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강원지방 중세성곽에 대한 연구

        김진형 한국성곽학회 2013 한국성곽학보 Vol.23 No.-

        강원지방에 분포한 중세성곽의 현황과 현재까지 고고학적 조사가 진행된 성곽을 중심으로 문헌기록과 연결하여 강원지방 성곽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이 글의 목적이있다. 본고에서 다루는 성곽들은 중세에 신축되거나 수·개축된 성곽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정밀지표조사보고서나 발굴조사가 진행되어 보고서 등이 발간된 성곽을 중심으로 그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강원지방은 태백산맥이라는 자연적 경계로 영동지역과 영서지역으로 나눠 볼 수 있다. 단순비교이나 면적상으로 영동지역이 영서지역보다 작은 편이다. 그러나 성곽의 분포수에 있어서는 거의 비등하다. 다시 말해 이는 고려시대 동계로 편입되었던 영동지역은 군사적 목적이 강하고 그에 따라 성곽의 밀집도가 높은 지역임을 알 수 있다. 영동지역은 현재까지 진행된 발굴조사나『高麗史』등과 같은 기록으로 볼 때 고려시대 초기부터 해안으로부터의 이민족 침입이 자주 일어났다. 그에 따라 해안성들이 축조되고, 해안성이나 주변 성곽을 통제할 수 있는 거점의 역할을 수행하는 읍성들이 축조된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육지를 통해 몽고의 침입이 있었고, 해안을 통해 왜의 침입이 증가함에 따라 험악한 산중에 입보용산성이 축성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것은 전쟁양상과도 관련이 있으며, 점령이 아닌 약탈의 의미가 큰 것으로 생각된다. 영서지역은 문헌이나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아직까지 읍성이나 평지성, 평산성이 조사된 사례가 없다. 현재까지 조사된 것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 운영되던 테뫼식산성을 수축하여 사용하고 몽고의 침입과 더불어 영동지역과 마찬가지로 주변에 대규모의 포곡식산성을 축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에서 중세 강원지방 성곽의 시기적 변천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성곽의 정확한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서 발굴조사가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발굴조사가 이뤄진 성곽은 많지 않다. 또한 정밀지표조사가 실시되어 70여개소에 달하는 중세성곽에 대한 정확한 현황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 더 많은 자료가 축적되고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된다면 본고는 수정되고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features of fortress in Gangwon Province in relation with the document records of fortress where archaeological survey was carried out together with the status of medieval fortress in Gangwondo. Fortresses in this study are those constructed or renovated in the medieval period and fortresses with refined surface inspection report and excavation survey. Gangwondo is divided into Yeongdong area and Yeongseo area with the Taebaek Mountains as its natural border. Although it is simple comparison, Yeongdong area is smaller than Yeongseo area. However, the number of fortress is almost same. In other words, Yeongdong area which was incorporated during the Koryo period had strong military purposes and therefore, it had high density of fortress. Yeongdong area suffered from the foreign invasion from the ocean from early Koryo described in the excavation survey and records like『高麗史』. Accordingly, seaside fortresses were established and town fortresses were constructed for the role of hub to control surrounding fortresses. In the late Koryo, the Mongolian invasion through the land was carried out, and the protective fortresses were constructed in a rough mountainside in along with the increase of the Japanese pirates from the sea. This is related with the feature of war, and looks higher meaning of plunder than conquest. In Yeongseo area, there was no case of survey on flat ground fortress and flat mountain fortress in the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survey. Considering the survey so far, it is conjectured that they established Peak-banding style fortress(테뫼식산성) which was us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Valley-surrounding style fortress(포곡식산성) was established in a large size like Yeongdong area in along with the invasion of Mongolia. The periodic transformation of medieval fortress in Gangwondo was briefly examined. Excavation is required to figure out actual characteristics of the fortress, but not many excavation surveys were carried. And it is necessary to take refined surface examination of 70 medieval fortresses in order to figure out accurate status. Accordingly, it is recommended to collect more resources and to take researches in order to implement this study.

