachers have to much more efforts as compare with cramming method of teaching. Because the teachers have to prepare for the any other questions of learners and to take much more means for the diversities of learners, such and such different, need to have one-to-one customized education.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기관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주입식 교육은 한꺼번에 다수의 학생에게 동일한 내용을 빨리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많은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특히 학습의 강요, 획일적인 내용 암기, 자기주도학습 능력이나 창의력의 퇴화, 수준별 학습이 불가능한 것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결국 학생의 인격을 무시하고, 나아가 사교육을 동원하여 교육성과를 조장하게 만든다. 공자의 단비[時雨]교육법은 ‘개인별 맞춤교육’으로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교육방법이다. 단비교육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유지학(善誘志學), 즉 학습자를 잘 유인하여 자발적으로 배우고자 하는 의지를 갖도록 최대한 노력한다. 이는 교육자 중심이 아닌 학습자 중심 교육이다. 둘째, 학습동기가 유발되어 배우고자 하는 학생이 있을 경우, 재성⋅보상(財成輔相), 즉 학생의 수준에 맞추어 단계를 나누고, 그 재능이나 학습내용에 맞는 교육과정을 새로 만들어 교육한다. 셋째, 대시계발(待時啓發), 즉 학습자의 수준이 향상하기를 기다려 계발한다. 이는 다시 둘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단계별로 나눈 과정을 건너뛰지[躐等] 않고 차례대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학습자가 일정한 기준에 스스로 도달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넷째, 인재시교(因材施敎), 즉 학습자가 배우고자 하는 내용이나 재능에 맞추어 가르친다. 이 역시 둘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학습자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기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학습자의 성격이나 성향에 맞게 가르치는 것이다. 다섯째, 대문해혹(待問解惑) 즉, 묻기를 기다려서 그 궁금증을 풀어준다. 이렇게 하면 교육의 시의성과 내용의 적절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학습자의 질문 수준에 맞추어 교육과정과 교육수준 등을 조정한다. 단비교육에서는 교육자가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학습자가 어떤 질문을 할지 모르기 때문에 더 많은 준비를 미리 해두어야 하고, 학습자의 상황에 따라 개인별 맞춤교육을 해야 하기 때문에 더 많은 수법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평가’ 방법의 재고

