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세이 미야케(Issey Miyake) 디자인의 변증법 적용 방식 연구

        이종훈(Jonghoon Lee)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0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44

        양적 성장의 단계에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창의적인 경제로 나아가는 국내의 의류산업은 최근 다소의 정체를 보이고 있다. 독창성과 예술성, 상품성에서 인정을 받고 있는 이세이 미야케의 디자인 방식에 대한 분석은 패션디자인의 학문적, 산업적 성장에 일조할 수 있다. 이세이 미야케의 디자인은 정반합의 변증법적 방식으로 독특한 조화를 이루어 낸다. 현대에 들어와서 생성과 변화의 가능성으로 이해되고 있는 변증법은 열린 과정으로 창작의 발상과 구축의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세이 미야케가 보여주는 정반합의 변증법적 디자인 방식은 규칙적인 질서의 주름과 그에 반하는 조형형식인 자유로운 패턴의 정반합, 오리가미의 일본 전통조형 방식과 현대적 기술의 결합한 미래지향적 디자인, 일본 전통의상 형태와 모더니즘이 융합한 디자인, 변화와 생성의 가능성을 열어둔 여백의 디자인과 다채로운 개성의 정반합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디자인들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실용적인 아름다움을 만들고, 일본의 전통성을 탈일본화하여 세계시장에 선보이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지속과 변화의 가능성이 다른 영역이나 미래의 디자인으로 연결되는 열린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특성들이 결합하여 이세이 미야케만의 독창성을 창출한다. The domestic fashion industry, which is moving toward a creative economy that creates high value-added products at the stage of quantitative growth, has recently shown some stagnation. An analysis of Issey Miyake s design style, which is recognized for its originality, artistry and merchandise, can contribute to the academic and industrial growth of fashion design. Issey Miyake s design creates a unique harmony in the dialectical way of antithesis. The dialectic method, which is understood as the possibility of creation and change in modern times, is an open process and can be applied as a method of creation and construction. The dialectical design method shown by Issey Miyake can be summarized into the wrinkles of regular order and the opposite form of sculpture, the free pattern, the futuristic design combined with the Japanese traditional molding method and modern technology, the design combined with the Japanese traditional costume form and modernism, and the design of margins that open the possibility of change and creation. And these designs have the following effects: It creates practical beauty, exposes Japanese tradition to the world market, and as a whole forms an open structure in which the possibility of persistence and change leads to different areas or future designs. These characteristics combine to create Issey Miyake s originality.

      • KCI등재

        사투리를 활용한 소주 라벨디자인 연구

        강송희(Kang, Song Hee),송지성(Song, Ji S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3