      • KCI등재

        해월 최시형의 동학재건과 영동지역의 포덕

        임형진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8

        Choi Si-hyung (1827-1898) is a person who organizes and systematizes the doctrines of Donghak and propagates it to the people and forms Donghak as a huge power. Choi, who succeeded Donghak ‘s succession after the founder’ s martyrdom, spread the dictum throughout the country for 36 years by avoiding the trace of power. He spoke about the representative doctrines of Donghak Insicheon(인시천), Yangcheonju(양천주), Sainyeocheon(사인여천), Echeonsikcheon(이천식천), Naesudomun(내수도문), Naechik(내칙) in the land of Chungcheong province through Gangwon Province and Donghak organization was rebuilt. Chungcheongbuk-do, including Danyang and Boeun, was the center. Haewol stayed in Chungcheong province for the longest time. When he traveled to Gyeongsang Province and Jeolla provinces, his base was always Chungcheong province. Chungcheong province was ideally suited for the purpose of spreading the world to the world after Donghak had passed away in the mountains. The entrance of Donghak into Chungcheong province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Donghak’s entry into Chungcheong province was an attempt to enter the plains, which is the residence of most people, and to meet the Donghak ideology to make them new. Second, as he entered the Chungcheong province, Haewol summarized the religious rituals and doctrines of Donghak. Third, in the Chungcheong province, Haewol was able to establish a place for Donghak community by having a doso(도소) and daedoso(대도소). Fourth, Yeongdong area is the area where three provinces of Chungcheong, Gyeongsang and Jeolla provinces are in contact. It is a region mixed with mountainous areas and plains, and it is an area where Donghak can be used as a guide for the spread of Donghak. In particular, Moon Rock Goal in Cheongsan-myeon, Yeongdong-gun is an important area where the total dictatorship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held on September 18, 1894. 해월 최시형(1827-1898)은 동학의 교리를 정리하고 체계화시키어 민중들에게그것을 전파(포덕)해 동학을 거대한 세력으로 형성한 인물이다. 수운 최제우의순도이후 동학의 도통을 이어받은 해월은 36년 동안 관의 추적을 피해 전국에 동학을 퍼트렸다. 특히 강원도를 거쳐서 충청도 땅에 도착한 해월은 동학의 대표적 교리인 인시천, 양천주, 사인여천, 이천식천, 내수도문, 내칙 등을말하고 동학조직을 재건하였다. 단양을 비롯한 보은 등 충청북도 지역은 중심이었다. 해월은 가장 오랜 기간을 충청도 지역에 머물렀다. 그가 경상도, 전라도 등지로 순회포덕을 다닐때에도 근거지는 반드시 충청도였다. 충청도는 동학이 산간지대의 은둔시절을 지나 비로소 세상에 그 도를 전파하려는 목적에 최적지였다. 동학의 충청도 진출은 다음의 의의를 지닌다. 첫째, 동학의 충청도 진출은 대부분의 민중들의 주거주지인 평야지대로의 진입이자 그들을 신인간으로 만들고자 한 동학이념에 부합하는 시도였다. 둘째, 충청도 지역으로 진출하면서 해월은 동학의 종교적 의례와 교리를 정리하였다. 셋째, 충청도 지역에서 해월은 도소, 대도소를 둠으로써 비로소 동학적 공동체의 장을 마련할 수 있었다. 넷째, 영동지역은 충청도, 경상도 그리고 전라도의 3개 도가 접하는 지역이다. 그리고산간지대와 평야지대로 섞여있는 지역으로 동학 전파의 교도보 역할이 가능한 지역이다. 특히 영동군 청산면의 문바위골은 1894년 9월18일 동학농민혁명의 총동원령이 내려진 중요한 지역이다.

