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南溪 朴世采의 예학과 사회 정치 개혁 ― 變通, 蕩平論을 중심으로―

        최영성 (사)율곡학회 2010 율곡학연구 Vol.21 No.-

        This study is aimed to search out the academic and ideological relation between Namgye Park Se Chae (1631~1695) and Yulgok Lee Yi. This study starts from the cognition that Park Se Chae was the scholar who led Yulgok School and he was quite related with the Study of Yulgok. The existing studies have projected the aspects that he had objection to Yulgok's Theory of Sung Confucianism and was pond of the Theory of Toigye and that he was inclined to the Study of Woogye in terms of practice, so that he has been recognized as a figure who was out of Yulgok's academic stem. In this study, however, I avoided such side cognition of Namgye's idea and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Study of Yulgok on his idea in the general and macro viewpoints. In this study, I could understand that Park Se Chae's academic and political viewpoint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authentic Yulgok School in only few aspects and his idea was naturally derived from Yulgok School as time went by toward the late period of Yulgok School. In addition,such derived idea of his was mainly caused by his life attitude that he kept for his study and life under the word, 'Compromise'. As a result, his idea was thought to be derived as a third way that was not against the Theory of Yulgok or Yulgok School. In this study, I looked into his idea for reform of social political system focusing on ‘Yechi (禮治: Courtesy based Governing)’, ‘Byeontong (變通:Smoothly Handling with Flexibility)’ and ‘Tangpyeong (蕩平: Not Inclined to One Side)’ to investigate such ideas of his on their roots. He generally followed Yulgok on the Theory of Universe in his Theory of Sung Confucianism while he tended to be inclined to Toigye Lee Hwang and Woogye Sung Hon in his Theory of Heart, Theory of Personality Training and etc. He added his idea to or extended the policies proposed by Yulgok in his Theory of Political Economy. Among his social political ideas, the Theory of Byeontong, Theory of Yechi and Theory of Tangpyeong succeeded faithfully Yulgok and Yulgok School's tradition. In this point of view, his idea is thought to be focused on not his Theory of Sung Confucianism but his political idea,Idea of Courtesy and Theory of Tangpyeong, which were all thought to be largely influenced by the Theory of Yulgok. 이 글은 남계(南溪) 박세채(朴世采: 1631∼1695)와 율곡 이이 사이의 학문적 사상적 연관 관계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박세채가 율곡학파의 중추적 학인으로서 율곡학과 지대한 관련이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박세채가 율곡 성리설에 이의를 표하고 퇴계설에 호의를 가진 것, 실천적 측면에서우계학(牛溪學)에 경도된 것 등이 부각되어, 그가 율곡학통에서 벗어난 인물로 인식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부면적(部面的) 인식을 피하고 전체적이고 거시적 관점에서 남계사상에 끼친 율곡학의 영향을 여러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박세채의 학문적정치적 입장이 정통 율곡학파와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일부에 국한되며, 율곡학파가후기로 가면서 자체 분화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파생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그런 입장은 ‘절충(折衷)’ 두 글자로 학문과 삶을 일관한 박세채의 태도에서기인한 바 크다. 결과적으로 율곡설이나 율곡학파의 입장과 배치되지 않으면서도제삼의 입장으로 도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예치(禮治)’, ‘변통(變通)’, ‘탕평(蕩平)’ 등을 중심으로 박세채의 사회 정치 개혁사상을 고찰하면서, 그 사상의 연원을 중점적으로 살폈다. 박세채는성리설에서 우주론과 관련된 것은 대체로 율곡을 따랐으며, 심성론․수양론 등에서는 퇴계 이황과 우계 성혼 쪽에 경도되는 경향을 보였다. 경세론에서는 율곡이 제시했던 정책들을 부연하거나 확대시켰다. 그의 사회 정치사상 가운데 변통론과 예치론, 탕평론은 율곡과 율곡학파의 전통을 충실하게 계승한 것이었다. 이를 보면박세채의 사상은 성리설에 중점이 있는 것이 아니고, 정치사상, 예학사상, 탕평론등에 있었으며, 또 그것들이 율곡설에서 지대한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율곡문학연구의 회고와 전망

        정경훈 ( Jung Kyung Hu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1 율곡학연구 Vol.44 No.-

