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배리어프리(Barrier-Free) 영화 활성화 방안

        최영환(Choi, Youngwhan),신주연(Shin, Juyeon),염은유(Yeom, Eunryu),오강국(Oh, Ganggook),오세은(Oh, Seeun),윤혜정(Youn, Hyejeong),정현지(Jeong, Hyunjee),최윤경(Choi, Younkyoung),한지나(Han, Jina),홍소망(Hong, Somang),조성희(Cho, Sunghu 한국상담복지경영학회 2019 상담복지경영연구 Vol.- No.3

        본 연구는 장애인의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문화향유권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다양한 문화활동 중 장애인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활동인 영화 관람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배리어프리 영화의 실태와 제도를 살펴보았다. 또한 배리어프리 영화 상영 경험에 따른 배리어프리 영화에 대한 수용도와 장애인에 대한 인식 변화를 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배리어프리 영화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국내의 배리어프리 영화는 2010년대 이후 발전해 오고 있으나, 여전히 장애인들의 문화 활동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수준이다. 특히 배리어프리 영화의 절대적인 양적 측면의 성장이 미흡한 상황이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국내 배리어프리 영화의 확대를 위한 방안 모색에 있어서 영국은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배리어프리 영화 경험에 따른 배리어프리 영화에 대한 수용도와 장애인에 대한 인식 변화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배리어프리 영화를 경험한 경우 배리어프리 영화에 대한 수용도가 증가하고, 장애인에 대한 인식 역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배리어프리 영화 경험 증대를 위한 기회 확대, 기업차원이 활성화 방안 추진, 제도의 개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measures to promote cultural right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particular, the focus was on movies, which are the most used fil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various cultural activities. We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s and systems of barrier-free films at home and abroad. Also, according to the barrier-free movie screening experience, we examined the change of acceptance of barrier-free movie and perception of disabled people. Additionall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relevant experts to find out the status of barrier-free films and how to activate them. Result shows that barrier-free films in Korea have evolved since the 2010s, but are still insufficient to meet the needs of disabled people for their cultural activities. In particular, since the absolute quantitative growth of barrier-free movies is not enough, measures need to be taken. The UK can be a good example of exploring ways to expand domestic barrier-free films, and additional consideration is needed. As a result of examining barrier-free film acceptance and recognition of disabled people according to barrier-free film experience, the barrier-free film experience showed that acceptance of barrier-free film increased and recognition of disabled people also improved. On the basis of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increase the barrier-free movie experience, the promotion of corporate-level activa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 KCI등재

        이중양분선택형 질문법을 이용한 CVM에 의한 지하철 역사 Barrier-free 시설의 가치분석

        정헌영,백상근,백은상 대한교통학회 2008 大韓交通學會誌 Vol.26 No.5

        향후 장애인과 고령인구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해 교통약자의 통행수요는 확대될 것이며, 이에 따라 고령자, 장애자들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회간접자본의 정비가 요구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대중교통관련 시설의 Barrier-free화 (무장애화)는 시급한 사안이라 보아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재의 가치추정에 있어 효율적인 방법론인 이중양분선택형 질문법에 의한 CVM(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하여 지하철 역사의 Barrier-free 시설의 가치를 추정하고, 생존분석을 통해 지하철 이용자들의 지불의사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에 대한 평균지불의사금액이 장애인개찰기나 단차해소시설의 평균지불의사금액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와 실제 Barrier-free 시설의 확충에 있어서 이용편의시설보다는 이동편의시설을 먼저 시급히 설치해 나가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각 Barrier-free 시설에 대한 교통약자의 평균지불의사금액이 일반인의 평균지불의사금액에 비해 훨씬 높아 일반인과 비교할 때 교통약자들이 Barrier-free 시설의 가치를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As the aged and physically disabled people are expected to increase in the next several years, traffic demand especially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people' will be stronger. According to this trend, our society needs the improvement of social overhead capital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 First of all, Barrier-free of public transport facilities is urgent c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value of the Barrier-free facilities at subway stations by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with Double Bounded Dichotomous Choice Question and to analyze the factor which affects the WTP (Willingness To Pay) of subway users by using Survival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Elevators' and 'Escalators' are higher than 'Handicapped Gate Machines' and 'Ramps for Wheelchair' in the aspect of the average willingness to pay. Therefore the government is recommended to install the Barrier-free facilities for going up and down such as 'Elevators' and 'Escalators', and then supply others for just using subway and passing such as 'Handicapped Gate Machines' and 'Ramps for Wheelchair'. Also, the average willingness to pay of 'mobility handicapped people' is higher than that of 'normal people'. It indicates that 'mobility handicapped people' value each Barrier-free facility high compared to 'normal people'.