      • KCI우수등재

        강원 영동지역의 이른바 大加耶人 徙民의 실상

        김규운(Kim, Gyuun) 한국고고학회 2021 한국고고학보 Vol.- No.119

        삼국시대에 특정 양식의 토기의 유통, 확산을 통해 경제권, 문화권 나아가 정치적 영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논의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강원 영동지역에서 토기 제작기법의 전수 혹은 공방의 생산시스템 전파, 생산 토기의 유통, 영역의 확장 등 기왕의 접근으로는 해석이 불가능한 양상을 보이는 대가야양식 토기가 출토되었고, 이를 대가야인의 사민으로 상정해 왔다. 사민이라고 하는 해석 자체에 대해서는 크게 이견이 없으나 대가야양식 토기를 면밀히 관찰한 결과 그양상이 간단하지만은 않았다. 같은 대가야양식 토기의 범주에 속하지만 개배는 전형적인 대가야양식 토기로, 중심지인 고령지역에서 생산한 것이다. 반면, 대가야양식의 대부장경호에는 모두 동체 하위에 평행 혹은 격자 타날흔적을 지우지 않고 남기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가야양식 토기 제작기법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는것이다. 이러한 대부장경호는 주로 소가야의 권역, 혹은 토기 문화와 관련 있는 지역이었다가 이후 대가야의영향권으로 들어가는 지역에서 확인된다. 즉, 이 동체부 하위의 타날흔을 통해 대부장경호는 소가야양식 토기의 제작기법으로 대가야양식 토기를 모방생산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결국 두 기종의 생산지가 다르므로 대가야의 멸망에 따른 중심지의 사람이 사민된 것이라는 기존 견해에대한 수정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사민의 양상을 정리하면 삼척·동해지역은 6세기 이후 실직주 설치를 통해 신라가 거의 직접지배를 통치하는 곳으로 대가야를 멸망시킨 이후 이 지역으로 대가야인을 사민시킨다. 이 사민된 대가야인은 대가야 중심지의 사람이 아니라 외곽의 소규모 지배집단의 사람으로 사민된 이후에도 현지의 지배자급과 비슷한 랭크를 유지하게 된다. 완전히 굴욕적으로 강제이주되는 모습보다 기존의 지위를 어느 정도 보장하면서 새로운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는 모습을 그릴 수 있었다. 이는 신라의 입장에서도 두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모두 높이는 효과로 이어진다. Daegaya-style pottery was excavated in the Yeongdong region of Gangwon Province, which has been assumed as the result of the migration of Daegaya communities. There is no major disagreement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immigrants themselves, but a close examination of the pottery reveals a complex picture. The flat cup with cover was produced in the style of Daegaya pottery from the central Goryeong area. On the other hand, the mounted jar was found to have been produced using a technique in which the parallel or checked paddled patterns on the lower part of the vessel had not been erased, which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gaya pottery production. Such examples of Daegaya mounted jars have been found in areas that were once part of Sogaya territory or were associated with Sogaya pottery culture that later fell under the influence of Daegaya. In other words, they were examples of Daegaya-style pottery being imitated using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Sogaya-style pottery. Daegaya migrants were settled in the areas of Samcheok and Donghae, which came under almost direct rule of Silla from the 6th century. However, these Daegaya migrants did not consist of the central elite of Daegaya who were completely humiliated in their new surroundings, but rather consisted of small ruling groups from the peripheral areas of Daegaya who were able to maintain a similar status even after moving to the Yeongdong region. This strategy allowed Silla to increase their control over both regions.

      • KCI등재

        한국 남동해안 감포 연대산 지역 해안단구 상고위면과 고고위면 지형발달

        황상일 ( Hwang Sangill ),윤순옥 ( Yoon Soon-ock ) 한국지형학회 2020 한국지형학회지 Vol.27 No.4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and topographic development of marine terraces, UHS (Upper Higher Surface) and HHS (High Higher Surface) at Yeondae-san area, Gampo-eup were discussed. We critically examined on the substance of the Yeongdong-myeon (a low-lying erosion surface) in the east coast of Korea. In study area, UHS including UHS-246m, UHS-241m, UHS-235m, UHS-220m, UHS-210m and UHS-220 is found on the highest altitude among the marine terraces in Korea. The existence of UHS requires new interpretation on topographical surface like Yeongdong-myeon, which has been commonly accepted as a theory in the society of Korean Geography. Since UHS is distributed continuously ascending on the altitude of HHS, the period of formation should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nd UHS of paleo-shoreline 246m has been estimated to be formed about 1.5 million years ago.

      • KCI등재

        위진남조(魏晉南朝)의 장군제(將軍制)와 "녕동대장군(寧東大將軍)"

        이주현 ( Ju Hyeon Lee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2 백제문화 Vol.1 No.46

