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브라질 간 국가 문화 차이에 관한 연구 - 5개 대표 비교 문화 연구 결과에 관한 비판적 고찰

        이성준,윤택동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4 국제지역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wo-fold. Firstly, this article critically reviews the cultural dimensions which appear in the five major cross-national comparison researches, namely the study of Geert Hofstede, Fons Trompenaars, Project GLOBE, Shalom H. Schwartz, and World Value Survey. Based on the review, this article further identifies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Brazil. Th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and Brazilian cultur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the cultural dimensions such as individualism-collectivism, time-orientation, self-expression, and gender egalitarianism. 본 논문은 지금까지 이루어진 비교 문화 연구(cross-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5개 선행 연구, 즉 Geert Hofstede, Fons Trompenaars, Project GLOBE, Shalom H. Schwartz, 그리고 World Value Survey 연구를 대상으로, 개념적 차원에서 이들 연구에서 사용된 각각의 문화적 차원을 비교하고, 이들 복수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과 브라질 간 국가 문화 차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석 결과, 한국과 브라질은 특히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차원, 과거/현재/미래 지향주의 차원, 자기 표현성 차원, 남녀 평등주의 차원에서 상대적으로 뚜렷한 문화적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제네릭 의약품의 국가 간 약가 비교: 분석방법별 약가 수준의 차이 고찰

        배은미 ( Eun-mi Bae ),최상은 ( Sang-eun Choi ),강대원 ( Daewon Kang ),신경선 ( Gyeongseon Shin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021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7 No.2

        To investigate generic drug price levels in Korea, we conducted a cross-national drug price comparison. Also,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price level could differ when the price comparison method was changed. Parma Price Information (PPI) and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MHLW) official gazettes were used for 14 European countries and Japan respectively. Bilateral comparisons with 15 countries were conducted for the top 23 molecules based on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As a result, the price level of generic drugs in Korea was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thod, but it was overall higher than that of comparison countries. The weighted average price of generics was similar to that of the brand, and none of the launch date, the market share, and the number of competing items appear to affet the drug price level.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e sensitivity of cross-national drug price comparisons to the methods used, including comparison countries, weights, and price type.

      • KCI등재

        환경광고의 소구유형이 광고와 브랜드 지각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비교문화연구

        이은미(Lee, Eun-Mi),윤성준(Yoon, Sung-Joo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6 소비문화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환경광고 소구유형이 소비자 반응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실험설계를 바탕으로 환경광고 소구유형, 즉 제품중심 주장과 이미지중심 주장이 광고와 브랜드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국가라는 문화적 변인이 어떤 조절적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살펴 보았다. 연구결과 제품중심 주장의 경우 한국과 미국 소비자들 간의 차이가 없으나, 이미지중심 주장의 경우 미국 소비자들이 한국소비자들보다 더 높은 광고신뢰도, 광고태도, 지각된 브랜드 품질, 브랜드태도 및 브랜드 구매의도를 보였다. 이 연구는 국가가 환경광고 소구유형과 광고 및 브랜드 지각 간에 매우 중요한 조절적 역할을 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경제품/브랜드를 위한 광고메시지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유용한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in response to green ad appeals between Korean and U.S. consumer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types of ad appeals(product-oriented ad claim vs. image-oriented ad claim) on advertising and brand perception by nationalit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S. and Korean consumers in product-oriented ad claims, however U.S. consumers perceive higher ad credibility and attitude, perceived brand quality,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o image-oriented ad claims. The findings offer direction for developing advertising message strategies for green products/brands, and identifying the cultural differences in designing and creating green advertising.

      • KCI등재

        Жесты и мимика В межкультурной коммуникации (сравнительный анализ русских и японских жестов)

        Ли Чже Хёк(Lee Jae-Hyuk)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8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7

