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령기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아동의 인격성향에 관한 연구 : 한국아동인성검사를 이용하여

        최윤정,진혜경,김종원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1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2 No.1

        최근 학교 아동들 사이에 집단따돌림현상이 문제화되고 있다. 학급에서 여러명의 학생이 특정 학생을 놓고 집중적으로 괴롭히고 따돌리는 현상은 비단 따돌림을 당하는 아동뿐만 아니라, 따돌림을 하는 아동들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따돌림의 원인은 다양하며 그중 따돌리거나 따돌림을 당하는 아동의 인격적 측면도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집단 따돌림의 피해군, 가해군, 피해 및 가해군과 무경험군 사이에 인격성향의 차이점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9년 3월부터 1999년 8월까지 서울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중인 아동 215명(남자 115명, 여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과 아동의 보호자에게 집단따돌림의 여부에 관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하였으며 아동의 보호자에게 한국아동인성 검사(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1997)를 실시하여 아동에 관한 자료들을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version 통계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각 집단간 차이는 ANOVA, post hoc scheffe test. Student's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피해군, 가해군, 피해 및 가해군과 무경험군은 각각 11명(5.1%), 56명(26.0%), 11명(5.1%),137명(63.7%)이었다. 2)따돌림피해의 빈도에 있어 1회 15명(7.0%), 2회 4명(1.9%), 3회이상 3명(1.4%)이었다. 또한 따돌림가해빈도는 1회 40명(18.6%), 2회 17명(7.9%), 3회이상 10명(4.7%)이었다. 3)집단따돌림의 피해군, 가해군, 피해 및 가해군과 무경험군에 있어 한국아동인성검사상 결과는 다음과같았다. (1)무경험군에 비하여 피해군은 자아탄력성(p=.00)척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과잉행동(p=.00), 정신증척도(p<.01)는 유의하게 높았다. (2)무경험군에 비하여 피해 및 가해군은 자아탄력성척토(p=.00)가 유의하게 낮았고, 신체화(p=.00). 과잉행동척도(p=.00)는 유의하게 높았다. (3)가해군에 비하여 피해군은 사회관계(p=.00), 정신증(p<.01), 자폐증척노(p=.00)가 유의하게 높았다. (4)가해군은 무경험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으로 보아 피해아동은 상황에 따른 적응력이 떨어져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며, 대인관계를 잘 갖지 못하고 행동이 부산하거나 충동적인 면이 있어 또래관계에서 소외되고, 정서적으로 불안정, 의사소통의 어려움 및 사회기술이 떨어지고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인격성향을 보이며, 이러한 특성은 피해전의 특성일수도 있으나, 피해로 인해 생긴 문제일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피해 및 가해아동도 피해아동처럼 적응력이 떨어져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행동이 부산하거나 충동적인 면이 있으나 사회적 관계를 맺는 기술의 문제나 정신증적인 특성, 자폐증적인 특성을 보이지 않고, 자신이 피해후 갖게된 분노감, 우울, 불안 등을 신체화시키고, 그러한 느낌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른 친구를 가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피해아동보다 피해후 발생하는 사회적 위축이나 적응상의 문제가 더 적은 것이다. 또한 가해 아동은 인격성향에 있어서 특이소견이 없었던 바 사회문화적, 교육적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심단어 : 집단 따돌림 ㆍ 인격성향 ㆍ 피해자 ㆍ 가해자. Bullying has recently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n society. Bullying, which is defined as a phenomenon that one particular student is intensively and continuously harassed or ostracized by a group of students, is apt to produce harmful effects on bullies as well as victims. Bullying has many causes including those originated from the personality of victims and bullies.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ersonality trait between victims, bullies, victims/bullies, and neith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5 (115 male and 100 female) 6th-grade students in the primary school in Seoul. Questionnares were distributed to the students and their carers. The student carers were also asked to answer the questions for a survey called the 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KPI-C). SPSS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test information ; ANOVA, post hoc scheffe test, and T-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sted group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1)The victims, bullies. victims/bullies and neither totaled respectively 11 (5.1%) , 56(26.0%) , 11 (5.1%) and 137(63,7%). 115 were male and 100 were female. 2)The frequency of victimized is as follows : 1 time is 15 (7.0%), 2 times is 4(1.9%) and more than 3 times is 3 (1.4%). The frequency of bullying is as follows ; 1 time is 40(18.6%), 2 times is 17 (7.9%) and more than 3 times is 10 (4.7%). 3)The differences between froups in KPI-C test is as follows. (1)The ESR(p=.00) scal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victims group than in the neither group and the HPR (p=.00) scale and PSY (p<.01) sc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ormer than in the latter. (2)The ESR (p=.00) scal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victims/bullies group than in the neither group and the SOM (p=.00) scale and HPR (p=.00) sc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ormaer than in the latter. (3)The SOC (p=.00) scale, PSY (p<.01) scale and AUT (p=.00) sc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victims group than in the bullies group. (4)There is statistically no difference between the bullies group and the neither group. To conclusion, Victims need to learn how to cope with harsh situations, or they will have to face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Even after they experience bullying, they may not realize why they have been bullied, or speak out for themselves. KEY WORDS : Bullying ㆍ Personality trait ㆍ Victims ㆍ Bullies.