      • KCI등재

        무장애 공간 인증 관련 초등학교 설계안 분석 연구

        성이용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3

        (Background and Purpose) Certification criteria and the installation criteria of convenience facilities in each faci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variety of reference materials for design planning in the future based on a barrier-free space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installation of internal facilities in the elementary school design plan. (Method) First, the concept and types of barrier-free spaces in elementary schools are analyzed through the related literature surveys, and the research trends and analyses of facilities are examined. Second, data such as architectural outlines, design concepts, and various drawings of each building for national elementary schools are collected, and the types of barrier-free spaces in elementary schools are analyzed. Third, the types of and the correlation among barrier-free spaces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s in South Korea are revealed. Fourth, by analyzing elementary school plan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barrier-free spaces is deriv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interior facilities installation in the barrier-free space of current design. (Results) The proposal of the installation space will have to be considered with regard to planning (e.g., an additional installa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The proposal to install the horizontal moving space should be complemented with an active safety device by implementing the measures of heterogeneity and dissimilarity on the floor finish. Conversely, dispersal of the vertical movement lines could be considered for the proposal to install vertical movement space in the barrier-free space. (Conclusion) By analyzing the study of the entry space, horizontal movement space, and vertical movement space, and focusing on the interior facility spac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even though the general entrance is well-planned as the entry of the barrier-free space, it needs to be considered in a plan that additionally installs convenience facilities such as those with necessary handles. Second, although the corridors suggested as the horizontal movement spaces for barrier-free spaces are well-equipped, active safety devices should be installed due to the detail elements or floor division. Third, although the proposal for a barrier-free vertical movement space is well-planned for the stairs, it is rarely planned for the ramps; therefore, having a plan to add various ramps to move between the floors seems to be necessary. Lastly, in the case of the elevator, it was concluded that there should be an arrange of the elevator in a space where it is divided into two or more rather than installed in one space if the space is divided where the teachers are using. (연구배경 및 목적) 교육시설 중 가장 무장애(BF)인증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가 되는 곳이 초등학교이며 초등학교는 연령이 어린 학생들이 학교에서의 활동에 있어 장애 공간이 아닌 무장애 공간의 사용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 되기 시작하였다. 인증제도 평가지표가 건축물이라는 항목아래 용도 및 시설별 특성에 대한 고려 없이 모든 건축물에 일괄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건축물에 관련 같은 평가 기준 및 배점으로 인하여 인증 기준과 각 용도별 시설 내 편의시설 설치기준 사이에 차이가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장애 공간을 바탕으로 현재 초등학교 설계 계획 안의 내부시설 설치현황을 조사 하여 기초적 자료로 제공하며 향후 무장애 계획에 있어 설계 계획시 다양한 참고 자료로서의 목적을 가진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선행 연구를 조사 하여 초등학교 무장애 공간의 개념 및 유형을 분석하고 연구 추세 및 시설의 분석을 살펴본다. 둘째, 국내 초등학교 대상으로 힉교들의 건축개요, 설계 컨셉, 도면 등의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기본으로 초등학교 의 무장애 공간이 가지는 유형을 분석한다. 셋째, 분석한 유형을 국내 초등학교의 사례를 통해 무장애 공간 상관 관계 및 유형을 밝힌다. 넷째, 분석한 10개의 초등학교 계획안을 분석하여 무장애 공간 종합분석을 도출하여 현상 설계에 있어서 현재 무장애 공간의 내부시설 설치 현황을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사례를 선정하기 위한 공간적 범위로는 우리나라 중 경기도에 있는 신축 초등학교의 현상 설계안을 중점으로 하였고, 시간적 범위로는 2016년부터 2018년 상반기 경기도 교육청 발주한 초등학교 사례 10개를 수집하였다. 또한 무장애 공간(barrier free)인증기준에 의거 반영한 공간으로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진입 공간 설치 제안은 편의시설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등의 계획적인 면에서의 고려도 필요하다. 수평이동 공간 설치 제안은 바닥의 마감은 이질, 이색의 조치를 하여 적극적인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한다. 수직이동 공간 설치 제안은 수직동선을 분산하는 것이 무장애 공간에 대한 고려 일 수 있다. (결론) 교사동에 한정하여 내부시설 공간을 중심으로 진입공간, 수평 이동 공간, 수직 이동 공간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무장애 공간의 진입공간 제안은 전체적으로 일반적인 출입구는 잘 계획 되어 있지만 필요한 손잡이 등의 편의시설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계획적인 면에서의 고려가 필요하다. 둘째, 무장애 공간의 수평 이동 공간 제안인 복도는 모두 잘 되어 있으나 디테일 요소나 바닥의 마감에 대한 구분으로 인한 적극적인 안전장치를 설치 하여 한다. 셋째, 무장애 공간의 수직 이동 공간 제안은 계단의 경우 잘 계획되어 있으나 경사로의 경우 거의 계획 되어지지 않아서 층간이동을 위한 다양한 경사로의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승강기의 경우는 교사동의 공간이 나누어지는 경우 한 곳의 공간에 설치가 아닌 두 곳 이상 나누어지는 공간에 대한 승강기의 배치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팬데믹 시대 무장애 전시 콘텐츠 및 서비스에 관한 사례 연구 -「아시아의 표해록」전을 중심으로