        이명실 한국작문학회 2008 작문연구 Vol.0 No.6

        In this study, it was discussed about how to evaluate the academic writing. Is there a standardized index to evaluate the academic writing made by learners in university? If so, what items are those standardized index made up of? Can we prove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ose items without raters' subjectivity? It was discussed about what must be considered, for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al programs in university, to have objectivity, validity, and reliability. To be considered in the first place is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ose evaluation methods. This is due to alterability and ambiguity of those raters' standards, which means that learners don't agree with the standards of evaluation methods. But if those standards are clear enough to obtain learners' consents, there will not be “right and wrong” on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methods.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al objectives should be defined in behavior terms to present clear standards. These behaviorally stated objectives can make learners know what behavior they should do and participate in an active process which involves active efforts of the learners themselves. Secondly, evaluation methods have to include various kinds of evaluation methods, which means learners' academic writing abilities should not only be evaluated by their written results, but also by their writing process. That is, more reasonable evaluation methods of the academic writing in university must not only contain evaluation of written results, but also that of writing process. And it also needs not only summation evaluation method, but also formative evaluation method, diagnostic evaluation method and ability/growth referenced evaluation method. Usually, evaluation is used to measure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goals or objectives after completion of the whole educational process. However, in other words, evaluation can be starting point of whole educational process. The contents of evaluation can be helpful to decid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to achieve defined goals. It can also afford materials to meet the next educational courses. Therefore, the meaning of “evaluation” needs to be changed into “evaluation on the whole edu- cational processes.” 본 연구에서는 대학 글쓰기에서 평가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가지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학생들이 쓴 글을 평가하는데 표준화된 지표는 존재할 수 있는가? 있다면 그 항목은 어떻게 설정되어야 하나? 평가자의 주관을 배제한 공정성·객관성은 담보될 수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글쓰기 교육에서 평가가 객관성, 타당성, 신뢰성을 갖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의 측면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먼저, 평가에서 많이 지적되는 점은 평가의 객관성, 공정성의 문제이다. 이는 평가의 기준이 분명하게 제시되지 않거나 기준이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 기인한다. 즉 평가자의 기준에 학생들이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학생들도 공감할 수 있는 분명한 기준을 제시한다면 공정성, 객관성의 시비는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분명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수업 목표를 구체적인 행동적 용어로 진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학생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를 분명히 제시해 주어 학습 참여도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된다. 다음으로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는 완성된 글만을 가지고 학생의 전체 글쓰기 능력을 측정할 것이 아니라 글쓰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중시해야 한다는 논리에 근거한 것이다. 즉 결과 평가만이 아니라 과정 평가도, 총괄평가만이 아니라 형성평가와 진단평가도, 그리고 능력참조평가와 성장참조평가도 활용한다면 평가의 적절성이 보다 담보될 수 있으리라 본다. 흔히 평가는 학업 성취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고 모든 수업 활동이 일단락 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바꾸어 생각하면 평가는 모든 수업활동의 출발점이 되기도 한다. 평가의 내용은 당연히 수업에서 도달해야 할 목표이며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수업 내용이 되며, 다음 수업의 목표 설정과 수업 내용의 결정에 기반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따라서 ‘평가’의 의미를 수업이 이루어지는 전체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재설정하는 관점의 전환이 요구된다.

      • KCI등재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부사관과의 읽기-쓰기 연계 교육방안

        유용태 한국융합보안학회 2018 융합보안 논문지 Vol.18 No.5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look deeper into a read-write education method for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ies of petty officer majoring students in community colleague level. The read-write education method improves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read-write education method is modified to a ‘read-write-correction’ education method and the method is planed proper ways to run the course of the education. A writing report class method which is based on ‘read-write’ education method is the key process of this education. the education method suggests directions of a taking memo and a guideline of summarizing from the reading part, and the directions of a taking memo and a guideline of summarizing are used on report writings class from the writing part of the ‘read-write’ education method. The correction part of the education method is controlled by instructors under a process of the ‘read-write-correction.’ The read-write education method by using the report writing helps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ies in work fields because the report writing is based on utilizing document formats that can be used future in petty officer work filed. For the last, the study mentions a proposal for further tasks on this field of the study. 본 연구는 전문대학 부사관과의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읽기-쓰기 연계 교육방안을 고찰하였다. 읽기쓰기 연계 교육은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의 동시에 향상시킨다. 이에 부사관과의 읽기-쓰기 연계 교육 모형을 ‘읽기-쓰기-첨 삭’으로 구성하고 이에 적합한 실행방안을 도모하였다. 구체적인 실행은 보고서를 중심으로 읽기-쓰기 연계를 실습하는 것이 다. 이는 읽기에서 메모 및 요약 틀을 제시하여 작성하고 쓰기에서 읽기의 메모 및 요약 틀을 적용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 이다. 첨삭은 교수자가 읽기-쓰기의 전 과정에서 검토하는 것이다. 보고서를 활용한 부사관과의 읽기-쓰기 방안은 부사관에게 필요한 보고서 양식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업무와 관련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끝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방법원리 교육관의 하위유형 및 특성 탐색

