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세기 개혁파신앙교육서의 작성 배경과 구조: 제네바 신앙교육서와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를 중심으로

        황대우(Dae Woo Hwang)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16 갱신과 부흥 Vol.17 No.1

        이 글은 16세기에 사용된 용어 ‘카테기스무스’의 의미와 용례를 살핌으로써 이 용어가 ‘문답’으로 번역될 때 발생하는 오해를 바로 잡고자 한다. 16세기 개혁교회 카테키스무스가 루터교회의 카테키스무 스와 어떻게 다른지 그 특징을 살피고자 한다. 또한 제네바 카테키스 무스와 하이델베르크 카테키스무스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왜 그러한 차이점이 발생한 것인지 고찰한다. ‘카테키스무스’라는 용어는 한글로 번역할 때 ‘요리문답’ 혹은 ‘교리문답’으로 흔히 번역되는 것이 일반 적인데, 이 글은 그 용어 속에 이와 같은 문답을 전제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또한 이 단어는 칼빈의 『기독교 강요』 제목에서알 수 있는 것처럼 ‘인스티투티오’(Institutio)와 동의어다. 그러므로 ‘카테키스무스’는 신앙교육[서] 혹은 교리교육[서]라고 번역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16세기 루터파 신앙교육서가 ‘율법’ 즉 ‘십계명’으로 시작하는 것과는 달리 제네바 신앙교육서와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 모두 ‘신앙고백’ 즉 ‘사도신경’으로 시작하는데, 이것은 이후 개혁파 신앙교육서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자리 잡게 된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개혁파 신앙교육서가 율법의 제3용법을 강조하는 개혁파 신학의 특징과 잘 어울린다. 제네바 신앙교육서가 칼빈 한 사람에 의해 작성된 반면에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는 여러 학자들의 합작품이 다.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는 루터파의 압박이 작성 배경이었으므로 제네바 신앙교육서에 비해 개혁파 신학의 특징을 강하게 반영하기 어려웠는데, 이것이 두 신앙교육서의 사소한 차이점이다 This article aims to see what the term catechism means in 16th century and to research Geneva s Catechism and Heidelberg s Catechism in order to se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eformed catechisms in comparition with the Lutheran catechisms. Calvin used the term catechism for the same meaning not only with the Latin “institutio” in his Institutiones of the Christian Religion, but also with the French “instruction” in the first Catechism of Geneva. In this point we recognize that the catechism means the instruction of faith. The two catechisms of the Reformed Church, namely the second Catechism of Geneva and the Catechism of Heidelberg, have the same structure, Apostolic Creed → Ten Commandments → Lord s Prayer, whereas the Lutheran Catechism has the other structure, Ten Commandments-Apostolic Creed → Lord s Prayer. In the structure of the Reformed Catechism we can lay greater emphasis on the third use of the law, than in that of the Lutheran Catechism.

      • KCI등재

        교리교육서를 통한 십계명 교육 : 루터의 대교리교육서(1529), 칼빈의 교리교육서(1545), 하이델베르크 교리교육서(1563), 웨스트민스터 대교리교육서(1647)를 중심으로

        정두성(Du Sung Chung)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17 갱신과 부흥 Vol.15 No.-