        後漢末이래로 魏晉南朝를 거치면서 발달한 將軍制度는 분열과 혼란의 시대상을 집약적으로 대변해준다. 이 시대 역대 왕조는 군사적으로 매우 취약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將軍號의 수는 폭증을 거듭하였으며, 그 결과 관직체계에서도 수많은 장군과 그 軍府의 屬官職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특히 군사 정변을 통해 대권을 장악한 장군이 국정을 전단하다가 새로운 왕조를 창업하는 사례가 수십 년마다 되풀이된 것은, 장군제의 전개에 따른 불가피한 결과였다. 지방에서도 장군호의 폭증에 비례하여 州와 郡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그 행정이 군부에 예속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都督·將軍의 군사관할 범위 안에서 州·郡은 그 일부로 예속되었으며, 군부의 속관들이 郡縣의 守令을 겸하는 것이 상례가 되었다. 중앙과 지방이 장군의 군사관할권에 의한 統屬체계로 새롭게 개편되면서, 국제관계에도 기존의 爵制的질서를 벗어나 장군호를 매개로 한 새로운 질서가 형성되었다. 東晉末이후 南朝에서는 이미 유명무실해진 封爵을 보완하는 수단으로 장군호를 주변국 군주에게 除授함으로써, 새로이 군사관할권에 입각한 統屬관계를 형성한 것이다. 주변국 군주의 사절이 그 군부의 속관 직함(長史·司馬·參軍)을 지니고 중국에 使行한 것은, 새로이 형성된 관계의 틀이 국제관계의 표준이 되었기 때문이다. 중국 측의 이러한 의도가 실제로 관철되었는지 단언할 수는 없지만, 宋代이후 동아시아 국제질서가 안정을 회복하는 단계에 들어섬으로써 중국과 정치 문화적 교류를 희망하는 주변국에 장군제의 수용이 점차 국제적인 관례로 굳어져갔으리라 생각된다. 이러한 관례는 비단 중국과 주변국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주변국들 사이에서도 적용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6세기에 百濟가 倭에 보낸 사절의 직함으로 장군이 종종 등장하는 것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武寧王이 실제로 국내에서 寧東大將軍의 軍府를 개설 운용했는지 단언할 수는 없지만, 그의 묘지명에서 보듯 장군호를 공식적인 직함으로 사용한 사실은 확인할 수 있다. 무령왕은 중국과의 교섭에서도 장군호를 포함한 공식 직함을 칭하고, 그가 보낸 외교사절도 당연히 군부 고유의 직함(즉 長史?司馬?參軍)을 사용했을 것이다. 다만 干支표기나 ``崩``의 용례는 무령왕이 백제에서 배타적으로 군림하는 존재였음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즉 ``寧東大將軍·百濟斯麻王``은 당시 국제 관례를 충실히 반영한 직함이었다고 할 수 있다. General system developed in the Six Dynasties Period intensively represents the period of split and disorder. Although most of dynasties in this period had very weak and little military capabilities, the number of generals had been considerably increased, as a result, a number of generals and their subordinates were of great importance in entire officer ranking. In particular, Establishments of new dynasties by generals who took the supreme power by coup in every several years were an inevitable result due to the development of general system. In various local areas, the number of provinces and towns had been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generals, and their administrative organs were resulted to be subordinated to military posts of Dudu(都督) and Jiangjun(將軍). It turned out to be a tendency that subordinates of a military post served as magistrates(郡守·縣令) within the military jurisdiction of a general. As the administrative system was reorganized to the governing system based on military jurisdictions of generals, a new order had been formed by general system in international relations, beyond pre-existing order(爵制的秩序). Since the 5th century, general titles were granted to the monarchs in neighboring countries, as a means to compensate nominalized titles of nobility, by which a new governing system based on military jurisdiction was estabilished. In this period delegates from neighboring countries visited China usually with titles of subordinates(Changsi, Sima, Canjun) of military posts, which proves that relationship reorganized based on the military system and title was considered a widespread standard in international relations. It is hard to assure whether international relations based on chinese military system and title actually worked as intended. But acceptance of chinese military general system became an international tendency among neighboring countries hoping political, cultural exchange with China, as since the 5th century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reached the step to restore its stability. Although Actual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Great General Yeongdong" military post by King Muryeong(武寧王) is still in debate, the epitaph from his tomb proves that King Muryeong obviously used his general title as an official title. King Muryoeng called himself various official titles including granted general title in negotiations with Chinese side, his diplomats would use their own titles of military posts for sure. However several words in the epitaph clearly reveal that King Muryeong was an exclusive and independent ruler in Baekje(百濟) Dynasty.