        지금은 바야흐로 사투리 전성시대다. 드라마, 영화를 넘어서 사투리와 관련된 수많은 콘텐츠가 쏟아지고 있다. 사투리의 구수하고 진한 매력이 스크린을 넘어 안방극장까지 점령하고 있다. 과거에는 촌스러움을 나타내는 장치에 불과 했지만, 최근에는 사투리의 걸쭉한 매력이 대중을 사로잡으며 주요 언어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영화나 드라마를 넘어 카카오톡 이모티콘 음성출시 등 사투리와 관련된 수많은 콘텐츠가 쏟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일본의 사투리 활용 실태를 살펴본 결과 일본에서는 첫째, 사투리를 재미있게 익힐 수 있는 교육적으로 활용 가능한 사투리 콘텐츠가 다양화 되고 있었다. 둘째, 관광객들에게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사투리를 활용한 사례도 있었다. 셋째, 지진 피해와 복구와 관련하여 아이디어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본의 사투리 활용도 조사됐다. 이렇듯 우리나라는 사투리를 그저 재미의 요소로만 생각하여 사투리를 활용함으로써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 있음이 분석되어졌다. 본 연구는 지역별로 생산되고 있는 소주에 사투리를 접목시켰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류인 지역별로 생산되고 있는 소주는 소통의 장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별로 생산되는 소주 라벨디자인의 대부분은 지역의 특색을 표현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아직 사투리를 알지 못하고 지역문화에 대해 알지 못하는 20~30대를 타켓으로 하여 수많은 사투리 중에서 SNS는 물론 인터넷 포털에서 많은 이들에게 공유되며 인기를 끈 화합과 소통에 관련된 사투리를 활용한 연구이다. ‘우리가 남이가?’와 같은 짧지만 화합과 관련된 사투리를 지역별로 생산되는 소주타이포그래피 디자인에 사투리의 운율을 시각적으로 디자인하여 적용한다면 좀 더 효과적으로 젊은이들에게 사투리와 지역문화를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사투리는 중요한 문화 자원이고 이를 문화콘텐츠화 하거나, 문화상품화 하면서 재미와 즐거움을 줄 뿐 아니라 경제적 이득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특색을 활용하여 소주 라벨디자인을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도입하고 세심한 노력을 기울인다면 사투리를 상호교류 할 수 있고, 지역의 특색과 문화를 알리며 지역정서 완화에 긍정적 측면으로 지역 활성화를 향상시키는데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본다. We now live in the world where using dialects has become a hit. There are numerous contents beyond TV dramas and movies that are related to dialects. Although dialects are only used to display dowdiness, nowadays they are used as a form of language that grasps audiences with their distinctive appeal. Korea also exhibits a trend in which numerous kinds of contents, including voice emoticons for Kakaotalk, are presented as well. Yet, when the authors have examined the trend of dialect usage in Japan, there were several features. First, there were various kinds of dialect contents that allow dialects to be used educationally in interesting ways. Second, there were cases in which dialects are used so that tourists could easily approach dialects as well. Third, there were cases in which dialects are used as usable ideas in terms of recovering from earthquakes. From these, it has been indicated that Korea only uses dialects for entertainment, which means that dialects are not used to provide support for regional development. This study has applied dialects to types of soju that were being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Types of soju, a representative liquor of Korea, that are being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serve as the important factor of communication among people. Yet it has been indicated that most designs of labels of soju do not represent the distinctiveness of different regions and provinces. Among methods that target 20s and 30s who do not know much about dialects or regional cultures, SNS is used as a type of research which used dialects so that they could be shared and used for harmony and communication. If short phrases using dialects that represent harmony and communication, such as “Ain’t we not together?", are used as typography designs of soju with the emphasis of rhythms of dialects being visually used, dialects and regional cultures could be more effectively promoted to the young generation. As dialects are important cultural resources, using them as cultural contents or cultural products may not only provide fun and delight but also economic benefit.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show that, if label designs of soju are distinctively created by using distinct characteristics of regions with special care and effort, dialects can be mutually exchanged,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cultures of different regions can be known so that they could dedicate to increasing regional activation in positive ways.

      • KCI등재

        《A Mandarin Primer》에 나타난 음운 체계와 기초 방언 연구

        구현아 중국인문학회 2020 中國人文科學 Vol.0 No.75

        Through the writing and phonetic system of 《Primer》 compiled by Baller, Beijing dialect was the dominant dialect of Chinese at the time and was an essential dialect for learning in China. In the book, he referred to Mandarin as Beijing's official language. The merging of Jian zu and Jing zu, the rhyme of entering tone character, the tone system is basically constant with Beijing dialect. This is totally different from Nanjing dialect, which has confusion of consonant n and l, final n and ŋ. Baller was a missionary who studied Chinese in Nanjing and mainly engaged in missionary work in Anhui or Jiangsu. Nevertheless, the fact that he compiled Chinese textbooks based on Beijing dialect proves that Beijing dialect was a common and widely used language in China at the time, and was an important dialect that foreigners should learn.

      • KCI등재

        토마스 웨이드(Thomas Wade)의 저작 《심진록(尋津錄)》에 나타난 19세기 중반 북경관화(北京官話)의 음운 체계와 특수 독음자(讀音字) 연구

        구현아 ( Khoo Hyun-ah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0 비교문화연구 Vol.61 No.-