        본 논문은 16-17세기 유럽의 개신교회들이 신자들의 신앙 성숙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가르쳤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주목적이 있다. 이는 특히 루터의 대교리교육서(1529), 칼빈의 교리교육서(1545), 하이델베르크 교리교육서(1563), 웨스트민스터 대교리교육서 (1647)에서 모두 다루고 있는 십계명을 연구하고, 분석하고, 각 각비교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먼저 각 교리교육서를 만든 교리 교사들이 이해하는 십계명의 용도가 십계명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또한 이러한 구조가 십계명 교육에서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볼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논문은 십계명을 가르치는 교리교사들의 이미지가 루터의 대교리교육서, 칼빈의 교리교육서, 하이델베르크 교리교육서, 웨스트민스터 대교리교육서에서 각 각아버지, 선생님, 변증가, 판사로 나타남을 분석할 뿐 아니라, 교리교 사의 이러한 네 가지 이미지가 결국 목사라는 하나의 교회 직분으로 모이게 됨을 나타냄으로, 목사가 교리교육의 주체가 되는 교리교사여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필자가 제언하는 것은 첫째 목사는 네 가지 교리교육서 십계명 교육에서 나타난각 이미지들을 잘 참고하여 좋은 교리교사가 되기 위해 항상 자신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교리교육서의 십계명 분석과 설명에서 ‘명하는 것’과 ‘금하는 것들’은 결코 이웃의 잘 못을 판단하는 잣대가 아니라, 이웃의 선한 행동을 칭찬하는 근거들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race what and how the church leaders in 16 th and 17 th Century taught in order to develop the faith of their church members. Especially it is aimed to learn the wisdom of our former church leaders through studying, analysing, and comparing four representative Catechisms ; Luther’s Large Catechism(1529), Calvin’s Catechism(1545), Heidelberg Catechism(1563), and The Westminster Larger Catechism(1647). The stating point of this article is how the catechists who made each Catechism understood the Ten Commandments including both the use of the Law and the way of dividing 10 commandments. Secondly when the way of teaching the Ten Commandments is compared, there were particular characteristics in each Catechism and there found a certain patten of development of it to some extent. Thirdly, it is interesting to imagine the image of catechists shown in each Catechism ; a father in Luther’s Large Catechism, a teacher in Calvin’s Catechism, an apologist in Heidelberg Catechism, and a judge in the Westminster Larger Catechism. More interestingly, these four images are to be gathered into a pastor in a church. In this respect, it can be assumed that a pastor as a catechist has to become a father,a teacher, an apologist, and a judge depending on his student or the situation he faces for the effectiveness of his teaching. With the analysing of four Catechisms, three suggestion can be provided to the place of teaching the Ten Commendments by this article. Firstly, each pastor has to try to develop himself as a good catechist like the four images in the four Catechisms. Secondly, the lists which were provided in the Catechism as both what we have to keep and what we have to avoid should not be the standard to pinpoint neighbor’s guilt. It should rather be the evidence to speak well of neighbor’s good deeds. Finally, the Ten Commandments must be taught as the way to the means of grace.

      • KCI등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의 비교: 회심과 성화 용어를 중심으로

        김홍만 ( Hong Ma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0 No.-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와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는 교회사 속에서 개혁신학에 근거한 대표적인 교리교육서이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는 종교 개혁의 제 3세대의 작품이며,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는 청교도운동 가운데 작성된 것이다. 따라서 두 문서 모두 교회 개혁 가운데 작성된 문서들이다. 그래서 작성하였던 목적과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다. 그래서 두 문서 모두 진정한 구원의 은혜와 그 효과에 대해서 강조하고 있다. 왜냐하면 두 문서 모두 잘못된 가르침과 그것으로 인한 거짓 경건에 대해개혁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두 문서 구원의 은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 88번은 구원의 은혜의 증거로서 회심을 말하였고,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 35번에서는 구원의 은혜의 실제적 효과인 성화를 말하고 있다. 같은 내용이지만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에서는 회심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에서는 성화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러한차이는 종교 개혁운동이 영국으로 넘어가고, 그 당시 영국교회에 알미니안주의 운동이 일어나서 구원의 은혜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그리고 구원의 서정의 형식을 취함으로 인한 것이다. 물론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에서도 구원의 서정의 틀이 있지만, 영국 교회의 상황 속에서 더욱 체계적으로 서술함으로 인하여 같은 내용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용어의 차이가 일어난 것이다. 그리고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에서는 그리스 도와의 연합의 은덕에 참여하는 것으로 일어나는 성화라고 더욱 구체적으로 서술하여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보다 더욱 분명하여 졌다. 이렇게 16, 17세기의 개혁신학에 있어 중요한 요리문답서는 20세기에 이르러서 오히려 피상적으로 가르쳐졌다. 성화 (회심)의 두 부분 (요소)에 대한 강조가 누락되기도 하였으며, 그리스도와의 연합교리 없이 구원의 서정만강조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구원의 은혜의 증거가 강조될 필요가 있는데, 이렇게 왜곡된 가르침을 바로 잡아야 한다. 그리고 이 시대에 두 요리문답서가 다시 가르쳐져서 구원의 은혜의 진정성이 강조되고 증거되어야 한다. In church history, the Heidelberg Catechism and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have been received as standard Reformed catechisms. The Heidelberg Catechism was composed by Ursinus and Olevianus, third generation of Reformers.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was composed by the Divines of the Westminster Assembly in the puritan movement. Both catechisms were made for enlightening the ignorance while pursuing church reformation in Heidelberg and England. Both catechisms not only taught the way of salvation but also defined true faith. In particular, Heidelberg Catechism`s question 88 deals with the true evidences of repentance. This doctrine of conversion is also explained in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question 35 under sanctification. Moreover, as background of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question 35, questions 30, 31 are explained in light of union with Christ. The differences between how the catechisms approach this issue come from the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s in which they were drafted. When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was composed, the England church was defending Reformed theology against Arminianism. Thus, the divinities of the Assembly explained the order of salvation in more detail than the writers of the Heidelberg catechism. However, in the 20th century, the Reformed church could not trace these points in either catechism. They ignored the importance of sanctification and neglected the doctrine of union with Christ. Therefore, the Reformed church today must rediscover the teachings of both catechisms regarding conversion and sanctification.