        본 연구는 러시아어와 일본어의 대표적인 비 구두 언어 그 중에서도 신체 언어 범주의 제스처 언어와 흉내 언어에 국한하여 이들 비 구두 언어들의 문화적 맥락과 함의를 비교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세상의 많은 문화권과 언어 가운데 하필 러시아어 비 구두 언어의 비교 대상 체계로 일본어 체계를 선택한 것은, 문화 언어학적 관점에 있어서 러시아어와 일본어가 구두어, 비 구두어를 가릴 것 없이 가장 대치 점에 서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일본 문화는 언행의 닫힘 성, 집단적 채면 성, 행위 규범 등의 면에서 러시아 문화와 가장 대치되며 신체 언어의 측면에서도 동일한 대치 구조를 지니고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러시아와 일본어 신체 언어가 함유하는 문화적 특질을 분석한 아쉬키나(A.A. Aкишина)와 투마리킨(П.C. Tумаркин)의 두 저작을 중심으로, 5개 영역, 즉 인사 및 작별 제스처, 지시 제스처, 동의 및 불복 제스처, 심리적 및 정감적 제스처와 흉내 언어, 사람과 사물 그리고 일상 행위와 개념들을 지시하는 상징물로서의 제스처 언어 영역에 걸쳐 문화 언어학적 비교 분석하여 민족 문화적으로 조건 지워지고 스테레오타입 화한 사회문화적 규범들을 이들 제스처 및 흉내 언어들에서 찾아보고자 시도하고 있다. 대체로 양 문화권의 문화 규범에 대한 일반적 인식이 신체 언어 영역에서도 반복되어 구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한 예로, 일본의 신체 언어는 규범적, 사회 의무적 성격을 지니고 구체적인 사물들을 지시하는 제스처들이나 상징으로서의 제스처가 주를 이루는 데 비해, 러시아 제스처 언어는 상황이나 마음 상태에 대한 관제를 표현하는 정감적이고 심리적인 제스처들을 일본어 체계보다 2.5배 이상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5개 영역에 있어 일본어 신체 언어와 러시아어 상용 어 간의 문화적 함의와 문화적 뉴앙스 차이는 본문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다. 종합적으로 볼 때 신체 언어 특히 정감적 흉내의 보편성은 문화권과 관계없이 인지되고, 따라서 제스처 이해 행위 자체는 문화 언어학의 시각에서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그것들에 대한 무의식적인 평가, 개별 민족에 의한 그것들의 윤리적이고 미학적인 수용은 매우 중요한 측면이며, 한정된 영역과 자료 내에서나마 본 비교 연구에서도 그 같은 명제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nalysis aims to define the national-cultural contexts and internal informations which are hidden under Russian and Japanese gesture languages by the comparison analysis method. It starts from the pre-assumption that Japanese cultural values and norms are quite different to Russians equivalents through the closeness. Non-verbal language is divided into 5 fields in this study. They are greetings & farewell, denoting, agreement & non-agreement, psychological &emotional gestures and language-objects & language-symbols which express concrete materials or abstract situation etc. The analysis of these gesture languages helped to find out cultural conditioned conditions and stereotyped social-cultural informations behind 2 major non-verbal languages whose characteristics are definitely not similar as in the analysis on the verbal areas.

      • KCI우수등재

        지역별 국가별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차이 및 요인 분석 : 유럽, 영미권, 아시아 지역 37개국 법, 정책, 교육과정, 교육 참여 주체 유무 비교

        김영은,정세훈 한국언론학회 2023 한국언론학보 Vol.67 No.6

        정보의 사실 여부를 판별하는 능력은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해당한다. 미디어와 미디어가 생산하는 콘텐츠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능력인 미디어 리터러시는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필수 역량으로 꼽힌다. 상대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역사가 길고, 체계가 잡힌 몇 개국(영국, 프랑스, 핀란드, 캐나다 등)의 모범 사례는 국내에 여러 차례 소개된 바 있으나, 국가별로 미디어 리터러시 제도나 교육 환경이 어떻게 다르고,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양적으로 살핀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별, 국가별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차이가 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한국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더 필요한지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럽, 영미권, 아시아 등 3개 지역의 국가별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법, 정책, 교육과정과 교육 참여 주체 유무를 비교 분석해, 2021년 5월 OECD가 2018년 PISA 조사 결과를 토대로 발표한 <21세기 독자: 디지털 세상에서의 문해력 개발> 보고서의 ‘사실과 의견 구별 능력’ 점수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봤다. 조사 대상으로 삼은 37개국은 EU, OECD, UNESCO의 각종 보고서와 국내외 연구 및 보고서, 국가별 제공되는 영문 자료가 충실한 나라를 중심으로 선정했다. 우선, 유럽, 영미, 아시아 등 지역별 차이는 정책과 주도기관 유무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OECD의 ‘사실과 의견 구별 능력’ 점수에 기반해 국가별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정책을 갖추고, 미디어 리터러시를 주도하는 기관이 존재하는 것이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책적 기본 틀과 방향성을 세우는 것과 함께 그 제도를 실제로 실현하고 주도하는 기관의 존재가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OECD 회원국 중 ‘사실과 의견 구별 능력’ 최하위를 기록한 한국에 특히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국은 다양한 부처와 기관이 개별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및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주도하고 있으나 종합적이고 일관된 정책이 부재하고, 이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기관도 존재하지 않는다. 2022 개정 교육과정(2024년부터 적용)에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포함하는 등 제도적 근간을 마련하는 데 일부 성과를 거뒀으나, 정책적 토대를 갖추고,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주도해 나가는 것이 더욱 요구된다. Media literacy refers to the ability to critically analyze and engage with media and includes the ability to distinguish fact and fiction. Media literacy is considered an essential skill for the 21st century. There are some countries with a relatively long and well-established history of media literacy education (e.g., the United Kingdom, France, Finland, and Canada), yet there is little empirical research that examines how media literacy systems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differ across countries and how these cross-national differences affect media literacy competenci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media literacy competencies vary by region and country, and what further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media literacy competencies in Korea. This research first examines the presence of media literacy laws, policies, curriculum, and education actors in European, Anglo-American, and Asian countries. Next, we analyzed how these components affected media literacy competencies based on the "ability to distinguish opinion from facts" score from the OECD report, “21st-Century Readers: Developing Literacy Skills in a Digital World” whose data was based on the 2018 PISA survey results. This research analyzed data from 37 countries, and these countr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availability of English-language resources in EU, OECD, and UNESCO studies and reports. We quantitatively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media literacy across countries to see which of the factors actually act as positive ones. First, we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sence of policies and a leading organization for media literacy across regions, and that the presence of policies and a leading organ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edia literacy competencies. The influence of the presence of media literacy law, curriculum, and education actors including nationwide events and media industr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 that media literacy competencies could be affected by the existence of policies as well as the existence of institutions that actually implement and lead the system. This is particularly relevant for South Korea, which ranked one of the lowest among OECD countries in terms of media literacy competencies. In South Korea, various Ministries and agencies implement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capacity-building programs, but the country lacks comprehensive and coherent policies and a leading agency. While there has been some success in laying the institutional groundwork, such as the inclusion of media literacy competencie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o be applied from 2024), there is a need for policies as well as a systematic leading organization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 KCI등재

