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상담에 대한 인식 탐색 연구 : 대학상담센터 미경험자를 중심으로

        정소미(Jeong, So m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1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의 상담에 대한 인식을 탐색함으로써 대학 신입생들을 위한 상담지원과 심리교육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대학 신입생의 상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 신입생의 상담과정 중 상담자·내담자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대학 신입생의 대학상담센터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상담센터를 경험한 적이 없는 신입 대학생 3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서면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수정된 합의적 질적방법(CQR-M)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문제에 따른 3개 영역과 7개의 범주, 22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영역인 대학 신입생의 상담에 대한 인식에서 상담을 받는 사람에 대한 인식, 상담을 받으라는 말을 듣게 된다면의 2개 범주와 7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 영역인 대학 신입생의 상담과정 중 상담자·내담자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서 상담과정 중 상담자의 역할에 대한 인식, 상담과정 중 내담자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2개 범주와 7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세 번째 영역인 대학상담센터에 대한 인식에서 대학상담센터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대학상담센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대학상담센터에 가는 것을 꺼리는 이유의 3개 범주와 8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신입생의 상담에 대한 인식을 탐색함으로써 대학신입생이 상담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prepare counseling support and develop a psychological education plan for college freshmen by exploring their perceptions of counseling.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aims to explore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erceptions of counseling among freshmen? Second, what are the perceptions of the respective roles of counselors and clients in the counseling process among college freshmen? Third, what are college freshmen’s perceptions of the college counseling center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in writing from a questionnaire administered to 31 college freshmen with no prior experience with college counseling center servic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modified consensus qualitative method (CQR-M). As a result, three domains, seven categories, and 22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Regarding the first research area relating to perceptions of counseling among college freshmen, two categories and seven sub-categories were derived. In the second research area relating to college freshmen’s perceptions of the respective roles of counselors and clients in the counseling process, two categories and seven sub-categories were derived. In the third research area relating to college freshmen’s perceptions of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three categories and eight sub-categories were derived. By exploring college freshmen’s perceptions of counseling services, this study’s results may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support them in accessing the help of available college counseling services.

      • KCI등재

        대학신입생들의 대학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선남,임재식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9 주관성연구 Vol.- No.4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ypify the deciding factors of college freshmen’s college choices. It was foun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there is a total of 3 types of college freshmen’s deciding factors. The first classification is the ‘focus on reputation.’ Unlike these students’ concern on ‘college reputation and growth potential,’ they do not focus on the ‘college’s PR policy’ and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programs.’ These students occupied 46.2% of the total respondents and was generally found in both male and female freshmen. The second classification is the ‘focus on career.’ While these students emphasize the ‘college’s high post-graduation employment rate,’ they do not focus on the ‘college’s PR activities’ and ‘the stability of the college’s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These students composed 32.2% of the total responses and was mostly observed in male, STEM-related major freshmen. The third classification is ‘the focus on financial support.’ Unlike these students’ interest in ‘low tuition fees’ and ‘scholarship opportunities,’ they do not focus on ‘college’s PR activities,’ and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system (student abroad, distinguished faculty).’ These individuals composed of a minority (21.4%) of the total responses and the students were mostly female, humanities-related major freshme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신입생들의 대학선택 결정에 관한 주관성 구조를 유형화시키는데 있다. 연구결과, 대학신입생의 대학선택 결정요인은 총 3개 유형으로 발견되었다. 첫 번째 유형은 ‘명성 중시형’이다. 이들은 ‘대학평판 및 성장가능성’에 관심을 둔 반면 ‘대학의 홍보정책’ 및 ‘질 높은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주목하지 않았다. 이들은 전체 응답자의 46.2%를 차지하였으며 대체로 남녀 신입생에게서 발견되었다. 두 번째 유형은 ‘진로 중시형’이다. 이들은 ‘대학의 높은 취업률’에 관심을 둔 반면 ‘대학의 홍보활동’, ‘대학의 안정된 환경 인프라’ 등에는 관심두지 않았다. 이들은 전체 32.2%를 구성하였으며 주로 남학생 및 이공계열 신입생들 사이에서 두드러졌다. 세 번째 유형은 ‘경제적 지원 중시형’이다. 이들은 ‘낮은 등록금’, ‘장학제도’ 등에 관심을 둔 반면 ‘대학의 홍보활동’, ‘질 높은 교육프로그램(해외연수, 우수한 교수진)’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들은 전체 응답자의 소규모(21.4%)를 차지했으며 대체로 여학생 및 인문사회계열 신입생들 사이에서 두드러졌다.