      • KCI등재후보

        하나님의 영광과 인생의 위로: 제2 제네바 신앙교육서 1-15문답과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 1-22문답 비교 연구

        황대우 ( Dae Woo Hwang )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29 No.-

        이 논문은 제2 제네바 신앙교육서와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의 출발점을 비교 연구한 것이다. 제2 제네바 신앙교육서와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는 각각 작성의 배경이 다르다. 그리고 두 신앙교육서의 서두를 비교해보면 접근법이나 사용하는 용어, 출발점과 전개 방식에 있어서 확실히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나님을 아는 것을 인생의 목적으로 말하는 제네바 신앙교육서는 성부 중심의 창조론적이고 종말론적인 반면에, 그리스도께 속해 있다는 것을 인생의 유일한 위로로 말하는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는 그리스도 중심의 인죄론적이고 구원론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두 신앙교육서의 접근 방법이 형식적으로는 분명 다르지만, 내용적으로는 확실히 일맥상통한다. 왜냐하면 하나님을 아는 것과 인생의 유일한 위로는 구원의 양면이기 때문이다. 차이점이라면 제네바 신앙교육서가 구원 하시는 하나님으로부터 출발하는 반면에,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는 구원받는 인간으로부터 출발한다는 것이다. 그 둘은 결국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 만나게 된다. 인생의 목적이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라고 할 때, 그것은 인생이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의 영광에 참여하는 것이 유일한 구원의 길임을 제시한다. 마찬가지로 인생의 유일한 위로가 그리스도께 속해 있는 것이라고 할 때, 그것은 죄인의 비참한 인생의 온갖 문제가 오직 구세주이신 그리스도 안에서만 해결된다는 구원의 복음을 제시한다. This is the article to research the stating points between the Second Genevan Catechism and the Heidelberg Catechism. It was different for Geneva and Heidelberg to make out their own Catechism. It is sure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starting point, used words, and unfolding method between two Catechisms if the one may be compared with the other. For example, the Genevan Catechism starts proclaiming the honor of God in His creation and in eschatology in order to know God, whereas the Heidelberg Catechism begins soteriologically to say the only comfort in life and death by virtue of the works of Christ. The latter is Christ-centered, whereas the former is Father-centered. There are those different points not in contents, but only in form, style, or an approach method. The two Catechisms are in accordance with the substantial doctrines, because the recognition of God and the only comfort of human being are two sides of the human salv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atechismsis is only one, that is how to approach. The Genevan Catechism begins to approach from God who redeems the mankind from sin and death, whereas the Heidelberg Catechism begins to approach form human being who should be saved from sin and death. These two ways happen to meet in Christ who was crucified, dead, and rose from the dead. Therefore, the Genevan Catechism and the Heidelberg Catechism attempt to present only the soteriological way in Christ our Saviour.

      • KCI등재

        한국 천주교 지역 교리서 편찬을 위한 제언

        박종주(Park, Jong Ju)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神學展望 Vol.- No.208

