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모래상자를 이용한 가족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아동의 부적응 행동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김혜심(Hye Sim Kim),김진서(Jin Seo Kim),주혜령(Hye-Ryung Joo)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22 모래놀이상담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모래상자를 이용한 가족모래놀이치료가 부적응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아동의 부적응 행동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의사소통 모래상자를 이용한 가족모래놀이치료는 서울소재 어린이집의 만 5세 부적응 아동과 부모 두 가족을 대상으로 주 1회 60분씩 총 8회기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의사소통 모래상자를 이용한 가족모래놀이치료의 회기 구성은 친해지기, 나의 가족 표현하기, 나를 표현하고 발견하기, 동적인 가족 표현하기, 무인도에서의 가족, 가족과 소통하기, 사랑하는 가족, 행복한 미래 등의 주제로 구성되었다. 부적응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분석하기 위해 부모의 의사소통 검사와 담임교사의 아동의 부적응 행동 및 자아존중감 검사 그리고 가족 구성원의 KFD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모래놀이에서의 가족 역동성과 모래상자의 변화 과정을 탐색하였다. 의사소통 모래상자를 이용한 부적응 아동의 가족모래놀이치료 결과는 첫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가정과 기관에서 아동의 부적응 행동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이 증진되었다. 본 연구는 부적응 아동의 가족을 대상으로 서로의 감정을 표현하는 의사소통과 아동의 부적응 행동 감소 및 자아존중감 증진에 의사소통 모래상자를 이용한 가족모래놀이치료의 효과를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아버지가 가족 구성원으로서 가족모래놀이치료에 함께 참여하고 협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sand play therapy using communication sandboxes on parent-child communication, maladaptive behavior, and self-esteem in maladjusted children. The family sandplay therapy using the communication sandbox was conducted as a program for a total of 8 sessions of 60 minutes once a week for a 5-year-old maladjusted child and two parents at a daycare center I in Seoul. The composition of the session of family sandplay therapy using the communication sandbox is to get acquainted, express my family, express and discover myself, express a dynamic family, family on an uninhabited island, communicate with family, love family, happy future, etc. made up of themes. In order to analyze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of maladjusted children, parent-child communication tests, maladaptive behavior and self-esteem tests of children, the KFD of family members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analysis, and the family dynamics in sandplay and the change process of the sandbox were explo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first,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hanged positively. Second, children’s maladaptive behavior was reduced and in particular, they showed a stable social-emotional appearance, Third, self-esteem was improved.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family sand play therapy using communication sandboxes in reducing maladaptive behaviors and promoting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in expressing each other’s feelings for families of maladjusted children. Also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father participated and cooperated in family therapy as a family member.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교육의 주요 내용 및 방법과 어울림 의사소통 프로그램

        안태용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7 초등상담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교육의 주요 내용 및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어울림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 및 방법을 고찰해 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으로 첫째, 의사소통 수준 측면의 자기이해, 자기수용, 자기개방 및 자기표현 능력 증진, 둘째, 의사소통 유형 측면의 개방적, 상보적, 일치적 의사소통 유형의 증진, 셋째, 의사소통 방식 측면의 공감대화, 비폭력대화 훈련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의사소통 교육의 주요 방법론으로는 집단상담, 역할극 등의 체험적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어울림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앞서 살펴본 의사소통 교육 내용 및 방법론을 적절히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 급별, 수준별 어울림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주요 교육 내용 및 교육 방법에 대해 정리하여 어울림 의사소통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는 데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the major contents and methods of communication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major contents and methods of the Aulim Communication Program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major contents of the communication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o enhance self - understanding, self - acceptance, self - opening and self - expression ability in communication level; Second, the promotion of open, complementary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styles in terms of communication types; Third, empathy dialogue and nonviolent conversation training in terms of communication style. And the main methodology of communication education was experiential activities such as group counseling and role play.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Aulim Communication Program appropriately includes the contents and methodology of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major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 methods of the Aulim Communication Program, and it is meaningful that they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program.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