        A PRELIMINARY CROSS-NATIONAL TEST OF COMPETING THEORIES OF NONPROFITS: DOES CULTURE MATTER?

        MURAT ONDER 한국행정학회 2011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16 No.1

        This article empirically tests existing theories that have been used to explain the presence of nonprofits. A framework was developed from existing literature to test the explanatory power of competing theories about the presence of nonprofits. The cross-national framework of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the explanatory power of existing models for settings other than the national culture in which most of them were created. The analysis revealed a number of detailed findings about socioeconomic and institutional determinants of nonprofit service provision. In general,theories that emphasize demand-side or “need” explanations for nonprofits were less well supported than supply-side and institutional theories. The article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s for future cross-national studies of nonprofit activities.

      • KCI등재

        Inductive and combinatorial reasoning in international educational context: assessment, measurement invariance, and latent mean differences

        Wu, Hao,Saleh, Andi Rahmat,Molnár, Gyöngyvé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23 No.2

        Indonesian 15-year-old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has prove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international average based on one of the most prominent international large-scale assessments, OECD PISA. This prompted our interest in Indonesian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during secondary schooling in comparison with that of students who are more successful on the PISA scale.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development of Indonesian students’ thinking skills, especially inductive and combinatorial reasoning, to map the influencing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reasoning skills and make a cross-national comparison study with their Hungarian peers. The sample was drawn from 250 Indonesian and 864 Hungarian 8th and 11th graders. The reliabilities of the tests were acceptable, with Cronbach’s alpha varying between .70 and .86. Results mainly indicated that: (a) the measures of these two constructs were partially invariant across nationalities; (b) the Indonesian students’ reasoning skills did not sufficiently develop between the 8th and 11th grades; (c) the Indonesian students’ inductive and combinatorial reasoning achievement was significantly worse than that of the Hungarian students in 11th grade, but not in 8th grade; and (d) the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proved to be predictive factors in students’ reasoning skills achievement in both Indonesian and Hungarian contexts, but the level of prediction varied. Overall,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provide support for an understanding of Indonesian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compared to an international benchmark. Th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revising educational methods in Indonesia and may form the basis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Visual Expression of National Cultural Identity : A Comparative Study of Chinese and South Korean Sports Event Poster Designs

        양영명,장경풍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4 한국과 국제사회 Vol.8 No.3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 distinctive features and nuances in Olympic poster designs from China and South Korea since the late 20th century. It explores visual representations, cultural implication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within their socio-historical contexts. The research reveals how both nations uniquely blend traditional elements with modern design to express national spirit and cultural identity, impacting public perception and emotions. Additionally, it discusses the socio-political drivers behind these designs and anticipates future trends. This analysis provides fresh insights into the unique value of Chinese and Korean poster designs and their role in cross-cultural communica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김상욱 ( Sang Wook Kim ),김성건 ( Sunggun Kim ),김병수 ( Byung Soo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5 조사연구 Vol.16 No.4

