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로탐색활동이 중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분석

        민수빈(Min Soo bin),김이경(Kim Ee gy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3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change in career exploration activity and students’ creativity by the latent growth model which determines developmental aspect of variables over time, and performed the longitudinal analysis to prove the activity s effect on their creativity.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latent growth model validation was performed with longitudinal panel data of 3,041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 in South Korea. The analysis method and procedure are as follows. In order to confirm the aspect of change in career exploration activity and creativity and to verify their longitudinal influence relationship, the latent growth model for individual variables was compared with the competition model to find the optimal model. The optimal model was integrated and led to the analysis on the latent growth model. Then, the effect of the career exploration activity satisfaction variable on the change trajectory was analyzed by extending the research model.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career exploration activity scores increased as grades increased, but students’ creativity decreased as grades increased. Second, the initial value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creativity, while showed a negative effect on the creativity change rate. The change rate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of creativity. Third, satisfaction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y which is a predictor positively influenced the initial value and change rate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y, and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creativ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he career exploration activity in improving the students’ creativity, and drew a few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strengthening policies that stimulat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본 연구는 현재 상당한 예산과 자원이 투입되고 있는 진로탐색활동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진로탐색활동이 미래 핵심역량인 학생의 창의성 함양에 있어 효과가 있는지 밝히기 위해 진로탐색활동이 중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의 4~6차년도 중학교 데이터 중 학생 3,041명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다변량 잠재성장 모형검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들의 진로탐색활동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것에 반해, 학생들의 창의성은 오히려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진로탐색활동의 초기치 는 창의성의 초기치에 유의미한 정적 효과를, 창의성의 변화율에는 부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진로탐색활동의 변화율은 창의성의 변화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측변 수인 진로탐색활동의 유용성 정도는 진로탐색활동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창의 성의 초기치에도 정적 효과를 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학생들이 경험하는 진로탐색활동이 그들의 창 의성 함양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진로탐색활동 관련 정책의 확대 및 내실화를 겨냥한 행·재정적 지원 등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창의적 체험활동의 진로활동 교육과정 변천 연구

        조영남 ( Cho Young-nam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9 교육학논총 Vol.40 No.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성을 반영한 진로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4대 영역 중 하나인 진로활동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진로활동은 2009 교육과정 때 창의적 체험활동의 대 영역으로 편성되어 2015 교육과정까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진로활동 관련 내용은 1차 교육과정 때 특별활동에 해당되는 항목 중 ‘직업준비 및 이용후생에 관한 것’으로 처음 등장하였다. 2차 교육과정 때 특별활동의 목표에 ‘직업적 특수 기능을 기른다’는 목표가 반영되었으나, 2차 부분 개정과 3, 4, 5차 교육과정 때에는 특별활동에 진로활동 관련 목표나 내용이 반영되지 않았다. 6차 교육과정 때 대 영역인 학급활동의 하위 활동인 적응활동의 내용 중 기본생활 습관형성 활동의 예로 ‘일의 세계’와 ‘근로정신’이 반영되었다. 7차와 2007 교육과정 때는 진로활동이 대 영역인 적응활동의 하위 영역으로 편성되었다. 교육과정 개정 차시별 진로활동 관련 개념과 성격, 목표와 내용 체계를 분석한 결과, 진로활동이 2009 교육과정 때 처음 대 영역에 편성되었으나, 기본 정신은 1차 교육과정 때부터 이어져 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금까지 고시된 교육과정에는 진로활동 개념과 성격이 명확히 진술되지 않고, 목표와 내용 체계도 피상적으로 개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진로활동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고 진로를 자기 주도적으로 탐색하고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career activity curriculum in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areer means to develop one’s own future for happy life.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is reflected in the educational ideals and goals of Korea and core competences and career activity curriculum in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ontent related to the career activity was firstly introduced as an example of extra-curricular activity in the 1<sup>st</sup> curriculum. Objective related to the career activity was firstly introduced in the 2<sup>nd</sup> curriculum. In the 7<sup>th</sup> curriculum, career activity was reflected as a sub-domain of adjustment activity of extra-curricular activity and continued to the 2007 curriculum. In the 2009 curriculum, extra-curricular and school discretion activity was integrated into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continued to the 2015 curriculum. Career activity was firstly introduced as a main domai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in the 2009 curriculum and continued to the 2015 curriculum.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bjectives, and contents of career activity, it has been revealed that career activity as a main domain organized firstly into the 2009 curriculum, the basic spirit is continued from the 1<sup>st</sup> curriculum and successively evolved to the 2015 curriculum except 3<sup>rd</sup>-5<sup>th</sup> curriculum. But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career activity revised a little bit formally without valid grounds like other main domain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career activity, national curriculum should present more valid and reasonable standards for teachers and students. Also, it is needed to help the students to cultivate the competence of career reflecting the spirit of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era.