        지역 교리서의 형태는 지역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교리서와 보편 교회의 가르침을 담은 지식 중심의 교리서로 나눌 수 있는데, 한국 교회의 교리서들은 대부분 후자에 가깝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는 대상자들의 문화, 연령, 영적 성숙도, 사회적, 교회적 상황 등의 다양성이 요구하는 방법적인 부분들은 지역 교리서의 몫이라고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 교회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로 지역 교리서를 대체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우리 교회의 현실로부터 출발하여 더 이상 교의 중심의 교리서가 아닌 개별 교회의 상황과 문화를 반영한 지역 교리서의 편찬을 위한 몇 가지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특히 보편 교회가 강조하고 있는 지역 교리서의 토착화적인 특성을 1960, 1970년대 등장했던 인간학적인 교리교육 운동과 연결시켜 몇몇 세계 교리교육 주간들과 2차 바티칸 공의회의 인간학적인 관심, 그리고 무엇보다도 인간학적 교리교육의 정점이라고 볼 수 있는 『화란 교리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인간학적인 교리교육이 일상의 상황과 사건을 반영한 귀납적 방법의 교리교육 방법론을 표방하고 있지만, 이 역시 위험에 빠질 가능성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이원론, 또 계시의 독창성과 역사성의 소홀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국 천주교 지역 교리서 편찬을 위한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였다. 지역 교리서의 핵심적인 요소인 토착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뿐만 아니라, 토착화 교리교육은 언어의 문제, 특별히 새로운 언어의 이해와 활용이 필요하다. 또한 지금까지 한국 교리서의 형태인 교의 중심의 교리서가 아닌, 구원의 역사 중심의 교리서를 지역 교리서 편찬의 모형으로 삼아야 한다. 그래서 『화란 교리서』의 ‘구세사-전례-인간 경험’의 연결고리에 주목하고, 해석학적 순환 방법들을 고민해야 한다. 한국 천주교 지역 교리서 편찬을 위한 본고의 제안을 기초로 우리 교회도 한국의 종교적 상황과 문화, 사회, 정치적 조건들을 반영한 지역 교리서가 하루빨리 편찬되기를 희망한다. I believe the form of a local catechism could be divided into a knowledge-based doctrine that not only takes into account local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but also teaches about the universal church. Most catechisms presently used in Korea deal mainly with the latter.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does not set out to provide for the adaptation of doctrinal presentations and catechetical methods regarding local differences of culture, age, spiritual maturity and social and ecclesial conditions. Nevertheless, such indispensable adaptations should be included in local catechisms. These local catechisms are necessary for those who teach and instruct the Catholic faithful. This article examines some elements for the compilation of a local catechism based on the reality of the local church. It reflects the situation and culture of individual churches. This is not a catechism which is first centered on doctrine. In particular, I link the inculturated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atechism emphasized by the universal church. I do this by looking at articles of the “International Study Week on Catechetics” in the 1960s and 1970s, researching the anthropological interest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d examining “A new catechism. Catholic faith for adults”,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culmination of anthropological catechesis. Although anthropological catechesis expresses an inductive method that reflects the situation and events of everyday life, there is the danger that this will bring a negation of poetry, the history of revelation, and a rise in dualism. Moreover, I will offer concrete suggestions for the compilation of a Korean local catechism. First, in addition to the proper recognition of inculturation a key element of a local catechism, an inculturated catechesis requires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 new language. Second, a local catechism should be centered on the history of salvation and not centered on a form of Korean doctrine. Thir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link between ‘the history of salvation-the liturgy-human experience’ as mentioned in “A new catechism. Catholic faith for adults” and the hermeneutical circulation methods. In this article, I advocate for the compilation of a local catechism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which reflects the religious situation, culture, and the social and political conditions of Korea.

      • KCI등재

        새로운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

        박성환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4 복음과 실천신학 Vol.30 No.-

        개혁 교회의 역사를 살펴보면, 요리문답을 활용하여 목회자가 성도들을 가르치거나 설교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을 수 있다. 특히 프레드릭 3세, 우르시누스, 올리비안누스 세 사람의 중심으로 작성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은 개혁 교회 안에서 벨직, 도르트 신조와 함께 일치 신조라 명하며 표준문서로 받아드렸을 뿐 아니라, 직접 설교자가 설교단에서 성도들을 위하여 설교하였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의 회복에 그 목적을 두는 동시에 어떻게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을 가지고 설교자가 설교할 수 있을까? 라는 설교 방법론에 주안점을 둔다. 많은 설교자들은 교리 또는 요리문답의 가르침이나 설교는 지루한 것을 인식하여, 자신의 성도들에게도 동일한 마음을 심어준다. 그러나 요리문답은 하나님의 백성을 올바르게 세우는 중추적 역할을 감당해 왔다. 그러므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가 목회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필자는 새로운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 방법론을 연구하였다. 먼저 논문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얼마나 개혁 교회 안에 뿌리 깊은 전통이었는지 살필 것이다. 그리고 어떻게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을 설교할 수 있을지 전통적인 방법을 소개한 후, 신설교학과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을 조합시켜 만든 새로운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 방법들과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을 부분적으로 활용한 설교방법들도 함께 설명할 것이다. In church history, It is a fact that teaching and preaching catechism for God's people is important. In particular, Heidelberg Catechism has been accepted as the standard Catechism, and it has been preached from preacher in Reformed church. Heidelberg Catechism was mainly composed Frederick the Third, Ursinus, and Olevianus. The purpose of this paper not only is to briefly rediscover teaching preaching, that is preaching Heidelberg Catechism, but also discuss how to preach Heidelberg Catechism. Many preachers seem to trick their congregation into thinking doctrinal preaching and studying catechism are too tedious, however, these are really important to build up their community. In order to achieve preaching Heidelberg Catechism, I can create new preaching methods from Heidelberg Catechism, so I try to discuss how to do this preaching, how to harmony with The New Homiletic, and how to compose sermon by using some parts of Heidelberg Catechism, after introducing the history of preaching Heidelberg catechism.