        신기현 한국교육원리학회 2011 교육원리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방법원리 교육관의 하위유형과 특성을 탐색함으로써 현대사회에 만연된 방법원리 교육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그 과정에서 교육관 유형연구의 기본적인 이론틀을 형성하려는 목적을 갖고 수행되었다. 방법원리 교육관은 교육의 본질을 방법으로 규정하고, 그 방법에 들어있는 원리를 교육원리로 삼아 교육을 사고하는 유형을 지칭한다. 이 연구에서는 방법원리 교육관의 하위 유형으로 Bobbitt의 생산원리의 교육관, Skinner의 행동통제원리의 교육관, 그리고 Banathy의 체계원리의 교육관을 구성하고, 방법원리 교육관의 핵심 특성과 그 사고체계가 갖는 한계를 지적하였다. 이 연구가 교육관 또는 교육관 유형 연구를 활성화하고, 일반적으로는 교육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sub-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view of education of method principles. By the view of education of method principles, education is defined as a method which should be efficient means to achieve aims given outside of education. Three sub-types of the view of education of method principles are identified and discussed in this study. Three sub-types of the view of education(Bobbitt's educational view of production principles, Skinner's educational view of behavior principles, and Banathy's educational view of system principl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educational principles. And in this paper I explore key characteristics and limits of the view of education of method principles based on three sub-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improve studies of typologies of view of education and to understand more systematically the view of education of method principles.