      • KCI등재

        초등학교 학교폭력 가해, 피해, 가해-피해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

        이승연,오인수,이주연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5

        본 연구는 초등학생 548명을 대상으로 주요 개인적, 환경적 변인에서 학교폭력 가해, 피해, 가해-피해, 일반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순수 가해 또는 피해 집단과 비교하여 가해-피해 집단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집단별 유병률은 가해 4.7%, 피해 14.1%, 가해-피해 5.7%, 일반 75.5%로 나타났으며, 가해 집단은 일반 집단에 비해 선제적 공격성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괴롭힘 목격 시 거리두기 전략은 더 많이, 도움추구 전략은 덜 사용하였으며, 피해 집단은 일반 집단에 비해 학교유대감이나 친구지지가 낮았고, 내면화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가해-피해 집단은 일반 집단에 비해 선제적, 반응적 공격성이 모두 높고, 내면화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한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가해-피해 집단은 피해 집단에 비해 선제적 공격성이나 교사지지의 수준이 더 높고, 정서표현 억제가 잘 되지 않았으며, 괴롭힘 목격 시 문제해결전략을 덜 사용하였다. 반면 가해 집단과 가해-피해 집단을 구분하는 유의한 변인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예방 및 개입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on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bullies (4.7%), victims (14.1%), bully-victims (5.7%), and non-involved students (75.5%) in elementary schools (N=548). At the same time, it is to investigate how bully-victims are different from victims or bullies. In a comparison with the four groups, bullies reported more proactive aggression and distancing strategies, and less help-seeking strategies than non-involved students did. Victims reported lower levels of school connectedness and peer support, and higher use of internalizing strategies than non-involved students. As for a group of bully-victims, their levels of proactive and reactive aggression as well as internalizing strateg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involved students. Furthermore, according to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higher levels of proactive aggression and teacher support, and lower levels of the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problem-solving strategies predicted the group membership of bully-victims, compared to victims. However, no predictors were significant for bully-victims when compared with pure bullie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 KCI등재

        학교폭력 가해자 심리와 가해자 유형에 관한 연구

        김현욱(Kim Hyunwook),안세근(Ahn Sek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5

        이 연구는 학교폭력을 근절하고 폭력행동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학교폭력 가해자의 심리를 고찰하고 가해자 유형을 분석하였다. 학교폭력 가해자는 자아존중감의 문제로 질투심이나 좌절감을 느끼고 이를 표출하는 행동장애로서 폭력행위를 한다. 구체적으로 자기애성 행동장애와 경계성 행동장애를 가진 경우 학교폭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학교폭력 가해자 유형은 학교폭력 쾌감형, 스트레스 발산형, 학교 폭력 정당화형, 학교폭력 후회형, 냉담 놀이형, 전능감(全能感) 추구형, 학교폭력 노출 공포형 등 7가지로 제시하였다. 각 유형에 대한 이해는 학교폭력 가해자에 대한 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공통적인 지도방법으로써 도덕적 공감 능력을 기르고,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exterminate and find out the reason of school-violence by analysi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ullies and the bullies’ types. Generally, because the school bullies have the problems in self-esteem, they feel ‘jealousy’ and ‘frustration’. They cause school-violence through behavior disorder. Concretely, borderline behavior disorder and narcissistic behavior disorder are more likely to cause the school-violence. The types of school-violence bullies would be classified into seven forms; ‘enjoy violence’, ‘stress solution’, ‘rationable violence’, ‘sorry to violence’, ‘play cold’, ‘the ruling class’, ‘bullying by fear’. The understanding of these forms makes it easy to educate the bullies for teachers and parents. And it may lead to early intervention and treatment.