        이 연구는 낙태에 대한 태도가 종교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며 그러한 차이는 또한 사회에 따라 어떠한 변이를 나타내는가 하는 문제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종교에 대한 사회과학적 접근에서 대단위 국제비교분석 자료를 활용한 계량분석의 토대가 비교적 척박한 한국사회의 현실에서 낙태와 종교 사이의 유기적 연관성을 탐구하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이 연구에서는 국내 외 기존연구들을 통해 이론적 경험적 정합성이 확보된 6가지 연구가설들을 제시하고, 이들에 대한 검증을 ISSP의 〈종교〉모듈조사 자료에 포함된 4개국(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을 대상으로 시도하였다. 검증 결과 3가지 가설은 지지되었고 3가지는 기각되었다. 구체적으로 말해, 모든 비교대상 국가들에서 종교인들보다는 비종교인들이 낙태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나타냈으며([H1]), 그와 같은 개방성은 한국의 경우 복음주의 개신교도보다는 불교도에게서([H2]) 그리고 한국과 미국의 경우에는 개신교도보다는 가톨릭교도에게서 확연히 보편적인([H3])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필리핀의 경우 가톨릭, 개신교, 이슬람의 순으로 개방성이 클것이라는 예측([H4])은 지지를 받지 못 하였으며, 아울러 비교대상 국가들을 통틀어서 사회경제적으로 발전된 나라일수록([H5]) 그리고 사회인구학적으로 활동적인 인구집단일수록([H6]) 개방성이 클 것이라는 예측 또한 지지되지 않았다. 비단 긍정 혹은 부정의 비율을 넘어 이와 같은 결과는 상당한 정도의 이론적·경험적 함의 및 시사점을 보유하는 것으로서 이들과 관련한집중적인 논의가 말미에 제시되었다. This study tries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 of how different people``s attitudes towards abortion are depending on religion and religious groups, one the one hand, and how the difference further varies by different societies, on the other hand. As such, this study was initially triggered by a critical diagnosis of the research trend in Korea that religion studies for the last few decades tend to be pretty much deprived of rigorous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large-scale cross-national survey data. In an effort to mitigate this problem, the ISSP <Religion>(2008) module survey data for 4 countries (Korea, Japan, the U.S., and the Philippines) was analyzed to test for a set of hypotheses that were derived from the theories and finding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abortion attitudes. Results of data analysis turned out to be mixed together, with half and half hypotheses having confirming and disconfirming evidence, respectively. To reiterate: as compared to those who follow a religion, those who don``t follow a religion were indeed more liberal to abortion in all across the countries; liberal attitudes to abortion in Korea were more prominent among the Buddhists than the Evangelical Protestants; liberal attitudes in Korea and the U.S. were more prominent among the Roman Catholics than the Protestants. Unlike the expectation, however, the hypothesis predicting that liberal attitudes in the Philippines would be most prevalent among the Catholics, followed by Protestants and Muslims, failed to be supported. Furthermore, the other two hypotheses predicting that liberal attitudes would be salient particularly in the socioeconomically developed countries, for one thing, and among the socio-economically active populace all over the countries, for another, were not supported, either. Regardless of the status of empirical support, however, findings in this study possess a lot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for studies of the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abortion attitudes worldwide, and these were discussed in details in the context of each society.

      • KCI등재

        Work Values, Work Rewards, and Work Orientations: A Comparison among Korea, Japan, the United States, and Sweden

        김상욱 한국사회학회 2008 韓國社會學 Vol.42 No.8

        The research reported in this paper provides a cross-cultural explanation on the multiplicative interrelationships among work values, work rewards, and work orientations that have long been discussed in the literature.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it is argued, are plagued with inconsistent and often conflicting research findings due mostly to the specificity of their samples to a certain group of workers in a certain society. In an attempt to recover this limitation, the ISSP work orientations module survey data are utilized in providing answers to a series of questions set forth abou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variables in Korea, Japan, the U.S., and Sweden. Analysis of data indicates several salient findings: Asian workers in general are less positively oriented to their work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 West; extrinsic rewards are particularly important determinants of work orientations in Korea, whereas intrinsic rewards are more so in the West; Korean workers experience the largest amount of disparities between the valuation and actual provision of work rewards; a substantial amount of interactions upon work orientations exist between the valuation and provision of work rewards throughout the four countries. Implications stemming the findings are discussed and interpreted with suggesting some contextual explan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