        본 논문은 19세기 중반 토마스 웨이드에 의해 지어진 《尋津錄》에 나타난 北京官話의 음운 체계와 특수 독음자에 대해 연구하였다. 《尋津錄》에 나타난 北京官話 체계의 특징에는 ŋ성모가 존재하는 것, tʂ, tʂ‘, ʂ, ɻ, ts, ts‘, s가 uo가 아닌 o와 결합하는 것, 宕江攝 入聲字 운모에 ye가 생성되지 않았으며 대부분 u운미의 운모로 읽히는 것을 들 수 있다. 《尋津錄》이 지어진 淸代 중반 이후는 동북지역과 북경지역 사이의 인구 유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北京官話와 東北官話의 접촉이 일어나던 시기였다. 《尋津錄》에 드러난 종전의 北京官話 저작에서 출현하지 않는 특수 독음자를 분석한 결과, 山攝 合口 一等 端組字에 u개음이 존재하지 않고, 知精組 성모가 혼동되거나 梗攝 開口 二等 見組 入聲字를 ʨie(혹은 ʨ‘ie)로 읽으며, ‘容’, ‘榮’, ‘融’을 영성모로 읽고, ‘濃’을 əŋ운모로 읽는 특징이 東北官話의 영향을 받은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尋津錄》은 19세기 중반 北京官話의 음운 특징 및 東北官話와의 접촉에 대해 말해주며, 이는 北京官話의 변천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In this paper, I studied the phonological system of the Peking dialect and distinct sound of Hsin jing lu, which was created by Thomas Wade in the mid-19th century. This system includes the consonant ŋ, and tʂ, tʂ‘, ʂ, ɻ, ts, ts‘, s combined with o, and the entering tone of Dang-jiang (宕江) group did not produce rhyme ye, most of which has final u. After the middle of the Qing dynasty, increased exchange between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and the Beijing area brought about contact between the Peking dialect and Northeast Mandarin. Some characters of Shan―she, he, kou, yi, deng, Duan, and zu (山攝 合口 一等 端組) appear inHsin jing lu, but it does not have a medial u or merge zhi, jing, and zu (知精組).隔 and 客 are read as final ie; 容, 榮, and 融 are read with no initial consonant; and 濃 is read as a final əŋ as in Northeast Mandarin. Because Hsin jing lu describes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eking dialect and its contact with Northeast Mandarin in the mid-19th century, understanding it is important in studying the history of the Peking dialect.

      • KCI등재

        淸末 民初 北京官話 저작 안의 聲調 異讀 연구

        구현아(Khoo Hyunah)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7 No.-

        본 연구는 淸末 時期 北京官話 저작을 이용하여 당시의 聲調 異讀 양상 및 그 원인을 고찰하였다. 이 시기의 北京官話 저작은 중국의 운서, 자전 및 서양인에 의한 중국어 교재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본고는 그 중에서도 北京官話의 다양한 異讀을 반영하고 있는 영국인 세관원 토마스 웨이드(Thomas Wade)의 저작 ≪尋津錄≫과 ≪語言自邇集≫을 중심으로, 중국의 音韻 著作인 ≪中原音韻≫, ≪李氏音鑑≫, ≪音韻逢源≫, ≪國音字典≫ 및 동시대 詞典類인 ≪A Mandarin-Romanized dictionary of Chinese≫, ≪A Chinese and English Vocabulary in the Pekinese Dialect≫에 나타난 聲調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러 유형의 異讀 중 現代 標準 中國語의 제2성이≪尋津錄≫과 ≪語言自邇集≫에서 제1성으로 기록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들 중에는 역대 문헌에서 일관된 聲調로 출현하다가 現代 標準 中國語에서 다른 聲調로 읽히는 글자가 있었는데, 이러한 역대 문헌 안의 聲調 異讀은 北京官話 안에서 쓰이는 口語에 기인한 경우도 있고 ≪廣韻≫과 같은 역대 문헌 안의 讀書音을 수록한 경우도 있었다. 또한, 오늘날의 北京官話에서처럼 ‘骨’을 제2성으로 읽는 變調를 반영하거나 去聲 連讀 시 앞의 글자가 제2성으로 바뀌는 현상, 過道兒式 혹은 通紅式 변조를 반영한 경우도 있었다. 이외에도, 現代 標準 中國語와 동일한 聲調 異讀의 종류를 갖고 있으나 대응되는 의미가 차이가 나는 경우도 존재하였다. 이 밖에 원인을 특정할 수 없는 것도 적지 않았다. 청대 이후 北京官話의 형성은 東北官話와 밀접한 연관을 갖는데, ≪尋≫과 ≪語≫에서 東北官話처럼 m, n, l, r과 같은 次濁 聲母자가 제1성으로 읽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미루어보아 다른 異讀도 東北方言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제기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여러 淸末 北京官話著作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당시 聲調 異讀 양상을 고찰한 것으로, 향후 北京官話의 變遷史를 총체적으로 규명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tonal variation of Peking dialect textbook of late Qing period. Through the analysis and compare of Peking dialect textbook written by westerner who resided in China in late Qing period, we discussed tonal variation of word in ≪The Hsin Ching Lu≫, ≪A progressive course designed to assist the student of Colloquial Chinese as spoken in the capital and the metropolitan department≫ and dictionaries such as ≪A Mandarin-romanized dictionary of Chinese≫ and ≪A Chinese and English vocabulary in the Pekinese Dialect≫. In comparison with Standard Chinese the case that read second tone as first tone most often in textbooks. Some of these characters appeared in consistent tones in historical phonological books and some in different tones in modern standard Chinese, due to spoken language used only in Peking dialect, or to include reading sounds in ≪廣韻≫. In addition, the tonal variarion of ‘ku(骨)’, tone sandhi of fourth tone, ‘guodao(過道)’ tonal variation and ‘tonghong(通紅)’ tonal variation was reflected in these textbooks. In addition, there have been cases in which they have same kind of tonal variation with Standard Chinese, but their correspoding meanings differ. There were many other cases that could not be specified. The formation of Mandarin after Qing dynasty is closely related to Northeastern varieties, and given that ≪The Hsin Ching Lu≫, ≪A progressive course designed to assist the student of Colloquial Chinese as spoken in the capital and the metropolitan department≫ have some features same with Northeastern varieties, these tonal variation might closely related to it. This study analyzed the works of Peking Dialect at the late Qing dynasty and considered the aspects of tonal variation, which could contirubute to rhe comprehensive identification of history of Mandarin in the future.