      • KCI등재

        강원지역 別稱의 역사적 연원과 의미: 關東․嶺東․嶺西를 중심으로

        이상균 역사문화학회 2022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5 No.1

        Gwandong, Yeongdong, and Yeongseo have been nicknames for Gangwon-do since pre-modern times. Mt. Cheolryeong, Gwannaedo, and the east side of the Mt. Taebaek were all given the meaning of plural number(‘Gwan-dong’) Historical origins may be traced back to the east side of Mt. Cheolryeong, where it was most often used. Although Mt. Cheolryeong is a narrow meaning, the nickname ‘Gwandong’ has been used to refer to the east area of Mt. Taebaek since its ideation, therefore Gangneung, which moved the Mt. Taebaek, was also used to refer to the area until the Goryeo Dynasty. The fact that the east side of the area was known as ‘Gwandong’ was not universally accepted. GyoJudo in the west of the Mt. Taebaek and Gangneung-do in the east were amalgamated to become Gangwon-do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Gwandong, which was originally solely used for the movement of the Mt. Taebaek, became a nickname for the entire Gangwon-do. However, even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a belief among the scholar that only the Mt. Taebaek migrated to Gwan-dong, resulting in Daegwallyeong, which refers to Dandandaeryung and the entire Mt. Taebaek. The term ‘Yeongdong and Yeongseo’ comes from the Mt. Taebaek east and west sides, respectively. ‘ryeong and daeryeong’, the most widely used examples when establishing Yeongdong and Yeongseo, denoted the Mt. Taebaek. Daegwallyeong was utilized as a branch in Gangneung, but it was assumed that Daegwallyeong referred to the entire Mt. Taebaek. It is fair to assume that the branches of Yeongdong and Yeongseo were in the Mt. Taebaek based on historical evidence. However, most Joseon Dynasty people did not regard the category of Daegwallyeong as dichotomous thinking in the broadest or narrow meaning. Daegwallyeong, which refer to the entire Taebaek Mountains, have been passed down in Gangneung since ancient times. As a result, many people believe that the intersection of Yeongdong and Yeongseo has been known as Daegwallyeong, which is only limited to Gangneung. 전근대부터 현대까지 강원지역을 汎稱하는 별칭은 ‘관동․영동․영서’이다. ‘관동’이라는 별칭은 철령관․관내도․태백산맥 동쪽이라는 복수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별칭의 역사적 연원은 철령관 동쪽을 지칭하는 것에서 연유했고, 가장 보편적으로 통용되었다. 철령관은 협의의 지점이지만, ‘관동’이란 별칭은 만들어질 당시부터 태백산맥 이동 일대를 지칭하는 광의의 의미로 관념화되어 왔기 때문에 고려시대까지만 하더라도 태백산맥 이동의 江陵道 일대를 지칭하였다. 관내도 동쪽을 ‘관동’이라 한 것은 보편적 인식이 아니었다. 조선시대에 태백산맥 서쪽의 交州道와 동쪽의 강릉도를 병합해 강원도라 명하고, 태백산맥 이동에 한정하여 불렸던 ‘관동’은 강원도 전체를 지칭하는 별칭이 된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도 單單大嶺의 위치 비정에 따른 문인들의 부수적 견해로, 단단대령과 태백산맥 전체를 지칭하는 의미로서의 대관령을 등치시키면서 태백산맥 이동만을 한정하여 관동으로 보려 했던 인식이 잔존했다. ‘영동․영서’라는 별칭의 역사적 연원은 태백산맥을 분기로 한 동쪽과 서쪽에서 연유한다. 영동․영서의 분기를 설정할 때 가장 많이 쓰인 용례인 ‘嶺․大嶺’은 태백산맥을 의미했다. 강릉의 대관령을 분기로 삼긴 했으나, 이는 대관령이 태백산맥 전체를 지칭하는 것이라는 전제가 있었다. 사료의 고증을 통해서 볼 때는 영동․영서의 분기가 태백산맥이었다는 것이 일면 타당하다. 그러나 조선시대 사람들 대부분은 대관령의 범주를 광의와 협의의 이분법적 사고로 접근하지 않았다. 강릉은 고대부터 영동의 首府였고, 당시 지식인들이 태백산맥 전체를 지칭한 것으로 파악한 ‘대령’․‘대관령’이라는 명칭 또한 고대부터 강릉을 지나는 태백산맥 준령에만 전승되어온다. 사람들의 뇌리에는 자연스레 영동․영서의 분기점이 강릉에 한정한 협소의 대관령으로 각인되어 오고, 그렇게 전파되어 지금까지 통용된다.

