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선시기 서울시 북촌정책의 지속과 변화

        정석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0 서울학연구 Vol.- No.40

        Fifteen years have passed since local autonomy was reintroduced in Korea. Four mayors directly elected by Seoul citizens served only one term each.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tinuity and change in Bukchon policy over the last ten years (1999-2009), and find out the answer to the following question: Does the new mayor continue or change the former mayor’s policy in the era of local autonomy? This study surveyed official documents, reports and texts of speeches, and interviewed government officials, professionals and resident representatives who participated i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Bukchon policy. The study then analyzed the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Bukchon policy in four aspects: policy status, planning and the legal system, organization and manpower, and projects and budgets. In addition to the literature review, a Delphi survey of the participants i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Bukchon policy was also conducted. The survey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every time Seoul city has a new mayor, the Bukchon policy is changed because the new mayor had his own will, pledge and policy prio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ormer mayor. The goal of the Bukchon policy was changed from preservation of the residential area to invigoration of tourism. The status of the organization in charge and manpower also changed several times. Second, the Bukchon policy underwent many changes after a new mayor was elected. In spite of this, the Bukchon policy has continued as a whole. Although the changes were remarkable at the early stages of the new mayor’s term, the policy returned to its condition, and occasionally, the policy was rather strengthened after the new mayor’s mid-term. Third, although the Bukchon policy continued without interruptions, it was not consistent. Good examples of this include the change in the goals of policy, change of the competent authority from Housing Bureau to Culture Bureau and its return to Housing Bureau, and several changes in the organization in charge. In the era of local autonomy, there is, and will be, a lot of room for change in the Bukchon policy as long as the mayor changes. Accordingly, an institutional framework is needed in order to continue the Bukchon policy and keep it constan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he Bukchon policy consistently according to a long term plan which has a legal force, or enact the Bukchon Ordinance that clearly stipulates the goals and basic principles of the Bukchon policy. This should be discussed in depth in further studies.

      • KCI등재

        역사교육에서 변화개념의 연구 동향과 전망

        최상호 한국역사교육학회 2023 역사교육연구 Vol.- No.47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교육에서 변화개념을 다룬 국내외의 연구들을 검토하여 연구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고, 향후 변화개념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는 데 있다. 먼저 변화개념 연구의 동향 검토 결과, 다음의 세 가지 연구 계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는 변화개념을 학문적 개념, 즉 2차 개념으로서 주목한 연구이다. 이들은 변화개념의 개념적 성격을 규명하고 학생들이 가져야 할 변화인식을 제시하였다. 둘째는 변화개념의 속성과 수업 전략을 살펴본 연구이다. 이들은 변화의 속성을 범위, 속도, 성격, 방향 등으로 정리하면서 이러한 속성을 학생들이 깨닫게 하기 위한 수업 전략으로 분석적 연표와 그래프, 은유와 유추, 변화와 관련 어휘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는 학생들의 변화개념 이해와 변화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이다. 이들은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변화인식을 경험적으로 조사하는 한편, 변화개념의 성격이나 속성 등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변화개념 이해를 수준별로 유형화하여 제시하였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기존의 변화개념 연구들이 이론적이고 추상적인 분석 활동에만 치중하였다고 비판하면서, 변화인식의 주관적이고 경험적인 특성에 주목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역사적 변화를 단지 현재의 관점에서 개요적 지식으로만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변화를 겪었을 당시 사람들의 시간경험과 의미구조를 확인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이러한 주관적이고 경험적인 변화개념의 성격을 잘 드러내 주는 인식 및 서술 도구로서 내러티브에 주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려는 시도도 이어졌다. 이러한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변화를 인식한다는 것이 특정 역사적 사실에 이미 내재된 변화의 양상을 파악하는 인지적 과정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다. 변화개념에 대한 학습은 개괄적인 분석 활동을 넘어 구체적인 사실에 주의를 기울이고, 행위 주체의 주관적인 경험에 따라 달라지는 변화의 의미를 포착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외의 연구 성과에 비추어 볼 때, 국내에서는 학문적 개념 가운데 하나로서 변화개념에 대한 조명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변화개념의 특징과 속성, 변화개념 이해를 위한 발문이나 수업 전략 등 핵심적인 연구문제들에 대한 논의의 진전이 요구된다. 우리의 사회문화적 맥락이 학생들의 변화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이며, 우리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틀이 무엇인가에 대한 경험적인 검토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n the concept of change and continuity and to suggest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review, three research trends can be identified. First, research that focuses on the concept of change as an academic concept, namely secondary concept. Second, research that examines the properties and teaching strategies related to the concept of change. Third, empirical research o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hange. Recent research criticizes existing studies on the concept of change for primarily emphasizing theoretical and abstract analytical activities and emphasizes the subjective and experiential nature of change awareness. It suggests that assessing historical changes should not be limited to a overview studies but should also involve understanding the temporal experiences and meaning structures of people at the time when they actually experienced the changes. Additionally,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focus on narratives as tools that effectively reveal the subjective and experiential nature of the concept of change and to validate their effectiveness. These studies collectively emphasize emphasize that recognizing change is not a cognitive process that grasps the aspects of change already inherent in specific historical facts, but rather pay attention to the subjective time experience and meaning structure in which people lived. In domestic research trend, some progress has been made in elucidating the concept of change as an disciplinary concept. However, further discussions are need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the concept of change, as well as on research issues related to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hange, enquiry questions, or teaching strategies. Moreover, since most of the studies reviewed in this paper are from abroad,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experiential impact of our socio-cultural context on students' change awareness and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frameworks held by students.

