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史의 展開過程에서의 原州의 位相

        지배선(Ji, Bae-Sun),(토)최근영 백산학회 2008 白山學報 Vol.- No.80

        The year 2008 marks the 1331st year since the establishment of Buk-Won-Kyung (北原京). Around the mid 18th century, Yi Jungwhan described Wonju as the base for the distribution of goods. He stated, ‘There are fields in between the mountain valleys that make the place light and graceful, not closed up and threatening. Situated between Gyeonggi-do and Yeungnam, the fish, salts, ginseng and lumbar for the palace passing through developed the formation of a town.’ Wonju has geographic significance in being accessible from all directions, expressed as having “open ranges and large fields.” It also has a advantageous routes to Seoul, with the channel of the Namhan river and the development of the roads leading to Yeoju and Yangpyung. From old, Wonju has always been close to Seoul, and with mount Chiak and other mountains in the back, Wonju’s clan(氏姓) could maintain their indigenous life and go to Seoul to take up positions as officials. Thus, central culture of Seoul flowed into Wonju before any other region in Gangwondo. Because of its geographical proximity, Wonju is considered as having been unable to form or reveal its own identity. Its location as the center of the peninsula made Wonju a place ‘not to settle down in’ but to ‘pass by or stay a short while’. This fact is often pointed out in such chronicle records as the Bi-byun-sa-dung-rok(備邊司남錄). However, because of this, Wonju was able to have the merit of embracing and opening the way for diverse cultural phenomena. As Wonju was always open, it has a long history of many people coming and going. This has given the Wonju people wisdom in accepting without discrimination of background or culture, and in embracing and living harmoniously. Even today, people from elsewhere who have moved to Wonju say that ‘of all places, Wonju is the least discriminating and most open’. This feature wasn’t suddenly born but grown from old. Wonju, where the Gangwon-Gamyoung is established, has for the past 500 years been the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military center of Gangwon-do. Today, not only does it have a large population but it is leading Gangwon-do in every way.

      • KCI등재

        사라져가는 군사도시의 장소기억 : 강원도 원주시를 중심으로

        김대범(Kim Daebeo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6

        이 연구는 군사문화를 기억할 수 있는 원주의 군사시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장소성을 확보하고 군사도시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전쟁 이후 원주는 제1야전군 사령부가 이전해 오면서 우리나라를 대표할 만한 군 시설과 군 문화시설이 생겨났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도시에 군이 전쟁피해 복구사업을 실시하면서 군에 의해 도시가 형성되었다. 미국으로부터 군사원조를 받아 대민지원이 지속되어 꾸준히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원주시가 불과 10여 년 만에 신흥도시로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했다. 또한 역대 대통령들의 원주시찰도 주목할 만하다. 국가적으로 중요성을 가진 장소를 시찰하는 대통령은 원주지역을 군사적 요충지이자 떠오르고 있는 신흥도시였기에 집권세력의 정치적 전략의 지역으로 생각했다. 원주는 제1야전군 사령부 및 예하부대는 물론 미군부대 캠프롱(Camp Long)이 주둔하면서 국가안보를 책임지고 있었기에 단순히 정치적 전략뿐 아니라 중요한 국가통치의 장소로 생각했던 것이다. 그렇게 1990년대까지 군인들을 위한 군사도시로 꾸준히 발전하였지만 2000년대 이후 원주에서 군 부대가 이전하게 되고, 새로운 도시개발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과거 원주를 있게 한 각종 군사시설은 사라지게 되었다. 과거 군사도시 원주의 사라져가는 장소를 기억하고 흔적을 발견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일은 원주의 도시 정체성 확보는 물론 미래 유산의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organize military facilities in Wonju that remember the military culture, to secure the location, and secure the identity of Wonju as a military city. After the Korean War, the headquarters of the first Field Army moved to Wonju, and military facilities representing Korea were created. Afterwards, a city was formed in Wonju, which was ruined by the war, and a war damage restoration project was carried out by the military. Wonju has been able to develop steadily until today because support for Wonju continued through U.S. military aid. This is the background of Wonju City, which was devastated by the war but developed into a new emerging city in little over a decade. Former presidents of South Korea have always visited Wonju-a military hub and a rising emerging city. However, it has been judged as a strategic political area. Wonju is home to the security of South Korea with the presence of the First Field Army Command, subordinate units and the U.S. Army s Camp Long; it was considered not only a strategic political area but also an important city for national governance. Wonju continued to develop as a military city for soldiers until the 1990s. However, after the 2000s, military units moved from Wonju to other areas, and new urban development policies began to be implemented. As various military facilities were established during this period, Wonju began to disappear.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e past of the disappearing military city of Wonju and recover traces and organize them systematically, as well as to secure the identity of the city of Wonju and preserve future heritage.