        한진원(Han, Jin-W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5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을 알아봄으로써 교사-부모 의사소통의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 및 인천 지역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25명이었으며 2019년 7월 30일부터 8월 6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의 연령, 경력, 기관 유형, 결혼 및 자녀 유무에 따른 의사소통 유형에는 차이가 없었고, 유치원 교사의 경력, 학력, 기관 유형, 자녀 유무에 따라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 중 ‘사려형’의 교사들이 ‘지원형’ 교사들에 비하여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 중 교사 관련 어려움이 더 크게 느끼고 있었다. 셋째, 의사소통 성향 중 ‘사교성’ 점수가 높을수록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에서 교사와 관련된 어려움이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교사 관련 어려움이 높아질수록 부모 관련 어려움과 기관 관련 어려움 역시 높아졌다. 이에, 유치원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 인식의 중요성과 이를 보완하는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paring efficient training plan for teacher-parent communication by looking at the difficulty of teacher-parent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type of kindergarten teacher. A total of 225 teachers from kindergartens located in Inchon and Gyeonggi area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rom July 30 to August 6, 2019.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no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type depending on background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difficulties of teacher-parent communication depending on the teachers’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institutional type, and having their own children of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among the communication types, the teachers of ‘reflective style’ felt more difficulties in teacher-parent communication than the teachers of ‘supportive style’. Third, the higher sociability among the communication tendencies, the lower the difficulties related to teacher appeared within teacher-parent communication and as the difficulties related to teacher appeared within teacher-parent communication get higher, the difficulties related to parent and institute also got higher. Finally, the importance of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communication type and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were proposed.

      • 소집단 역동을 이용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의 효과

        원정숙 ( Jeong Sook Won ),신현숙 ( Hyub Sook Shin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8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4 No.2