      • KCI등재

        정권 교체와 교육정책 변동에 관한 연구

        김용일 한국교육정치학회 2019 敎育政治學硏究 Vol.26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policy change according to regime change since ‘Civilian Government’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author examines the theoretical aspects of regime change, policy regime, and education policy change. And then the article goes on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policy change and consider the more complex policy set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uthor confirms a popular opinion that regime change triggers education policy change via the change of policy regimes. Second, though there was regime change three times from ‘Civilian Government’ to Moon Jae-in Government, during the first two regimes education policy has not been changed. Second, this continuities of education policy have stemmed from a concrete policy regime, which circumscribed the policy contents based on neo-liberal ideology. Third, the environment of education policy change has been changed more dynamic due to introducing the direct superintendent election system. 이 연구는 정권 교체에 따른 교육정책 변동의 특징을 드러내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고찰 대상 시기를 ‘문민정부’에서 문재인 정부까지로 한정하는 한편, 정책 문서와 국내외 관련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고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논의에서 정권 교체가 정책 레짐의 변화를 매개로 실질적인 교육정책 변동을 이끄는 중요한 변수라는 통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그러나 문재인 정부 이전 두 번의 정권 교체까지는 통설과 달리 “정책의 연속성”이 관찰되었다. 세 번째 정권 교체를 이룬 현 정부의 경우 공식적인 정책 변동이 관찰되지만, 실제적인 교육정책 변동 여부를 말하기는 아직 이르다. 셋째, 두 번의 정권 교체에도 불구하고 정책의 연속성이 유지되어온 것은 정책 레짐, 분할 정부, 이중권력 등 서로 관련이 있는 세 가지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 가운데 5.31 교육개혁안을 중심으로 강고한 정책 레짐이 형성되었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이 정책 레짐이 한번은 이전 정권의 정책을 승계토록 하는 한편, 다른 한번은 동일한 정책을 전면화하여 정책의 연속성을 유지시켰기 때문이다. 끝으로 정권 교체 외에 교육감 주민직선제라는 변수로 인해 정책 변동의 역동성이 커졌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학습목표지향성 및 상사의 변화 지향적 행동과 혁신행동간 지속학습활동의 매개효과