      • KCI등재후보

        전국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기대 및 정신건강

        금명자 ( Myoung Ja Keum ),남향자 ( Hyang Ja Nam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0 人間理解 Vol.31 No.1

        본 연구는 대학입학 전후로 실시된 전국 대학신입생 실태조사를 통해 고등학생 진로지도 및 대학 신입생 적응향상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두 개의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연구 1은 기존의 신입생실태조사 보고서 59종을 종합 분석하여 실태조사 문항 및 내용을 확인하였고, 연구 2는 14,776명의 전국 대학신입생들의 자료를 분석하여 대학과 학과선택 요인, 대학생활의 기대 및 최근 3개월간 겪은 자살충동 및 부정적 정서 경험 등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합격가능성이 대학 결정의 우선요인이었으며, 적성이 학과 결정요인이었다. 대학에서 가장 하고 싶은 것은 전공 공부였으며, 가장 걱정되는 영역은 학업문제와 진로문제였다. 진로결정의 어려움은 부족한 영어 능력 때문이었다. 그리고 85% 이상이 최근 3개월간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였으며, 3.4%는 늘 자살충동을 경험하였다. 이는 대학신입생 100명 중 4명은 늘 자살충동에 시달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들 결과들은 지역에 따라, 성별에 따라, 경제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 이 자료를 토대로 추진해야 할 적응 및 진로상담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college freshmen`s choice of college and college major, their expectations about college life, and their mental health status. We analysed 59 college freshman survey results and the data collected from 14,776 college freshmen at 13 universities. Results suggested that in choosing a college they considered the most whether they could enter the college, whereas in choosing a college major they considered their aptitude most. As for college life, they were most concerned about academic success and career-related issues. Over 85% of the freshmen reported having experienced negative emotions within the last three months, 3.4% having had suicidal thoughts. Strategies for facilitating adjustment to college and issues of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for high school students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인성교육 참여가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최연화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llege freshman participation in character education on self-resilience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 freshmen who participated in personality education at J University, and a pre-and post-test were conducted. Regarding data analysis methods, a correlation analysis and paired sample t-tests were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controllability and positiveness, except for sociality, among the sub-factors of ego-resilience and the ego-resilience of university freshmen, the higher the academic, social, individual, and emotional adaptation, and attachment adaptation to college, which are the four sub-factors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Second, personality edu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trol and positiveness, which are sub-factors of ego-resilience and the ego-resilience of freshmen in college. Third, personality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social adaptation among the four sub-factors of college life adaptation in university freshme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overall college life adaptation.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in personality education as a college liberal arts subject that can increase self-resilience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during the freshman year of college.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인성교육 참여가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자는 J대학교 인성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신입생 26명으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상관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 신입생의 자아탄력성과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에서 사회성을 제외한 통제성, 긍정성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과 네 가지 하위요인인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 적응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성교육이 대학 신입생의 자아탄력성과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통제성, 긍정성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성교육이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의 네 가지 하위요인 중에서 사회적응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 대학생활 적응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학 신입생 시기에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 적응을 높일 수 있는 대학 교양과목으로서 인성교육 개입이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학 학업중단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1학년 적응 과정 분석 -대학 중도탈락생의 이동 경로 구조 기초 연구-