        안재연 ( Jaeyeon Ah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시대 강화된 디지털과 온라인 기반 전시에서 무장애(배리어 프리) 서비스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아시아의 표해록(漂海錄)」(2019; 2020) 전시에서 시도되었던 무장애 전시 콘텐츠와 서비스이다. 연구방법은 크게 무장애 전시 공간 및 콘텐츠 제작과, 무장애 서비스 둘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연구내용은 첫째, 점자 체험존을 도입하여 시각장애인의 전시 감상을 도왔다. 둘째, 평면 2D 회화인 「범사도(泛槎圖)」를 디지털 동영상으로 제작, 공감각적인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셋째, 점자 리플렛과 도록 제작, 수어 전시해설 동영상 및 VR 영상 배포, 장애인 관람 서비스, 촉각형 배 모형과 책갈피 문화상품 개발, 오디오북 제작 등과 같은 무장애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표해록」전이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면서도 장애인과 상호작용함으로써 향후 배리어 프리 전시의 발전 방향을 시사하는 한 사례로 제시하였다. 제언은 첫째, 디지털 매체와 문화의 융합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새로운 배리어 프리 전시의 개발 필요성이다. 둘째, 무장애 상호작용성(barrier-free interactivity)에 기반한 배리어 프리 서비스의 확장과 재정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barrier-free services in enhanced digital and online-based exhibitions in the pandemic era.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barrier-free exhibition content and services that were attempted in the exhibition Asian Drifting Records (2019; 2020). The research method was largely divided into two; barrier-free exhibition zone and content production, and barrier-free service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of the Braille experience zone helped the visually impaired to appreciate the exhibition. Second, a flat 2D painting, Beomsado (The Drifting Boat), was produced as a digital video to help the synesthetic appreciation. Third, barrier-free services such as production of Braille leaflets and catalogs, an distribution exhibition videos in sign language and VR video, viewing services for the disabled, tactile ship models and bookmarks, and audio books were provided. As a result of the study, Asian Drifting Records was presented as an example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 of barrier-free exhibitions by actively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and interacting with the disabled. Overall, two conclusion are suggested; first, the need to develop a new barrier-free exhibition that actively reflects the convergence of digital media and cul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redefine barrier-free services based on barrier-free interactivity.