      • KCI등재

        韓國 漢文文法의 形態論 敎育論 硏究

        안재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3 No.-

        이 논문은 한국에서 한문문법 형태론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연구 방향을 제시한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려 한 것은 한국인이 한문문법 형태론 지식을 통해, 흥미를 가지고 漢文 原典에 다가가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敎授者 입장에서 학습자에게 형태론적으로 한문을 교육시키는 것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보려한 것은 형태론 교육의 목표, 형태론교육의 내용(품사론, 어휘 분류와 방법), 형태론 교육론의 교수법, 형태론 교육론의 평가법 등이다. 1. 형태론 교육의 목표1.1 형태소의 개념과 유형을 안다. 1.2 형태소의 기능과 의미구조에 대하여 안다.1.3 형태소와 형태소의 결합관계를 안다. 1.4 품사의 개념과 분류 기준을 안다. 1.5 단어의 분류와 그 방법을 안다. 1.6 허사의 기능을 안다. 2. 형태론 교육의 내용2.1 품사론2.1.1 ‘品詞’는 단어(어휘)를 의미와 기능에 따라 분류하여 공통된 성질을 가진것끼리 모아 놓은 단어들의 갈래다. 단어는 보편적으로 문법적 특성에따라 가름한다. 문법적 특성은 형태(form), 의미(meaning), 기능(function)에 따른 특성이며, 이 기준에 따라 구분한 單語(語彙)群을 ‘품사’라 하고, 이러한 ‘품사에 대한 연구’를 ‘品詞論’이라 한다. 2.1.2 한국 학교문법에서는 품사를, 10품사로 구분하고 있다. 10품사는 實詞와虛詞로 구분한다. ‘實詞’에 속하는 품사로는 名詞, 代名詞, 數詞, 動詞, 形容詞, 副詞 등이 있고, ‘虛詞’에 속하는 품사로는 介詞(前置詞), 連詞 (接續詞), 語助詞, 感歎詞 등이 있다. 2.2 單語(語彙) 分類와 그 方法 2.2.1 漢字語의 性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어휘의 개념은 단어, 낱말, 語詞, 한자어 등의 개념과 유사한 개념으로 統稱되고 있다. 한자어의 성격은 한문 체계로 보면, 한자어는 漢字, 漢字語, 漢字成語로 이루어진 ‘漢字 語彙’의 한 갈래로써, 한문의 單語, 句, 文章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게되는 문법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문 체계 속에서 볼 때, 한자는 한자어와 명확하게 구분된다. 한자는 그 자체로 문법 구조를 이루고 있지 못하지만, 한자어는 단어, 어휘이면서 문장의 통사 구조를 갖추고 있다. 한문 체계에서 한자어는 2~3음절의 어휘만을 일컫는 것이 타당성이 있다 할 수 있다. 2.2.2 漢字語 語彙의 分類: 近代以前은 ‘漢文文語’에 나타나는 한자어를 중심으로 하고, 근대이후는 ‘신생 한자어휘’ 연구를 중심으로 하고자 한다. 2.2.3 單語의 形成 方法에 따른 分類: 單語는 일반적으로 單純語와 複合語로나뉜다. 단순어는 다시 單音節單純語와 多音節單純語로 구분하고, 복합어는 다시 合成語와 派生語로 구분한다. 合成語는 다시 類似語와 相對 語, 統辭的 構造語로 나누고, 派生語는 ‘基語+接辭’의 구조로 된 것과2.3 形態論 敎育論 敎授法 2.3.1 語彙에 관한 敎授法에 대한 硏究는 單語의 짜임의 경우, ‘造語分析法’ 등의 교수 수업 방법이, 단어의 갈래 및 어휘(성어)의 경우는 ‘言語活用 法’ ‘索出法’, ‘比較學習法’ 등이 효과적이다 할 수 있다. 2.3.2 語彙의 字義와 語義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한 교수법으로는, ‘字義 분석을 통한 지도방안’과 ‘語義 분석을 통한 지도 방안’이 효과적이라 할수 있다. 2.3.3 多音節 語彙의 敎授․學習法으로는, ‘故事成語’의 경우, 기존의 ‘토의학습법, 역할놀이 학습법’등이 있다. 이외에, 壓縮性을 띤 다음절 어휘는‘이야기를 중... This thesis suggests the research direction of educating morphology of Classical Chinese Grammar in Korea. This thesis mainly focuses on two things. First, developing Korean’s interpretation ability to the original text through the knowledge about morphology of Classical Chinese Grammar. Second, studying the way instructors teach Classical Chinese in morphological methods. In other words, we will look through the objects, contents, instruct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 of educating morphology. The objects of educating morphology1.1 Know the concept and type of morpheme. 1.2 Know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morpheme. 1.3 Know the combination relationship of morpheme. 1.4 Know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a part of speech. 1.5 Know the classification of words. 1.6 Know the function of an expletive. 2. The contents of educating morphology2.1 Theory of a part of speech2.1.1 ‘A part of speech’ is the group of word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classified according to functions and meanings. Generally, words are classified by grammatical features. Grammatical features includes forms, meanings and functions. A group of words that are sorted by these features is called ‘A part of speech’, and the research about these groups of words is called ‘Theory of a part of speech’. 2.1.2 Words are grouped in ten parts in Korean school. Ten parts of speech are sorted to a substantive and an expletive. A substantive contains a noun, a pronoun, a numeral, a verb, an adjective and an adverb. An expletive includes a preposition, a conjunction, a particle and an exclamation. 2.2 Classification of words2.2.1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Chinese words’ :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consists of ‘characters’, ‘words’, and ‘idioms’ in the respect of system of Classical Chinese. ‘Classical Chinese words’ are one part of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and make grammatical structure that contains the functions of words, phrases and sentences. In the system of Classical Chinese,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are clearly different from ‘Classical Chinese words’.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cannot make grammatical structures, but ‘Classical Chinese words’ make syntax structure of sentences. It is proper to say that ‘Classical Chinese words’ are di- or trisyllabic words in the system of Classical Chinese. 2.2.2 Classification of ‘Classical Chinese words’ :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Written language’ before modern ages, and ‘newly made words’ after modern ages. 2.2.3 Classification of words by formation methods : In general, words are sorted to ‘Simplex’ and ‘Compound’. ‘Simplex’ consists of monosyllabic simplex and multisyllabic simplex. ‘Compound’ consists of compound, which is classified to an analogous term, a relative term and structural term, and derivative, which is classified to ‘root+affix’ structure and ‘affix+root’ structure. 3. Instructing method of morphology3.1 When educating the organization of words, ‘Coined-word-segmentalization method’ is effective, and when educating the sort of words, ‘Language-application method’, ‘Search-out method’, and ‘Comparative-learning method’ are effective. 3.2 ‘Instructing method through analyzing meanings of characters’ and ‘Instructing method through analyzing meanings of words’ are helpful to educating characters of Classical Chinese and words of Classical Chinese, respectively. 3.3 When educating multisyllabic vocabulary, ‘discussion, play-a-role method’, ‘comprehending-through-tales method’,‘comprehending-transformative-use-of-vocabulary method’,‘comprehending-characteristics-of-onomatopoeic-and-mimesis method’ are effective to teaching idioms, compressive words, argot, and adjective words, respectively. 4. Evaluation method of instructing morphologyEvaluation of instructing morphology about Classical Chinese should be done as an exte...