      • KCI등재

        청말민초(淸末民初) 한어학습서(漢語學習書)에 나타난 음계 기초 연구 - ≪ENGLISH-CHINESE DICTIONARY OF THE STANDARDCHINESE SPOKEN LANGUAGE≫, ≪관화췌진(官話萃珍)≫, ≪지나사성자전(支那四聲字典)≫, ≪지나성음자휘(支那聲音字彙)≫를 중심으로

        구현아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7 中國學論叢 Vol.55 No.-

        This study used four Chinese textbook of Qingmo Minchu period, analyzed phonological system and researched the status of Beijing dialect of that time. These four book based on writing system of ≪Yuyan Zi`erji≫, furthermore they have similar phonological sound system. But the fact of these book have iai, Dangjiang entering tone does not have ending imply Beijing dialect does not become a official koine that time. Beijing dialect became a koine after publish of ≪Guoyin Zidian≫ in 1920, which phonological system is based on Beijing dialect.

      • KCI등재

        변증법적 디자인 방법으로서 동서 문화의 조형적 표현에 관한 연구 - 20세기 그래픽 디자인에 나타난 통합, 화합, 융합 사례를 중심으로

        이봉만,나건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2

        This study traced the three patterns of outcomes in the meeting of East and West from the convergence perspective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and their combination in a dialectic manner. The three patterns of their combination as the outcomes were arranged in integration, harmony, and fusion. As for methodology,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oretical backgrounds and previous studies on dialectics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definitions of terms in the dictionary for their accurate understanding. The research scope was limited to formative expressions in which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converged as graphic designs of the 20th centur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tegration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cross-cultural design in which both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coexisted; second, harmony exhibited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identity design in which Oriental spirit stroke harmony with Occidental technology; and finally, fusion displayed transnational design beyond the boundary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and universal design in international styles, providing basic abstract and geometric formative expressions. In what direction should design move forward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re are active discussions about the convergence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A dialectic design method should be used to integrate Eastern and Western values, achieve harmonious harmony between them and fusion of their advantages, and open up a third design world. These require cultural literacy from designers and should be addressed in, follow-up study. 본 연구는 동서 문화의 수렴적 관점에서 동양과 서양이 서로 만나 변증법적 과정을 통해 합(合)을 이룬 결과의3가지 양상에 대해 추적하였다. 그 결과로서 3가지 합(合)의 양상은 통합(統合), 화합(和合), 융합(融合)으로 정리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해 변증법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용어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 사전적 정의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는 20세기 그래픽 디자인으로서 동양과 서양의 문화가 수렴된 조형적 표현으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통합(統合)은 동양과 서양의 문화가 공존하는 ‘크로스컬츄럴디자인(cross-cultural design)’의 특성을 보였다. 둘째, 화합(和合)은 동양의 정신과 서양의 기술이 조화를 이룬 ‘문화적 정체성 디자인(cultural identity design)’의 특성을 보였다. 셋째, 융합(融合)은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경계를 뛰어넘는 ‘초국가적 디자인(transnational design)’으로서 국제적 스타일의 보편적 디자인으로,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인 기초 조형의 표현을 하였다. 그렇다면, 동서 문화의 수렴에 대해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현상황에서 디자인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가? 변증법적 디자인 방법을 통해 동양과 서양의 가치를 통합하고, 조화롭게 화합하며, 서로의 장점을 융합하여, 제3의 디자인 세계를 열어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디자이너의 문화적 소양(cultural literacy)이 필요한 시점이며, 이를 후속 연구로 남기고자 한다.