      • KCI등재

        진로성숙도를 매개로 한 진로체험 활동의 창의성 함양 효과 연구

        어윤경 ( Yun Kyung Au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2

        창의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창의인재 양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에서 진로체험 활동을 통해 미래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진로개발 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교육과 정의 기본 틀이 크게 달라진 것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진로체험 활동이 창의성 함양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2010)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학생 4,544명에 대해 진로체험 활동이 창의성향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우선, 창의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진로체험 활동 만족도, 진로체험 활동 경험여부, 진로성숙도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창의성향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성숙도와 진로체험 활동 만족도 순으로 나타났다. 진로체험 활동을 얼마나 경험했는가는 창의성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진로체험 활동을 경험한 후 만족한 정도가 창의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진로성숙도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준높은 진로체험 활동을 통해 만족도가 높은 경우 진로의식을 성숙시키고 이것이 창의성향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 진로체험 활동이 창의인재 양성에 도움이 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 데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창의인재 양성과 미래 진로를 개적하는 전인 양성이라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학교 교육 환경 조성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The goal of 2009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s to emphasize the creative exploration activity. It emphasized the school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for training the creative talented person. That is the key point. It``s very inportant for students to exercise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s. That is the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in school.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if the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in school is affected in training creative talented person. On the basis of them, this study provided the operational direction of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In the present study, I used the variables as the adolescents`` career maturity, the creativity, the satisfaction feeling of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and career exploration experiences. The objects of study were 4,544 seoul middle school students of SELS(2010: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2010). Results showed that generally career maturity and the satisfaction feeling of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increased the creativity. And results of career maturity mediation effection according to the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feeling of career education increased career maturity, at the same time career maturity increased the creativity. This study had positive significance to analysis the effects of the creativity improvement effect according to the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empirically. Also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와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 및 조절효과

        정미예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nd to test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ose relationship. The sample of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359 college students. The SPSS Win 12.0 computer program and Amos 4.0 program were used to obtain descriptive statistics for the empirical analysis and to calculate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Group Factor Analysis.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ly, Students'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has a direct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Secondly, social support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Thirdly, Moderation effect analysis indicated that didn't moderate the relation of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The results imply that students'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appeared to affect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via social support. Therefore, the present findings are recommended when the counselors develop a program to facilitate to the students'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Finally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사회적 지지가 이 두 변인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와 중재하는지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359명을 대상으로 진로탐색의도와 사회적 지지, 그리고 진로탐색행동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실증분석을 위하여 SPSS 12.0 프로그램과 AMOS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는 진로탐색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가 진로탐색의도와 진로탐색행동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탐색의도와 진로탐색행동에 영향력을 줄 때 사회적 지지는 진로탐색의도와 상호작용을 하여 진로탐색행동을 조정하는 조절효과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가 진로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이나 사회적 지지가 부분적으로 두 변인의 관계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을 촉진하는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실질적인 함의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 예측모형

        정미예,이건모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고 실제적인 수행을 예측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인간 행동을 예측하는 데 적용되어 온 계획행동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모형의 예측력을 높이기 위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인, 진로탐색의도를 매개변인, 진로탐색행동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에 소재하는 대학교 재학생 359명을 임의표집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과 AMOS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모형 검증에서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의해 유의미하게 설명되고 진로탐색행동은 진로탐색의도와 사회적 지지에 의해 직접 설명되었고 또한 진로탐색의도를 매개로 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간접적 영향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탐색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을 예측하는 진로탐색의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는 계획행동이론의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and to test the structural model of variables effect on students'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This study was constructed on basi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The model consisted of four constructs: four variables ar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The sample of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359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imply that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ppeared to affect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and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and social support also did to affect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ppeared to affect indirectly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Finally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교육 활동 수행실태와 중요도 분석