        김수연 한국진로교육학회 2012 진로교육연구 Vol.25 No.3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 tendency for the college freshmen's dropout plan during the period of college adaptation process, relations between plan and carrying-out, and the individual, family-background, and college institutional environment disparities of change tendency for the college freshmen's adaptation process between dropout group and academic persistence group.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freshmen's stop-out plan and dropout plan are more increasing at the end of the year than the beginning of the year. Whereas the uncertain groups about stop-out plan are decreasing, those of dropout plan are increasing. Second,the freshmen's enrollment status of second semester is significant according to stop-out plan, but not dropout plan at the beginning of freshmen year. And freshmen's dropout occurs at early semester, especially focusing on the first semester of college years. Third, this study analyzes the other aspects of dropout causes. There are the disparities of studying habits, economic supports from family,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career identity,commitment to degree attainment, expectation for the individual development through supporting from college between dropout group and academic persistence group. Fourth, while the academic persistence groups are represented to experience the change tendency toward academic persistence except family background variables,the dropout groups are not significant in intelligent concern, basic academic competency, and social integration including family background variables. The dropout groups are found to be more difficult to change the characteristics toward academic persistence tendency. Some discussions can be performed about the colleges'supportive programs laying stress on how college factors influence the students' academic persistence. 이 연구는 대학 학업지속 집단과 학업중단 집단 간 대학1학년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개인, 가정, 대학환경 변인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함으로써 대학 중도탈락생의 이동 경로 구조 분석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08, 2009, 2010학번 대학1학년 1,723명이며, 첫 번째 검사 3년 후에 학업지속, 휴학, 자퇴여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 1학년생의 휴학계획과 자퇴계획은 학년 초보다 학년 말에 더 증가한다. 둘째, 1학년 초 휴학계획 여부에 따라 2학기 학업 상태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업지속 집단과 학업중단 집단 간 학습습관, 가정의 경제적 지원 수준, 의사소통능력, 진로정체성, 대학졸업열의, 대학을 통한 성장기대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학업지속 집단은 가정환경변인 이외 개인 및 대학 모든 변인에서 학업지속경향성이 높아진 반면, 학업중단 집단은 가정환경변인, 지적 관심, 기초학습능력 및 사회적 통합성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학 중도탈락생의 학업중단 경로 구조 분석 결과, 대학기관이 대학 1학년의 학문적․사회적 통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한다면 학업중단 비율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음을 제안한다.

      • KCI등재

        전문대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특성과 대학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류혜숙,김남연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1

        This study ‘s main purpose is to provide grounding materials for seeking a way of educational support that helps students to adapt to college life by finding factors that affect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college life and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freshm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three year colleg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13 freshm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three year college nationwide.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i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freshme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nd also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at use pearson r are conducted so as to find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college life. First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it is shown that diversity in alma mater and department, age, career before matriculation, one’s academic points of highschool is noticeable when it comes to characteristics of personal matters of freshmen. Concerning characteristics of family surroundings, most of them are satisfied with their family lives. Regarding college-related surroundings, what freshmen want to know most is information about major and certificates of qualifications. As to major-related surroundings, students choose a major with their own thought in the largest number of cases, and a main motive to choose a major is a fact that they like to care for children.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college lives, they are generally content with established classes and have interest in counseling substantially. When it comes to plans and expectation toward future, it is shown that most of them hope to prepare for the employment exam or to be a kindergarten teacher after graduation. Second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we can take the degree of consistency in major before and after entrance into college,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college and established classes, enjoyment of college life and social status of job as factors that affect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freshmen’s college lives. 본 연구는 전문대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대학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학교생활의 적응을 돕는 교육적 지원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전문대 유아교육과 신입생 313명이다.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분석을, 대학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r을 이용한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개인사항의 특성에 있어서는 출신 고등학교 계열과 나이, 입학 전 경력, 고등학교 성적 등이 다양하였다. 가정환경 특성에 있어서는 가족관계 및 가정생활에 대부분 만족하고 있었으며, 대학관련 배경과 관련해서 신입생들이 대학생활에서 가장 알고 싶은 것은 전공과 자격증에 관한 정보였다. 전공관련 배경에 있어서는 아이들을 좋아하는 것이 전공 선택의 주된 동기였고, 대학생활 특성에 있어서는 개설교과목에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상담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미래에 대한 계획 및 기대에서는 대부분 졸업 후 임용시험 준비나 유아교사가 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입학 전과 후의 전공에 대한 일치도, 개설 교과목의 만족도, 학과 친구와의 관계, 대학만족도, 학교생활의 즐거움, 직업의 사회적 지위 등이었다.