      • 가변형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변증법적 구조 분석

        손주현(Sohn Joo-hyun),은혜영(Eun Hye-young),박진숙(Park Jin-suk) 한국디자인학회 2010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10

        Through the dialectic of identity design and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system. Design in the development of various expressive media, consumer tastes, the company's business environments are faced with a variety of communication problems. Unforeseen problems that can respond flexibly to the situation requires a flexible system. Cognitive Constructivism is based in the process of forming a personal knowledge of the process of configuring the reporting individual's subjective experience. Flexible design, the system provides the user identity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each individual's experience, refined by a home that you can see what information. Through the dialectic of identity is constantly evolving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system and individual user experience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identity design system is an important factor.

      • KCI등재

        하수관거의 최소 설계유속 개선 연구

        송양호(Song, Yang Ho),이윤희(Lee, Yun Hee),이정호(Lee, Jung Ho)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5

        계획수량을 기준으로 하수관로의 최소 설계유속이 설정되어 있으나 단일기준만으로는 합리적인 설계안 도출에는 한계가 있다. 현행 최저유속과 같은 일관된 기준이 관로 내부로 유입되는 입자들을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지에 대해서 검토가 필요하다. 하수관로시스템 내부로 유입되어 이송되는 침전물의 농도, 비중, 입경 그리고 관 재질의 특성에 따라 최소 설계유속과 경사를 결정할 수 있는 설계안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관로 내부 수리학적 특성 검토과정에 필요한 유체-고체 다상유동을 모사한 결과를 기반으로 입경별 최소 설계유속에 대해 검토하였다. 국내⋅외 하수관거의 최소 설계유속 기준을 조사하고 연구결과와 비교하였으며 퇴적물을 고려한 최소 설계유속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해당식은 토립자의 크기와 관 직경의 관계를 포함하며 실무에서도 손쉽게 추정이 가능하다. The minimum design velocity for sewage pipes is set based on the planned quantity; however, deriving a reasonable design with only a single standard is limited. Thus, it is necessary to review whether consistent standards, such as the current minimum flow velocity, can efficiently transport the particles flowing in pipes. Improving the design that can determine the minimum design velocity rate and slop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specific gravity, particl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ipe material of the sediment flowing into the sewer system is necessary. In this study, the minimum design velocity for each particle size was exa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of fluid-solid multiphase flow required for the review process of hydraulic properties inside the pipe. The minimum design velocity standards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wage system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and a minimum design flow rate prediction equation was proposed considering the sedimentation. The equation includ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le size and pipe diameter and can be easily estimated.