      • KCI등재

        가해자 집단의 인성 특징에 따른 괴롭힘 역할 성향 및 인성교육의 효과성 차이

        손경원 ( Kyung Won S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40

        본 연구의 목적은 가해자 집단의 인성 특징 및 괴롭힘 역할 성향을 분석하고 인성교육의 효과성을 조사하여 인성교육 활성화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인성교육을 강화하여 학교폭력을 예방하려는 노력이 정책적으로 추진되면서 학교폭력과 인성의 관계 및 인성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폭력의 범위를 괴롭힘으로 제한하고, 서울시초등학교 20개 학교 4-5년 2723명을 대상으로 네 유형 괴롭힘 참여자 역할(가해자, 동조자, 방관자, 방어자)을 구분하여 가해자 집단으로 분류된 473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가해자 집단의 인성특징에 따라 세 집단(매우 낮은 유형, 낮은 유형, 평균 유형)으로 분류하고 집단 간의 괴롭힘 관련 심리 변인(역할 성향, 괴롭힘 친화성, 공감, 행복)과 인성교육 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가해자 학생들 간의 인성의 수준 차이가 존재하며, 인성이 낮을수록 공감능력이나 행복지수도 낮고 괴롭힘에 친화적인 성향을 더 많이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만으로 인성수준이 낮은 학생의 괴롭힘의 태도나 능력을 개선하기 어렵기 때문에 좀 더 특별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erpetrators of school violence, toughness and inclination as character education to prevent school violenc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haracter education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character education . If this occurs School Violence opposed to the approach of punishment -oriented for the bullies to emphasize prevention through humane education, but school violence -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y, the humanity by targeting information and bullies of the personality traits of the offender education the situation is not any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A self-report survey questionnaires was administered to assess the students’s the index of character, the level of empathy, happiness, scores on four types of bullying participation(Bully, Bully assistant, Bystander, Victim defender). A series of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run to find out the empirical difference in the scores of character, empathy, happiness by four types of bullying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 Studies show there is a big difference to the group of bullies depending on level of character difference. Therefore, we propose that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with low level of character index to improve an attitude about school violence, and then we should provide more specific support to them.

      • KCI우수등재

        아동의 개인적,환경적 특성과 또래 괴롭힘

        서미정(Seo Mi Jeong),김경연(Kim Gyeong Yeon) 한국아동학회 2004 아동학회지 Vol.25 No.2

        This study investigated personality and environmental variables influencing peer bullying by sex and by differences between bullies, victims, bully-victims, and normal children. Findings were that the proportion of the total sample involved in peer bullying was 47.88%. Of the bullying of both boys and girls was influenced by exposure to violence, delinquent friends, and peer support. Bullies had higher levels of aggression and exposure to violence than normal children and higher levels of peer support than victims. Victims had higher levels of delinquent friends and exposure to violence than normal children. Bully-victims showed higher levels of aggression, immaturity, delinquent friends, exposure to violence and lower levels of peer support than normal children.