      • KCI등재

        구술로 본 강원도 원주의 도시기억 ― 군사문화를 중심으로

        김대범(Kim, Daebeom)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2 No.-

        이 연구는 강원도 원주의 지역 정체성 확립에 기여했던 군사문화를 기반으로 군사문화의 도시 원주를 구술을 통해 기억하는 데 있다. 한국전쟁 이후 원주는 분단국가의 특수성을 반영하듯 군사문화의 도시로서 모습을 갖추었다. 그러나 2000년대의 원주는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강원도 원주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군사문화의 도시였다는 사실은 원주지역 토박이거나 원주민들의 구술기록으로만 확인된다. 따라서 군사문화의 도시 원주 에 거주한 지역 원주민들의 기억과 구술기록을 통해서 과거 원주의 사라져 가는 기억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미군부대 식당종업원 박명한 씨, 1960~70년대 미군부대 구호물자를 사용한 박은희 씨, 1980년대 미군부대에서 막사철거 용역을 한 심재근 씨의 구술을 통해 ‘미군부대와 관련된 기억’을, 1960년대 어린 시절 군부대와 군인 밖에 없던 마을을 회상한 박은희, 심재근 씨, 미군으로부터 원조 받은 물자로 학교를 설립했다는 박종수, 서교하 씨, 교내 부대문화행사를 기획한 간의웅 씨, 군인들과 조기청소회를 한 이강록 씨, 군인전용 법당 법웅사 법회에 참여한 이승윤 씨를 통해 ‘군사문화의 정서를 느꼈던 기억’을 채록하였다. 또한 군인 아버지의 계급을 이야기 한 이강록 씨, 군인가족을 가정방문한 간의웅 씨, 군인간부 부인 꽃꽂이 선생님이었던 이승윤 씨, 군인 아파트에 거주한 유태준 씨의 구술로 ‘군인가족들과의 기억’을, 마지막으로 군인 회식의 유태준 씨, 군인월급날을 기억하는 이강록 씨, 부대 근처 식당을 운영하는 박은희, 이복순 씨의 구술기록을 통해 ‘군 관련 상업시설과 운영자의 기억’을 채록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military culture that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regional identity in Wonju, Gangwon-do and is remembered as "Wonju, the city of military culture" through orality. Since the Korean War, Wonju has been shaped like a city of military culture, reflecting the uniqueness of the divided nation. However, Wonju faced new changes in the 2000s. The fact that Wonju, Gangwon-do was the representative city of military culture in Korea is confirmed only by native peoples or oral records of the natives. Therefore, this study would like to summarize the disappearance of Wonju through interviews, where the indigenous people, who lived in Wonju, share their memories. The following people dictated their stories on ‘The Memory related to the U.S.’, Park Myung-han, a former employee of the U.S. Army Corps Restaurant, Park Eun-hee, who used relief supplies during the 1960s and 1970s, and Shim Jae-geun, who worked as a demolition service for barracks in the United States Army in the 1980s. Also, Park Eun-hee and Shim Jae-geun recalled a village where only military troops and soldiers existed in the 1960s, and Park Jong-soo and Seo Kyo-ha remembered the establishment of the school with the aid of the U.S. military. Furthermore, ‘The Memory of military culture’ was recorded from Mr. Gan Woong. who organized a military event in the school, Lee Kang-rok. who worked with the soldiers for early cleaning, and Lee Seung-yoon, who participated in the Buddhism Court for the Soldiers. Additionally, Mr. Kang Rok talks about the ranks of military fathers, Mr. Gwan-woong used to visit the military family and tell them stories, Lee Seung-yun was the flower design instructor of the military officer"s wife, and Yoo Tae-jun lived in a military apartment, and these memories comprise the recordings about "The Memory with military families". Finally, ‘The Memory as an operator of military-related commercial facilities" were dictated by Yoo Tae-jun, who told the story of the soldiers" dinner, Lee Kang-rok, who told the story of the soldier"s payday, and Park Eun-hee and Lee Bok-soon, who ran a restaurant near the unit.