        본고는 지난 학계에 보고된 율곡 이이의 문학적 성과를 종합,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율곡 문학의 한계와 경계를 넘어 새로운 율곡 문학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2007년 『율곡학연구총서』를 통해 괄목할 만한 그간의 연구 성과가 보고되었다. 문학 분야에서는 30편의 논문이 소개되어 향후 율곡학의 세계화, 율곡학의 학제간 연구 등을 앞으로 과제로 남겼다. 이후 율곡 문학의 연구는 문도론, 주기론, 『정언묘선』, 한시 등의 분야에서 이루어 졌다. 율곡 문학론 연구는 문도라는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한유의 문이관도론과 연계하여 남송시대 주돈이 정이를 비롯한 주자의 문이재도, 도본문말의 문학관에서 시작된 문도론은 율곡의 문학관에도 영향 미쳤다. 율곡의 도본문말의 문학관은 문이형도라는 문학의 구체적 표현을 좀 더 강조된 면모도 있음을 밝히 연구들이 후속으로 보고되었다. 율곡 문학의 연구는 모두 「고산구곡가」, 『정언묘선』, 한시에 한정되어 있었다. 율곡의 200여 수의 시와 『정연묘선』에 선정된 400여 수의 중국 시를 통해 ‘문학가 율곡’을 규정하고 있다. 율곡 한시에 대한 연구는 대체적으로 성정론을 바탕으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많았고 점차적으로 두보 불교의 영향관계로 확대하며 율곡 한시를 다양한 각도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노력이 보였다. 반면 율곡 산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율곡 산문에 대한 연구가 없다는 것은 율곡 문학 연구의 한시성과 한계성을 스스로 자인하고 있다. 나아가 율곡문학 연구의 현주소를 보여 주는 단면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축적된 율곡 문학을 ‘도학가의 문학’ 규정에 공력을 쏟았다면 앞으로는 ‘율곡 문학의 공로’에 대해 위상 정립이 필요하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율곡전서』에 수록된 다수의 산문 작품은 율곡을 문장가로 규명하기에 충분한 자료이다. 기왕에 연구된 문학관을 바탕으로 율곡 산문의 글쓰기 작법과 영향 관계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문학가 율곡’의 정체성을 새롭게 확립되길 바란다. This study is a thesis reviewing and synthesizing the literary achievements of Yulgok Yi-I, reported in the last academic circle. Based on this, a new research task for Yulgok literature was proposed beyond the limits and boundaries of Yulgok literature. Remarkable research achievements were reported through the 『Yulgok Research Districts』 published in 2007. In the field of literature, 30 papers have been published, leaving the future globalization of Yulgok Studies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Yulgok Studies as future tasks. The study of Yulgok literary theory began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Taohak. Mundolon(文道論) also influenced Yulgok's view of literature. Studies on Yulgok Chinese poetry generally tended to be understood based on the Seongjeonglon(性情論), and gradually expanded to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Dubo Buddhism, and efforts were made to clarify Yulgok Chinese poetry from various angles. “Literature Yulgok” is defined through 200 poems of Yulgok and 400 Chinese poems selected in 『Jeongyeonmyoseon(精言妙選)』. On the other hand, studies on Yulgok prose are very rare. The fact that there is no study on Yulgok prose is self-acknowledgment of the temporality and limitations of Yulgok literature research. Furtherm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a cross section that shows the current state of Yulgok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the previously studied view of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newly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literary artist Yulgok' through research on the writing style and influence relationship of Yulgok prose.