        강영순,김영춘 한국상업교육학회 2016 상업교육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지속학습활동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지속경력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변인으로 개인특성(학습목표지향성)과 상사차원 특성(상사 변화지향 행동)을 설정하여 개인특성 및 상사차원 특성의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둘째, 지속학습활동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셋째, 개인특성(학습목표지향성)과 상사차원 특성(상사 변화지향 행동)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관계에서 지속학습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한 자료는 제주지역 서비스직 업종 종사자 241명으로부터 획득된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습목표지향성과 상사 변화지향 행동은 지속학습활동의 주요한 원인 변수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목표지향, 상사 변화지향 행동, 지속학습활동은 혁신행동을 위한 주요 원인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속학습활동은 학습목표지향-혁신행동의 관계, 상사 변화지향 행동-혁신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조직구성원의 역량 향상을 위한 지속학습활동의 주요 원인으로 학습목표지향성과 상사 변화지향 행동의 규명되어 지속학습활동을 위한 개인특성 및 상사행동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지속학습활동이 양자 변인을 연결하는 주요 변인으로 판명되어 지속학습활동 연구범위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antecedents and outcome variables of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In detail, impacts of both variables, which set up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change-oriented behaviors of superior as antecedents, were verified to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Second, the effect of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on innovative performance was tested. Third, mediating effects of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were examined in the relations learning goal orientation-innovative performance, and change-oriented behaviors of superior-innovative performance. The sample came from 241 employees who work for telecommunication, hotel, and tourism service companies in Jeju isl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change-oriented behaviors of superior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had significant impact on innovative performance. Mediating effects of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were significantly validated in the relations learning goal orientation-innovative performance and change-oriented behaviors of superior-innovative performance. Findings the results show the importance of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change-oriented behaviors of superior for facilitating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In addition, the current results contribute to expand the research area on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as a mediator.

      • KCI등재후보

        도시 장례식장에서 지속되는 상례의 문화적 전통

        김시덕(Kim Shi-Dug) 실천민속학회 2007 실천민속학연구 Vol.9 No.-

        이 글은 도시의 장례식장에서 행해지는 상례의 다양한 요소가 어떻게 외형적 변화를 통해 그 본래의 문화적 전통을 지속하고 있는가를 구명하려는 것이다. 외형상 공공의 장소라는 장소의 변동에서부터 시작하는 장례식장의 상례는 우리의 문화적 전통이 송두리째 바뀌어 변해버린 것처럼 보이고, 연구자들도 이에 대해 변화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외형적 변화 내에는 우리의 문화적 전통이 상당부분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화적 전통의 지속은 본바탕을 전승하기 위해 외형을 변화시키는 '지속의 원리'에 입각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이템으로 잡은 중상, 상복, 문상객 접대, 밤샘, 분향과 절, 부고와 감사편지, 견전, 화장과 염습, 추모시설, 탈상 등 상례의 문화요소에 대하여 생성과정 변화과정, 현재의 상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키워드들은 외형상 상당한 변화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내면적인 알기, 그 의미는 변화하지 않고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것들이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문화요소가 생성되어 지속하기 위해 외형을 변형시켰다고도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various elements of the funeral rite occurred in the urban funeral home has been continuing its cultural traditions by accepting external changes. Many researchers emphasize the changes which seem to totally change Korea's cultural traditions beginning from spatial change from fairly private space to public one. We however can still find fundamental continuation of Korea's cultural customs in the external changes. It seems that external changes made remain the central authenticity of cultural traditions in terms of a principle of continuity. This paper also deal with different cultural elements by exploring various items: Jungsang(double mourning due to losing both parents within three years); Sangbok (funeral garments); Munsanggaek Jeopdae(funeral reception); Bamsaem(staying up all night for condolence); Bunhyang(buring incense for the dead) and Jeol(mourning bow); Bugo(obituary notice) and Gamsapyeonji(appreciative letter); Hwajang(cremation) and Yeomseup(washing and clothing a corpse for burial); Chumosiseol(facility for cherishing the memory of the deceased); and finally Talsang(expiration of the mourning period). It is expected to provide a chance to analyse processes of orienting, changing, and also current situation of funeral customs. In other words these changes are measures to continue values of funeral rite tradition. Accordingly the funeral custom can be concluded not as a fixed concept but as a changing and moving one.