      • KCI등재

        근대 춘천의 강원도 수부도시화 과정과 의미

        고준성,염복규 도시사학회 2023 도시연구 Vol.- No.34

        이 논문은 전통시대 강원도의 중심 도시가 아니었던 춘천이 근대 시기에 들어와 강원도의 수부도시가 되는 과정을 살펴본 연구이다. 춘천은 19세기 말 정치적 격변 속에서 군사도시로 발전했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두 차례 지방제도 개편 과정에서 강원도의 수부도시가 되었다. 그러나 춘천은 교통 환경이 열악하여 일제강점기 강원도 수부도시의 지위를 위협받았다. 경원선 정차역이 입지하여 철도교통의 요지가 된 철원은 지속적으로 도청 이전 운동을 전개했다. 춘천의 수부도시 지위는 1930년대 경성과 춘천을 연결하는 경춘선이 개통되면서 안정되었다. 경춘선 개통과 춘천의 수부도시 지위 안정화는 일제의 국책과 지역민의 열망이 결합된 결과였다. 이는 일제강점기 지방도시 성쇠의 한 경로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Chuncheon, which was not the central city of Gangwon-do in the traditional period, becoming the central city in Gangwon-do in the modern period. Chuncheon developed into a military city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mid political upheaval. And based on this, it became the central city in Gangwon-do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local system twice. However, Chuncheon's poor traffic environment threatened its status as the central city in Gangwon-do, Japanese colonial era. Cheolwon, which became the main point of railway transportation due to the location of the Gyeongwon Line stop station, continued to carry out the provincial government relocation campaign. Chuncheon's status as a sub-city stabilized in the 1930s with the opening of the Gyeongchun Line connecting Gyeongseong and Chuncheon. The opening of the Gyeongchun Line and the stabilization of Chuncheon's status as the central city were the result of a combination of Japanese national policy and local people's aspirations. This is an example of the path of the rise and fall of local cities in Japanese colonial era.

      • 자료소개: 『원주도회별진상(原州都會別進上)』

        김동우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2 동원학술논문집 Vol.13 No.-

        원주도회별진상은 강원도 각 지역의 진상 품목을 적은 일종의 물목(物目)이다. 필사된 관문서이며 표지를 포함하여 총 71면으로 선장(線裝)되어 있다. 크기는 세로 30.7cm, 가로 22.3cm이고, 펼쳤을 때의 가로 길이는 41.6cm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이 2001년에 구입한 후, 국립춘천박물관으로 이관하여 소장품으로 등록하였다. 이 자료가 주목되는 이유는 두 가지인데 먼저, 별진상 5면에 “성화십이년원주도회령(成化十二年原州都會令)”이라 적혀있다는 점이다. 이 기록은 원주도회별진상이 조선 성종 7년, 즉 1476년의 자료임을 가리킨다. 해당 기록을 신빙할 때 별진상은 조선시대 진상 자료로서 비교적 이른 시기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원주·삼척·간성·양양·고성·강릉도회 등 각 지방 관아 명칭이 등장한다는 점이다. 이는 각 도회가 지방에서 진상 업무를 관장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로서 진상 실무에 대한 실증적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원주도회별진상』 유물의 소장경위를 살펴보고 내용 및 형식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The Wonju City's List of Articles Offered to the King on an Irregular Basis became a registered relic of the Chuncheon National Museum after being transferred from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hich purchased it in 2001 (relic number: Chuncheon 95). This is a string-bound manuscript comprising a total of 71 pages, including the cover. It is 30.7cm in size, 22.3cm in width, and 41.6cm in width when fully unfolded. It is a kind of list detailing articles collected from each region of Gangwon-do. This document was created in 1476 and is a kind of data concerning the articles offered to the king in the relatively early Joseon Dynasty Period. In addition, it is precious in that it shows how offerings to the king had been collected from various cities, such as Wonju, Samcheok, Ganseong, Yangyang, Goseong, and Gangneung.