      • KCI등재후보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를 통한 개혁주의 신앙교육

        권호 ( Ho Kwon ) 개혁신학회 2013 개혁논총 Vol.28 No.-

        본 논문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Heidelberg Catechism) 450주년을 기념하며 어떻게 이 요리문답의 설교를 통해 개혁주의 신앙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것인가에 대해 기술한다. 우리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를 통해 신앙 교육을 하기 원한다면 두 가지 질문을 먼저 던져야한다. 첫째, 왜 우리는 이 고전적 요리문답서를 45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설교를 통해 교육해야 하는가? 둘째, 설교를 통해 신앙교육을 해야 한다면 효과적이면서도 구체적인 설교방법은 무엇인가? 첫 번째 질문이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를 통한 신앙교육의 원론적 이유를 묻는 질문이라면, 두 번째 질문은 그것을 가능케 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관한 실제적 질문이 될 것이다. 현재 한국교회 내에서 교리설교에 대한 논의가 많지 않고, 있더라도 교리설교의 실제적 방법들이 충분히 제시되지 않고 있는 현실이며, 그 결과로 한국교회 내에서 교리설교는 드문 것이 되어버렸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면서 앞에서 제기 했던 두 질문에 대해 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본론에서 기초적 작업으로 1) 교리설교에 대한 오해들을 다룸으로써 왜 교리설교를 통한 신앙교육이 한국교회 안에 활성화되지 않는가를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그 후 2) 왜 한국교회가 교리설교의 가치를 다시 인식하고, 강단에서 교리설교를 통해 신앙교육을 해야 하는지 잠시 살펴볼 것이다. 3) 마지막으로 세 가지 교리설교법에 대해 논하면서 본 논문의 핵심주제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를 어떻게 구체적으로 설교함으로 신앙교육에 기여 할 것인가를 제시할 것이다. This thesis describes, celebrating 450th anniversary of the Heidelberg Catechism, how Korean churches educate their members the reformed faith with the catechism. Before employing the catechism for the church education, one needs to ask two preliminary questions: First, why we should preach this catechism that was written in 450 years ago for current church education? Second, if we educate our churches with it, what types of detailed and practical sermon methods should we utilize for effective preaching of it? If the former question is asking for the groundwork of the education with the Heidelberg catechism, the latter one is for the specific homiletical methods. Nowadays Korean church rarely discuss on the catechetical preaching and have no practical sermon methods for it. Recognizing this circumstance that Korean churches abate the catechism sermon, this thesis tries to provide homiletical suggestions for effective way of preaching the catechism for reformed faith. First part of the thesis, as a preparatory step, briefly researches on the misconceptions resulted in many pastors` hesitating to preach the catechism in theirs pulpits. Second part presents essential reasons for why Korean churches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atechetical preaching and actively delivery it for the church education. Third part, as the main subject of the thesis, provides practical and specific homiletical methods for preaching Heidelberg Catechism for the contribution to church education.