        본 연구는 소집단 역동을 이용한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간호대학 신입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소집단 역동을 이용한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 적용 후에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Ju(2006)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의사소통 훈련에서 그들의 의사소통 유능감과 인간관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던 것과 유사한 결과이다. Ju (2006)의 프로그램은 전체 10회기를 주 2회씩 5주간 시행하였고 매 회기의 소요시간이 90분에서 120분이었다. Choi (2004)는 의사소통 기술 집단상담프로그램에서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8-13명의 집단으로 8주동안 8회기를 진행하였는데 1회 50분 동안 집단상담을 진행하여 이들의 자아개념 일부요소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의사소통 능력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Choi (2004)의 프로그램은 주로 자아표현을 하는 것과 자기이해를 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만 본 연구에서의 프로그램과 8회기가 같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의 소집단 역동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은 총8회 1회 150분 8주동안 진행되었다. 의사소통과 인간관계를 변화시키기 위한 프로그램들은 Choi (2004)와 Ju (2006) 외에도 상당히 많은 프로그램들이 진행되었지만 이들 프로그램들은 일반적인 의사소통 맥락에 기반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소집단 역동을 이용한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은 기본적 인골격은 선행 프로그램의 주요 주제들을 사용하고 있지만 향후 현장에서 대상자와의 다양한 의사소통 유형을 경험하게 되고 인간관계가 중요한 업무가 될 간호대학생에게 적합한 사례와 문제로 재구성되어서 Johari의 창을 이용한 자기노출, 공감, 교류분석 등의 이론들이 실제 간호현장사례에 맞추어 개발되었다. 이 때문에 간호학과 1학년이나 2학년에 주로 실시되는 의사소통 과목을 전통적인 강의형식보다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의사소통 능력과 함께 프로그램 적용 후 변화를 살펴본 인간관계 정도는 그 평균점수는 상승하였으나 p값이 .06으로 유의수준 .05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유의하게 지지되지 못하였다.비교군에서는 인간관계의 전 영역에 있어서 사전사후 점수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던 점을 보았을 때 실제로 동질하게 시작하였던 실험군과 비교군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어느 정도 확산의 영향을 미쳤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그렇지만 인간관계의 하부항목을 분석해 보았을 때 만족도와 의사소통, 이해력, 개방성 측면의 점수는 의사소통 훈련 이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되었다. Kim (2008)은 대인관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의사소통 요인에는 자기개방의 두려움, 자기이해 부족 등이 포함되는데 즉, 내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있는 그대로 상대방에게 이야기 한다면 상대방이 나의 부정적인 측면을 알고서 나를 좋아하지 않을 것이라는 자기개방의 두려움이 크다고 말했으며, 또한 Kim (2003)의 연구에서도 자기이해의 부족으로 자기자신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대에게 온전히 자기 자신을 보여줄 수 없기 때문에 회피를 통하여 문제해결을 하려는 태도가 대인관계향상에 저해요인이 된다고 분석한 것을 볼 때, 본 연구의 인간관계 하부요인의 이해력과 개방성이 유의하게 상승한 것은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교육의 바람직한 큰 효과라고 볼 수 있다. 유사한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Ju, 2006)에서 작은 규모의 대상자를 대상으로 적용한 프로그램의 결과 인간관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던 것과 비교할 때, 본 연구에서는 소집단단독으로 시행한 것이 아니라 대집단 속에서 소집단으로 나누어 대집단 역동과 소집단 역동이 함께 작용하는 과정에서 규모가 커짐으로 인해 의사소통 유능감 향상과는 달리 본질적인 인간관계를 변화시키기에는 대집단이 장애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Lee와 Chung (2004)은 인간관계의 향상까지 가져오기 위해서는 상호 간에 피상적인 교제에 머물지 않고 신뢰를 형성하여 심층적인 대인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해야 한다고 시사하고 있다. 또한 대인 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소집단 규모로 적용되는 것이 더 효과적인지에 대해서도 계속 연구 과제로 남겨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소집단 역동을 이용한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은 소집단 역동을 의사소통 교육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때의 소집단 역동은 의사소통에 관한 새로운 과제를 소그룹으로 사전학습 과정을 통해 함께 토의하고 이를 요약하고 프로그램 시간에 발표하고, 이후 구체적인 사례와 문제에 사전토의된 내용을 다시 한 번 적용하고 이를 다시 토의를 통해 정리한 후 발표하는 과정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소집단 내에서 구성원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고 상호작용에 의한 힘의 전달이 일어나면서 형성되는 역동이 결론적으로 구성원 개개인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이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점은 추후 분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한편, 실험군과 비교군의 종속변수 동질성 검증결과 동질한 집단으로 나타났지만 연구의 진행과정에서 간호대학생을 실험군에 배치하고 동일한 시기에 교양과목을 수강하는 타과학생을 비교군에 배치한 것이 연구 결과를 확대 해석하는데 제한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간호대학생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Ammentorpet al., 2007; Tocomo, 2003)에서 삶의 경험과 임상경험 등이 이들의 의사소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대학 1학년생이기는 하였지만 향후 3학년 이상의 간호대학생의 실습경험과 생활경험 등이 이들의 의사소통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본다면 유능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의료인을 교육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의사소통 훈련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실험자 들이 인지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실험자효과를 통제할 수 없다는 것도 본 연구 결과의 해석에 있어서 제한점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Communication training in nursing college students is an integral part of the development of their competen-cy in dealing with patients. However, the traditional lecture style of training delivery may not be desirably effective.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utilizing a small group dynamic on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human relationship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One hundred twenty six freshmen in a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strument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Primary Communication Inventory) and human relationships (Relationship Change Scale) were used at the beginning and conclusion of the training period. Eighty-three students from two nursing classe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s and 43 students from other classe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s. Each of the 11 small groups was composed of 7 or 8 students. The weekly program that ran during the 2007 fall semester from October 1st to December 11th consisted of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including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Johari`s window, empathy, active listening, and transactional analysi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of students report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competencies, specific nonverbal competencies, and human relationshi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pecifically, the experimental students demonstrated greater improvement in nonverbal communication competencies and satisfaction, communication, and awareness of human relationships. Conclusions: Small group based communication training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method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college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의사소통프로그램이 취업 준비생의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의사소통능력, 인지ㆍ정서적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홍석,고혜신 한국취업진로학회 2018 취업진로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의사소통프로그램이 취업을 준비하는 여대생의 언어적ㆍ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과 인지적ㆍ정서적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의사소통프로그램은 Adler & Proctor(2015)의 ‘Looking Out, Looking In’을 기반으로 내용전달능력, 듣기능력, 공감형성능력의 세 가지 능력 배양에 중점을 두어 구성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청년취업아카데미를 참여한 서울 소재 A여대 취업준비생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15명씩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3시간으로 구성된 8회기의 프로그램을 매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게는 별다른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않는 것으로 연구를 설계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사전, 사후에 사용된 검사 도구는 Navran(1967)이 개발한 의사소통능력척도(PCI)를 최은연(2004)이 성인용으로 수정한 의사소통능력척도와 Reiners, Corcoran, Drake, Shryane, & Vȍllm(2011)이 개발하고 강준(2012)이 한국어로 번안한 인지적ㆍ정서적 공감척도(QCAE)를 사용하였다. 보다 신뢰로운 연구결과의 제시를 위해 연구대상 수를 고려한 비모수 통계방법을 사용하여 프로그램 참여 유무에 따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 검증과 실험집단 내 시간에 따른 차이 검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 간 사전 동일성 및 사후 차이 검증을 위해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 내 사전, 사후 간 변화 비교를 위해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프로그램을 처치하지 않은 통제집단과 달리, 실험집단은 의사소통능력과 인지ㆍ정서적 공감능력 모두에서 프로그램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 중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인인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는 프로그램 효과가 나타난 반면, 언어적 의사소통능력은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단순히 프로그램이 언어적 의사소통능력에 효과적이지 않았다기보다는 이미 언어적 의사소통능력이 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에 비해 현저히 높다는 점에서 기인한다고 보았다. 이는 지금까지의 여러 의사소통 연구에서 제안하는 주장과 일치하는 결과로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에게 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 배양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의사소통프로그램은 앞으로 사회에 진출하게 될 취업준비생에게 반드시 필요한 직업기초능력 중 하나인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점과 향후 의사소통능력의 배양을 위해 보다 구체적이고 전문적으로 세분화된 프로그램이나 교육 등의 개발 연구에 여러 기초자료 중 하나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for verifying the effects of verbalㆍnonverbal communication ability and cognitiveㆍemotional empathy of job applicants by th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The communication program which was based on the 'Looking Out, Looking In' of Adler & Proctor (2015) focused on cultivating three abilities: content delivery ability, listening ability, and empathy form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30 students from A University who was participated in the ‘Youth Employment Academy’ were composed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For the experiment group, 8 week program consisting of 3 hours was carried out weekly, and the study was designed that no program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 conducted pre-test and post-test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empathy ability. The Primary Communication Inventory(PCI) developed by Navran(1967) and revised by Choi(2004) for Korean adults and The Questionnaire of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QCAE) developed by Reiners, Corcoran, Drake, Shryane, & Vȍllm(2011) and validated by Kang(2012) in Korean was used. In order to present more robost research results, we conducted a non - 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considering the number of research subjects and verifi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ogram and verifi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ime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verify pre-, post-test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mutually, and the Wilcoxon Signed-Ranks Test was used to compare pre-, post-test changes in the subjective group.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and the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ability, unlike the control group which was not conducted the communication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onverbal communication, which is a sub-factor of communication ability, showed the program effect but the linguistic communication ability was improved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verbal communication ability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verbal communication ability rather than merely the program was not effective in verbal communication ability. This result suggests the necessity of education to cultivate non-verbal communication ability for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as a result of agreement with the suggestion in various communication studies so far. Th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suggested i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effective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and empathy ability, which is one of the basic skills of job, which is necessary for the job applicants who will enter into society in the future. and In order to cultivate communication ability in the future, it provides one of various basic materials for development study such as more specific and specialized subdivided programs and education.

