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극화놀이를 활용한 공감교육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홍지명 ( Jimyeong H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극화놀이를 활용한 공감교육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M지역의 D유아교육기관 만 5세 유아 40명이다. 연구도구는 배려적 사고 척도, 창의적 인성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는 실험집단은 극화놀이를 통한 공감교육을, 비교집단은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공감교육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실험처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4.0을 사용하여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극화놀이를 활용한 공감교육은 유아의 배려적 사고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극화놀이를 활용한 공감교육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극화놀이를 활용한 공감교육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와 창의적 인성 증진을 위한 교육활동으로 가치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를 통해 극화놀이의 교육적 가치와 함께 유아교육현장에서 극화놀이 활동의 효율적인 적용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empathy education using dramatic play on the considerat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The research subjects 40 children aged 5 years old in D-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M region. The research tools used a considerate thinking scale and creative personality test tool.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empathy education using dramatic play and the comparative group provided empathy education through story sharing. The data analysis was analyzed through t-verification using SPSS24.0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xperimental treatment. Studies show that first, empathy education using dramatic pla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considerate thinking in young children. Second, empathy education using dramatic pla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creative character of young children.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at empathy education using dramatic play is valuable as educational activities to promote considerat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This suggests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on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the play activitie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long with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play.

      • KCI등재

        극화놀이를 통한 유아공감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정하나 ( Ha Na Jung ),지성애 ( Sung Ae Ch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6

        본 연구는 극화놀이를 통한 유아공감능력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의 유아교육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극화놀이를 통한 유아공감능력 증진 프로그램은 목적·목표 → 교육내용(인지적공감·정서적공감·소통적공감) → 교수학습방법 → 평가체계로 개발되었다. 개발한 극화놀이를 통한 유아공감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선정하고, 실험집단에는 극화놀이를 통한 유아공감능력 증진 프로그램을 처치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스토리 만들기를 통한 유아공감능력 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연구대상의 월령은 80.01개월이었으며 수집된 연구자료는 t-test와 ANCOVA를 통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극화놀이를 통한 유아공감능력 증진 프로그램이 스토리 만들기를 통한 유아공감능력 증진 프로그램 보다 유아의 자아존중감, 마음이론 발달 그리고 공감능력을 유의미하게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mpathy Program through Dramatic play for young children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subject used in this study were 5 year-old children.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8 months.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the Empathy Program through Dramatic Play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in this study, whereas the comparative group carried out a story making-based young children`s empathy improvement program. "Young Children`s Self-Esteem Test" and "Content Exchange Task", "Location Shift Task", "First/Second Order False Belief Task" and "Test of Ability of Empathy" were used in collection of data. It also used t-test and ANCOVA to analyze the data.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in the post-test scores.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young children’s sense of self-esteem, theory of mind and ability of empath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mpathy Program through Dramatic play for young children are effective on promoting young children’ sense of self-esteem, theory of mind and ability of empathy.

      • KCI등재

        생활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가 만 3세 유아의 공감능력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송서정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ramatic play using life picture book on three-year-old young children’s empathy and self-regul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on 38 three-year-old young children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of 19 young children and a control group of 19 young children from two different kindergarten located in K city, Gyeonsangbuk-do. The experimental group was engaged in drama activities using life picture book 3 time a week for 8 week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dramatic play using life picture book had positive effects on three-year-old young children’s empathy ability. Second, dramatic play using life picture book had positive effects on three-year-ol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it was worth using dramatic play using life picture book in actual scen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it can help expanding basic social skills that can positively effect an effective activity for their empathy ability and self-regulation. 본 연구는 생활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가 만 3세 유아의 공감능력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K시에 소재한 A유치원과 C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세 유아 38명을 선정하여 유아 19명씩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은 8주 동안 주 3회씩 생활그림책을 활용하여 극화놀이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는 만 3세 유아의 공감능력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는 만 3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생활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가 사회적 기초를 능력을 확장해 가는 경험이 되어 만 3세 유아의 공감능력과 자기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활동이며, 유아교육현장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볼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생태미디어를 활용한 극화놀이가 유아인성과 사회정서에 미치는 영향