      • KCI등재

        「栗谷碑銘」의 찬술과 개찬 논란 검토

        서정문 조선시대사학회 2008 朝鮮時代史學報 Vol.47 No.-

        Sagye(沙溪) Kim Jangsaeng(金長生) who was the best pupil of Yulgok(栗谷) composed a history of Yulgok's life. He intended to succeed and diffuse the political ideas of his master through the records. Especially, Kim thought that it was very important the politic function of a history of the deceased or an epitaph. So he asked Lee Jeongkwi(李廷龜) who was one of an influential group at that time to write Yulgok's life history and Lee Hangbok(李恒福) who was an elder statesman to compile an epitaph. Both people, Kim Jangsaeng and Lee Jeongkwi, belonged to the Seoin(西人). Which means they had the same position politically. However, Lee was not a pupil of Yulgok. So there was reflected their different situation in the life history and the other records of Yulgok written by both. To examine the rocords by both, there was the biggest difference in the description that Yulgok's criticism of Donggo(東皐) Lee Jun-gyeong(李浚慶) and his endeavors to arbitrate between Dongin(東人) and Seoin. Kim had made many efforts to expatiate on the points in comparison with Lee. Because Kim was in position to succeed to Yulgok's political belief as his best pupil, Lee gave practical consideration to the records as a high-ranking official. Baeksa(白沙) Lee Hangbok composed the epitaph of Yulgok based on Kim's records in 1615. But this was responsible for a great controversy in people comprehended Yulgok's pupils. Most of them were in Seoin poltically. The contents of the controversy were very multifarious, but it could be summarized next main topics. Above all, people demanded to express the politic position of Yulgok showed his criticism of Lee Jun-gyeong and Gyemisamchan(癸未三竄) obviously. Secondly, it was discussed that Yulgok had the different a scholastic mantle with Toegye(退溪) Lee Hwang(李滉). Finally, it could be accepted the eulogy of Yulgok in Confucian way only. That is to say, they intended to establish their own politic identity and academic orthodoxy, besides, tried to make clear them in position of Yulgok's disciples through the writing of Yulgok's epitaph. Lee Jeongkwi took the lead on one side in this controversy, the initiative on the other side was in Yulgok's disciples. The organization of Yulgok's disciples. was very various. Namely, there were Yulgok's direct pupils like Kim Jangsaeng, people like Oh Yun-gyeom(吳允謙) learned Woogye(牛溪) Seong Hon(成渾) first and related to Yulgok next, people like Jeong Yeop(鄭曄) learned Yulgok and Woogye both etc. Although its organization was various like that, this controversy never had developed into the disruption, different scholastic mantles or groups within a political party, in themselves. Instead of the disruption, that is very important that there was the collecting process of public opinion through constant compromises and mediation. This could be possible that the controversy was constituted centering around the capital. It was able to gey unified the multiplicity of controversialists based local on openness. Also became a politic characteristic of Seoin, understood softness, centering around Yulgok's disciples. It could be a background that Yulgok's disciples got unification into Seoin without any disruption of scholastic mantle in comparison with Toegye's disciples and Nammyeong(南冥)'s. 율곡 문도의 首長인 사계 金長生은 율곡의 家狀을 찬술하였다. 가장의 찬술을 통해 율곡의 정치의식을 계승하고, 그것을 확산 시키려 하였다. 김장생은 전기자료인 행장이나 비명이 가지는 정치적 기능을 주목하였다. 당시 문장가이자 행정관료로서 정치적 영향력이 높았던 李廷龜에게 행장의 찬술을 부탁하였고, 정치원로인 李恒福에게 비명을 부탁하였다. 김장생과 이정귀는 모두 서인이다. 따라서 정치적 입장을 동일한 사람이었다. 하지만, 김장생은 율곡에게 직접 수학한 제자였으나, 이정귀는 율곡과 학문적 연결이 없었다. 당연히 그들이 찬술한 행장과 시장에는 서로 다른 관점이 내포되어있다. 행장과 시장의 찬술태도를 살펴보면 정치적인 문제와 관련된 東皐 李俊慶의 비판문제와 동서분당의 책임을 밝히는 문제에 대하여 가장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김장생에 비하여 이정귀는 이 부분의 서술에 있어 분량은 물론이고 내용도 많이 약화시켰다. 이는 둘의 입장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즉 김장생은 율곡의 문도로서 율곡의 정치이념을 충실하게 계승하려는 입장을 가지고 있었고, 이정귀는 현실정치에 참여하고 있는 행정관료로서의 입장을 고려된 것이다. 김장생의 행장을 가지고 白沙 李恒福은 1615년 비명을 찬술하였다. 그런데 이 비명을 둘러싸고 율곡문도를 포함한 범서인적인 논쟁이 발생했다. 논쟁의 내용은 매우 다양하였지만 크게 몇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는 이준경의 비판이나 癸未三竄에서 나타나는 율곡 이이의 정치적 입장이 명료하게 표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李珥의 학문적 연원이 退溪 李滉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이의 학문의 형용을 非儒家的 방식으로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즉 율곡문도들은 율곡의 비명의 찬술을 통해서 자신의 정치적 정체성과 학문적 정통성을 확립하고 공표하려 하였던 것이다. 율곡의 행장 및 비명과 관련하여 진행된 이 논쟁의 한편은 정치 관료인 이정귀가 담당하고 있으며, 그 반대편에는 율곡의 문도가 있었다. 특히 율곡의 문도는 김장생과 같이 율곡에게서 직접 수학한 제자들은 물론, 우계에게서 수학하고 율곡의 문하의 출입한 吳允謙이나, 양문에서 고루 배운 鄭曄 등 매우 다양하였다. 이런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이 논쟁이 학문집단이나 政派의 分岐로 귀결되지 않고, 일정한 타협과 조정을 통해서 수렴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된다. 이는 논쟁이 주로 서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즉 지역적 개방성이 논쟁 참여자의 다양성을 하나로 묶는 구실을 하였고, 그것은 곧 율곡문도를 중심으로 하는 서인들의 유연성으로 특징되었다. 이 때문에 퇴계문도가 서애문파와 월천문파로 분기되고, 남명문도가 내암문파와 한강문파로 분기되는 것과는 달리 일정한 문도의 분기 없이 서인으로 통합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퇴계학파의 율곡 성리설 비판과 전망 - 우담 정시한의 율곡 성리설 비판 -

        유성선 영남퇴계학연구원 2010 퇴계학논집 Vol.7 No.-

        This paper deals with Woodam Jeong, Shi-han's criticism of Yulgok in the continuation of Toegye school's critical position of Yulgok. As a major in Yulgok school, I examine academic ideas of Woodam Jeong, Shi-han who criticized Yulgok's view from the theory of JuLi in succession to Toegye's view. The paper has significance in discussing Woodam's criticism of Yulgok by being based in not only Toegye school but also Yulgok school. Especially, the paper diagnoses Woodam's criticism of Yulgok's Li․theory of Four-seven from microscopic and recapitulative point of view. That is, Toegye school's criticism of Yulgok was a macroscopic but Woodam's criticosm of Yulgok was a microscopic and recapitulative approach. Woodam was a Neo-Confucian who had been an admirer of Toegye during his whole life. First, I shall sublate the general point of division of Juli and Juki, and then discuss the meanings of Libal and Kibal which wer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Toegye and Yulgok respectively and the position of Yulgok's criticism of Woodam. The paper proceeds in order as follows. It discuss the criticism and origin of Liki․theory of Four-seven. Woodam's criticism of Yulgok's Songrisol, Yulgok's Likijimo. Yulgok's theory of Four-seven, and the prospect of Woodam's criticism of Yulgok. Woodam succeeded to Toegye's academic tradition and throughly thought of Li as the presiding over Ki. Woodam's academic reflections aimed to succeed Toegye's academic and teaching tradition by interpreting clearly Liki․theory of Four-seven. The most salient feature in his attitude of criticizing Yulgk consisted in putting emphasis on intuition and experience and in supporting and developing Toegye's Songrisol as a Neo-Confucian scholar who regarded the nature as a friend till his latter years. 본 논고는 ‘퇴계학파의 율곡 비판’ 연장선상에서 퇴계학파의 적전자인 우담 정시한의 율곡 비판이 부제가 된 논문이다. 율곡학 전공인 논자는, 퇴계의 학문을 계승하여 주리적 입장에서 율곡의 입장을 비판한 우담 정시한의 학문관과 사상을 논술하였다. 본 논고는 율곡 전공자인 필자가 퇴계학의 입장뿐만 아니라 율곡학의 입장에서 우담의 ‘율곡학 비판’을 논의의 근거로 한다는데 일단의 의의를 둔다. 특히 본 논고에서는 미시적이고 요약적인 입장에서 우담의 율곡 이기․사칠론 비판을 통해서 그 지향하는 바를 진단하였다. 즉 ‘퇴계학파의 율곡 비판’이 거시적인 접근이라면 우담의 율곡 비판은 미시적인 접근이자 요약정리의 논고라고 할 수 있다. 우담은 퇴계를 평생 동안 사숙했던 성리학자이다. 먼저 주리와 주기의 일반적 양분의 관점을 지양하고, 퇴계와 율곡의 철학적 특성인 리발과 기발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고, 율곡의 우담 비판이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는가를 논의하려고 한다. 논문의 차제는 이기․사칠론 비판과 그 연원/ 우담의 율곡 성리설 비판/ 우담의 율곡 이기지묘 비판/ 우담의 율곡 사칠론 비판/우담의 율곡 비판과 그 전망으로 서술하였다. 우담은 퇴계의 학통을 계승하면서 철저하게 리를 기의 주재자로 보았다. 또한 우담의 학문적 성찰은 이기․사칠론을 분명하게 해석하여 퇴계의 학통과 도통을 계승하는데 있었다. 우담의 율곡 비판 논의에 임하는 우담의 최대 특색은 만년까지 자연을 벗삼은 유학자로서의 직관과 체험을 매우 중시하면서 퇴계의 성리설을 지지․발전시켰다는 점에 있다.