      • Research on Improvement of Outdoor Barrier-fre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ith the Example of Kunming City Apartment

        Hao Nong,Jae-cheol Kang ASCONS 2022 IJASC Vol.4 No.4

        Background/Objectives: Home-based care for the elderly is still a valued and accepted method for the elderly in China because of the ancient concep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culture. The design of residential structures in current metropolitan communities, however, falls well short of addressing the behavioural and psychological requirements of the aged. In order to accommodate the growth of an elderly society, it has become crucial to construct barrier-free amenities in metropolitan neighbourhoods. Methods/Statistical analysis: The idea of barrier-free design suitable for older people is utilised to research outdoor barrier-free facilities in metropolitan areas. Findings: Examine and comprehend the requirements of the aged for an age-appropriate design through the initial investigation. Read and briefly describe the pertinent reports on the elderly and barrier-free research. Second, a field investigation and data collection were done on the outdoor barrier-free facilities in the following Kunming neighbourhoods: A Kangyuan Apartment, B Wancaicheng Apartment Phase 1, C Binjiang Junyuan Apartment, D Jinshouyuan Apartment, E golden times Apartment, F Jinyue Four Seasons Apartment, and G Jiangdong Fashion Home Apartment. Improvements/Applications: In order to address the issue of standard construction of outdoor barrier-free facilities in residential areas, the analysis and reconstruction suggestions for outdoor facilities in residential areas are presented.

      • KCI등재

        IPA를 활용한 제주지역 관광지의 무장애 관광환경에 관한 연구: 문화관광해설사 중심으로

        정승훈,양성수 한국관광진흥학회 2023 관광진흥연구 Vol.11 No.3

        Barrier-free tourism can be said to guarantee the right to participate, which is the right of the tourist weak to travel, and to create a tourism environment so that the vulnerable can travel conveniently and safel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rive academic approach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approach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barrier-free tourism environment of Jeju tourist destinations in the province targeting cultural tourism commentators in the Jeju.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with items related to the attributes of the barrier-free tourism environ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barrier-free tourism, and 149 valid samples were secured for cultural and tourism commentators and the IPA technique was used.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keep up the good work’ included physical external accessibility items such as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parking lot’, and ‘main entrance’. The ‘under performance’ included items such as ‘road surface condition’, ‘slope’, and ‘rest facility’, as well as physical interior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facilities. In addition, convenience facilities in tourist destinations such as ‘food and beverage facilities’, ‘shopping facilities’, and ‘mobile convenience equipment’ were included in the low-priority area, and ‘homepage accessibility’, ‘lighting’, and ‘ticket office’ were included in the possible overkill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barrier-free tourism environment policies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such as providing basic academic data related to barrier-free tourism environments, building infrastructure for barrier-free tourism environments, improving service quality, and operating and managing barrier-free tourism products. 무장애 관광은 관광약자의 관광을 하고자 하는 권리인 참여권리의 보장과 취약계층이 편리하고 안전하게여행할 수 있도록 관광환경의 조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지역 문화관광해설사를 대상으로도내 주요 관광지의 무장애 관광환경 속성의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해 무장애 관광환경의 학술적 접근과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무장애 관광 관련 문헌고찰를 통해 무장애 관광환경의 속성 관련 항목들로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문화관광해설사들을 대상으로 149부의 유효표본을 확보하여 IPA 기법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유지영역’에는 ‘대중교통 접근성’, ‘주차장’, ‘주출입구’, 등 물리적 외부접근성 항목이 포함되었고, ‘집중영역’에는 ‘노면상태’, ‘경사로’, ‘휴게시설’ 등 물리적 내부 접근성 및 편의이용시설 항목들이 포함되었다. 또한 저순위 영역에는 ‘식음료 시설’, ‘쇼핑시설’, ‘이동편의기구’ 등 관광지내 편의이용시설들이 포함되었으며, 과잉영역에는 ‘홈페이지 접근성’, ‘조명’, ‘매표소’ 등이 포함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무장애 관광환경 관련 학술적 기초자료 제공과 더불어 무장애 관광환경의 인프라 구축및 서비스 품질 향상, 무장애 관광상품의 운영관리 등 실무적 관점에서 무장애 관광환경 정책 수립에 활용될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국 무장애 디자인 규범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LI YUHONG,이종국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19 교육·녹색환경연구 Vol.18 No.1