      • KCI등재

        한문문법(漢文文法)의 통사론교육론연구(統辭論敎育論硏究)

        안재철 ( Jae Chul Ah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4 한문교육논집 Vol.42 No.-

        이 논문은 한문문법 통사론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연구 방향을 제시한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려 한 것은 한문문법 통사론 지식을 통해, 흥미를 가지고 漢文原典에 다가가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敎授者입장에서 학습자에게 통사론적으로 한문을 교육시키는 것 등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보려한 것은 통사론 교육의 목표, 통사론 교육의 내용, 통사론 교육론의 교수법, 통사론 교육론의 평가법 등이다. 1. 統辭論敎育의 目標 1.1 문장의 개념과 유형을 안다. 1.2 문장의 구성 원리를 안다. 1.3 문장 성분을 안다. 1.4 문장의 기본구조와 확장구조를 안다. 1.5 복합문의 구조를 안다. 1.6 문장의 종류(Sentence Form)를 안다. 1.7 문장을 풀이하고 이해한다. 2. 統辭論敎育의 內容 2.1 통사론 : 통사론은 단어(詞)들이 결합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2.2 文章構成原理: 문장은 몇 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 구성 요소를 文章成分이라 한다. 문장성분에는 必須成分과 附屬成分이 있다. 필수성분은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이고, 부속 성분은 冠形語, 副詞語, 獨立語등이다. 2.3 漢字語의 生成과 漢文構造를 통한 讀解(統辭論) 敎育: 한자어의 구조는 한문문장의 구조와 類似하다. 그러므로 한자어의 구성 방식을 이해하고 한문 문장을 讀解한다면, 쉽고 재미있게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2.4 漢文文章의 構造類型을 통한 讀解(統辭論) 敎育: 한문 문장의 구조 유형을 익히고, 독해를 하면, 효과적이다. 單文의 경우는 기본구조와 확장구조를 통하여 구조 유형을 익히고, 複合文의 경우는 병렬, 주종, 포유, 혼합 복합문 등의 구조 유형을 통해 다양한 문장을 익힐 수 있다. 2.5 漢文文章類型을 통한 讀解(統辭論) 敎育: 현행 2011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는 문장의 유형을 敍法을 기준으로 ‘平敍文, 疑問文, 命令文, 感歎文’으로만 설정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여러 가지 유형의 문장을 익힐 수 있다. 2.6 漢文文章의 大單元分析을 통한 讀解(統辭論) 敎育: 한문의 대단원의 문장을 실제 분석을 통해, 글의 주제와 전체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서는 두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첫째 방법은 ‘漢字→大單元’으로 한 단계씩 문장을 파악하면서 올라가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둘째 방법은 ‘大單元→漢字’로 거슬러 내려오면서, 글의 구조를 파악하고 주제와 전체 의미를 파악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3. 統辭論敎育論敎授法 통사론의 교수-학습법은 통사론의 내용들을 학습자들이 쉽고 재미있게 체계적으로 그 원리를 터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문장에 관한 讀解指導法에 대한 연구는 ‘虛辭지도를 통한 독해지도법’, ‘語順4. 統辭論敎育論評價法漢文(文言文)에 대한 통사론 교육론 평가는 통사론의 교수- 학습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한문과 통사론 교육론의 평가는 통사론의 문법적 원리와 기능과 의미기능, 구조와 결합의 원리들을 실제의 자료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발견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관찰력, 판단력, 분석력, 종합력 등을 평가하면 좋을 것이다. 한국에서 통사론 교육론 평가법은 현행 중·고등학교 한문교과에, 현행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漢文科成就基準및 成就水準이 개발이 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중학교 ‘한문지식’ 중 ‘문장’ 영역의 성취 기준 및 성취 수준의 경우만을 살펴보았다. 4.1. 中學校漢文文章領域의 成就基準및 成就水準중학교 한문교과의 ‘문장’영역의 교육과정 내용과 성취기준 그리고 단위 성취수준은 교육과정 ‘문장’영역에 대한 각각의 내용요소에서 성취기준이 상세하게 記述되었으며, 각 성취기준에 따라 성취수준을 다시 ‘상, 중, 하’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문장 영역의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을 기술할 경우, 성취수준(상, 중,하)간에 질적인 차이를 구분할 때, ‘상’수준은 ‘설명할 수 있다’, ‘중’수준은 ‘말할 수 있다’, ‘하’수준은 ‘조사할 수 있다’라는 行動動詞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수준에서는 ‘구별하다’, ‘활용하다’ 등의 어휘를 사용하여 ‘중’ 수준과 도달한 정도에 차이를 두어구별하였다. This thesis suggests the research direction of educating syntax of Classical Chinese Grammar in Korea. This thesis mainly focuses on two things. First, developing Korean`s interpretation ability to the original text through the knowledge about syntax of Classical Chinese Grammar. Second, studying the way instructors teach Classical Chinese in syntactic methods. In other words, we will look through the