      • KCI등재

        중부지방 원삼국시대 중도식 무문토기 연구 : 영동·영서지역 출토유적을 중심으로

        이승재(Lee Seung-Jae) 한국고대학회 2009 先史와 古代 Vol.30 No.-

        중부지방의 원삼국 문화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도식 무문토기는 타날문 토기와 함께 가장 표지적인 유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동안 중심이 타날문 토기와 유구에 집중된 반면 중도식 무문토기에 대해서는 비교적 세밀하게 다루어지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그러한 이유에는 여러 요인이 있겠으나 기형의 변화 양상이 뚜렷하지 않은 중도식 무문토기의 특징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고 판단된다. 이 글에서는 원삼국시대의 문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수단의 일환으로 중도식 무문토기의 변화 양상 및 단계를 설정하고 간략하게 이러한 변화양상의 의미를 파악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지역적으로는 최근 조사예가 중가하여 일정한 개체수가 확보되었으며, 중도식 무문토기 기종 자체의 변화상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다고 판단되는 영동·영서지역(남한강유역) 출토 유적에 국한하였다. 유물의 분류는 주거지 출토 완형토기를 대상으로 외반구연호, 내만구연호, 유경호의 세가지 주요 기종으로 구분하고 다시 크기에 따라 나누어 외반구연호를 A(대형)와 B(소형), 유경호도 A(대형)·B(소형)로 세분하였다. 또한, 이들 기종은 각각 경부직경과 저부직경의 변화에 따라 분석의 기준이 되는 개별 기형으로 분류되며, 구분된 기종 및 기형을 기준으로 유구단위의 MDS(Multi Dimensional Scaling)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중도식 무문토기의 제 기종들은 기형의 변화가 비교적 뚜렷하지 않으나 어느 정도 동일한 방향으로 변화되는 양상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변화상은 영동지역과 영서지역(남한강유역)에서 약간의 시기차를 두고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반적인 중도식 무문토기의 변화 양상은 외반구연호의 경우 크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경부직경과 저부직경이 좁은 것에서 넓은 것으로 변화되는 모습을 나타내며, 내만구연호는 저부직경이 넓은 것에서 좁은 것으로 점차 변화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유경호는 대형의 경우 구연부가 직립→외반→꺽임의 순으로 나타나고 소형 개체는 비교적 늦은 3단계에서부터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변화상을 토대로 지역별로 분기를 설정한 결과 영동지역은 4기, 영서지역은 3기로 세분되며, 전체적으로는 4단계의 설정이 가능하다. The most remarkable relics contributing to understanding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of the central districts are Jung-do style plain potteries and potteries with stamped design. However, the part study mostly focused on potteries with stamped design and relics, and Jung-do style plain potteries have not been studied throughly in the past. There could be various reasons for the lack of study on Jung-do style plain potteries, but I judged that it i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tteries do not show clear phases of development. As a means to understand the cultural phases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is study established developing phases and steps of Jung-do style plain potteries and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these developments briefly. Lately, local inspection samples has increased to secure regular numbers of individuals, and this study is limited to relics excreted in Yeongdong and Yeongseo areas (Namhan River area) because I judge that those relics are the samples for easier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of Jung-do style plain potteries. Based on the complete potteries excreted from the areas, the relics are classified into 3 major classes: post with outward mouths, pots with inward mouths and gourd bottles. Then, based on their sizes, pots with outward mouths and gourd bottles were classified into A (large) and B (small). Also, these classes are separated into individual shapes based on the changes in the diameters of mouths and bottom parts to form the basis of analysis. With the classified classes and shapes, MDS(multi dimensional scaling) were performed on the relics. The analytic result show all classes of Jung-do style plain potteries have comparatively unclear development of shapes, but they still have a similar developmental phases. These developmental phases are shown in a little different periods in Yeongdong and Yeongseo areas (Namhan River area). From the general developmental phases of Jung-do style plain potteries, pots with outward mouths show a little difference in sizes, but basically, the diameters of the mouths and the bottom parts are increasing, and pots with inward mouths shows the decrease of the diameters of the bottom parts. With large gourd bottles, their mouths were first standing straight, then outward and lately bent and small gourd bottles are showing the third step comparatively late. Establishing the separate periods based on these developmental phases, Yeongdong areas were classified into the fourth period, Yeongseo areas into the third period. Generally the developmental phases are classified into four steps.