      • KCI등재

        심리적 주인의식이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나영(Lee Na Young),송경수(Song Kyoung Soo),안종연(An Jong Yeon),김승민(Kim Seung Mi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3 No.4

        많은 기업들이 급변하는 환경에 대처하고 적응하기 위하여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실제로 변화에 성공하는 기업들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조직의 성공적인 변화를 위한 요인들 중 조직구성원의 변화몰입에 초점을 두고 있다. 조직구성원의 변화몰입은 조직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에 기인한다. 심리적 주인의식이 변화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 이러한 변화몰입이 조직구성원의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비교적 생소한 개념인 변화몰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심리적 주인의식의 함양을 통해 이러한 변화몰입을 강화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울경 지역의 일반기업 근로자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실증분석에는 305개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주인의식은 변화몰입의 하위 차원 중 규범적 변화몰입을 제외한 정서적 변화몰입과 지속적 변화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둘째, 변화몰입과 과업수행간의 관계에서는 변화몰입의 하위 차원 중 정서적 변화몰입과 지속적 변화몰입이 과업수행에 대하여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구성원의 인식차원인 심리적 주인의식이 높을수록 조직이 수행하고자 하는 변화를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변화몰입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몰입 중 정서적 변화몰입과 지속적 변화몰입이 조직 내 부여받은 과업수행의 성과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셋째, 심리적 주인의식은 과업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넷째, 변화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변화몰입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변화몰입이 심리적 주인의식과 과업수행의 관계에 대하여 매개효과를 보였다. 조직구성원의 정서적 변화몰입이 심리적 주인의식과 과업수행의 관계에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개인의 인식 차원인 심리적 주인의식이 변화라는 제시된 상황에 대한 태도변수인 변화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행동변수인 과업수행과의 관계를 실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변화몰입의 일부 차원만 다룬 것에 반해, 세 가지 차원으로 요인분석하고 유의한 결과를 확인함으로서 다면적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는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실무적으로 성공적인 조직변화 실행을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의 변화에 대한 몰입이 중요하고, 조직이 변화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몰입하기 위해서는 심리적 주인의식에 관심을 기울여야하는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s o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the commitment to change of the factors for successful organizational change context. People develop feelings of ownership for a variety of object, material and immaterial in nature. This state is psychological ownership. Psychological ownership is a feeling of possession in the absence of an formal or legal claims of ownership. This study explored an effects of psychological ownership on behavioral support for organizational change and a potential mediating role commitment to change. In order to verify, the primary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employees in Busan, Ulsan, and Kyung-Nam region companies and 305 samples were used for an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has positive impact on affective commitment to change and continuance commitment to change, normative except continuance commitment to change. Second, affective commitment to change and continuance commitment to change have positive impact on task performance. This means that the psychological ownership increased the commitment to change. Third, psychological ownership has positive impact on task performance. Forth, commitment to chang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task performance. The hypothesis 4 on the mediating role of commitment to change on task performance was supported partially. Only affective commitment to change reveal a mediating effect. Results from this investigation suggest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ommitment to change and task performance. And commitment to change mediates the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ownership (especially feelings of ownership for the organization) and task performance.

      • KCI등재

        북한 조선민주여성동맹의 변화와 지속

        권수현 ( Soo Hyun Kwon )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社會科學硏究 Vol.18 No.2

