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lphi기법과 AHP를 이용한 모터스포츠 활성화 정책개발

        박봉순 ( Bongsoon Park ),한남희 ( Namhee Han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5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0 No.5

        이 연구는 모터스포츠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책방안 및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모터스포츠에 대한 문헌 연구 중심으로 설계된 전문가들의 1차 상세 정책 연구를 통해 개발되었다. 델파이 2차 조사에서는 1차의 질문지들이 항목별, 그리고 각 평가 분야의 전문가 답변과 동일한 답변의 분석에 따라 수정, 보완, 추가, 삭제되었다. 최종적으로 1, 2차 델파이 조사에서 나온 모터스포츠 활성화 정책 요인에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모터 스포츠 활성화 정책이 필요하며 자동차 산업 개발 기여, 새로운 스포츠 환경 조성 준비, 또 다른 형태의 스포츠 필요, 모터스 포츠에 대한 사회적 인지도의 전반적 개선, 레저시간 활용 및 삶의 질 개선, 정확한 자동차 문화의 확립 등이 중요한 요소라고 답변했다. 둘째, 모터스포츠의 활성화 정책의 주요 요인으로 행정·재정, 조직, 시설, 프로그램, 리더십, PR의 6가지가 제시되었다. 행정·재정이 중요한 요소라고 대답한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프로그램 요인, PR 요인, 리더십 요인, 조직 요인, 시설요인 순서로 응답이 나왔다. 셋째, 모터스포츠 활성화 정책 중 행정·재정 분야의 세부 요인으로 경주를 위한 재원 조달 및 세금 감면 시스템 도입이 가장 높은 응답을 받았다. 장기적 정책 계획, 관련 법안 제정과 정부 행정 시스템 확립, 관련 부처 사이의 협력과 독점 부서의 개방 등 순서로 응답이 나왔다. 넷째, 조직 분야에서는 시설 간 협력 구축이 가장 많은 응답을 받았으며, 그 다음으로 많은 응답이 나온 부문은 사회 활동 기관과의 연계 구축이었다. 그 이외에 교육 전문가와 테스트 기관의 선정, 기존 스포츠 조직의 주관 조직 개방 등의 순서로 응답이 나왔다. 다섯째, 시설 분야에서 시설 사용의 제한된 기회 개선이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다. 그 이외의 답변에는 안전 교육 시설 확립, 시설에 대한 세금 완화, 사용자 편의 시설 확대, 민관 시설의 공공 의사소통을 위한 공간 제공 등이 있었다. 여섯째, 프로그램 분야에 있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공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민간 경주대회 유치, 사고 방지 프로그램 개발 순서로 답변이 나왔다. 일곱째, 리더십 분야의 활성화 정책세부 요인으로는 모터스포츠에 전담하는 리더십 부재가 가장 큰 응답을 얻었다. 그 이외에 실질적 지도자 운영 개선, 리더십의 전문성 및 자질 부족, 리더십 활용 부족, 지도자 육성 불충분 등이 꼽혔다. 마지막으로, PR분야 세부요인으로 취미에 대한인지도 부재, 삶의 질 개선이 가장 많은 응답을 받았으며, 그 다음으로 경주 참여에 대한 인식 부족이 응답되었다. 그 이외에 경주에 대한 정보 부족과 모터스포츠에 대한 흥미를 돋울 수 있는 시스템 부재에 대한 응답이 있었다. 문헌 조사 및 델파이기법을 통해 우선 목적으로 모터스포츠 활성화 정책 방도가 제안되었다. 항목 평가 기반에서 활성화 주요 요인의 우선순위 형성 과정에 대한 공정성 및 전문성이 보장되었다. AHP 기법을 채용한 질문지는 일련의 전문가 집단에 제공되었으며 이들은 델파이 기법 기반 조사에도 응답을 한 바 있는 전문가들이다. 그러고 나서 계층 구조 모델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그 결론에 따라 모터스포츠 활성화 정책 개발의 우선순위들이 도출되었다. 행정·재정, 조직, 시설, 프로그램, 리더십, PR의 6가지 우선순위 및 총 27가지의 세부 중요 요인들이 분석되고 정책 개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로서 모터스포츠 활성화하기 위한 가장 중요 요인은 행정·재정 분야였다. 그 다음으로 프로그램, PR, 조직, 리더십, 시설 순서로 중요도가 언급되었다. 마지막으로, 27가지 세부 중요 요인 중 경주를 위한 재원 조달과 세금 감면 시스템의 도입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다음의 중요 정책 요인은 다양한 프로그램과 대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장기 정책 계획, 민간 경주대회 유치 등의 순서로 선정되었다. 한편, 이 연구에서 제일 응답이 적었던 분야는 시설 분야에서 민관 시설의 공공 의사소통 공간 제공이었으며, 이는 정책 개발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간주되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policy measures and challenges to revitalize the Motor Spor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of all a survey structured as open-response of the Policy Delphi was primarily developed through prior experts’ researches on the details of policies designed around literature surveys about the motor sport. In the Delphi second round, the Delphi first round questions were modified, supplemented, added, and deleted by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similar responses from experts in the each evaluation area. To sum up, the result critical focusing on the factors of activation policy for the Motor Sport, appeared in the first and second Delphi surveys, is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experts responded that the activation policy for the Motor Sport is necessary. Also, as the important factors, the results were in the order of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automotive industry, Preparation for new sports environment, Necessity of a model for the developed type of sports, The overall conversion of social awareness for the Motor Sport, Leisure time utilization and improved quality of life, and Establishing the correct car culture. Second, as the top factors of the activation policy for the Motor Sport, the six factors -Administration.Finance, Organizations, Facilities, Programs, Leadership, Public Relations- were derived. The response that the Administrational.Financial factors are