      • KCI등재

        1905~1910년 전후 강원 영동지역 사립학교 설립 현황과 졸업생들의 행보

        장경호 ( Chang Kyoung Ho ) 한국교육사학회 2021 한국교육사학 Vol.43 No.1

        본 논문에서는 1905년에서 1910년을 전후하여 주로 설립된 강원 영동지역(통천, 간성(고성), 양양, 강릉, 삼척, 울진(평해))의 사립학교 설립과 관련자들의 이후 행보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江原道狀況梗槪』에 보이는 15개의 사립학교 및 구한말 각종 신문에 보이는 강원 영동지역 내 사립학교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총 36개의 학교가 존재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영동지역에는 강릉 영주학교가 생긴 이후(1905) 양양 현산학교와 통천 양원학교가 설립되고(1906) 설립된 이래 여성학교, 종교학교 측량학교, 노동학교 등 다양한 학교들이 생겨났고, 야학도 진행되었다. 영동지역 사립학교를 졸업한 인물들을 추적해 보면 대부분 지역의 의원 혹은 강원도 지역 면장을 맡았다. 이는 사립학교가 공립학교로 전환되거나 폐교되는 과정에서 일제의 교육에 순응한 이들이 졸업 후 관리 임용시험을 보거나 지역에 남아 의원으로 당선되는 결과를 보여준다. 몇몇 이들은 지역 공립보통학교에 훈도로 남았고, 혹은 독립운동에 참여하거나 농민조합을 결성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건축, 상업에 종사하는 이도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tatus of the establishment of a private school established in Yeongdong, Gangwon-do, around 1905-1910 and the future actions of graduates. In Yeongdong, Gangwon Province, teachers were provided with the support of the Kwandong Society and Gangneung Confucian Academy and the support of local leaders, and teachers and local leaders who were dispatched from Seoul served free of charge. A total of 36 schools in Yeongdong, Gangwon-do, are found to have existed in 15 private schools of Kangwondosanghwnaggyenggae(江原道狀況梗槪) in the province and in various newspapers at the end of the year. Many schools have been established in this area since the establishment of Hyeonsan School in Yangyang and Yangwon School in Tongcheon in 1906. In addition, many women's schools, Buddhist schools, surveying schools, and labor schools were established, and night school was conducted. Looking a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schools were concentrated in Gangneung, Tongcheon, and Gansung, and there were various kinds of schools (female, survey) in Yangyang. Samcheok School was a small number, but all of them were converted to public schools, and half of Uljin (Pyeonghae) schools were converted to public schools. Those who graduated from a private school in Yeongdong, Gangwon-do, were either local councilors or heads of local schools in Gangwon-do. This shows that those who conformed to Japanese education in the process of declining private schools and converting to public schools or closing their schools will take a management appointment test after graduation or remain in the region and be elected as lawmakers. Some remained teachers at local public schools, continuing their education, and participating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 KCI등재

        강원 영동지역에 遺傳하는 宋時烈의 행적 고찰

        이상균 한국역사민속학회 2024 역사민속학 Vol.0 No.66

        영동지역에는 尤菴 宋時烈이 머물면서 남겼던 행적들이 수백 년 동안 유전되고 있다. 우암이 1675년 함경도 德源에서 경상도 長鬐로 謫所를 옮기면서 영동지역을 경유할 때와 1683년 금강산 일대를 유람할 때 남긴 행적이다. 移配 시 명확히 확인되는 행적은 속초의 勿淄 마을과 강릉의 鏡浦湖 일대 방문이다. 물치에서 만난 큰비를 피하려 良人 鄭立의 村舍로 들어가 기둥에 쓰인 기괴한 시를 접하는 등의 기이한 일을 겪는데, 세간의 큰 화제가 되었고 현재까지 「沕淄柱(詩)」로 유전된다. 강릉에서는 栗谷 李珥가 노닌 遺址를 보기 위해 경포호를 찾는다. 이어 漁村 沈彦光 가문에서 보장한 程夫子影幀을 참배하고, 삼척심씨 가문에 ‘海雲亭’ 편액 등의 유묵을 증정한다. 이때 우암이 정립한 경호팔경은 경포호의 대표 팔경으로 전승되고 있다. 1683년 致仕 후에는 금강산 일대를 유람한다. 이때 杆城 유생 魚濟昌이 우암의 유람을 수종하고, ‘仙遊潭ㆍ淸澗亭ㆍ永朗湖’ 글씨를 받아온다. 이 필적들은 해당 장소에 巖刻되어 현전한다. In the Yeongdong region, Song Si-yeol’s(宋時烈) traces of his stay have been handed down for hundreds of years. The reason why these traces were left behind was when he visited the Yeongdong area while moving his place of exile in 1675 and when he toured Mt. Geumgang in 1683. Song Si-yeol’s visit to the Yeongdong region attracted the attention of local scholars. The clearly confirmed activities include visiting Mulchi(勿淄) Village in Sokcho(束草) and Gyeongpo Lake in Gangneung(江陵). He went into Jeong-rip’s(鄭立) house to avoid the heavy rain that came in Mulchi Village. Here he experiences strange things, such as coming across a strange poem written on a pillar. This incident became a hot topic and is still passed down to this day. In Gangneung, he visited Gyeongpo Lake to see traces of Lee I(李珥), whom he admired. He then saw and worshiped a Jungbuja-painting(程夫子影幀) housed in Sim Eon-gwang’s(沈彦光) family. And he visited Haeunjeong(海雲亭). At this time, he writes various, including the ‘Haeunjeong’ signboard, to the Sim family. These writings have been kept in Haeunjeong and Mangseojeong(望西亭), but their actual whereabouts are unclear and only the Haeunjeong plaque is hanging. He visited Gyeongpo Lake and created the Gyeongho Eight Scenic Views(鏡湖八景), which are currently representative of the eight scenic views of Gyeongpo Lake. his inscription on the eight scenes of Gyeongho was made into a folding screen by the Sim family, but its whereabouts are unknown. Song Si-yeol toured Mt. Geumgang. for the second time after resigning from office in 1683. At this time, he left the writing ‘Sunyoudam(仙遊潭)ㆍCheongganjeong(淸澗亭)ㆍYeongnangho(永朗湖)’. This is a text received from a hot spring in Goseong-gun(高城郡) by Ye je-chang(魚濟昌), a Confucian scholar living in Ganseong(杆城), who followed Song Si-yeol on a tour of Mt. Geumgang. These letters are all engraved on rocks.