      • KCI등재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에 나타난 주기도문의 신학적 특성

        황대우(Dae woo Hwa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39 No.-

        기도는 기독교의 핵심 교리들 가운데 하나다. 왜냐하면 예수 그리스도께서도 친히 기도를 가르치시고 명령하셨기 때문이다. 하지만 신학자들은 기도를 무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특히 조직신학자들에게서 그러한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그들은 기도라는 주제를 다른 신학 주제에 비해 훨씬 비중 없게 다루거나 아예 다루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오늘날에만 새삼스럽게 나타나는 것이 아닌데, 이유는 16-19세기까지 루터주의 신학 저술들에서나 개혁주의 신학 저술들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개혁주의 신학은 기도를 매우 중요한 것으로 가르친다.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에서도 역시 그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의 주기도문 해설의 신학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에 나타난 기도의 교리를 루터와 칼뱅, 그리고 우르시누스의 기도론과 비교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혁신학이 가르치는 기도의 공통적인 특징이 무엇인지도 밝히고 있다.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는 개혁교회가 사용하는 신앙교육서로서 신학적으로 개혁주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미국 신학자 비르마(Bierma) 박사는 자신의 책에서 이 신앙교육서의 특징이 루터주의과 개혁주의의 중도라고 주장하면서 이 신앙고백서를 교회 연합적인 문서로 간주한다. 하지만 최소한 주기도문 해설과 관련해서 만큼은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은 결코 중도적이거나 교회 연합적인 문서가 아니다. 왜냐하면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의 주기도문의 내용은 루터보다는 오히려 부처와 칼뱅의 기도론과 훨씬 더 가깝기 때문이다. 주기도문을 7개의 간구로 구분한 루터와 달리,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는 그것을 부처와 칼뱅처럼 6개의 간구로 구분한다. 또한 죄를 빚으로 간주하고 동의어로 사용하는 것, 이웃의 죄를 용서하는 것이 하나님께 자신의 죄 용서를 구하는 전제가 아니라 결과라고 주장하는 것 등은 확실히 개혁주의 신학, 즉 칼뱅과 우르시누스의 견해와 일치하는 내용이고, 루터의 기도 신학과는 확실히 이질적인 요소들이다. 이런 점에서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의 내용은 분명 개혁주의 신학으로 분류할 수 있다. Prayer is one of the key Christian doctrines. This is because Jesus Christ Himself taught about prayer and commanded prayer. However, theologians have a tendency to overlook prayer. It seems that this tendency is especially marked among systematic theologians. This is because they do not treat the subject of prayer as much as other subjects, or not at all. This phenomenon is not just a modern one, since this was also the case in the 16th to the 19th centuries in the writings of Lutheran theologians equally as much as Reformed theologians. Yet traditionally Reformed theology teaches that prayer is very important. Indeed, this can also be seen in the Heidelberg Catechism.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analyze the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xposition of the Lord’s Prayer in the Heidelberg Catechism. In this essay, the doctrine on prayer as it appear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is compared to those of Luther, Calvin and Ursinus. In this way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Reformed teachings on prayer are presented. Since the Heidelberg Catechism is used by Reformed Churches, it is regarded as having Reformed theological characteristics; yet the modern American theologian Dr. Bierma in his book argues that the Heidelberg Catechism is theologically midway between Lutheran and Reformed in character, and that this catechism is an ecumenical document. However, at the very least, the Heidelberg Catechism is neither a middle-of-the-road nor an ecumenical document, as far as its exposition of the Lord’s Prayer is concerned. This is because the Heidelberg Catechism’s exposition of the Lord’s Prayer is much closer to the doctrines on prayer of Bucer and Calvin. Unlike Luther, who divided the Lord’s Prayer into 7 petitions, the Heidelberg Catechism, like Bucer and Calvin, divides it into 6 petitions. Also, the fact that the Heidelberg Catechism considers sin to be a debt (using the two terms synonymously), and the fact that it argues that forgiving the sins of one’s neighbor is not the basis but the result of asking God for forgiveness of one’s own sins, and other characteristics like these, are firmly in line with Reformed theology, i.e. Calvin and Ursinus’ views, and are certainly different to the theology of prayer of Luther. For these reasons the content of the Heidelberg Catechism can clearly be categorized as being Reformed in theology.

      • KCI등재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의 기원과 그 이론적 기초

        정신철(Shin-Chul Jung)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5 가톨릭신학 Vol.6 No.-