      • KCI등재

        대인의사소통 능력과 성향과의 관련성 연구

        이유미(Yi, Yu-mi)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2 No.-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대인의사소통 능력과 성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대인의사소통능력, 자기복잡성, 의사소통 불안, 자기 부정성에 대한 척도지를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대상 학생은 의사소통 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4가지의 척도지를 동일 대상에게 설문하여 보았다. 이를 통해 대인의사소통 능력과 자기 복잡성에 있어서 유관한 결과를 얻었고, 의사소통 불안과 자기 부정성에 있어서도 유관한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대인의사소통 능력과 의사소통 불안, 자기 부정성과는 유관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는 자기 복잡성에 대한 관련 연구에서 대인 능력과 유관한 결과를 얻는 것을 지지한다. 또한, 자신에 대해 엄격한 자기 부정성이 의사소통 불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도 의의있는 결과라 하겠다. 이러한 다양한 측면의 대인의사소통 능력 요인을 탐구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대인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요인을 탐구하는 데 있어 의미를 갖는다. 또한 대인의사소통 능력의 부족 요인을 이해하는 것은 이것을 개선하고 좀 더 원활한 대인의사소통 능력을 갖추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대인의사소통 능력이라는 것이 단지 타고난 능력이 아니라 교육 가능한 부분임을 인지하기에 이러한 연구는 교육적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To achieve this, A total of 50 college students attending communication courses were selected and surveyed according to for the four measurement indice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elf-complexity,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self-negation. The survey’s results reveal a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elf-complexity, in addition to a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self-negation.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s are found betwe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apprehension or self-negation. This finding corroborates the fact that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elf-complexity is identified in this research. Furthermore, the study’s finding that self-negation, or being strict with oneself, affects communication apprehension is also significant.