      • KCI등재

        강원도 원주 치악산 구룡사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걷기명상을 중심으로

        손강숙 지역사회학회 2023 지역사회학 Vol.24 No.2

        This study aims to take an in-depth look at the Guryongsa Templestay walking meditation experience targeting the templestay participants at Guryongsa Temple in Mt.Chiak and to examine how to utilize it. This study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method of consensus qualitative analysis (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Hill,2011; Hill et al, 2005). The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First, what do you expect from Guryongsa Templestay walking meditation? Second, what is different about Guryongsa Templestay walking meditation? Third, what did you experience during the Guryongsa Templestay walking medit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ctations for Guryongsa Templestay, 10 categories were derived in 4 areas: ‘Expectations of the experiences I will have’, ‘Expectations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Expectations of relationships between myself and others’,‘Expectations of Guryongsa Templ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tiating elements of Guryongsa Templestay, six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ree areas: ‘differentiated temple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that promotes meditation’, and‘specialized program’.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 at Guryongsa Templestay, 17 categories were derived in 5 areas: ‘Experience of ‘I’ ’, ‘Experience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s’ ’, ‘Experience through ‘Meditation’ ’, ‘Experience of‘Guryongsa’ ’, ‘Experience of ‘Buddhism’’. The above results were discuss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Templestay walking meditation progra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Guryongsa Temple. 본 연구는 치악산 구룡사 템플스테이 참여자를 대상으로 구룡사 템플스테이 걷기명상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그 활용방안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합의에 의한 질적 분석(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Hill, 2011; Hill et al, 2005)의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구룡사 걷기명상에서 기대하는 바는 무엇인가? 둘째, 구룡사 템플스테이 걷기명상의 다른 점은 무엇인가? 셋째, 구룡사 템플스테이 걷기명상에서 경험한 것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대상은 구룡사 템플스테이 걷기명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여자들이다. 연구결과, 첫째, 구룡사 템플스테이에 대한 기대에 대해 분석한 결과, ‘내가 하게 될 경험에 대한 기대’,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기대’, ‘나와 타인의 관계에 대한 기대’, ‘구룡사에 대한 기대’ 4개 영역에서 10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구룡사 템플스테이의 차별화 요소를 분석한 결과, ‘차별화된 사찰 환경’, ‘명상을 촉진하는 자연 환경’, ‘특화된 프로그램’의 3개 영역에서 6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셋째, 구룡사 템플스테이에서의 경험에 대한 분석 결과, ‘ ‘나’에 대한 경험’, ‘ ‘타인’과 관계를 통한 경험’, ‘ ‘명상’을 통한 경험’, ‘ ‘구룡사’에 대한 경험’, ‘ ‘불교’에 대한 경험’의 5개 영역에서 17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구룡사의 특성에 맞는 템플스테이 걷기명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우리나라 중동부지역에 분포하는 멸종위기야생식물 현황과 위험요인 평가

        김영철,채현희,홍보람,오현경,이경화,이규송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3

        전 세계적인 그리고 국가적인 규모에서 멸종위기야생식물의 멸종위험 평가와 더불어 지역적인 규모에서의 멸종위험 평가는 직접적인 보전활동의 계획과 실행에 있어 대단히 중요하다. 우리나라 중동부지역에는 34종의 멸종위기야생식물 이 분포하였다. 각각의 종에 대해 분포지, 분포면적, 개체수 및 개체군의 소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라 각각의 종이 소유하고 있는 생활사 특성을 포함한 10가지 평가항목을 바탕으로 위험요인을 평가하였 다. 34종에 대한 위험요인 평가결과 첫째, 다수의 위험요인이 존재하고 심각한 훼손압력에 노출되어 있어 적극적이고 시급한 생육지 보전활동이 필요한 12종, 둘째, 소수의 직접적인 위험요인을 제거하는 것으로 개체군의 지속이 가능한 16종, 셋째, 비교적 넓은 분포지와 많은 개체수에 따라 소극적인 관리를 통해서도 개체군의 지속이 가능한 6종으로 구분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에 있어 가장 큰 위험요인은 인구의 증가, 개발, 채취에 따른 생육지와 개체군의 소멸이었 다. 또한 식생환경의 변화로 인한 적합한 생육지의 감소와 재정착의 기작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생태계 건강성의 상실이 또 다른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조사가 이루어진 지역에서 멸종위기야생식물의 분포지와 출현 빈도 및 중요도를 바탕으로 5개 권역별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각 권역의 특성에 따른 보전 전략을 제시하였다. 우리는 멸종위기야생식물 의 멸종위험에 대한 평가는 분포현황정보 뿐만 아니라 종의 생활사 특성을 포함하는 평가방법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뿐만 아니라 개체군동태와 생태적 지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Evaluation of the extinction risk of endangered plants at international, national as well as at regional levels is essential to the implementation of plans for direct conservation activities. Reports indicate that 34 endangered plants are distributed in the middle eastern area of Korea. For each endangered plant, we investigated the sites, area of extents, population size, and factors that affect population extinction. We assessed risk factors based on 10 evaluation criteria including the results from the investigation and the life traits each endangered plant ha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risk factors, these 34 endangered plants are classified into 3 groups: the first category comprises 12 endangered plants that require active and urgent conservation of habitats due to multiple risk factors; the second group has 16 endangered plants that should be able to persist with the removal of a few direct risk factors; the third category has 6 endangered plants that can persist with minimal management due to comparatively large distributed area and numerous individuals. It was found that most major risk factors in the population of endangered plants are caused by disruption of habitats and population extinction due to the increase of human habitation in the concerned areas, development and illegal harvesting. Futhermore, ecological collapse from decreasing habitats and malfunctioning mechanism of extinction and regeneration due to the changes of vegetational environment can be the other causes. From the area of the present investigations, we selected 5 regi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 frequency of appearance and importance of conservation measures. Also, we suggested a conserva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We suggest that the method for evaluating extinction risk of endangered plants includes distributional data and life traits of species. In addition, we underscore the necessity for understanding population dynamics and ecological niche of the each target spec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