objects, contents, instruct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 of educating syntax. The objects of educating syntax 1.1 Know the concept and type of sentence 1.2 Know the constituting principle of sentence 1.3 Know the constituent of sentence 1.4 Know the basic sentence pattern and expanded pattern of sentence 1.5 Know the complex patterns of sentence 1.6 Know the sentence forms 1.7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sentence 2. The contents of educating syntax 2.1 Syntax : Syntax is the study of comprising principles of sentences by vocabularies. 2.2 Comprising principles of sentences : Sentence consists of some elements, and we name them components of sentence. There are essential and annex components. The subject, the predicate, the object, and the complement are essential components. The determiner, the adverb, and the independent element are annex components. 2.3 Reading comprehension education through formation of vocabulary and structure of sentence : Sino-Korean words are similar to the structure of Classical Chinese sentence. Therefore, if person understands composition of Sino-Korean words firstly, and reads Classical Chinese sentences, then that person can understand the sentence more easy and interestingly. 2.4 Syntax education through studying structure types of sentences : It is effective when person learns many types of Classical Chinese sentences and then reads them. In the case of simple sentence, people learn structures through basic and expanded structures. And in the case of complex sentence, people learn many sentences through studying types of structures such as parallel, master and servant, containing, and mixed types. 2.5 Syntax education through studying types of sentence : In current revised Classical Chinese subject curriculum, it establishes types of sentence to ‘declarative, interrogative, imperative, exclamatory’. Through this people can learn various types of sentences. 2.6 Syntax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chapters : There are two ways to comprehend topic of writing. First, there is the way to go upward through sentence in the level of ‘words’ to ‘chapter’. Second, there is the way to go downward in the level of ‘chapter’ to ‘word’. 3. Instructing method of syntax It is recommended that students learn the principles and contents of syntax, easy and systematically in the point of ‘instructing-learning method’. For the researches of reading instruction method, there are ‘Reading instruction method through pseudo-element’, and ‘Reading instruction method through word order’. For the instructing methods about word order, there are ‘comparison method’, ‘repetition method’, ‘substitution method’ and ‘search-out method’. 4. Evaluation method of instructing syntax Evaluation of instructing syntax about Classical Chinese should be done as an extens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yntax’ Instructing syntax about Classical Chinese can be evaluated by following questions. “Can learners find, by on their own, grammatical functions, meanings and combination principles of syntax through real materials?” And we can evaluate learners abilities of observation, judgement, analysis and synthesis in that process. In Korea, achievement levels and standards are developed, which are based on current curriculum of Classical Chinese subject in middle.high school. So we studied evaluation method of instructing syntax by these criteria.