        본 연구는 여맹의 위상과 역할, 활동을 북한체제의 변화와 지속이라는 관점에서 다시 살펴보고, 특히 1980년대 중·후반 이후부터 여맹의 위상과 역할이 약화되었다는 기존 주장을 재고찰하면서 기존과 다른 의견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우선, 여맹의 변화를 창립초기부터 현재까지 네 단계(제1단계: 1945-1964, 제2단계: 1965-1982, 제3단계: 1983-1997, 제4단계: 1998-현재)로 나눠 살펴보고, 그 다음에는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맹 전체를 관통하고 있는 특징이 무엇인지 고찰한다. 여맹의 위상과 역할은 변화를 겪었으나 변화의 폭은 크지 않았으며 1990년대 이후로는 여맹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1980년대 중·후반부터 악화된 북한경제로 인해 많은 직장여성들이 가정으로 돌아왔고, 특히 가정주부들이 사경제 활동에 적극 참여하게 되면서 국가 차원에서 북한여성들을 통제하고 관리할 필요성이 증가할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김정일 시대에 들어 당의 전위대로서 여맹의 역할은 더욱 확대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김일성 시대의 여맹이 정치적 성격이 두드러졌다면 김정일 시대에는 관료조직으로써의 성격이 강화되었다. 여맹의 활동내용은 북한 노동당의 정책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당의 정책변화 자체가 근본적 변화가 아니기 때문에 표현방식과 강조점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근본적으로 김일성과 김정일 시기 간에 거의 차이가 없다. This paper reinvestigates the status, role, and activity of Chosun Democratic Women`s Federation as transmission belt based on the viewpoint of `change and continuity.` Regarding the opinion about the reduction of its importance, I will suggest that it has been increased especially after the late 1980s. First of all, I research changes from its birth to the present by classifying it in 4 steps (1st step: 1945-1964, 2nd step: 1965-1982, 3rd step: 1983-1997, 4th step: 1998-present). Next, I search for continuous characteristics, even though some changes took place. From the 1980s the abilities of regulation and control of the regime authority have been weakened along with the deterioration of the economy of North Korea, and an increasing number of women have been making money in the private sector. For these reasons, the role of the Women`s Federation also increased to control, manage, and mobilize North Korean women. Its existence has become necessary for sustaining the regime of North Korea. Therefore, there are no reasons to insist that its role has been reduced since the 1980s. Its activities have been altered following policy changes of Chosun Workers Party. The Party`s policy changes, however, were not fundamental, so there hasn`t been a significant change in its activities from the period of Kim Il Sung to that of Kim Jung Il. Moreover, the negative effects of its bureaucracy have been worse under the rule of Kim Jung Il.

      • KCI등재

        초등학교 사회 교육과정에서 ‘교통・통신의 발달’ 및 ‘세시풍속’ 관련 내용 구성의 변천

        김성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4 사회과교육연구 Vol.31 No.2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사회 교육과정에서 학습하게 되는 주제인 ‘교통・통신의 발달’ 및 ‘세시풍속’과 관련된 내용이 교수요목기부터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교육과정에 어떻게 제시되어 왔는지, 교과서에는 어떻게 서술되어 왔는지 그 변천 과정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교통・통신의 발달의 경우, 산업화와 경제개발, 경제 생활을 개선하기 위한 조상들의 노력, 변화의 개념에 대한 이해로 교수・학습상의 강조점이 변화하였다. 그러나 이들 설명틀 모두 교통・통신의 발달을 진보의 내러티브로 구성하고 있으며, 역사를 직선적이고 합리적인 발전의 흐름으로, 변화와 발전을 동일한 것으로, 과거를 부족하고 결여된 것으로 인식하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 세시풍속의 경우, 세시풍속 학습을 통한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에서 과거와 오늘날의 차이, 변화상을 이해하는 것으로 교수・학습상의 강조점이 변화하였다. 세시풍속과 관련된 교과서 서술에는 당시의 상황이나 맥락은 제거된 채 각 명절에 하는 일만 제시하고, 당시 사회에서는 세시풍속이 어떠한 의미를 갖고 있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부족하였다. 교통통신의 발달과 세시풍속에 대한 학습이 갖는 이러한 문제점과 함께 최근 초등학교 저학년 역사 학습에서 변화 등의 역사적 사고 개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들 주제가 초등학교 저학년 역사 학습에 적절한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how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and ‘seasonal customs’ have been presented in the curriculum and how they have been described in textbooks. In the case of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he emphasis in teaching and learning changed from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o our ancestors’ efforts to improve economic life and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change. However, both of these explanatory frameworks frame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as a narrative of progress, and have the potential to make students perceive history as a linear and rational flow of development, change and development as the same, and the past as lacking. In the case of seasonal customs, the emphasis in teaching and learning changed from understanding traditional culture to understanding concepts of chang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Textbook descriptions related to seasonal customs only presented what was done on each holiday without the context at the time, and there was a lack of specific explanations about what meaning seasonal customs had in society at the time.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historical thinking concept such as changes and problems in learning about the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seasonal customs,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whether these topics are appropriate for history learning in lower elementary school grades.