        무장애 설계는 사회적 약자 집단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다. 중국은 인구가 가장 많으면서 노인 인구도 가장 많은 나라로서 무장애 설계에 많은 진전을 이루었다. 본 논문의 범위는 1980년대부터 2012년까지로 설정하였으며 현재까지 시행된 두 개의 무장애 설계 기준을 비교함으로써 중국 무장애 설계 표준의 발전 과정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개 규범의 번호, 장절, 적용범위, 적용대상, 목적 등의 내용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2001년 규범이 비해 2012년 규범에서 무장애 발전의 가속화, 규범 적용 범위의 확대, 규범 내용의 보강, 조항의 완화 등의 특징이 있다는 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Barrier-free design reflects the attention of the disadvantaged groups. As a populous country with the largest population and the largest number of elderly people, China has made great progress in the field of the Barrier-free. The scope of this thesis is from the 1980s to 2012 in China, study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China's barrier-free design standards by comparing the two barrier-free design standards implemented in the history of such design. In this paper, the two standards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e following aspects, which are the numbering, chapters, scope of application, applicable objects and purposes, and so on. Compared with the 2001 barrier-free design standards, the 2012 one can be concluded that the development of barrier-free design in China has been accelerated, the scope of application has been widened than before, the content has been supplemented, and restrictions on terms have been reduced.

      • KCI등재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공공건물의 무장애 시설 가치분석에 관한 연구

        이소영(Lee So-Young),유성은(Yoo Seung-Eun) 대한건축학회 201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8 No.5

        Since improving accessibility standards or building barrier free buildings could be considered an inefficient and expensive solution, previous research conducted the U.S. U.K., and Japan etc. tried to prove benefits compared to the cost of building barrier free build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find out attitude and opinions of people toward barrier free design features and to estimate the value of barrier free facilities. This research uses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o gain a direct appraisal of the benefits from barrier-free public facilities. For this purpose, survey method is used. Pre-test is conducted to establish the initial amount for the respondents. The degree of importance of barrier free features varies by each respondent group; general, elderly, and the disabled. A double bounded question method is used to estimate the amount of tax payment as the value for the barrier free public buildings. When considering public facilities with barrier free design features, the total of 636 respondents, including 190 the disabled respondents, 187 the elderly respondents that answered the direct 1:1 survey would have willingness to 18,560 Won per month as an additional tax for the barrier free design features. Among the respondents, people with disabilities showed higher amount for tax payment compared to the elderly and other respondent group.

      • KCI등재

        제주지역 공공업무시설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실태조사 연구

        성기창 ( Seong Ki Chang ),박철민 ( Park Chul Min ),김인배 ( Kim In Bae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16 의료·복지 건축 Vol.22 No.4

        Purpose: Considering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such as the elderly, pregnant women, infants companion and constantly increasing foreign tourists, there is a high need for implementing an environment without barriers. In terms of policy and institutional aspect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s striving to create an environment without barriers and to promote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Vulnerable Pedestrians. But it is not enough to create a viable barrier-free environment. Methods: Method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general population status and installed facilities status for the disabled in Jeju. And analysis of policy research needs and level of barrier-free. By applying the barrier-free environment certification standards should conduct an assessment of the level of the current public office buildings in Jeju. It presents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public office buildings for barrier-free environment. Result: Barrier-free environment status of the five public office buildings research surveyed all buildings have shown low levels of installed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particular, it was analyzed that represents a very low level in the intermediate facilities and other facilities.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installation manual for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s required to improve public office buildings. And barrier-free criteria need to reflect on the implementation of regulations. Implication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to analyze the barrier-free level and problems of public office buildings, it will be made to improve the comprehensive and reasonable alternative.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무장애도시 조성을 위한 자치입법의 지향점