      • KCI등재후보

        Implications of Kilpatrick's Project Method in Technology Education

        Choonsig Lee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4

        이 연구는 먼저 전통적인 기술교육(이하 기술교육)에서의 프로젝트법은 무엇이고, Kilpatrick의 프로젝트법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구안되었으며, 그 의미와 이와 관련된 논쟁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나서 Kilpatrick의 프로젝트법이 기술교육 분야에서 새롭 게 적용되도록 한 교육적 함의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Kilpatrick은 프로젝트의 개념을 지나치게 광범위하게 정의함으로써 교수방법로서의 혼란을 가져왔으나, 기술 교육에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전통적으로 생산적이고 기 술 습득 활동과 Kilpatrick의 전심을 다한 유목적적 활동을 접목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해주었다. 둘째, 기술교육에서 전통적인 교사중심의 활동에서 학생중심의 활동으로의 전환을 가져다 주는 방법이 되었다. Kilpatrick의 프로젝트법은 기술교육의 수업에서 기존의 교과의 논리적인 측면에 부가하여 학생의 심리적인 측면을 강조한 것은 큰 전환이 되었다. 셋째, 기술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감독자나 전수자가 아닌 조언자와 촉진자로 전환시켜 주었다. 기술교육에서 학습자들의 동기를 유발시키고 효과를 촉진하기 위하여 교사의 역할이 조언자와 촉진자가 바뀌는 계기에 프로젝트법이 기여하였다. 넷째, 기술교육에서 프로젝트법을 통해 전통적으로 선형 모형(linear model)에 따라 기술 작품을 따라하기나 모방하기에서 벗어나 학습자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작품을 창의성으로 만드는 것을 중시하는 혁신적인 문화를 가져다 주었다. 프로젝트 교육과 더불어 프로젝트 활동 교육을 강조함에 따라 기술교육에서의 기술습득을 자기주도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할 수 있도록 전환되 었다. 다섯째, Kilpatrick의 프로젝트법으로 인해 전통적으로 기술교육에서의 이론과 실습의 엄격한 분리에서 벗어나 통합 모형 (univesal model)에 따른 프로젝트 활동을 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Kilpatrick의 프로젝트법은 기술교육에서의 모호한 프로젝트 수행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시 해 주었다. Kilpatrick의 프로젝트법이 목적설정, 계획, 수행, 판단의 4단계를 기본으로 다양한 단계(준비, 프로젝트 선정, 정보탐 색, 설계, 제작, 평가)를 적용하여 변형할 수 있는 여지를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ssues related to the traditional project method and Kilpatrick's project method in technology education, and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Kilpatrick's project method to be newly applied in the field of technology education. First, Kilpatrick defined the concept of a project too broadly, which caused confusion as a teaching method in technolgy education, bu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general use in technolgy activity classes. Second, it has traditionally been a method to bring about a shift from teacher-centered activities to student-centered activities in technolgy education. Third, the role of teachers in technolgy education has been transformed into advisors and facilitators rather than supervisors or trainers. In order to motivate learners and promote activities, the project method contributed to the opportunity to change the role of the teacher as a guide. Fourth, by applying the project method in technolgy education, it brought about a change that emphasized creativity and technology application of learners in their own initiative, away from imitating technical works. Fifth, by introducing Kilpatrick's project method, it allowed integrated project activities to break away from the traditional strict sepa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in technolgy education. Finally, Kilpatrick's project method suggested that the ambiguous project execution stage in traditional technolgy education could be carried out more specif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