      • KCI등재

        특집 : 대학 글쓰기 교육과 계열별 글쓰기 ; 의사소통교육 수월성 제고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국가고시 및 전문대학원 입학시험 대비 과목 개설안-

        박상태 ( Sang Tae Park ) 반교어문학회 2009 泮橋語文硏究 Vol.0 No.27

        이 논문의 목적은 2008년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의 대학교육개발센터 내 의사소통교육연구실의 요청을 받아 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 국가고시 및 전문대학원 입학시험을 대비한 의사소통교육 과목을 개발하려는 것이다. 현대 사회가 고도로 분화됨에 따라 전문직의 영역과 사회적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대학 교육 수요자들의 전문직에 대한 관심 역시 날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필자는 이 논문에서 우리 사회의 전통적이고 대표적인 전문직인 공무원, 변호사, 의사를 선발 혹은 양성하기 위한 시험인 공직적성평가(PSAT), 법학적성시험(LEET), 의·치의학입문검사(MEET·DEET)를 준비하는 대학생들을 위한 의사소통교육 과목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우선 필자는 의사소통능력 수월성 교육을 지향하는 과목 개설의 목적을 설정하고,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과목 개설의 원칙들을 마련하였다: 첫째, 이 과목은 논리적·비판적·창의적 사고를 배양해야 한다. 둘째, 이 과목은 인간·사회·자연에 관한 체계적인 교양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이 과목은 정보 문해 능력의 수월성을 달성해야 한다. 넷째, 이 과목은 고급의 문제 해결적 글쓰기 기술을 실습해야 한다. 이상의 과목 개설의 목적과 원칙들에 근거하여 필자는 이를 현행성균관대학교의 교양기초교육 과정에 연계해 봄으로써, 성균관대학교 교양기초교육 과정 내의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 영역>에 속한 고급 과정으로서, <언어 이해>, <추리 논증>, <자료 해석>, <고급 논술>이라고 잠정적으로 명명한 4개 과목을 전문직 시험을 대비한 의사소통교육 과목들로 개설할 것을 이 논문에서 제안하였다. 여기에서 <언어 이해>는 다양한 분야의 교양 텍스트를 논리적·비판적·창의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읽기 능력을 함양하는 과목이고, <추리 논증>은 일상 언어적 텍스트들을 분석·추론·평가하는 데 있어 논리적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읽기 능력을 함양하는 과목이며, <자료 해석>은 다양한 분야의 정보 자료를 분석·평가·구성하는 데 있어 수리적 사고와 통계적 사고를 활용할 수 있는 읽기 능력을 함양하는 과목이고, <고급 논술>은 다양한 분야의 텍스트들에 대한 분석과 평가에 근거하여 자신의 견해를 생산할 수 있는 문제 해결적 글쓰기 능력을 함양하는 과목이다. 나아가 필자는 이 논문에서 이상의 전문직 시험을 대비한 의사소통교육 과목들의 구체적인 수업 계획서를 가상으로 작성해 보았다. 무엇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고등 사고력과 균형 잡힌 풍부한 교양과 의사소통의 다양한 기술들이 상호 연계된 고급의 교양기초교육 과정으로서 전문직 시험을 대비한 의사소통교육 과목들을 제안하였다. 물론 이 논문에서 필자가 제안한 전문직 시험을 대비한 의사소통교육 과목들이 실제로 개설되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인 보완 연구들이 지속되어야 하겠지만, 이상의 과목들은 2005학년도 이후 정보화 및 세계화 시대의 사회·문화적 요구를 적극 반영하여 개선된 성균관대학교 교양기초교육의 연장선상에서 전문직선발 및 입학시험을 목표로 설정한 대학생들이 효과적으로 자신의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독자적인 교양기초교육 과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new advanced communication courses for the college students to achieve excellent communication competence. This project to set new advanced communication courses was asked by Communication Center in University College of Sungkyunkwan University in the late 2008. For the new advanced communication courses, I plan to make communication courses for PSAT(Public Service Aptitude Test), LEET(Legal Education Eligibility Test), MEET·DEET(Medical Education Eligibility Test·Dental Education Eligibility Test). PSAT, LEET, MEET·DEET are high-burden examinations, which demand top-levelled thinking power, well-balanced cultural knowledge, and high-skilled communication faculty etc. To acquire these qualifications, new communication courses for PSAT, LEET, MEET·DEET have to be composed in accordance with one goal and four particular principles, which I set here. One goal is to make these courses for enhancing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faculty; four particular principles are followings: Firstly, these courses make college students logical·critical·creative thinkers. Secondly, these courses make college students well-balanced cultured persons. Thirdly, these courses make college students comprehend charts and diagrams efficiently. Fourthly, these courses make college students write essays fluently. With one goal and four principles, I propose four new advanced communication courses for PSAT, LEET, MEET·DEET, which are called "Ordinary Language Reading", "Reasoning & Argumentation", "Informational Comprehension", "Advanced Essay Writing". "Ordinary Language Reading" is the communication course for enhancing logical·critical·creative thinking power and well-balanced cultural knowledge through reading ordinary language texts. "Reasoning & Argumentation" is the communication course for applying logical skills to ordinary language texts. "Informational Comprehension" is the communication course for applying mathematical·statistical skills to the different charts and diagrams. "Advanced Essay Writing" is the communication course for enhancing logical·critical·creative thinking power and well-balanced cultural knowledge through writing essays. Although these new advanced communication courses for PSAT, LEET, MEET·DEET need to be made up for by more studies, these courses are especially related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s of Sungkyunkwan University since 2005. So new advanced communication courses for PSAT, LEET, MEET·DEET, which I propose here, have to be independent communication courses i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s of Sungkyunkwan University. As a result, these courses will help college students realize their dreams in the future.