      • KCI등재

        평북 방언 친족어 연구 - 초산지역어를 중심으로 -

        이금화 한국방언학회 2014 방언학 Vol.0 No.19

        This study is on the kinship of Pyeonganbuk-do, North Korea, when speaker is a man of father’s side. The study divides the kinship into father’s side, mother’s side and wife family’s side, and then examines the designated language and the appellative language. Appellatives of kinship in this dialect are used in the family when speaker is a younger one. Generally, designations and appellatives of this dialect are composed of ‘prefix+root’. ‘no/jingjo+keulabaji’ is used for whom is three generations above in father’s side while ‘kojo+keulabaji’ is used for whom is four generations above. ‘no/jingjo-’ and ‘kojo-’ are prefix. ‘keulmani’ is the wife of one’s bother who is called as ‘keulabaji’. Prefixes as ‘keun-, tulchae-, sichae-, jageun-’ which express the order are attached to ‘keyumani’, and it’s used just accroding to age. Prefix ‘keul-’ is attached to base ‘abaji’ which expresses two generations before speaker while ‘nat/keun+abaji’ is used for whome is one generation above speaker. Prefix ‘wae-’ attached to root ‘keulabaji’ is used for whom is two generations above speaker in mother’s side while ‘wae+samchun’ is used for whom is one generation above speaker. Prefix ‘kasi-’ attached to base ‘keulabaji’ is used for whom is two generations above speaker in wife family’s side while ‘kasi+abaji’ is used for whom is one generation above ‘kasi+abaji’. ‘cheo+heong/je’ is for whom is the same generation as speaker. In the same generation, only the wife of one’s borther has an appellative, others is called as ‘name+a/ja’and this will be changed into ‘Xfather’ or ‘Xmother’ after they marry and have a child. Appellatives of kinship in this dialect are composed of native words and Sino-Korean words. In father’s side or wife family’s side, natives words are used a lot while Sino-Korean words are substantialy used in mother’s side. Relatively more formal appellatives are used for wife family’s side which keeps the most distant relationship. It is same for people who enter family through marriage. For example, a bother is called as ‘name+a/ja’, but when the wife of one’s bother is called as ‘desu’ and suffix ‘nim’ must be attached to ‘desu’. 본고에서는 평북 초산 지역어의 친족어 중에서 화자가 남자일 경우의 친족어만을 논의한 것으로 부계 친족원, 모계 친족원, 처계 친족원으로 나누어 그 호칭어와 지칭어를 각각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지역어의 친족명칭 중에 호칭은 우선 화자보다 손위인 친족원에게 사용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이 지역어의 친족원의 호칭어와 지칭어는 ‘접두 요소 + 어기’로 구성되어 있다. 부계 친족원의 3대 위인 경우에는 ‘노/징조+클아바지’, 4대 위인 경우에는 ‘고조+클아바지’로 사용된다. 여기서 ‘노/징조’와 ‘고조’가 접두요소에 해당한다. ‘클아바지’의 남자 형제와 그 배우자인 ‘클마니’는 일반적으로 앞에 ‘큰-, 둘채-, 시채-, 작은-’과 같은 접두요소를 붙여 순서를 식별하고 하는데 여기에서는 화자 ‘클아버지’의 형이냐 동생이냐에 관계없이 나이 순서대로 한다. 화자 2대 위는 접두요소로는 ‘클-’과 어기 ‘아바지’로 구성되어 ‘클+아바지’로 사용되고 화자 1대 위는 접두요소로는 ‘맏/큰-’과 어기 ‘아바지’로 구성되어 ‘맏/큰+아바지’로 사용된다. 모계 친족원의 화자의 2대 위에서는 접두요소로 ‘왜-’가 사용되고 어기로는 ‘클아바지’가 사용되어 ‘왜+클아바지’로 되며, 화자의 1대 위에서는 접두요소로 ‘왜-’가 사용되고 어기로는 ‘삼춘’이 사용되어 ‘왜+삼춘’으로 된다. 처계 친족원의 화자의 2대 위에서는 접두요소로 ‘가시-’가 사용되고 어기로는 ‘클아바지’가 사용되어 ‘가시+클아바지’로 되고, 화자의 1대 위에서는 접두요소로 ‘가시-’가 사용되고 어기로는 ‘아바지’가 사용되어 ‘가시+아바지’로 되며, 화자와 같은 세대에는 접두요소로 ‘처-’가 사용되고 어기로는 ‘헝/제’가 사용되어 ‘처+헝/제’로 된다. 다음으로 항렬이 같은 세대일 경우에는 동생의 배우자만이 호칭을 가지고 그 외의 친족원은 ‘이름+아/야’로 호칭을 하다가 결혼하고 자녀가 있으면 모두 ‘X아바지’나 ‘X오마니’로 호칭을 바꾼다. 이 지역의 친족명칭은 모두 고유어 명칭과 한자어 명칭으로 구성되는데 부계 친족원이나 처계 친족원에서는 고유어 명칭이 훨씬 많고 모계 친족원에서는 이와 달리 한자어 명칭이 더 많다. 또한 친족 중에서 가장 소원한 위치에 있는 처계의 친족원에 대해 부계나 모계의 친족원보다 상대적으로 더 격식을 차리고 혼인에 의해 외부에서 들어온 친족에 대해서도 더 격식을 차려 직접 이름을 부르는 경우가 없다. 예를 들어 ‘동생’은 ‘이름+아/야’로 호칭, 지칭하지만 ‘동생’의 배우자는 지칭일 때는 ‘데수’라고 하고 호칭일 때는 꼭 ‘님’을 붙여 ‘데수님’이라고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