        김제선(Kim, Je Sun),황성완(Hwang, Seong Wan),문상혁(Moon, Sang Hyuk) 사회복지법제학회 2021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에서 무장애도시 조성과 관련하여 제정되어 있는 조례들의 현황과 그 자치입법의 체계 중 정책의 수혜대상, 정책사업의 영역, 그리고 조성 정책의 원칙 등이 어떻게 규정되어 있는지에 대한 실태를 살펴보고, 그에 대한 지향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변화되는 다양한 계층의 사회구성원을 수용하는 도시(지역사회)와 연결되어 있고, 공간디자인 또는 제품디자인에 한정하는 것이 아닌 제도적 장벽 또는 사회적 인식 개선 등과 관련된 정책 및 자치입법 활동의 의미를 지닌 무장애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무장애도시는 모두에게 접근가능하고 편리한 보편적 복지의 대표적 이미지이며, 고령시대의 필수적인 이동성과 접근성 제고의 기반으로서 사회정책과 직결되어 있고, 지역사회 물리적 환경 정보와 도시재생 관점에서의 필수적 정책로드맵의 일환으로 전제하였다. 선행연구 고찰 등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무장애도시 조성을 위한 자치입법에 대한 지향점을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첫째는 무장애의 대상, 둘째는 무장애의 범위, 셋째는 무장애의 원칙과 관련된 접근이다. 지방자치단체의 조례 중 경기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무장애도시 정책의 수혜대상과 정책사업의 영역, 그리고 무장애도시 조성을 위한 정책의 원칙 등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어 정책의 일관성이나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지방자치단체의 무장애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자치입법의 체계로서 규정되어야 할 내용으로서 첫 번째는 정책의 (수혜)대상으로 장애인, 노인뿐만 아니라, 아동, 임산부 등의 교통약자와 그들과 동행하는 가족들이며, 나아가 전체 지역주민, 여행자 등으로 단계적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정책의 영역으로 주거, 건축, 이동, 교통, 편의시설, 관광, 복지, 일상생활, 문화, 체육, 공원, 공간, 멀티미디어, 홍보, SNS, 사회적 인식, 행정, 재정, 로봇, 인공지능 등에 대해 단계적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세 번째는 정책의 원칙(또는 기준)으로 보편성, 접근성, 형평성, 지역성, 평등성, 보충성, 참여성 등이다. 이러한 세 가지의 지향점과 더불어, 지방자치단체의 무장애도시 조성 정책은 실효성을 갖는 개선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ordinances related to the creation of barrier-free cities in local governments in Korea,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and to suggest a direction for of policy beneficiaries, policy project areas, and policy principles stipulated in the self-governing laws. Barrier-free is connected with a city (community) that accommodates diversified and diverse social members, and is not limited to space design or product design, but appears as a policy and autonomous legislation that breaks down institutional barriers or improves social awareness. The premise of this study is that a barrier-free city is a representative image of universal welfare that is accessible and convenient for all, is connected with social policies as a basis for improving mobility and accessibility in the elderly, and is an essential policy roadmap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pproached the direction of self-government legislation for the creation of barrier-free cities of local governments from three aspects. It is an approach to the subject of barrier-free, the scope of barrier-free, and the principle of barrier-free. As a system of self-government legislation to create a barrier-free city for local governments, the targets of the policy are not only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but also the transportation-disabled people such as children and pregnant women, their families, local residents, and travelers. The areas of ​​policy are housing, architecture, movement, transportation, convenience facilities, tourism, welfare, daily life, culture, physical education, park, space, multimedia, public relations, SNS, social awareness, administration, finance, robot, artificial intelligence etc. The principles (or standards) of policy are universality, accessibility, equity, locality, equality, subsidiarity, and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