      • 예비대학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통해 살펴본 신입생 교양교육 성과와 과제

        이희영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7 대학교양교육연구 Vol.2 No.1

        최근 4년제 대학의 예비대학 프로그램은 해당 대학의 입학 예정자가 능동적으로 대학생활을 준비하도록 하는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점차 자리잡아가는 추세이다. 최근 대학을 둘러싼 환경적 변화에 비추어보면 대학의 예비대학 프로그램은 예비 신입생들이 대학 적응 및 기초학문능력 강화, 학업에 대한 동기 부여라는 책무를 담당하고 있다. 배재대학교에서는 대학 학습 환경에의 능동적인 적응, 선행학습을 통한 기초학습능력증진, 대학의 정체성 이해 및 소속감 부여, 대학 내 소속감 부여, 재학생 대상 수월성 교육을 통한 우수 학생 양성을 목표로 2016년 주시경역량강화선행학기와 2017년 신입생 나섬활동학기를 운영하였다. 해당 예비대학의 프로그램 내용은 학교의 정체성 교육, 비교과프로그램(인증제도)의 선행 경험, 교내 캠퍼스투어, 3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튜터링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운영되었다. 이 예비대학 프로그램을 마친 후 이루어진 설문조사에서 만족도는 4.48점의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는 예비 신입생들이 대학에 진입하여 겪을 학업 과정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뜻이며, 예비대학의 학문교육 프로그램이 대학 학습의 동기 부여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대학의 예비대학 프로그램은 신입생에게는 효과적인 대학생활의 시작으로서, 재학생에게는 셀프리더십 훈련의 기회로 유의미하다. 또한 학생들로 하여금 대학의 소속감을 높이고 학업에 대한 동기 부여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대학 교육의 질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예비대학 프로그램은 대학의 기초 교육 강화 및 대학 교육의 적응이라는 뚜렷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효과를 볼 때 각 대학의 정체성을 구현하고, 교육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예비대학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확대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예비대학 프로그램은 전공의 세부적 지식 전달보다는 대학 교육에 필요한 기초 능력 강화가 더 주안점이라는 점에서 교양교육의 영역에서 학문 능력 강화를 목적으로 체계적 프로그램이 간구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Recently, the pre-college program of four-year college is becoming a part of curriculum to help the freshman to actively prepare for college life. Viewed in a recent environmental changes surrounding college, the pre-college program is in charge of college adjustment, enhancing fundamental academic ability and boosting learning motivation. In Paichai University, aiming to help active adjustment on college learning environment, boost fundamental academic ability, grant understanding of college identity and sense of belonging, grant sense of belonging of college, cultivate excellent students through excellence education for registered students, the school ran 2016 Ju Si-Gyeong Ability Strengthening prerequisite semester and 2017 Nasum activity semester. Each pre-college program based on tutoring program was composed of college identity education, preliminary experience of extracurricular program(certification system), campus tour. In the survey conducted after the program, the program received 4.48 point satisfaction. This indicates prospective freshmen are highly interested in academic program of college, and thus proved that academic program of pre-college is effective in motivating learning in college. Comprehensively, the pre-college program is significant as it is the initial step of effective college life to freshman, and a chance of self-leadership training for the current students. Also, as the program motivates students to have sense of belonging and for their learning, i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Likewise, the pre-college program is clearly effective in reinforcement of fundamental college learning and adjustment of college education. The results indicate the necessity of consistent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pre-college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대학 신입생의 뉴노멀 대학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김아람,김진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2