      • KCI등재

        율곡철학 연구의 융합적 지평과 그 외연

        손흥철 ( Son Heung Chul ),박용석 ( Park Yong Suk ) (사)율곡연구원 2021 율곡학연구 Vol.46 No.-

        이 글의 주제는 ‘율곡철학 연구의 융합적 지평과 그 외연(外延)’이다. 여기서 융합적 지평은 기존의 방법과 관점을 포함하되 우리가 외면하거나 소홀히 하였던 관점들을 살펴보고 이를 수용하는 종합적 지평을 의미한다.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율곡철학의 리기론에 대한 북한 학자들의 연구경향에 대한 분석과 검토이다. 여기서 필자는 북한의 입장은 유물변증법의 관점으로 일관하고 있음을 밝혔으며, 이러한 시각도 율곡철학 연구의 외연확대에 필요함을 설명하였다. 둘째, 북한도 다카하시 도루(高橋亨. 1878~1967)가 『朝鮮儒學史』에서 조선성리학을 주리(主理)□주기(主氣)로 나눈 이분법적 시각을 따르고 있음을 밝혔다. 나아가 율곡의 리기론을 주리□주기의 이분법적 관점으로 보는 시각이 여러 모순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셋째, 대동법(大同法)을 중심으로 율곡의 경세관을 살펴보았다. 북한 학자들은 율곡의 경세관을 그의 애민사상을 중심으로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결국은 봉건주의적 관념론으로 이해하는 내용을 정리하였다. 넷째, Adam Smith(1723~1790)의 『도덕감정론(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1759)』에 나타난 경세관과 율곡의 경세관을 비교하고, 이를 통하여 율곡 경세론에 관한 연구의 지평 확대와 그 외연의 확장 가능성을 검토하고 철학자의 시대적 역할을 논증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율곡의 철학이 철저하게 생활에서의 실천과 일치해야 한다는 “이사일치(理事一致)”의 정신으로 일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율곡의 철학이 또한 오늘날 인문학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실마리를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theme of this article is “Syncretic horizon and It’s Denotation In researching Yulgok’s philosophy”. Here, Syncretic horizon refers to a comprehensive horizon that includes existing methods and perspectives, but examines and accepts the perspectives that we have disregarded or neglected. The main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an analysis and review of the research trends of North Korea(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scholars on the theory of LiQi(理氣) in Yulgok (栗谷. 1536~1584) philosophy. Here, I revealed that North Korea's position is consistent with the perspective of the materialistic dialectic, and explained that this perspective is also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ing Yulgok philosophy. Second, I revealed that DPRK scholars also following a dichotomous view of ‘Li-centered theory(主理論’ and ‘Qi centered(主氣論)’ that Takahashi Doru(高橋亨. 1878~1967) divided Joseon Neo-Confucianism into two categories in a book called {Confucian History of Joseon}. Furthermore, it was argued that there are several contradictions in the view of Yulgok's theory of rigi from the dichotomous point of view of the theory of Li Qi. Third, we looked at Yulgok's the view of National Administration, focusing on the Daedong Law(大同法). North Korean scholars evaluated Yulgok's the view of National Administration relatively positively, focusing on his patriotism, but eventually summarized his understanding as a feudalist notion. Fourth, Adam Smith (1723-1790)'s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1759) compared the landscape view of Yulgok, and through this, the horizon of research on Yulgok and its extension were reviewed, and the role of philosophers was argued.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was confirmed that Yulgok's philosophy was thoroughly consistent with ‘the spirit of theory and practice(理事一致)’ in lif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Yulgok's philosophy could also serve as a clue to overcoming the crisis of humanities today. The theme of this article is “Syncretic horizon and It’s Denotation In researching Yulgok’s philosophy”. Here, Syncretic horizon refers to a comprehensive horizon that includes existing methods and perspectives, but examines and accepts the perspectives that we have disregarded or neglected. The main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an analysis and review of the research trends of North Korea(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scholars on the theory of Li Qi(理氣) in Yulgok(栗谷. 1536~1584) philosophy. Here, I revealed that North Korea's position is consistent with the perspective of the materialistic dialectic, and explained that this perspective is also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ing Yulgok philosophy. Second, I revealed that DPRK scholars also following a dichotomous view of ‘Li-centered theory(主理論’ and ‘Qi centered theory(主氣論)’ that Takahashi Doru (高橋亨. 1878~1967) divided Joseon Neo-Confucianism into two categories in a book called {Confucian History of Joseon}. Furthermore, it was argued that there are several contradictions in the view of Yulgok's theory of rigi from the dichotomous point of view of the theory of Li Qi. Third, we looked at Yulgok's the view of National Administration, focusing on the Daedong Law(大同法). North Korean scholars evaluated Yulgok's the view of National Administration relatively positively, focusing on his patriotism, but eventually summarized his understanding as a feudalist notion. Fourth, Adam Smith (1723-1790)'s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1759) compared the landscape view of Yulgok, and through this, the horizon of research on Yulgok and its extension were reviewed, and the role of philosophers was argued.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was confirmed that Yulgok's philosophy was thoroughly consistent with ‘the spirit of theory and practice(理事一致)’ in lif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Yulgok's philosophy could also serve as a clue to overcoming the crisis of humanities today.