      • KCI등재

        의사결정 참여가 조직 내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조직목표 명확성의 조절효과 -

        김동신,황광선 한국지방행정학회 2024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Vol.21 No.2

        조직 내 의사소통은 조직의 다양한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조직 내 의사소통이 조직에 있어서 다양하고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조직 내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조직 내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조직 구성원의 의사결정 참여의 정도가 공공조직 내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조직 구성원의 의사결정 참여와 공공조직 내 의사소통의 관계에서 조직 목표의 명확한 인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이 중앙 행정기관 및 지방 행정기관에서 종사하고 있는 공무원을 중심으로 실시한 ‘2022 공직생활실태조사’의 설문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결정 참여는 조직 내 의사소통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의사결정 참여는 조직 내 부서 간 의사소통, 상・하간 수직적 의사소통, 동료 간 수평적 의사소통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내 부서 간 의사소통과 조직 내 수평적 의사소통에도 조직목표의 명확성이 긍정적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조직목표의 명확성이 조직 내 수직적 의사소통에는 긍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고 주장하기 어려운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조직목표의 명확성은 전반적인 조직 내 의사소통에 미치는 의사결정 참여의 긍정적 영향력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목표의 명확성은 조직 내 부서 간 의사소통 및 조직 내 수직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의사결정 참여의 긍정적 영향력을 강화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조직목표의 명확성이 조직 내 수평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의사결정 참여의 영향력을 강화한다고 주장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on communication within public organizations, with a particular focus on how the clarity of organizational goals moderates this relationship. Using data from the 2022 Public Service Lif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research examines communication practices among public officials in central and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The findings reveal that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is a key factor that positively influences communication across multiple levels within public organizations. Specifically, it enhances interdepartmental communication, vertical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hierarchical levels, and horizontal communication among colleagues. Additionally, the clarity of organizational goals emerges as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improved communication, particularly between departments and among peers. However, its influence on vertical communication is less pronounced. Furthermore, the study highlights that the clarity of organizational goals strengthens the positive effect of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on overall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This moderating effect is especially evident in enhancing both interdepartmental and vertical communication, although it has a limited impact on horizontal communication. These insigh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fostering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and ensuring clear organizational goals to facilitate effective communication within public organizations.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장애아동을 위한 비구어적 의사소통에 관한 최근 연구 검토