      • KCI등재

        대관령에서의 기온 급하강 사례에 대한 기상학적인 연구

        이재규,김유진,Lee. Jae Gyoo,Kim. Yu Jin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4 No.1

        일기도, 위성영상, AWS 관측 자료, 단열선도, GDAS FNL 분석자료를 이용하여, 대관령 관측소에서 2013년 4월 16일에 일어난 짧은 시간동안의 극심한 기온 하강(9분 동안에 약 <TEX>$15.5^{\circ}C$</TEX>의 기온 하강) 현상이 발생한 이유를 분석하여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서 기류의 유입과 일중 일사 가열로 영서 및 대관령에서는 지속적인 기온상승이 있는 반면에, 영동 해안지대에서는 북동쪽에서 내려 온 찬공기의 이류로 저온 현상이 일어나는 중이었으며, 둘째, 이러한 상태에서 영동과 영서지역을 분리하는 태백산맥의 지형에 의해, 영서지역과 영동지역 사이의 열 교류가 억제되어 영서지역에서는 지속적인 기온 상승내지는 유지가 이루어졌으며, 영동지역에서는 찬 공기의 이류에 따른 저온 현상이 계속 유지되어 영동과 영서지역의 기온 차이가 크게 증가하였다. 셋째,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압골이 동진하여 이 기압골이 울릉도 부근에 위치함에 따라 이 기압골의 후면에 해당하는 동한만과 영동 동해안에서는 이전 시간보다도 북동 기류가 더욱 더 강해져 영동지역에서는 찬 공기의 누적이 보다 더 강화되었으며, 이렇게 누적된 찬 공기가 북동 기류를 따라 대관령을 넘어 서쪽으로 이동하여 대관령 부근에 위치하였던 따뜻한 공기를 빠르게 대체하였기 때문에 대관령 관측소에서 짧은 시간동안에 가장 극심한 기온 하강 현상이 일어나게 되었다. From the analysis of weather charts, satellite imagery, AWS (Automatic Weather Station) observation data, skew T-log P diagram and GDAS (Global Data Assimilation System) FNL (Final analyses) data, we could infer the reasons for the sharp drop over a short amount of time (<TEX>$-15.5^{\circ}C$</TEX>/9 minutes) in surface temperatures at the Daegwallyeong observation station on 16 April 2013 as follows: (1) there was a continuous temperature increase near the Daegwallyeong area under the influence of the warm southwestern air current and solar radiation in the daytime. Meanwhile, there was a steady temperature decrease over the Yeongdong coastal area due to the cold-air advection form the northeast, (2) under this circumstance, the topography of the Taebaek Mountains separating the Yeongseo and Yeongdong Regions prohibited heat exchange between the Yeongseo and Yeongdong Regions to increase the temperature contrast between the two regions, and (3) as a trough moved toward Ulleung-do, the easterly flow strengthened in the gulf of Donghan and over the Yeongdong coastal area which was located behind this trough. Accordingly, the cold air damming was magnified, leading to the overflow of the cold air. Thus, the accumulated cold air moved westward over the Daegwallyeong, and the warm air staying there until this time was replaced rapidly by the cold air. Consequently, the surface temperature at the Daegwallyeong Observation station dropped sharp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