      • KCI등재

        일반논문 : 퇴계와 율곡 수답시 재해석

        이장우 ( Jang Wu Lee ) 연민학회 2015 연민학지 Vol.23 No.-

        퇴계 문집에서는 율곡에게 지어 주었다는 시가 8수나 전하고 있지만, 통행본 율곡 문집에서는 퇴계에게 보낸 시가 4수밖에 전하지 않고 있다. 관례로 보아서 선배학자가 지어준 시를 보고서 화답하는 시를 짓거나 말거나 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 퇴계와 관련하여 지었다는 율곡의 시 4수조차도 그 문집 본문과, 그 문집의 부록의 일부인 자질구레한 이야기라는 뜻을 지닌 <쇄언(□言)>에 분산하여 실을 정도로 소홀하게 다루고 있다. 그런대 그 <쇄언>의 내용조차도, 율곡이 23세 때 58세로 도산에 은거하고 있는 퇴계를 방문하여 비 때문에 3일간이나 머물고 간 것으로 퇴계 쪽의 여러 기록에는 모두 일치하게 적고 있지만, 여기서는 겨우 “2일간”만 머물고 갔다고 적고 있다든가, 나이 많은 퇴계 쪽에서 먼저 우호를 표시하는 편지와 시를 보내준 것을 보고서, 율곡이 말지 못하여 인사치례로 답하여 쓴 것으로 적는 등, 상식적으로도 그대로 믿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노론에 속하는 통행본 율곡 문집 편찬자들이 될 수 있으면 율곡이 퇴계와 관계가 많았고, 또 퇴계를 존경하였다는 것을 기피함으로서, 퇴계학단에서 이야기하는 상호 사승(師承)관계를 부정하려는 저의의 안타까운 표현일 뿐이다. Looking at correspondence between T`oegye (Yi Hwang, 1501-1570) and Yulgok (Yi Yi, 1536-1584) contained in their respective collected works, this paper assesses differences in how these two collections portray relations between the two scholars. The Collected Works of T`oegye (T`oegye munjip) feature eight poems from T`oegye to Yulgok, while in the Collected Works of Yulgok (T`onghaeng bon Yulgok munjip) we find only four from Yulgok to Toegye. This imbalance in composing a poem for the other goes against common practice of correspondence between a senior and a junior scholar, and against the underlying relations of respect for seniority and intellectual status embedded in Confucian tradition. It is hard to imagine a junior scholar - Yulgok, thirty five years younger than T`oegye - being so unresponsive to his senior. The four poems to T`oegye, moreover, are scattered throughout the Yulgok munjip between the main volumes and “Swaeon”, an appendix volume with miscellaneous writings, their significance unnoted. Viewing Yulgok himself as a sincere and respectful scholar requires that we interpret this positioning relative to T`oegye as a posthumous effort, a consequence of editing rather than a reflection of the scholar whose works were collected. This basic vantage point offers further insight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cholars when records from the two sides are compared. Multiple records from T`oegye`s side agree that twenty-three year old Yulgok visited T`oegye, then fifty-eight years of age, at T`oegye`s residence in Tosan, and stayed three days of extended visit due to rain. According to records on T`onghaeng bon Yulgok munjip, it was two days, and it was T`oegye, the senior, who initiated their correspondence by sending letters with poem, to which Yulgok`s responses come across as a lukewarm formality. In exploring such differences, this paper reveals the hidden hands of editors, particularly those of Yulgok`s works, who belonged to the Noron Faction. The imbalances of representation noted above, while plausible in light of the factional politics that enshrine an apical ancestor and distort master-pupil relationships at odds with that narrative, are inconsistent with scholarly tradition itself and the broader framework of social relations that sustained it.