necessary comprised the largest proportion, and the Program factors, the Public Relations factors, the Leadership factors, the Organizational factors, and Facilities factors in order takes the response rate. Third, in the sub-factors of the Administrational .Financial sector of the activation policy for the Motor Sport, financing for the competition and introduction of tax reduction systems were the highest response rate. And planning long-term policy, building legislation and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government, building cooperation between relevant ministries, and opening exclusive department in order are accounted for the response rate. Fourth, in the organization sector, building cooperation with facilities takes the largest proportion and the second largest proportion was constructing connection with social activities organizations. The other response rate was taken by training experts and selecting testing institutions, and opening host organizations of existing sports organizations in order. Fifth, in the facilities sector, improving the limited opportunity to use facilities had the largest percentage. And the rest of the response rate was in order of ensuring safety training facilities, relieving tax of facilities, expanding friendly facilities, offering areas for public communication of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Sixth, for the program part, the response rates consist of developing a variety of programs, developing proper programs for the public, holding private competition, and developing programs for the prevention of accidents in order. Seventh, as regards the sub-factors of activation policy for leadership sector, the largest proportion was lack of dedicated leaders. And the rest of the rate was comprised of improving the actual operation of the leaders, lack of expertise and qualities of leadership, lack of utilizing leadership, and insufficiency of fostering leadership. Finally, as the sub-factors of public relations, lack of awareness of hobbi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has the highest percentage. The second highest percentage comes from lack of recognition for participating in competitions. The other ratio consists of lack of information about competitions and lack of system to attract for motor sports in order. The literature survey and the Delphi technique as the primary purpose proposed policy measures for activation of Motor Sport. And on the basis of the evaluating items, fairness and professionalism about the progress of making priorities of the major factors of activation plan were ensured. A questionnaire employing the AHP technique was conducted to a group of the expert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based on the Delphi technique. And then, a layered-structure model was elicited. According to the consequence, the priorities were made for development of activation policy for the Motor Sport. On the basis of the tosix factors -Administration Finance, Organizations, Facilities, Programs, Leadership, Public relations-, the importance of a total of the twenty-seven sub-factor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 on the policy development is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the researches, the most essential factor to activate the Motor Sport was the Administration.Finance sector. It is suggested that the activation policy should be primarily based on Administration.Finance. And Programs, Public relations, Organizations, Leaderships, and Facilities are listed in order of importance. Finally, among the twenty seven sub-factors, financing for the competition and introduction of tax reduction systems was thought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Developing various programs and proper programs for the public, long-term planning for policy, holding private competitions were in order of political priorities. On the other hand, the least significant factor emerged in the study was, in the Facilities category, offering areas for public communication of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and it was concluded that this sub-factor hardly affect the development of policy.