        이상희(Lee Sang-He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1 No.4

          의사소통이란 두 사람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 사이에서 태도와 생각, 사실과 정보를 전달하고 교환하는 상호적인 과정이다. 대부분의 비장애아동은 언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하지만 의사소통 장애아동은 언어 외에도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시도한다. 본 연구는 의사소통 장애아동의 비구어적인 의사소통에 관한 최근의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 기능의 의미와 분류 체계에 관하여 살며본다. 둘째, 의사소통 장애아동의 보완ㆍ 대체의사소통 기능에 관하여 살며본다. 셋째, 의사소통 장애아동의 보완ㆍ대체의사소통 중재 전략에 관하여 살펴본다.<BR>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소통 장애아동의 보완ㆍ대체의사소통을 통하여 특수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중재를 실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제시한다.   Communication is a mutual process of transmitting and exchanging attitudes, ideas, facts and information among two people or more. Most children without communication disorder communicate using the language but those with communication disorder attempt to communicate in very many ways in addition to using the languag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recent trend in non-verbal communication by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 The specific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irstly, the sifnificance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communication functions, secondly, th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function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 thirdly, the strategy for mediation i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s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BR>  Based on the study result, this study suggests basic data to conduct intervention effectively o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s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

      • KCI등재후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채경선,황현주 한국효학회 2014 효학연구 Vol.0 No.20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아동의 행복한 삶을 위하여 부모의 개방적인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검증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이면서 생활환경이 다른 남자 250명, 여자 250명 모두 500명을 대상 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척도, 행복감 척도, 친구관계 척도를 사용하였고,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과 행복감 척도는 요인 분석을 통하여 하위요인을 세분화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dow 17.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연구 가설을 검증하고,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인구 사회학적 변인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있어 대화시간은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가 지고 있다. 부모-자녀 간 긍정적인 의사소통은 친밀감과 자아 존중감을 높이고, 자녀의 대인관계 및 사회적 발 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부모-자녀 간 진실한 생각과 감정을 공유하는 많은 의 사소통이 이루어질 때, 상호 이해와 관계 만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이 행복감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보이는지 알아 본 결과, 부모와의 표현과 공 감이 증가할수록 행복감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이해하면서, 경청하고 공 감해 준다면 자녀와의 관계가 더 돈독해지면서 더 깊은 대화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동의 행복감도 높아 지게 된다는 의미이다. 셋째, 어머니의 표현, 아버지의 표현 요인이 행복감에 영향을 주며 다양한 환경 요인들 가운데 개방적인 의사 소통은 초등학생의 행복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모의 개방적인 의사소통은 아동이 행복하게 살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모와의 대화가 개방적인 집단일수록 행복감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자녀 간 긍정적인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부모들에게는 행복감을 촉진시 킬 수 있는 긍정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중요한 기본 방향을 제공하고, 이해를 돕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child communication types and happiness. It would verify the importance of parent open communication for building happy life of child and also present basic data for practical education program and parents-education program.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250 males and 250 females, total 500 students with different life environment among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city. It used parent-child communication scale, happiness scale, and friendship scale as study tool,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happiness scale were detailed in sub -factors by factor analysis. Study hypothesis was verified by statistical package, SPSS Window 17.0 and it was analyzed b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crosstabs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in Population Sociological variable of elementary students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time of dialogu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t shows that the positiv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enhances intimacy and self-esteem and also has positive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development of child. Thus, if there are lo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sharing sincere thought and feeling, it would enhance mutual understanding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in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type and happiness, it showed that the more expression and empathy with parent enhanced, the more happiness enhanced. It means that if parents accept and understand their children, listening and sympathizing with them,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would be stronger and be able to have deeper dialogue and children’s happiness would be enhanced, as well. Third, it showed that the factor of mother’s expression and father’s expression effected on happiness and also open communication among various environment factors had a big impact on the happiness of elementary students. It means that parent’s open communi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for child to live a happy life. From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parent-child positive communication was proved by showing that parent-child open communica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friendship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child, plays an important role for sociality improvement, and enhances happiness. It would be valuable tha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gives the important basic direction for positive communication in order to enhancehappiness of child to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