        박행모(Park, Haeng-MO) 한국실과교육학회 201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0 No.1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and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activities (experience, curricular activities, career support, and exploration)’ with 109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career guidance teachers training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in Jeonnam region and aimed to devise an efficient career guidance training program.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actual conditions and importance of career experience and career class at school, 40 teachers (37.3%) responded that they couldn t give classes linked to ‘career experience and curriculum’. 101 teachers (98.1%) regarded the connection between career experience and curriculum as ‘important’, And 95 teachers (87.1%) responded on the actual conditions of career class on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at most of teachers didn t give career class in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career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in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to connect career experience with curriculum and operate career education program in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Second, most of teachers responded on teachers’ concern on career education as ‘normal’ and on the importance of concerns as ‘important’ and ‘very important’.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extensive publicity of career education was required to make teachers understand the point and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polici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reer guidance directions from securing ‘career counseling time’ and supporting ‘interest and aptitude exploration’, most of teachers represented the lack of career counseling time and then career education direction should be based on the activities such as ‘exploring interest and aptitude of students and supporting career goal setting’. It was found through the IPA analysis of these factors that training programs for supporting ‘connection between experience and curriculum’, ‘activ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security and oper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eachers’ concerns and participation’, active interest and aptitude exploration should be developed. 이 연구는 전남지역 초등 ‘진로전담교사 연수’에 참여한 교사 109명을 대상으로 ‘진로교육 활동(체험, 교과활동, 진로지원, 탐색 등)’에 대한 실태와 중요도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진로교육 연수프로그램을 구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학교 진로체험과 진로수업 활동 실태와 중요도를 분석 한결과 ‘진로체험과 교과내용을 연계하여 수업을 할 수 없다‘에 40명(37.3%)이었고, 연계의 중요성은 ‘중요하다’에 101명(98.1%)이었다. 그리고 창의적 체험활동에 진로수업 실태는 대부분의 교사가 창의적 체험활동에 진로수업을 하지 않고 있고, 창체활동에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에 95명(87.1%) 이 반응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체험과 교과내용을 연계하고, 창체 활동에서 진로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할수 있는 교사 대상 연수프로그램의 구안과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은 “보통”에 대부분 반응하였고, 관심의 중요성은 ‘중요 하다’와 ‘매우 중요하다’에 높은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이 진로교육 정책의 요점과 중요성을 이해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홍보가 필요하다 셋째, 진로지도 방향을 ‘진로상담시간’, 확보, ‘흥미 적성 탐색 지원’에 대한 분석결과 대부 분의 교사들이 ‘진로상담 시간이 부족하고, 진로교육 방향은 학생들의 ‘흥미와 적성 탐색, 진로목표설정 지원’ 등의 활동이 이루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IPA 분석을 통해서 효율적인 진로교육 연수 프로그램을 제시하면 체험과 교과 연계방안, 창체활동에서 진로프로그램 운영 방안, 진로상담시간 운영 방법, 교사의 능동적 참여 방안, 자기이해를 통한 흥미 탐색 지원 강화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 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하도록 연수프로그램이 구안되어야 한다.