        최선녀,김영주,백정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ffect dramatic play using the ecological media on the character of children and social emo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children’s character and social emotion education. This study selected total of 50 4-year-old children from B Kindergarten located in C Province divided by half in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s. To do this, activities using the ecological media were developed throughout a total of 18 times, and applied to 25 four-year-old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twice a week for nine weeks, and as for the other 25 four-year-old children in comparison group, activities under the same topic excluding role play were applied.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averaging, standard deviation, T-verification, and covariance analysis. First, dramatic play using the ecological media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haracter of 4-year-old children. Second, dramatic play using the ecological media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ildren's social emotion. Through these results, it is understood that the dramatic play using the ecological media can foster children’s character and social emotion. skill that it is suggested such activity may be used as actual and practical data of children’s character and social emotion in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본 연구는 생태미디어를 활용한 극화 놀이가 유아인성과 사회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유아인성과 사회정서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C도에 위치한 B유아교육기관 내에 만 4세반 유아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 25명씩 총 50명이었다. 이를 위해 생태미디어를 활용한 활동을 총 18회기 개발 및 9주간 1주 2회씩 실험집단 만4세 유아 25명에게 적용하였고, 비교집단 25명에게는 동일 주제의 활동에서 역할놀이를 제외한 활동까지만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t-검증, 공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생태미디어 활용한 극화놀이가 만 4세 유아의 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태미디어를 활용한 극화놀이는 유아의 사회정서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결과를 통하여 생태미디어를 활용한 극화놀이는 유아의 인성과 사회정서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는 활동이며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인성 및 사회정서의 실제와 실천적인 자료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극화놀이를 중심으로 한 공감교육이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문지영(Moon, ji-young),김창복(Kim, Chang-B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5

        본 연구는 극화놀이를 중심으로 한 공감교육이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 S시에 위치한 공립 A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25명을 실험집단, 26명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8주 동안 주 3회씩, 총 24회에 걸쳐 실험처치를 수행하였다. 실험집단에는 공감요소가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하여 극화놀이 중심 공감교육 활동을 구성하여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주 1회 동극활동을 포함한 누리과정의 생활주제에 따른 활동으로 구성하여 운영하였다. 실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치이동능력, 내용교체능력, 이차틀린믿음능력의 세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마음이론검사를 사전․후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극화놀이를 중심으로 한 공감교육은 만5세 유아의 전체적인 마음이론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 중 내용교체능력, 이차틀린믿음능력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극화놀이를 중심으로 한 공감교육은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하며 이는 유치원 교육현장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으로 적절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empathy education centered on dramatic play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 For this, five-year-old children from A public kindergarten located in S city, Gyeonggi provinc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25 children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25 children in a comparative group, and experiment treatments were conducted for 24 sessions, 3 times a week over 8 weeks. The empathy education centered on dramatic play using picture books comprised with empathetic elements was implemented to the experiment group while the theme of daily life activities from the Nuri curriculum including dramatic activity once a week were provided to the comparative group. To observe the effect of this experiment, theory of mind test which is consist of “location shift task”, “content exchange task”, and “first second order false belief task” is execu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From the experiment result, the empathy education centered on dramatic play was found to be effective to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 to 5 years old children a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ults level of ability in from sub-areas, content exchange task and first second order false belief task. As a result, the empathy education centered on dramatic play in this experiment implies a positive effect to children’s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 and is expected to use practically in kindergarten education field as a proper teacher-education method.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가 유아의 언어능력과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효과

        지성애(Chi Sung-Ae),윤은경(Yun Eun-Gyung),민순옥(Min Soon-Ok),김희영(Kim Hee-Yung),윤유중(Yun Yoo-Joo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6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가 유아의 언어능력과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40명이었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무선 배정하였다. 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전검사를 실시한 다음 총 4주 동안 일주일에 3회 총 12회 처치하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아의 언어능력은 K-WPPSI의 언어성 검사 영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마음이론은 ‘내용교체과제’, ‘위치이동 과제’ 그리고 ‘이차틀린 믿음과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t-검증을 통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하여 극화놀이를 하였던 실험집단의 언어능력 점수 및 마음이론 발달 점수가 그림책을 보고 듣고 토의를 하였던 비교집단 유아들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마음이론에 기초한 극화놀이 지도와 마음이론 발달 이해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ramatic play using picture book on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and theory of mi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5-year-old children attending an early childhood edu-care center located in G city(the experiment group 20, the control group 20). The Verbal Area of K-WPPSI and The Theory of Mind Inventory were used in the collection of data. Using SPSS 12.0 program,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mparate group in the scores of language abilities. The scores of experi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mparate group in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And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scores of theory of mind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The scores of experi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mparate group in young children's the theory of mind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ramatic play using picture books is effect to promote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and theory of mind development.