      • KCI등재

        한국판 상담자의 ‘깊이있는 관계’ 척도 타당화를 위한 델파이 연구

        주은선,류예진,엄지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Delphi Survey on the Korean Version of ‘Relational Depth’Inventory-Therapist FormEunsun Joo, Yejin Ryu, & Jihyun Eo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verify the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Relational Depth Inventory-Therapist form (K-RDI-T)’ by using modified delphi-method survey before validating the inventory for use in Korea. For this purpose,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The inventory was translated in Korean and 8 delphi panels composed of person-centered counseling experts reached a consensus. As a result of the study, relational depth inventory consisted of 11 elements including ‘therapist congruence (genuineness)’, ‘therapist empathy/respect’, ‘presence’, ‘expansion’ and 25 inventory questions.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in that modified K-RDI-T was verified with content validity to see a possibility of using the inventory in Korea. Key Words: RDI, Therapeutic Relationship, Person-centered Counseling, Delphi, Modified Delphi Technique 한국판 상담자의 ‘깊이있는 관계’ 척도 타당화를 위한 델파이 연구주 은 선*ㆍ류 예 진**ㆍ엄 지 현***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인간중심 접근으로 치료적 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상담자의 깊이있는 관계 척도를 타당화 하기 전, ‘깊이있는 관계(relational depth)’를 소개하고, 전문가 간의 합의를 도출하는 델파이 연구 중 수정된 델파이 방법을 사용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깊이있는 관계의 선행연구와 척도 문항 내용을 분석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역번안 기법을 통해 한국어로 번안한 뒤, 인간중심전문가 및 상담심리전문가 총 8명의 참여자를 선정하여 2차에 걸쳐 설문조사 한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상담자의 깊이있는 관계 척도의 구성요인은 ‘상담자의 일치성(진솔성)’, ‘상담자의 공감 및 존중’, ‘현존감’, ‘확장성’ 등 총 11개 영역, 25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결론 및 제언: 수정된 ‘한국판 상담자의 깊이있는 관계 척도(K-RDI-T: Korean version of relational depth inventory-therapist form)’는 전문가 의견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여 국내 상담 장면에서 활용 가능성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핵심어: 깊이있는 관계 척도, 치료적 관계, 인간중심상담, 델파이, 수정된 델파이 방법 □ 접수일: 2022년 8월 10일, 수정일: 2022년 9월 1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Duksung Women’s Univ., Email: esjoo@duksung.ac.kr)** 공동저자,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석사과정(Co-author, Master’s Course, Duksung Women’s Univ., Email: yuyejin01@naver.com)*** 교신저자,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석사과정(Corresponding Author, Master’s Course, Duksung Women’s Univ., Email: eomji510@daum.net)

      • KCI등재

        만성조현병 환자를 위한 식료품 쇼핑 기술 강화 프로그램 기초연구: 델파이기법

        김용섭,이성아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0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program called grocery shopping for schizophrenic patients in Delphi. Methods : The final program items and contents were completed through the first and third delphi surveys from August 2018 to March 2019. The expert composition selected 26 occupational therapists related to mental health. Three surveys were conducted and 23 experts participated in the Delphi survey. The second questionnaire, which was created from an open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indicate the degree of importance using the Likert 5-point scale. As a result of the response of the 3rd questionnaire, the level of expert consensus was reconfirmed by analyzing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content validity ratio (CVR). Results : Three rounds of Delphi research reveal four categories of questions: grocery shopping views, product purchase strategies, necessary functions, and expert knowledge and experience on how to make purchase decisions. 24 items were selected. Through the 2nd and 3rd Delphi surveys, 4 items that did not meet the criteria of goodness of fit of each item or duplicated the contents were deleted and finally 20 items were extracted. Conclusion : Experts' agreement on grocery shopping technology was drawn from an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 so that patients with schizophrenia living in the community could recover and participate as a member of society. 목적 : 본 연구는 델파이 조사를 통해 국내 조현병 환자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훈련 중 식료품 쇼핑이라는 구체적인 수행 과제를 적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 델파이 1~3차 조사를 통해 최종 프로그램 항목 및 내용을 완성하는 단계로 2018년 8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진행되었다. 전문가 구성은 정신보건과 관련 있는 작업치료사 23명을 선정하였다.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된 1차 설문으로부터 작성된 2차 설문지는 중요한 정도를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하였다. 3차 설문의 응답결과로 평균 및 표준편차, 내용타당도비율(Content Validity Ratio; CVR) 분석을 통해 전문가의 합의 수준을 다시 확인하였다. 결과 :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 결과 식료품 쇼핑의 견해, 물건 구매 전략, 필요한 기능, 구매 결정 방법에 대한 전문가의 지식과 경험에 의한 의견을 구하는 4개의 문항으로 1차 개방형 델파이 설문을 실시하여 4가지 영역에 24가지 항목을 선정하였다. 2차, 3차 델파이 설문을 거쳐 각 항목의 적합도 기준에 미달하거나 내용이 중복되는 4개의 항목을 삭제하고 최종적으로 20개의 항목을 추출하였다. 결론 : 만성조현병 환자들이 회복하고 사회의 일원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작업치료적 관점으로 식료품 쇼핑 기술에 전문가들의 합의를 도출하였다.