      • KCI등재

        학교폭력의 맥락적 이해에 기초한 효과적인 상담전략

        오인수,김혜미,이승연,이미진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counseling strategies while working with victims and bullies in school violence based on contextual understanding of school violence. Nine professional counselors in metropolitan area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ir interview focusing on counseling experience of working with victims and bullies was investigated. The interview was analyzed based on Grounded Theory(GT), thereby yielding 92 concepts, 12 sub-categories and 4 categories. As for the victims, the central phenomenon was identified as ‘Unconscious resistance caused by traumatic experience.’ Although victims had difficulty in expressing emotions and disclosing themselves, they ended up reconstructing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forming positive self-concept. On the other hand, bullies’ central phenomenon was ‘Heteronomous helplessness filled with anger and a sense of emptiness.’ They expressed aggression explicitly, while reserving deep anger implicitly. Therefore, they showed oppositional reactions to counselors and low expectation on counseling; however, they were able to mitigate cognitive distortions and to increase empathic understanding. Sixteen counseling strategies were provided based on the central phenomenon and interaction which were identified reactions during counseling ses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effective counseling strategies for victims and bullies in school violence based on qualitative investigation on contextual understanding of school violenc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의 맥락적 이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상담전략을 탐색하여 학교폭력 관련의 상담 현장에 효과적인 상담적 개입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내 학교폭력과 관련된 전문 상담 기관에서 실제로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학생을 상담하고 있는 상담자 9명에 대해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피해와 가해 현상의 맥락적 관점에서 연구 참여자들의 상담경험을 해석학에 입각한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92개의 개념과 12개의 하위범주 및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피해학생의 경우 지속적, 의도적인 폭력 노출로 인해 ‘트라우마적 피해경험에 의한 무의식적 저항’을 중심현상으로 보였다. 이들은 감정표현과 자기개방의 어려움 등을 드러냈지만 상담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피해경험을 재구조화하고 긍정적인 자아형성에 이르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 가해학생의 경우 지속적인 가해경험이 있었으며 조치로 부과된 타율적 상담 조건 속에서 ‘분노와 공허감이 가득한 타율적 무기력함’을 중심 현상으로 드러냈다. 이들은 겉으로는 공격성을 속으로는 분노를 담고 있으며 적대적 감정과 낮은 상담의 기대를 지녔지만 상담을 통해 인지왜곡의 완화와 공감능력의 신장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학생의 이해를 바탕으로 상담과정에서 드러나 중심현상과 상호작용의 범주에 기초하여 16가지의 효과적인 상담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폭력이 발생하는 독특한 맥락을 바탕으로 차별적인 상담전략을 제안한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상담적 개입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여중생 학교폭력 행위자들의 집단 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전미이,하정희,유선희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female bullies' experience to group counseling progress. For these purposes, qualitative interviews with ten female bullies who had been punished of middle school violence were taken. Data from the interview were analyzed using theme analysis method. Results showed that before group counseling program, participants'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as (1) perception about own characteristic (2) the nature of human relations (3) perception about punishment in participating to violence (4) expectation about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more concretely, we came to find nine sub-categories. During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after the program, their experiences were revealed to five categories, namely, (1)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about group counseling program, (2) perception about own characteristic, (3)the nature of human relations, (4) perception about punishment in participating to violence, (5) participation to an act of violence later on. And we found thirteen sub-categories, more concretely.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focus on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and counseling. 본 연구는 최근 사회문제로 심각성이 더해가는 학교폭력과 관련하여 학교폭력에 참여한 청소년들의 집단프로그램 경험을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에 참여한 후 경찰청과 교육청으로부터 집단 프로그램 참여 처벌을 받은 여자중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집단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이전과 참여하는 과정 및 참여 직후의 경험들을 발견해보고자 하였다. 이들의 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질적 면접을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내용을 주제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폭력 행위자 여학생들의 집단 프로그램 참여 이전의 경험으로는 자신의 특성 지각, 인간관계의 특성, 집단폭력 가담 시의 처벌에 대한 지각, 집단상담에 대한 기대의 총 4개 범주로 나뉘었고, 더 구체적으로 9개의 하위범주가 발견되었다. 다음으로 집단 프로그램 참여 과정 및 직후의 경험을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에서의 만족도여부, 자신의 특성 지각, 인간관계의 특성, 집단폭력 가담 후의 처벌에 대한 지각, 추후 폭력가담에 대한 의지의 총 5개 범주로 나뉘었고, 구체적으로 13개의 하위범주를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결과에 대한 적용점 및 연구의 의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가해 청소년, 피해 청소년, 가해/피해 청소년 집단유형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신희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6 한국청소년연구 Vol.17 No.1