      • KCI등재

        「남계(南溪) 박세채(樸世采)의 예학과 사회 정치 개혁」 -변통(變通), 탕평론(蕩平論)을 중심으로-

        최영성 ( Young Sung Choi ) 율곡학회 2010 율곡학연구 Vol.21 No.-

        이 글은 남계(南溪) 박세채(樸世采: 1631∼1695)와 율곡 이이 사이의 학문적 사상적 연관 관계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박세채가 율곡학파의 중추적 학인으로서 율곡학과 지대한 관련이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박세채가 율곡 성리설에 이의를 표하고 퇴계설에 호의를 가진 것, 실천적 측면에서 우계학(牛溪學)에 경도된 것 등이 부각되어, 그가 율곡학통에서 벗어난 인물로 인식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부면적(部面的) 인식을 피하고 전체적이고 거시적 관점에서 남계사상에 끼친 율곡학의 영향을 여러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박세채의 학문적 정치적 입장이 정통 율곡학파와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일부에 국한되며, 율곡학파가 후기로 가면서 자체 분화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파생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그런 입장은 ‘절충(折衷)’ 두 글자로 학문과 삶을 일관한 박세채의 태도에서 기인한 바 크다. 결과적으로 율곡설이나 율곡학파의 입장과 배치되지 않으면서도 제삼의 입장으로 도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예치(禮治)’, ‘변통(變通)’, ‘탕평(蕩平)’ 등을 중심으로 박세채의 사회 정치 개혁사상을 고찰하면서, 그 사상의 연원을 중점적으로 살폈다. 박세채는 성리설에서 우주론과 관련된 것은 대체로 율곡을 따랐으며, 심성론·수양론 등에서는 퇴계 이황과 우계 성혼 쪽에 경도되는 경향을 보였다. 경세론에서는 율곡이 제시했던 정책들을 부연하거나 확대시켰다. 그의 사회 정치사상 가운데 변통론과 예치론, 탕평론은 율곡과 율곡학파의 전통을 충실하게 계승한 것이었다. 이를 보면 박세채의 사상은 성리설에 중점이 있는 것이 아니고, 정치사상, 예학사상, 탕평론 등에 있었으며, 또 그것들이 율곡설에서 지대한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search out the academic and ideological relation between Namgye Park Se Chae (1631~1695) and Yulgok Lee Yi. This study starts from the cognition that Park Se Chae was the scholar who led Yulgok School and he was quite related with the Study of Yulgok. The existing studies have projected the aspects that he had objection to Yulgok`s Theory of Sung Confucianism and was pond of the Theory of Toigye and that he was inclined to the Study of Woogye in terms of practice, so that he has been recognized as a figure who was out of Yulgok`s academic stem. In this study, however, I avoided such side cognition of Namgye`s idea and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Study of Yulgok on his idea in the general and macro viewpoints. In this study, I could understand that Park Se Chae`s academic and political viewpoint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authentic Yulgok School in only few aspects and his idea was naturally derived from Yulgok School as time went by toward the late period of Yulgok School. In addition, such derived idea of his was mainly caused by his life attitude that he kept for his study and life under the word, `Compromise`. As a result, his idea was thought to be derived as a third way that was not against the Theory of Yulgok or Yulgok School. In this study, I looked into his idea for reform of social political system focusing on ‘Yechi (禮治: Courtesy based Governing)’, ‘Byeontong (變通: Smoothly Handling with Flexibility)’ and ‘Tangpyeong (蕩平: Not Inclined to One Side)’ to investigate such ideas of his on their roots. He generally followed Yulgok on the Theory of Universe in his Theory of Sung Confucianism while he tended to be inclined to Toigye Lee Hwang and Woogye Sung Hon in his Theory of Heart, Theory of Personality Training and etc. He added his idea to or extended the policies proposed by Yulgok in his Theory of Political Economy. Among his social political ideas, the Theory of Byeontong, Theory of Yechi and Theory of Tangpyeong succeeded faithfully Yulgok and Yulgok School`s tradition. In this point of view, his idea is thought to be focused on not his Theory of Sung Confucianism but his political idea, Idea of Courtesy and Theory of Tangpyeong, which were all thought to be largely influenced by the Theory of Yulgok.

      • KCI등재

        栗谷 性理學과 21세기 리더십

        손흥철 (사)율곡학회 2019 율곡학연구 Vol.40 No.-

        Today in the 21st century desperately needs a leader and leadership that will lead to the right The Change. This article is aimed at examining the leadership of Yulgok(栗谷) Lee-Yi(李珥, 1536~1584)'s ideas and exploring its modern feasibility. In this article, I first studied the academic spirit of Yulgok along with the course of his academic achievement. Yulgok did extensive reading the Three Thought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Through this, I argued that the study of Yulgok, which sought truth extensively, could be the basis for communication and convergence. Second, I explained that Yulgok’s the theory of the all penetrating Li(理) and defining Qi(氣) became a metaphysical basis for enabling the special meaning and universal communication of things and people. Third, we looked at th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activities of Yulgok and his the view of dealing with worldly affairs. Here I confirm that Yulgok has fulfilled its patriotism, respect for humanity and justice through religious piety. Fourth, it is a thorough sense of mission to national society. The reason why Yulgok opposed the party was because of the national interest. Yulgok proposed many reform theories, such as the Daedongbeop, for the sake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This is the spirit of practical philosophy. Lastly, Yulgok's philosophy is not truly evaluated due to its academic research attitude, such as heresy and the enemy of disrupting Confucianism(斯文亂賊). The philosophy of Yulgok contains a genuine academic spirit, patriotism and leadership that is needed in this era. However, the philosophy of Yulgok contains a genuine academic spirit, patriotism and leadership needed in this era, which should be revived as a problem of today. 21세기 현대는 올바른 변혁을 이끌어 갈 지도자와 지도력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이 글은 한국의 대유학자이면서 위대한 경세가(經世家)였던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와 그의 사상에 담긴 지도력을 탐구하고 그 현대적 실현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율곡의 학문성취 과정과 함께 그의 학문 정신을 연구하였다. 주지하듯이 율곡은 유·불·도(儒佛道) 삼교를 섭렵하였다. 필자는 이를 통하여 폭넓게 진리를 추구한 율곡의 학문은 소통과 융합의 토대가 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둘째, 율곡의 리통기국론(理通氣局論)이 사물과 사람의 특수(特殊)와 보편(普遍)의 의미 및 상호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형이상학적 근거가 됨을 설명하였다. 셋째, 율곡의 경세(經世)와 처세관(處世觀)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필자는 율곡이 종교적 경건함으로 애국정신, 인간존중, 정의를 실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국가사회에 대한 투철한 사명의식이다. 율곡이 붕당을 반대한 이유는 국익(國益)을 위해서였다. 율곡은 국가와 백성을 위하여 대동법과 같은 많은 개혁적 이론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실천철학의 정신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율곡의 철학은 이단(異端)과 사문난적(斯文亂賊)과 같은 편 가르기식의 학문연구 태도 때문에 진정한 평가를 받지 못한다. 그러나 율곡의 철학에는 진정한 학문 정신과 애국정신 그리고 이 시대에 필요한 리더십이 담겨있으며, 이를 오늘의 문제로 되살려야 한다.