      • A Case Study Research on Software Cost Estimation Using Experts’ Estimates, Wideband Delphi, and Planning Poker Technique

        Taghi Javdani Gandomani,Koh Tieng Wei,Abdulelah Khaled Binhamid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Software Engineering and Vol.8 No.11

        This Article shows a Case Study research that is performed to compare effectiveness of the Planning Poker and Wideband Delphi in two case studies. Although, Wide Band Delphi has been proposed many years ago and has enough supports in both industry and academic area but, Planning Poker is somewhat new. The study showed that applying these techniques in two companies which were using expert’s view for software cost estimation, increased the accuracy of cost estimation.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Planning Poker led to better accuracy comparing to Wideband Delphi. However, this accuracy is not too much than Wideband Delphi, it was important that Planning Poker led to reducing financial risks of the projects comparing to Wideband Delphi. The study also showed that both Wideband Delphi and Planning Poker reduced the underestimates significantly.

      • KCI등재

        부산 미래교육 비전 및 실현방안 탐색

        남창우 ( Nam Chang-woo ),이동엽 ( Lee Dong-yub ),이영태 ( Lee Young-tae ),권종실 ( Kwon Jong-sil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바람직한 인재 양성을 위해 부산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초·중등 교육의 방향 및 역할을 탐구하고, 부산의 고유한 교육 정체성을 바탕으로 지능정보기술의 교육적 활용을 통한 미래형 교육체제 구축 교육 패러다임을 탐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의 일환으로 미래교육에 대하여 살펴보고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는 미래교육 관련 선행연구 및 부산 미래교육 연구 및 사업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는데, 델파이 조사를 위한 전문가 집단은 초·중등 교원 2명, 정책집행전문가 2명, 정책연구 전문가 3명 그리고 미래교육 전 문가 2명의 총 9명으로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 문항은 부산 미래교육 기본방향, 부산 미래교육 비전 및 목표, 부산 미래교육 추진 전략, 부산 미래교육 추진과제(아젠다) 그리고 부산 미래교육 추진 과제에 대한 타당도의 총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총 2차에 걸쳐서 진행되었으며, 1차 델파이 조사 실시 후 델파이 조사지의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여 2차 델파이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부산의 교육 환경 및 특징에 기반한 교육정책의 방향 및 전략을 구안하여 ‘인성 중심의 미래지향적 본(本) 교육 (New-tro: 뉴트로)의 구현’ 이라는 부산형 미래교육의 비전을 도출하였다. 또한, 미래교육에 맞는 중점 과제와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추진 과제를 설정하여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실행 방안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promotion of human resources to prepare for the fourth round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Busan’s education is facing how to find the direction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their role.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Busan’s future education system through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on Busan’s educational identity.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implemented a literature review about future education by analyzing some previous studies about how to respond to future society and about the basic directions of Busan’s education. This study employed delphi technique by organizing an expert group of two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two experts in policy implementation, three experts of policy research and two experts of the future education, totally nine members. Delphi survey questions are basic direction, vision, goals, practice strategies, and agenda for future education in Busan and the validity of the five domains was checked.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ver a total of two rounds. After the firs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e first delphi survey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with the contents of the delphi-survey. After the process, the second delphi survey was developed and conducted. As the result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directions and strategies of education policy based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of Busan c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olidified the meaning of the Busan’s future education, which is the implementation of the personality-oriented "new-tro"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specific and systematic implementation plans by establishing the main tasks and the implementation tasks to realize Busan’s future education.