        Employing Multiple Logistic Model, this study investigates factors that effect on the continual development of three different types of peer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namely, aggressive victims, passive victims, and bullies. The sample to be examined includes 3,499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2-year Korean Youth Panel Survey(KYP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more children are isolated from peer group and the lower the level of their anger i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be passive victims. In addition, the more children experience parental aggressions against them and the higher the level of their positive attitude toward aggression itself, the more likely they are to be aggressive victims. The experiences of conflict with parents by children are found to decrease the probabilities of being both passive victims and aggressive victims.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1차 및 2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중학생의 공격 가해 및 피해 행동의 경험정도에 따른 가해, 피해, 가해/피해 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유형별 특성이 지속적으로 발달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가를 알아보았다. 다항로지스틱모형을 이용한 회귀분석과 예측확률치 비교분석 결과 부모의 공격적 학대(욕설, 구타)에 대한 경험이 많을수록, 그리고 조사대상 학생의 공격행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가해/피해집단의 발달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또래로부터 거부당하고 고립되는 경험을 할수록 피해집단의 특성을 형성하는 데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일선학교의 교사와 청소년 지도 관계 전문가들이 폭력행동의 유형을 파악하고 그 원인을 이해함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학교폭력 가·피해 청소년 대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다층메타분석을 통한 효과 크기 검증

        김지연(Kim, Ji-Yeon),강민철(Kang, Min-Chul),허미라(Hur, Mi-Ra)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2003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학술지 및 학위논문으로 보고된 논문 28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 분석기법으로 다층모형 메타분석이 활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대상 연구들의 효과크기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우선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학교폭력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과크기가 연구들에 따라 유의하게 달라짐을 무선효과 검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둘째, 학교폭력 대상과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가 연구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설명변인을 투입한 연구 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설명변인인 대상, 학년, 집단크기, 보조자료 활용 여부는 연구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측정변인인 공격성 관련 요인에 대한 효과크기가 내면화 문제, 관계 및 적응 문제, 또는 자아 혹은 자기 인식 등의 공격성 비관련 요인에 비해 효과크기가 1.3정도 큰 수치를 보였다(p<.001). 무선효과 검증을 통해 알아본 결과 연구모형에서의 설명변인들이 연구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를 14%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두 설명변인인 대상과 측정변인 종류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2수준 모형으로 가해자/피해자와 공격성/공격성비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가해자 대상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진행할 경우 효과가 다른 요인에 비해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자 또는 피해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들의 문제 해소 및 감소를 위한 효과성이 높은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current study conducted the meta-analysis of empirical studies (N = 28) on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bullies and victims in school violence, which was published from the year of 2003 and 2020 in Korea. As a resul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school violence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0.233, indicating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no effec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siz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udy through the random effect verification. Second, to test variations among studies, a research model using explanatory variables was analyzed.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of the study, whether the target, grade, group size, and auxiliary data were used as explanatory variables. However, the effect size for the aggression-related factor, which is a measurement variable, was 1.3 higher than that of the non-aggression-related factor (i.e., internalization, relationship and adaptation problems, self-awareness)(p<.001). Based on random effect verification, it was found that explanatory variables in the research model explained about 14% of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study. Lastly, we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aggression and bullies/victims with a two-level model to see if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arget and the type of measurement variable. When conducting a collective counseling program for bullies, the effec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factors. The study show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by providing a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bullies and victims in school violence.

      • 초등학교 고학년의 집단따돌림 예방을 위한 게슈탈트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신용우 ( Yongwoo Shin ),김정규 ( Jungkyu Kim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4 No.2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discover a Gestalt group counseling program aimed at preventing group bully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upper grade. There is a theory (Salmivalli et al., 1996) that group bullying is not a problem simply between a victim and a perpetrator, but it is also a problem of the entire class, which plays the role of bystanders who witness such an incident. According to this theory, this study attempted to start a program aimed at the entire class, and to look into any increase of defensive behavior for the victims, any decrease of bully-following behavior for the perpetrators, and any improvement of empathic ability. As research subjects, the study selected two classrooms for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placed 25 students in one class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25 students in one class as a control group to discover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study offered a total eight session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wice a week for four weeks, and the counseling for one session lasted 40 minutes. Additionally, the study made students engaged in a group activity throughout fourteen sessions for those four weeks of which one session lasted for 15 minute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the study conducted a pre-and post-tests using modified group bullying participant role questionnaires and a modified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With all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analyzed them using the SPSS 19, and verified them through a mixed-designed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efensive behavior for victim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ully-following behavior for perpetrator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pective taking and having fantasy among cognitive components of empath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rise in empathic concern among affective components of empath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gestal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reventing group bullying aim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upper grade is effective in enhancing defensive behavior for victims in the class. The increase of defensive behavior for victims is assumed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group bullying by increasing the punishment factor for perpetrators while raising the protection factor for victims. Also, the gestalt group counseling program may be effective in raising the emotional empathy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