        교리교육의 역사 안에서 문답식 교리교육은 오랫동안 교회 안에서 유일한 신앙 교육 방법으로 인식되어져왔다.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 본격적인 교리서의 출판과 더불어 시작된 이 교육 방법은 교리서의 내용을 모두 다 암기하였을 때, 교회가 바라는 착한 그리스도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즉 교리 조문의 암기가 곧 신앙의 성숙을 이끌어 낸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교육 방법은 사회와 교회가 일치된 시기 즉 중세 시대에는 많은 효과를 지닐 수 있었다. 왜냐하면 교리 내용에 대한 이해는 그리스도교 문화라는 사회적 분위기가 채워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대가 변화되면서, 교회는 사회의 한 부분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고, 학교에서 더 이상 공적으로 교리교육을 실시할 수 없게 되었으며, 점차 교육학과 심리학 등의 주변 학문의 발달과 이런 이론들의 교육 현장에로의 적용으로 인해, 문답식 교리교육의 방법뿐만 아니라, 교리교육 전반에 대한 깊은 쇄신을 사람들은 요구하였다. 1900년 초반부터, 특별히 뮌헨 방법론이 교리교육에 소개되고 적용되면서부터, 문답식 교리교육의 틀을 버리고, 심리학과 교육학의 원리를 적용한 새로운 형태의 교리교육의 방법들이 고안되는데, 이러한 움직임을 교리교육의 부흥 운동이라고 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1940년대까지 새로운 교수법의 탄생과 적용을 이루어 냈고, 교리를 전달함에 있어 교리를 듣는 이들에 대한 배려 또한 이루어져, 본연의 의미의 교리교육을 실시하는 긍정적 결과를 가져왔다. 교리교육 부흥운동은 이렇게 긍정적인 발전과 결실을 가져왔지만, 다른 한편으로 교수법의 발달과 지나친 강조로 인해, 진정으로 전달해야 할 교리내용에 대한 전수여부에 대한 의문을 가져오게 하였다. 또한 교육학과 심리학의 전적인 교리교육에로의 도입으로 인한 그리스도교 진리 전체 이해에 대한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교리교육 현장에서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증대가 있던 시기에, 신학계 한편에서는 2차 세계 대전을 보내면서 진정으로 이 시대와 세계에 힘과 희망을 줄 수 있는 복음 메시지에 대한 신학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신학적 연구 결과는 복음선포 신학이라는 이름 아래, 복음 선포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런 배경 속에서 열린, 엉베르 교리교육 국제회의에서는 교리교육의 중심적 내용이 살아 숨 쉬는 복음 메시지임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1960년 독일 아이쉬테트에서 열린 교리교육 국제회의에서 그 본연의 윤곽이 드러나는데, 이를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이라고 부른다. 이 교육 방법은 살아있는 메시지를 어떻게 전달할 수 있는 가에 초점을 맞춘 교육 방법으로, 살아 있는 메시지의 핵심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에서 정점으로 드러난 하느님의 구원 역사임을 강조한다. 이 교육 방법은 교회 역사 안에서 늘 등한히 해 왔던 성서를 교리교육의 중심으로 다시 불러놓았고, 구원의 역사를 강조하면서, 현재 살고 있는 우리에게 하느님의 구원 역사가 어떻게 재현되고 있고, 이에 대한 신앙인의 책임감을 강조한다. 이 교육 방법은 현대 교리교육의 기본적 방향을 제시한 중요한 노선이라고 평가되고 있고, 달리 그리스도 중심주의적 교리교육이라고 지칭된다. 문답식 교육의 종말과 신학적 관점에 교리교육을 생각하게 했던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은 1970년대와 1980년대 한국 천주교회의 부흥기라 할 수 있는 시대에 예비자 교리교육 방법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왜냐하면 이 시기에 저술된 대표적 예비자 교리서들이 이 교육 방법에 기초한 교리서였기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교육 방법이라 하더라도, 그 이론이 현실에 적용되면서 가지게 되는 부족한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복음선포적 교리교육 방법도 현실에 적용되면서 부족한 점이 나타나는데, 그것은 바로 내용 중심적 교리교육이 되면서 많은 교리 내용을 짧은 시간에 전달하고자 하는 어려움이고, 이로 인해 등장하는 교육 초점의 분산현상, 그리고 삶에까지 연결되는 교육을 실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그리스도교적 문화권에서 살고 있지 않는 한국의 예비자들에게, 전이해가 있는 것처럼 전달되어지는 그리스도교 메시지에 대한 이해 여부도 문제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의 기초 원리가 어떻게 한국 천주교회에 적용될 수 있을 지에 대해서 연구할 필요성이 있고, 한국 천주교회 부흥기에 사용되었던 이 교육 방법이 과연 어떠한 신앙인을 육성했는지에 대한 깊은 반성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선결과제가 극복 될 때, 한국 천주교회의 주류를 이루는 복음 선포적 교리교육의 모습이 신자들에게 또한 예비자들에게 더욱 친근하고,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방법론으로 탄생할 수 있을 것이다. Through the catechesis history, the catechism has been regarded the only way of catechesis for a long time. Since the Council of Trent along with much publication of catechism books, people have thought that they couldn't be good Christians without memorizing the whole catechism. In other words, they regarded memorizing the catechism as the mature faith. This kind of education was very effective in the Middle Age when the society and Church were not separated. Because the understanding of the catechism was not so different from that of Christian Culture. But times have changed. Today Church is only a part of the society, and the catechism is not taught in public at school any longer. In additi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ch studies in the educational fields as pedagogics and psychology come to demand a further reform of catechism and catechism in general. In the early 1900s when Munich methodology was introduced and applied to catechesis, a new kind of teaching method using pedagogic and psychological application was devised, which was called the revival movement of catechesis. This movement resulted in birth and application of new catechesis until 1940s. It was very effective because not only the content of the catechesis but also people who take lessons were focused. Even though the revival movement was fruitful and successful, the catechesis itself was too emphasized and the content of dogma itself was comparatively overlooked. Besides, the introduction of pedagogics and psychology interfered with understanding the whole Christian truth. At the time of growing realization of those problems in the education fields, the theological research about the gospel message, saying power and hope for people in the period of the world war Ⅱ, was on progress. The research resulted in the emphasis of the importance of the gospel proclamation, which was named theology of gospel proclamation. The Anvers International Catechism Convention held under that circumstance reinforced that the main content of the catechesis is gospel message which is alive and vital. The true meaning revealed in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f Catechesis in 1960 held in Eichst?tt in Germany, which was called the kerygmatic catechesis. It was focused on how to preach the message and emphasized that the core of the message is the God's salvation history revealed in Jesus Christ's life. Thanks to this, Bible was brought in the middle of catechesis. The kerygmatic catechesis stresses the salvation history, that is, how god's salvation history is represented in us now here as well as the subsequent responsibility of the Christians. This method is estimated as an important line to point out the basic course of modem catechesis. So it is called Christ-centered catechesis. The end of catechism and the appearance of kerygmatic catechesis with theological view gave much influence to the method of teaching catechumens in 1970s and 1980s, the revival period of Korean Church. But the kerygmatic catechesis itself is not free from faults. Because of its content-centered method, it takes long time and the lack of time causes the decentralization of the main content and fail people to change their lives. It's also another problem whether the Koreans, who live in quite different culture from Christian background, can understand Christian message. In this respect, it is needed to study how the basic theory of the kerygmatic catechesis can be applied to Koreans. And a deep reflection is required on what kind of people has been fostered during the Korean Church revival period, when the method was used. When all these problems are overcome, the kerygmatic catechesis, the main stream of Korean Church, will be better and easier method for believers and catechumens.