      • KCI등재

        델파이기법을 이용한 제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변화 분석

        김종석,강진원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연구 Vol.57 No.1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foresight study to understand the pictu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analyzing the change of technologies. It undertook two-rounded Delphi surveys on 30 experts(23 responses out of 30). The first Delphi was combined with brainstorming, while the second Delphi utilized the expert judgements. This study identified 27 key technologies driv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s through Delphi. By conducting the analysis on the changes of 27 key technologies and their importances, this study noticed that the importances of each technology in a group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 are relatively higher at the current time. However, at 10 year later, non-ICTs such as physical and bio technologies are highly prioritized, while the importances of 4 ICTs: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of things, big data, and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re still important. This study reaches that the current controversial discussion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originated from the current picture reflecting the intersection between new technological revolution and the new wave of ICT revolution.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의 모습에 대해 기술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본 탐색적 미래예측 연구이다. 브레인스토밍을 결합한 1단계 델파이조사와 전문가판단을 중심으로 한 2단계 델파이조사를 활용하여 30명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2회 23명 응답)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4차 산업혁명 관련하여 27개 주요 기술들이 파악되었다. 델파이결과로 제시된 주요 기술들과 정보통신기술 간의 관계에 대해선 정보통신기술들이 주요 기술들에 포함되어 있는 형태로 제시되었다. 주요 기술들의 현재 및 미래 중요도 분석을 통하여, 현재는 정보통신기술들의 중요성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현재 중요도가 높은 주요 기술들의 특성과 중요도를 파악하여 보면 현 시점의 모습은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을 바탕으로 정보통신기술혁명의 새로운 파동형성으로 분석되었다. 인공지능기술,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가상현실 및 초실감기술과 같은 정보통신기술들은 10년 후에도 여전히 중요하지만, 정보통신기술융합과 함께 물리적(physical) 혹은 바이오(bio)기술들의 중요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새로운 기술혁명의 가능성을 보여 준다. 따라서 제4차 산업혁명의 모습에 대한 논란의 원인은 정보통신기술혁명의 새로운 파동과 새로운 기술혁명의 교차로에 서 있는 현재 모습을 반영한 현상으로 진단된다.

      • KCI등재

        계획된 우연 역량의 개념화와 진로상담으로의 도입을 위한 델파이 연구

        장진이,천영민,홍원경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onceptualize planned happenstance competency and to present content domain of career counseling that enables to promote planned happenstance competencies. For these purposes,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and 4 experts on career counseling were interviewed. The Delphi method was used three times to drive a consensus among 29 delphi panels composed of career counseling teachers and counseling professors. The importance and validity of the final competencies and content domains were obtained after three times delphi and the practice of content domains of promoting planned happenstance were obtained after third delphi. In the first and second sessions, goodness of fit test, in the third session goodness of fit test,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examined and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he Content Validity Ratio(CVR:Lawshe) was calculated and compared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study, planned happenstance competency consisted of 19 elements including ‘openness to experience’, ‘meaning-making to experience and self-integration’, ‘accept possibility of failure’, ‘ability to introspection’, ‘ability to emotion-regulation’, ‘endless challenge’. The content domain of promoting planned happenstance competency consisted of 14 elements included ‘meaning-making to experience related to career’, ‘making career choices and adapting to career in trial and error’, ‘positive attitude towards happenstance’, ‘seeking object for modeling and empowering themselve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 of following research and the ways to increase the availability of the method in actual counseling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 적용될 수 있는 계획된 우연 역량을 개념화하고 계획된 우연 역량을 촉진할 수 있는 진로상담의 내용영역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계획된 우연 역량의 하위요소를 탐색하고 진로상담에서 포괄해야 하는 내용영역을 선정하기 위하여 전문가 간의 합의를 도출하는 델파이 방법(Delphi-method)을 사용하였다. 계획된 우연과 진로상담에 관한 선행연구와 현직 진로진학상담교사와 상담심리전문가 각각 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접을 토대로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진로진학상담교사와 상담심리전문가 등 총 29명의 델파이 연구 참여자를 구성하여 3차에 걸쳐 설문조사한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1차와 2차에서 적합도, 3차에서는 적합도와 중요도, 실행도를 조사하고 각각의 평균과 표준편차, CVR값을 산출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계획된 우연 역량의 하위요소로 경험의 개방성, 경험의 의미화와 자기통합, 실패가능성의 수용, 자기성찰 능력, 정서조절 능력, 끝없는 도전의식 등 총 19개 항목이 선정되었다. 계획된 우연 역량을 촉진할 수 있는 진로상담의 내용영역으로는 진로 관련 경험의 의미화, 진로 선택과 적응에서의 시행착오 격려, 우연적 사건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 모델링 대상 및 긍정적지지 대상 찾기 등 총 14개 항목이 선정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연구에 대한 함의와 상담 장면에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Delphi를 사용한 AHP방법론에 관한 연구