      • KCI등재후보

        「易數策」에 드러난 栗谷의 自然學的 易學觀

        이난숙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2 율곡학연구 Vol.25 No.-

        본고는 「역수책」에 드러난 율곡의 자연학적 역학관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역수책」은 『주역』의 핵심요소인 象, 數, 理를 중심근거로 논하였다. 율곡은 「역수책」을 통해 역리가 자연학적 지혜에서 비롯된 實理임을 논하였다. 율곡은 자연세계의 원리인 實理를 易理로써 해석한 책문을 지어 理氣관계를 말한 것이다. 리와 기의 관계는 用의 측면에서 理氣妙用으로 드러난다. 율곡은 자연세계를 無始無終으로 이해하고, 또한 畵前有易[自然之易의 자연세계]의 존재를 긍정하였다. 이것은 인간이 인식하는 시공간적 우주발생 이전, 또 다른 자연세계가 氣의 聚散으로 존재하였을 것이라고 추정한다는 의미이다. 즉 기의 취산을 生生之易의 역리적 자연현상으로써 확장시켜 이해한 것이다. 한편 64괘에 관해서는 64라는 數가 그 유한성에도 불구하고 무궁한 자연의 이치를 包越하는 역리를 내포하고 있으며, 무궁함의 근본[無窮之本] 수라고 파악하여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해석은 數理와 易理를 通變的으로 해석한 것이다. 「역수책」에서 논한 역대 역학자 비평은 당대의 정치사회적 경학의 흐름과 율곡의 가치판단을 드러낸다. 그는 비평 과정에서 道統과 역학의 根幹을 제시하였는데, 이로써 율곡의 역·수의 이해와 함께 당대 성리학의 확고한 학술적 기반이 무엇인지를 파악 가능하게 한다. 율곡에게 역학이란 역리의 근원을 관통하여야 하는 학문이며 聖學이고, 道學이었다. 본고는 획전유역과 이기묘용, 도통관과 역학의 근간, 무한을 포월하는 유한-역리라는 주제로 율곡의 역·수·태극에 대한 이해와 인물 비평을 통한 역학관, 율곡이 해석한 역리의 세부적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view of Yulgok's natural philosophy portrayed in「Yeoksoochaek(易數策)」.「Yeoksoochaek」is based on essential elements of the 『Book of Changes』 namely, image(象), figure(數) and principle(理). Yulgok says in his 「Yeoksoochaek」that the principles mentioned in 『Book of changes』 are views of "i" and "gi" and it is formed by the principles originated from wisdom of natural philosophy. Yulgok wrote Chaekmun(策問) which analyzed the real principles of natural world in 『Book of changes』. The relationship between "i" and "gi" is portrayed in oddity of the mixed "i" and "gi" in the aspect of practice(用). Yulgok understood the world of nature as eternal. Moreover, he acknowledged the Heokjeonyuyeok[畵前有易, existence of natural world]. This mentions the natural world assumed as existence of gathered and spreaded "gi" before the creation of universe in time and space recognized by the humans which means that Yulgok understood gathering and spreading of "gi" as natural phenomenon based on the principles in 『Book of Changes』 of Saengsaengjiyeok(生生之易). Referring to 64 trigrams, though these are limited figures, Yulgok imparted meaning to the figures of foundation for infinity including the principles in 『Book of Changes』. This principle includes and transcends principle of infinite nature and it is a result of interpreting the principle of figure and principle in 『Book of Changes』. Criticism of scholars for "study of changes(易)" in successive generations discussed in 「Yeoksoochaek」 displays the flow of contemporary political and social Chinese classics and judgement of value. Yulgok suggested lineage of Taoism and foundation of studies in 『Book of Changes』 as a process of criticism. It makes us understand the principles and figure of Yulgok and informs us about the strong academic base of contemporary Sung Confucianism. For Yulgok, studies in 『Book of Changes』 is an academic study, divine study, and its a study of Taoism in through which the source of principle in 『Book of Changes』 should be penetrated. This study dealt with themes like Heokjeonyuyeok(畵前有易), Igimyoyong(理氣妙用), view of lineage in Taoism(道統觀), foundation of studies in 『Book of Changes』 and principle limitedness in 『Book of Changes』 to include and transcend infinite. The points explored in the study mainly were- Yulgok's understanding about Changes(易)?figure(數)?Taeguk(太極), Yulgok's view of studies in 『Book of Changes』 through criticism of figure and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principle in 『Book of Changes』 interpreted by Yulgok.