      • KCI등재

        온도변화에 따른 연속철근 콘크리트 궤도의 거동 특성 분석

        김진일,조영교,김정일,김성민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ehavior such as stress and crack width of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track (CRCT) subjected to temperature changes.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s of CRCT were develop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existence of sleepers on the stress distribution in CRCT was investigated using the models. The effects of changes in the material properties such as elastic modulus,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and Poisson's ratio and in the crack spacing on the CRCT behavior were also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RCT model without considering the existence of sleepers was more appropriate to the prediction of cracking. The sensitivity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affected the CRCT behavior the most and followed by elastic modulus and Poisson's ratio. In addition,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material properties on the CRCT behavior depending on the crack spacing. 본 연구는 온도변화가 연속철근 콘크리트 궤도(CRCT: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Track)의 응력과 균열폭 등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CRCT의 3차원 유한요소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CRCT에서 침목이 응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열팽창계수, 포아송비등의 재료 성질과 균열간격의 변화에 따른 CRCT의 응력 및 균열폭의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침목을 고려하지않는 CRCT 모델이 균열 발생 예측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재료 특성에 대한 민감도 분석 결과, 열팽창계수, 탄성계수, 포아송비의 순으로 CRCT의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균열간격의 변화에 따라 재료 성질이 CRCT 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경상좌수영성 의례의 지속과 변화

        이창언(Lee, Chang-Un) 실천민속학회 2014 실천민속학연구 Vol.23 No.-

        이 연구는 조선시대 해안의 주요 전초기지의 하나로서 해안 관방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했던 경상좌수영성의 군사적 의례의 전승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살펴보고, 의례 전승에 나타나는 지역적 가치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 변화와 관련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관방성의 의례는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장소적 특성을 반영하는 동시에 생활공간으로서 읍치사회를 구성하는 제 세력들의 이해가 드러나고 조정되는 정치사회적 공간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의례의 지속과 변화를 다루는 것은 지역사회의 제 이해관계가 거시적인 사회적 변화에 조율하는 과정에서 드러내는 행위자들의 취사선택의 의지를 인식하는 작업이 될 수 있다. 경상좌수영성에서 행했던 둑제의 민간신앙화, 민간신앙의 대상이었던 인물신의 국가제사인 둑제의 신격과의 중첩 개연성, 지역의 주요 집단에 의한 향사의 주관, 최근 관의 지원으로 전승되는 향사를 통해 의례의 지속과 관련된 여러 집단의 의지와 이들이 의례에 부여하는 의미의 지속과 변화를 살필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tinuation and change of the national rituals in Gyeongsangjoasuyoung fortress which was one of naval headquarters in the Joseon dynasty. Dukje was one of the national rituals carried out periodically for memorizing the military diety at military bases in the Joseon dynasty. After the reformation of the end of 19th century, most old institutions including most national rituals like Dukje had been abrogated. Transmission basis of Dukje at Gyeongsangjoasuyoung fortress has been weakened after the reformation. Ritual performers has been changed from officials to civilians, as a result the ritual has been transmitted as a form of folk religion. However another national rituals carried out periodically at Gyeongsangjoasuyoung fortress for memorizing 25 martyrs who resisted and died against Japanese army in the late 16th century has been lasted until a few decades ago by the descendant of old ritual performers. Difference in transmission of the two national rituals reflects agents’ choice whenever they should adjust to the macroscopic social change. Because the rituals at military base have not only had their own religious significance but also served as a sociopolitical space which interests of groups concerned had been revealed and adju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