        송성환(Sung-hwan Song),권성훈(Seong-hoon Gwon),박진범(Jin-bum Park),홍순기(Soon-ki Hong) 한국경영과학회 2009 經營 科學 Vol.26 No.1

        AHP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owing to its simplicity and clarity. However, it has the problems of reliability of panel's judgement and the assumption that each panelist's ability is equal.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liable AHP method using Delphi technique, which aims to incorporate the relative expertise of panel and to increase their consensus. The method is called the Modified Delphi-AHP. We apply the method to analyzing the demand for lectures of Management of Technology.

      • KCI등재

        Delphi/AHP 분석기법을 활용한 산림 ESG 중요요인 도출

        조대혁,안세민,주린원,이미정,안기완 한국산림경제학회 2023 산림경제연구 Vol.30 No.2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identify and evaluate the important factors of forestry in the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aspects. Initially, forestry ESG was interpreted as a concept that comprehensively approaches forest management from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perspectives. To clarify this concept further, important factors of forestry ESG were analyzed through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targeting forestry and ESG experts fields. The survey yielded three major important factors, eleven sub-factors, and twenty-three detailed elements. Subsequent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on these identified forestry ESG factors. This process quantifi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various forestry ESG factors and aimed to assess their impact on forestry. In the first layer of analysis, the environmental (E) aspect was deemed most important, rated higher in importance than the social (S) and governance (G) aspects. The second layer of analysis revealed that forest carbon absorption, employee safety and rights, forest certification and management plans, forest ecosystem, protection, and restoration ranked high, with three of the top five factors pertaining to the environmental area, emphasizing its significance once again. In the third layer, factors like forest biodiversity, forest certification, and new afforestation/reforestation showed high importance.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forestry companies and institutions to develop ESG strategie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orestry ESG guidelines and assessment indicators. 본 연구는 산림 분야의 환경적, 사회적, 거버넌스(ESG) 측면에서 중요한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도출하고 평가하고자 하였다. 우선 산림 ESG는 산림 관리를 환경적, 사회적, 거버넌스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접근하는 개념으로 해석하였다. 이 개념을 더욱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산림 및 ESG 분야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두 차례의 Delphi 조사를 통해 산림 ESG의 중요한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 조사를 통해 총 3개의상위 중요요인, 11개의 하위 중요요인, 23개의 세부인자를 도출하였다. 이후 실증분석을 위해 산림 ESG 중요요인에 대한 AHP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산림 ESG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정량화하고, 산림에 미치는 영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상위요인인 1계층에서 환경(E) 영역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차지했으며, 이는 사회(S) 영역, 거버넌스(G)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2 계층 분석에서 산림탄소흡수, 직원의 안전 및 권리, 산림인증 및 관리계획, 산림생태계, 보호 및 복원 등이상위 순위를 차지했으며, 상위 5개 요인 중 3개의 요인이 환경영역에 해당하여 다시 한번 환경영역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3계층 분석에서는 산림생물다양성, 산림인증, 신규조림⋅재조림 등이 상위 중요도를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산림 기업과 기관들이 ESG 전략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산림 ESG 가이드라인 및 평가지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델파이를 이용한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의제 도출

        유동철 ( Dong Chul Yu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5 공공정책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배분사업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의 욕구와 의견, 전문가들의 의견을 델파이조사방법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부산지역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사업에 대한 의제와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델파이 조사는 부산지역 4년제 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49명과 사회복지현장 전문가 31명을 대상으로 e-mail을 통해 총 3회에 걸쳐 진행 되었다. 연구결과 응답자들은 사업영역별로 지역사회역량강화에 가장 관심이 높으며, 다음으로 사회통합, 미래투자, 자립자활, 생계지원 순으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업추진과정에서 부산공동모금회가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지역특수성과 지역연계성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복지단체와의 상설적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의제 발굴의 체계적 구조를 만들고, 사업기간의 연장 및 제안기획사업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distribution agenda of Busan Community Chest by Delphi. Lastly 49 professors and 31 social workers responded to 3-step delphi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respondents consider community capacity building as the most important part. Social Integration, Future Investment, Self-help and Work, Living Support follow in order. In addition The respondents consider community peculiarity and community connection as most important distribution agenda of Busan Community Ch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