      • KCI등재

        직업카드를 활용한 여대생의 집단 진로탐색활동이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윤우 한국진로교육학회 2010 진로교육연구 Vol.23 No.1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effect of career searching program using vocational cards for helping career searching and career decis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to form their career identity and make decision of career on increas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divided female students attending in the faculty of Liberal Arts into two groups (i.e., ‘Control Group’ consisting of 30 students and ‘Experiment Group’ consisting of 30 students), and then carried out career searching program for each 10 students of ‘Experiment Group’ as one group for 2 hours and 30 minutes for two days. For confirming that these 60 students are included in cohort group, this study carried out career identity test as a pre-test and career decision making test in the classroom one day before card sorting activity, and, as a post-test, career identity test and career decision making test were performed for 60 students in the classroom one week after career searching activities.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ANCOVA analysis was performed as a post-test after controlling the pre-test, and SPSS WIN 12.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s proces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in increasing career ident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career searching activities using vocational cards of the Experiment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in the aspect of statistics. This showed that career searching activities using vocational cards could provide an opportunity to make correction of wrong recognition of career which has been considered vaguely and simply, or any prejudice as well as to understand and search the world of occupations. In addition, career searching activities served to enhance career identity that enables a person to establish a goal and plan for her career by identifying her interest in occupation and aptitude through a process of classifying the occupations and the grounds.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career searching activities using vocational cards enhanced the career decision making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much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the aspect of statistics. This result showed that career searching activities using vocational cards could provide an opportunity to find a preferred (desired) occupation out of various occupations b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that help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 Furthermore, these career searching activities proved to be effective activities in enhancing the career decision making by experiencing the process of selecting career or occupation through a process of recording the top 10 preferred occupations and determining the final 3 occupations among them. Meanwhile, if a student already determined her career but the final occupation is different from the occupation determined by her, these activities can provide such student with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whether such occupation is suitable for her interest and aptitude. Furthermore, if such occupation is not suitable for her and she may suffer inner conflict and confusion, these activities can provide her with an important opportunity to reestablish her career more firmly. In conclusion,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group career searching activity of this study is an effective activity that can enhance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진로정체감을 형성하고 진로를 결정하여 취업을 준비해야 할 여대생의 진로탐색 및 진로결정을 돕기 위해 직업카드를 활용한 여대생의 집단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을 높여주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 모대학교 교양학부 강좌를 듣는 여학생을 대상으로 두 그룹 즉, 통제집단 30명, 실험집단 30명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은 2시간30분 동안 이틀에 걸쳐서 한 집단에 10명씩 배정하여 진로탐색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들 60명을 동질성 집단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검사인 진로정체감 검사와 진로결정수준 검사를 진로탐색활동 전날 본교 강의실에서 실시하였고, 사후검사는 진로탐색활동 일주 후에 본교 강의실에서 60명전원이 진로정체감 검사와 진로결정수준 검사를 실시하였다.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통제한 후 사후검사를 공변량(ANCOVA) 분석으로 실시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탐색활동이 여자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는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는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탐색활동이 막연하고 단순하게 생각했던 진로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나 선입견을 바로 잡는 계기가 되어 현실적으로 직업세계를 이해하고 탐색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직업을 분류하고 이유를 찾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직업흥미와 적성을 확실히 알게 됨으로서 자신의 진로에 대한 목표와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진로정체감을 높여줄 수 있는 진로탐색활동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탐색활동이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에서 여자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탐색활동이 직업에 대한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다양한 직업들 중에서 선호(희망)직업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선호직업에서 가장 좋아하는 직업 10개를 찾아 순위를 기록하고 그 중에서 3개의 최종직업을 판정하는 과정을 통해 진로나 직업을 선택하는 과정을 경험함으로서 진로결정수준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활동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이미 진로를 결정한 학생이 최종직업이 다를 경우 이미 선택한 직업이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직업인지 되돌아보게 되고, 만약에 맞지 않는 직업이라면 갈등과 혼란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자신의 진로를 더욱 확고히 재정립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음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집단 진로탐색활동은 여자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을 높여주는데 효과적인 활동임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탐색활동이 학업 및 직업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임한려(Hanryeo Lim),홍성표(Sungpyo Ho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2