      • KCI등재후보

        17세기 강릉사족의 松潭書院 建立과 栗谷陞廡疏 전개과정

        임호민 (사)율곡학회 2009 율곡학연구 Vol.18 No.-

        This study is analyzed that Gangneung Saiok enshrine Yulgok(栗谷) in Confucian shrine, building of Songdam sowon(松潭書院) with Yulgok(栗谷), and go ahead plan to gift of signboard from the government in Songdam sowon. The member of Soin(西人)-western faction- go in for matter of Yulgok's political, academic concern, and scholastic achievements. On the contrary, The member of Dongin's(東人)-eastern faction- come down on Yulgok's activity and track record in connection with a academic and political. They not hold up because of the Yulgok's favorites play, a believer and interest in Buddhism, and rejection of the academic result with Yi Hwang. Injo, Hyojong, Hyonjong and Suckchong in Yi dynasty, They haven't decided whether to enshrine or not enshrine. Because, A clique was extreme between political parts. Consequently, they were cautious about committing himself. But Yulgok's scholars asked for the enshrine Yulgok(栗谷) in Confucian shrine from Injo coup d'etat(仁祖反正) in 1623. A ultimate conclusion to enshrine Yulgok(栗谷) in Confucian shrine concluded Suckchong King twenty year in 1694. After seventy years of indecision, the government finally gave the enshrine Yulgok(栗谷) in Confucian shrine But then, Gangneung Sajok(士族) continually pushed ahead with their memorialize the King that were to building Songdam sowon(松潭書院) with Yulgok(栗谷), to gift of signboard from the government in Songdam sowon and to enshrine Yulgok(栗谷) in Confucian shrine. After thirty eight years, Songdam sowon was built in the Gangneung region at Injo King eight in 1630. The signboard of Songdam sowon decided in 1660. This determination was an important change in the Gangneung local community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change was following of Yulgok(栗谷) academic. Therefore, after the seventeenth Century. the local community changed from influence of Yongnam to academic traditions of Kiho. 본 논문은 17세기 강릉지방 사족들이 송담서원 건립과 서원의 사액을 위한 상소활동, 그리고 문묘종사를 추진하는 과정 등을 검토한 것이다. 특히 이이에 대한 비난 여론의 쟁점, 인조반정 직후부터 1694년(숙종 20)까지 오랫동안 논의되었던 종향과 출향이라는 순탄하지 않았던 역경을 살펴보았다. 처음 서원 건립을 추진한 시기는 1592년(선조 25)이다. 이때 재지사족들은 이이를 도학의 종장이고 유림의 영수라고 인식하였고, 또 강릉이 그의 출생지라는 연유로 강릉 사람들은 그를 경모와 추앙의 대상으로 받들었다. 이에 그를 추모하고 그의 덕을 높이 받들기 위해 서원 건립에 매우 적극적이었다. 그러나 강릉지방 재지사족들은 그를 위한 서원 건립을 활발히 추진하였으나 38년이라는 긴 세월이 지나서야 확정되었다. 그렇게 오랜 세월이 소요되었던 연유는 우선, 처음 서원 건립을 주도할 당시가 임진왜란이라는 변란이 막 발발하였던 시기로 국가적인 위기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기 상황과 함께 당시 조정에는 이이를 비난하는 정치세력들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서원건립이 완공된 것은 1630년(인조 8)이다. 그리고 서원 건립 여부가 결정된 것은 1624년(인조 2)이다. 즉 이 시기는 인조반정으로 조정의 정치세력이 서인중심으로 재편된 때이다. 그리고 당시 강릉부사 역시 이이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인물이었다. 서원건립이 성사된 직후인 1630년(인조 8) 강릉부 유생 崔彦琛 등은 서원의 경제력 향상과 위상 강화를 위해 조정에 사액을 요청하기에 이른다. 이 때 강릉 사족들은 해주 석담서원은 이이가 중년에 퇴거하여 머물던 곳이고 이곳 강릉은 그의 태어나 자란 곳이므로 석담과 같이 사액해 줄 것을 요청하였고, 1660년(현종 1) 결정되었다. 인조 이후 역대 왕들은 율곡종향에 있어서 신중론을 펼쳤는데, 그 까닭은 그를 비방하는 많은 흡집이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종향을 논의할 때마다 붕당으로 조정이 혼란하고 편당이 심화되었기 때문에 신중론을 펼쳤던 것이다. 즉 정국 안정을 위함이었다. 이점은 숙종조의 예를 통해 확실히 알 수 있다. 숙종은 자신의 권력 안정과 정국 주도권을 잡기 위해 환국이라는 정치적 사건을 활용하였고, 그 때 마다 제기되었던 종향과 출향을 번복하는 결정을 내렸던 것이다. 17세기 강릉지방 재지사족들이 추진하였던, 서원 건립, 서원의 이건, 서원의 사액 추진, 그리고 중앙과 외방에서 전개되었던 牛栗陞廡疏는 서인과 동인의 정치적 입장에 따라 그 희비가 엇갈렸다. 그러나 강릉지방 재지사족들은 이이를 추존하는 일을 추진함에 있어서 강한 결속을 보였고,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안목에서 뜻을 굽히지 않았기에 17세기 강릉 지역사회는 율곡의 학풍 따르는 경향이 매우 강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