      • KCI등재

        동화에 기초한 과학 극화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과학적 태도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지성애,박찬옥,홍혜경,김희정,박유영,문신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ientific dramatic play activity based on storybook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scientific attitude and social behavior.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44 children who attended the H child care center and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68.57 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by the scientific dramatic play activity based on storybook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was treated by the inquiry science activities based on storybooks. K-WPPSI, Scientific Attitude Test, and Social Behavior Inventory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Data was analyzed by t-test using SPSS 12.0 program. Finally,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in the post-test scores. The post-test scores of some sub-factor areas of language ability, scientific attitudes and social behavior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cientific dramatic play activity based on storybooks is more effective than the inquiry science activities to promote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scientific attitudes and social behavior. 본 연구에서는 동화에 기초한 과학 극화놀이 활동을 개발하고 이들 활동들이 유아의 언어능력, 과학적 태도 그리고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평균 월령은 68.57개월이었으며, 실험집단에는 동화에 기초한 과학 극화놀이 활동을 처치하고 비교집단에는 동화에 기초한 과학탐구 활동을 처치하였다. 연구도구는 K-WPPSI의 ‘언어성 검사’, ‘과학적 태도 검사’, Bronson의 ‘Social & Task Skill Profile' 중 ‘사회적 행동'영역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증을 통해 사전과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언어능력 전체점수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언어능력의 하위영역 일부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전체 과학적 태도 점수와 사회적 행동 전체점수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동화에 기초한 과학 극화놀이 활동이 동화에 기초한 과학탐구 활동 보다 유아의 언어능력의 일부 하위영역과 과학적 태도와 사회적 행동 증진에 효과적임을 입증한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정보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가 유아의 구문이해력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오세경(Oh, Se-Kyoung),김영주(Kim, Young-Ju)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정보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가 유아의 구문이해력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정보그림책의 효율적인 교육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38명이며 평균 월령은 72.03개월이었다. 실험집단은 정보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에 10주 동안 참여하였고, 비교집단에서는 동일한 정보그림책을 제시하고 정보탐색하기, 감상하기, 정보 교환하기까지만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구문이해력과 인지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구문의미이해력’ 과 ‘K-ABC’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 분석을 통해 사전과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험집단 유아들의 구문이해력의 하위 영역 중 구문구조와 이해점수가 비교집단 유아들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실험집단 유아들의 인지능력의 전체점수가 비교집단 유아들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정보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 활동은 유아의 구문이해력과 인지능력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ffective methods of information picture book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nalyzing the effect of dramatic play using information picture book on syntactic meaning comprehension and cognitive abilities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38 children in the average of 72.03 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dramatic play using informa tion picture book for 10 weeks, and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only in information searching, listening, and information exchange of the same information picture book. In order to measure children"s syntactic meaning comprehension and cognitive abilities, "syntactic meaning comprehension" and "K-ABC" test tools were used to collect research data as research tool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analyzed by pre-to-post tests through ANCOVA. As the result of study, first, among sub-categories of syntactic meaning comprehension ability, verbal sentence structure and cognitive abilities of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children. Second, cognitive abilities of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children. Such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ramatic play activities using information picture book have a positive effect on syntactic meaning comprehension and cognitive ability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인성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가 유아의 인성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천혜빈,서윤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ramatization play using personality-related picture books on personality and pro-social behavior of infants. 18 4-year-old infants who are hospitalized at G kindergarten located i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18 as a control group. The study period is from April 5 to July 16, 2021, and the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Based on one picture book per week,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 dramatization using a total of 15 picture books for 15 weeks,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the same picture book listening activity as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udy revealed that dramatization using personality-related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each sub-element of infant personality and each sub-element of pro-social behavior. This suggests that infants can improve their personality by experiencing various character virtues in the process of becoming characters in picture books through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and that pro-social behavior can be improved by adjusting their emotions to suit the situation and taking into account others' emo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인성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가 유아의 인성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 G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세 유아 18명을 실험집단으로, 18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21년 4월 5일부터 7월 16일까지 15주이며, 실험집단은 총 15권의 인성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대집단으로 인성 관련 그림책 듣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성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는 유아의 인성 전체와 인성의 하위요소인 개인가치, 대인가치, 사회가치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성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전체와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요소인 개인정서 조절능력, 대인관계 형성능력, 유치원 적응능력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들이 인성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를 준비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통해 인성 덕목을 다양하게 경험하고 다른 사람의 감정을 고려하여 행동함으로써 유아의 인성 및 친사회적 행동이 증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동화를 활용한 극화놀이에서 표상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미자(Park Mi-ja),조길자(Cho Gil-ja),김동례(Kim Dong-ry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4 어린이미디어연구 Vol.3 No.-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한 극화놀이에서 유아들에게 활동적 표상, 영상적 표상, 상징적 표상활동을 실험 처치한 후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사전검사에서 동질 집단이라고 확인한 후 실험ㆍ비교집단 각 20명씩 만4ㆍ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사전ㆍ사후 검사 실험 설계 방법에 의해 총 8주간 처치가 이루어졌다. 공간능력은 홍혜경 (2001a)의 공간능력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표상활동을 경험한 실험 집단이 전체 공간 능력에서 비교집단 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공간 능력의 하위요인인 눈 운동 협응, 공간 지각에서 위치 알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공간적 추리, 형태 배경 구별, 시각적 기억 및 회상하기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representational activities using fairy tales during dramatic play on children's spatial abilities after doing an experiment on coactive representation, iconic representation, and symbolic represen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children aged 4-5. 20 children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for 8 weeks. In this study, the instrument for Testing Children's Spatial Abilities, developed by Hong(200la), was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children's spatial abilities, i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as for the sub-factors of children's spatial abilities, it appear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sub-factors such as spatial reasoning, the distinction between figure and background. and visual memory or recollection. There appeared no statistically signifi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sub-factors such as the eye motor coordination and position-in-space perce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