        이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탐색활동이 학업 및 직업 활동 참여를 촉진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업중단청소년패널 2~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2차년도 기준 17세 이상 262명의 학교 밖 청소년(총 1,048명)을 대상으로 전이확률 및 패널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모델에는 개인, 가족, 교우관계, 사회인식 영역의 변인과 진로탐색활동 변인을 포함했으며, 각 변인들이 학업 및 직업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은 상담, 진로체험, 현직자 만남과 같은 진로탐색활동의 수행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었다(평균 1.92). 둘째, 학업 및 직업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학교 밖 청소년들은 이후에도 해당 활동에 참여하지 않을 확률이 48.24%로, 미참여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탐색활동은 학업 및 직업 활동 참여를 촉진한다. 고정효과모형을 기준으로 연령과 자아탄력성, 진로탐색활동은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진로탐색활동이 1단위 증가할수록 학교 밖 청소년이 학업 및 직업 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은 2.00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체험과 경험 중심의 진로교육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적 자원을 강화하고, 그들이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들이 진로미결정 상태를 벗어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학교 밖 청소년 맞춤형 진로교육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of out-of-school youth promote participation in academic and vocational activities. Using the 2nd~5th data of Dropout Youth Panel Survey, 262 out-of-school adolescents aged 17 years or older (a total of 1,048 students) were subjected to a transition probability and pan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long with the variables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variable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academic and vocational activities were analyzed, including variables in the fields of individual, family, friend, and social awareness. The main results derived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t-of-school youth had a lower level of experience-base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The overall average of activ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consisting of counseling at public institutions, interview with incumbent worker, and job experience was 1.92. Second, out-of-school youth who did not participate in academic and vocational activities were relatively more likely to maintain this state. Youth who participating in academic and vocational activities had a 91% probability of maintaining the same status afterwards, but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ing from the non-participating status to the participating status was 51.76%. Third, activ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out-of-school youth in academic and vo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fixed effect model, age, self-resilience, and activ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as the number of activ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increased by 1 unit, the likelihood of youth outside of school participating in academic and vocational activities increased by 2.002 times. The implications suggeste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areer education centered on experiences for out-of-school youth. Second, career education and programs need to be structured to reinforce psychological resources and interest of out-of-school youth.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mpt, demand-tailored career education so that out-of-school youth do not continue to be undecided on their career path.

      • KCI등재

        청소년의 직업체험활동만족과 시민의식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은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and civic awareness of adolescents on their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 discrepancies in respons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subjects’ gender.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73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the province of Gyeongsangnam-do, South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results of analysis, satisfaction with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and civic awarenes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s for both boys and girls. In other words, the adolescents were found to engage in mor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f they had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and civic awareness. However, for girls, civic awareness was a more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an was satisfaction with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providing systematic opportunities for job experiences that will produce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is proposed along with develop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hat enhance civic awareness, to encourage adolescents to engage in mor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직업체험활동만족과 시민의식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성별에 따른 응답의 차이를 함께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중․고등학생 총 735명이었다. 자료분석은 t검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탐색행동에 대한 직업체험활동만족과 시민의식의 상대적 영향력 분석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직업체험활동만족과 시민의식이 진로탐색행동에 대한 유의한 예언변수로 나타났다. 즉 직업체험활동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시민의식이 높을수록 진로탐색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여학생의 경우, 직업체험활동만족보다는 시민의식이 진로탐색활동을 예언하는 변수로서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진로탐색행동 촉진을 돕기 위해 직업체험활동만족도 제고를 위한 체계적 직업체험활동을 조직하고 시민의식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 운영되기를 제언한다.

      • KCI등재

        질병 관련 직업을 주제로 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중학생을 대상으로

        조광희(Cho, Kwanghee),천재순(Chun, Jae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본 연구는 활동 중심의 질병 관련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적용후 학생들의 질병 관련 진로탐색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ADDIE 모형을 토대로 질병, 직업, 활동 요소로 구성한 프로그램을 개발 하고, 자유학기제를 시행하는 D광역시 B중학교에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중학교 2학년 남학생 20명이며, 이들 중 7명의 학생들이 면담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탐색 경험을 확인하기 위해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학생 수업참여 양상을 녹화 및 관찰 기록하였다. 과학교육전문가 2인으로부터 안면타당도를 받아 반구조화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진로탐색 프로그램 종료 후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해 학생들은 경험하지 못했던 다양한 직업들을 학교 내에서 실질적으로 경험하고 탐색할 수 있었다. 나아가 학생들은 체험 활동을 통해 자신의 진로탐색 경험을 재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만족도 조사 결과는 Likert 5점 척도로 4.86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activity-centered program for career exploration related diseases and to phenomenologically understand students’ experience of activities about career exploration related disease. The program based on the ADDIE model was developed to be composed of elements: diseases, careers, activities, and applied to free learning semester at B middle school in D city. The program participants were 20 students and 7 students of them were interviewed. Recording and describing were conducted to be confirmed the students’ experience of career exploration related disease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it had held with the validity from two science education experts. The students could experience and explore various jobs in careers which were not able to experience in the school through the career-exploration program. Furthermore, students have reconstricted their experience of the career exploration by participating in the activity for experience. The satisfaction survey of the program was 4.86 on the 5 point Likert sca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