        This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college freshmen’s experiences of entering university during the COVID-19 period. It explores the experiences of freshmen students in 2020 who entered colleg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cluding college class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s well as their daily lives.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y, we conducte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eight studen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freshmen experienced college without a social relationship between campus life and university. Additionally, their college life was limited to university classes in online spaces, and the study participants had to adapt the changing online university teaching methods amid confusion and chaos. Finally, the experience was a ‘new normal’ created by anxiety and adaptation. College freshmen experiences provide an opportunity for educational reflection on what universities should address in the face of new crises and changes. Furthermore, this study recorded the vivid college life experienced by university and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voices of college freshmen during the unprecedented crisis of the COVID-19 pandemic 이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에 입학한 2020학번 신입생의 대학생활에 주목하여, 그들의 경험을 대학수업과수업 외 활동뿐 아니라 일상생활 전반을 포함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0학번 대학 신입생8명을 연구참여자로 초대하여, 이들과의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을통해 드러난 코로나19 시기 대학 신입생 경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20학번의 대학 1학년 경험은 캠퍼스라이프와 대학에서 맺은 사회적 관계가 없는 대학생활이었다. 둘째, 이들의 대학생활은 온라인 공간에서 펼쳐지는대학 수업에 국한되었으며, 연구참여자들은 혼란과 혼돈 속에서 변화하는 온라인 대학 수업방식에 적응해야 했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에게 있어 코로나19 시기에 대학 신입생으로서 맞이한 경험은 끊임없는 불안과 적응 속에서 대학생활에 대한 기존의 질서와 기대를 해체하고 새롭게 만들어가는 뉴노멀 대학경험이었다. 이러한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은새로운 위기와 변화 앞에서 대학이 무엇으로 존재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교육적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나아가, 이 연구는 코로나19 펜데믹이라는 유례없는 위기 속에서 대학 신입생들이 경험한 생생한 대학생활을 연구참여자의목소리를 통해 기록함으로써, 교육문화 형성의 특정 양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자기대화(self-talk)에 대한 질적 연구

        손강숙(Shon, Kang-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의 자기대화(self-talk)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대학 신입생들을 위한 상담과 심리교육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대학 신입생이 자기 자신에게 하는 자기대화(self-talk)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 신입생이 타인에게 하는 자기대화(self-talk)는 어떠한가? 였다. 이를 위하여, 2018년 4월 1주~2주, 2주간 질문지를 직접 수집하는 방법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문제에 따른 2개 영역과 5개의 범주, 1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영역인 대학 신입생이 자기 자신에게 하는 자기대화 (self-talk)에서 자기위로 및 격려, 자기다짐 등 2개 범주와 4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 영역인 대학 신입생이 타인에게 하는 자기대화(self-talk)에서 부모에 관한 자기대화, 친구에 관한 자기대화, 교수자에 관한 자기대화 등 3개 범주와 10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 신입생이 자신과 타인에게 하는 자기대화(self-talk)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대학 신입생을 위한 심리·정서적 측면에 관한 교육과 상담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education for college freshmen by exploring self-talk of freshmen in college. For this purpose, 40 freshman students were conducted a discovery-oriented exploratory study using the CQR-M method. The problem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self-talk that college freshmen do about themselves? Second, what is self-talk that college freshmen do about others? As a result, 2 domains, 5 categories and 14 sub-categories were derived according to research problems. In the first domain, two categories(self-soothing and self-encouragement, and self-commitment) and four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self-talk that first-year college freshmen talk about themselves. In the second domain, three categories(self-talk about parents, self-talk about friends, and self-talk about teachers) and ten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self-talk that first-year college freshmen talk about others. Through this results of this study,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self-talk that college freshmen do about themselves and others. Also, this result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ducational and counseling support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of freshmen in college.

      • KCI등재

        대학 신입생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강성배,김광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1

        Recently, the paradigm of education has changed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particular, due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uch as the decline in the number of students and drop-out rates, the university plans and operates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 attract freshmen and maintain the continuing education of students. This change is due to the change in perception of college freshmen and their importance, and it is necessary to pay much attention and research to the education for fresh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eliminary college program, which is the first step to prepare students for college life, as well as effective college lif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liminary college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freshmen education of the college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related to freshmen education. In addition, through the case of Dongguk University’s preliminary college program, it was found that freshme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ollege adaptation and successful college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universities should make changes in educational objectives, curriculum, contents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methods in order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reliminary college in freshmen education and to make it better.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사회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교육 패러다임도 바뀌고 있다. 특히 학령인구 감소, 중도탈락률 등과 같은 교육환경의 변화로 인해 대학은 신입생 유치와 재학생의 지속적인 학업유지를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대학 신입생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그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신입생을 위한 교육에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이 대학생활에 대한 배움이자 준비하는 첫 단계인 예비대학 프로그램이 대학교육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대학 생활하는데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신입생 교육과 관련 문헌검토를 통해 예비대학이 대학 신입생 교육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동국대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운영사례를 통해 신입생들이 대학적응 및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들은 신입생 교육에 있어 예비대학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내실화를 도모하기 위해 교육목표,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육방법 등의 변화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