      • KCI등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성령론, 그 윤리적 함의

        이상은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0 No.-

        The Pneumatology of the Heidelberg Catechism: Its Ethical Implication Sang-Eun Lee (Seoul Jangsin University, Systematic Theology) This paper purports to research the Pneumatology of Heidelberg Catechism and its ethical implication. It deals with the text of the Catechism and, to do this, it uses help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current theologians who study its implication in contemporary situation. When it comes to Pneumatology, this Catechism show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spirit more than any other documents of the Reformation. It deals with the works of spirit comprehensively, namely from the works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to the achievement of meaning of the shape of God (imago Dei) through performing good works of the renewed person. From this perspective, we can describe the ethical implication of this catechism as following. First, it shows the criticizing attitude against the anthropocentricity with the ethics of the liberal theology, whereas it maintains that we can seek the ground of the ethics in the economical acting of the holy spirit who enables us to accomplish the ethics, as a person of the trinity. It also shows the position and the work of the spirit as the ethical subject who establishes the community before electing the human subject "I" as the redeemed one, and unifies the saints over the boundaries of the era and locations, namely as the subject of the unity in diversity. The spirit initiates to produce the peace and tolerance, as its sacraments doctrine shows. While the chrisotogical difference in the sacrament brought conflicts between various denominations, the emphasis on the role of the spirit could make it possible that the reconciliation between parties and ecumenical consensus could be achieved. Furthermore the spirit in the Catechism, like the christological-spirit, appears as the subject who makes it possible that the saints practicize the implication of the triple cure (munus triplex) in their own positions. Considering the description of the role and works of the spirit, we can evaluate value of this Catechism in the contemporary days. So we can see that this Catechism still has the echoes in current situation more actively than what the drafters planed originally, and it demonstrates us the way for the practice of the church confronting the challenge from its era. 본 논문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성령론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이 요리문답이 가지고 있는 윤리적 함의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해 본문의 분석과 더불어 이 요리문답을 연구하고 있는 현대 신학자들의 관찰로부터 도움을 받고 있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성령론의 중요성은 여타의 다른 신앙고백전통이나 요리문답과 비교해볼때에도 확연하게 두드러진다. 성령의 사역에 있어서 이 요리문답은 구원과 칭의의 사역으로부터 선한행위를 통한 하나님의 형상의 완성에 이르는 포괄적인 측면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성령론에 기반을 두고 본 요리문답이 지닌 윤리적 함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우선 윤리의 주체가 인간 “나”가 아니라 삼위일체 하나님에게 있다고 하는 인간중심성에 대한 비판과 우리를 향해 행동하시는 성령의 주체적 사역에 대한 고백이 드러나있다. 또한 “나” 이전에 공동체를 세우고 시대와 장소를 넘어 성도들을 연합하게 하는 공동체 윤리의 주체로서의 성령에 대해 요리문답은 보여주고 있다. 또한 요리문답은 성례전과 관련하여 화평과 관용의 정신을 잘 나타내 보여주고 있는데, 이것은 성례전의 주체로서 평화를 실현시키는 영으로서 성령의 역할을 통해 가능한 것이다. 성례전에 있어서 기독론적 차이가 교파간의 분열을 귀결시킬 수 있었던데 반해서, 성령의 역할의 강조는 에큐메니칼 정신과 화합의 정신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이와같은 화합의 의미는 오늘날 교회의 분열 가운데 일치의 정신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좋은 지침을 제공해준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성령은 요리문답에서 기독론적 성령론으로서 성도들을 향해 그리스도의 삼중직의 의미를 실현하게 하는 주체로서 나타나고 있다. 성령의 기름부음의 직분에 대한 해석을 통한 오늘날의 현실 속에서의 역동적 신앙의 삶을 중시하는 관점은 이 요리문답이 지닌 역사 속에서의 생동성에 대해 생각하도록 해준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이 요리문답은 450년 전 작성자들이 생각했던 것 이상의 많은 반향을 오늘날에도 일으키고 있으며, 시대 속에서 교회의 길에 대한 숙고와 실천을 위한 기반을 제공해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