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을 바탕으로 한 제인 맥아담 프로이트의 조형 표현 연구

        김현진(Kim, Hyun-jin),이준호(Lee, Joon-Ho),최주현(Choi, Ju-hy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5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의 정신분석학은 언어를 분석하여 무의식이 드러나는 과정을 의미하며, 그는 무의식이란 인간의 행동에서 합리적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마음속 무의식이 행동과 정서를 규정한다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예술작품은 내재된 무의식에 대한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이트의 무의식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제인 맥아담 프로이트(Jane Mcadam Freud, 1958∼)의 작품 분석을 통해 그녀의 유년 시절에 성장 배경이 무의식과 어떻게 작용하여 시각화되어 작품으로 표현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의식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프로이트가 정의한 무의식에 대해 살펴보고,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이 예술 작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셋째, 표본작가로 프로이트의 증손녀인 제인 맥아담을 선정하여 그녀의 작품을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과 연관 지어 재해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무의식이 의식 세계로 표현되어 예술 작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인간이 예술 작품을 창작하는 이상 무의식은 의식 세계에 영향을 주며, 이는 예술 작품에 반영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이트의 무의식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정신분석과 예술영역에서의 상호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작가들이 작품에 내재된 무의식적인 본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Psychoanalysis of Sigmund Freud(1856∼1939) refers to the process by which the unconscious is revealed by analyzing language, he defined that unconsciousness does not only happen reasonably in human behavior, but also in mind unconsciousness defines behavior and emotions. Therefore, the work of art can be said to be an expression of the inherent unconscio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reud’s concept of unconsciousness and to find out how her growth background in childhood worked unconsciousness and visualized and expressed in works through the analysis of Jane McAdam(1958∼)’s work.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finition of unconsciousness was examined. Second, the unconsciousness defined by Freud was examined, and the effect of Freud’s unconsciousness theory on works of art was examined. Third, Freud’s great-granddaughter, Jane McAdam, was selected as the sample artist and reinterpreted her work n connection with Freud’s unconsciousness theory.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unconsciousness can be expressed as a world of consciousness and influence works of art. As long as humans create works of art it can be confirmed that unconsciousness affects the world of consciousness, which is reflected in works of art. Based on Freud’s theory of unconsciousness, it is hoped that it will be help artist understand the unconscious nature inherent in the work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ental analysis and art.

      • KCI등재

        라캉학파의 무의식 지식론과 그 교육적 적용

        목영해 ( Mok Young Hai ) 한국교육철학회 2016 교육철학 Vol.6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to a possibility of unconscious knowledge, a relationship of the unconscious knowledge and the conscious knowledge,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unconscious knowledge. Almost of teachers and educational researchers think that the unconsciousness is filled with instincts, drives, and trauma, so the unconsciousness should be under discipline. prohibition. But Lacan, French psychoanalyst, argues that the unconsciousness is a kind of language. Let me explain, there are two kind of signifiants, the natural signifiant and the libido laden one. and the natural one is placed within the consciousness, the libido laden one is placed within unconsciousness. So we can tell the unconsciousness consists of the libido laden significants. In according to the Lacan School, the natural signifiants are developed into the consciousness knowledge, the libido laden significants in the unconsciousness are developed into the unconscious knowledge, and the unconscious knowledge is base for the conscious knowledge, in other words, the conscious knowledges is not a being without the unconscious knowledges. In terms of the unconscious knowledge for the conscious one, teachers and educational researchers must take new attitude about the unconsciousness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Educational researchers try to make educational strategies to activate unconscious knowledges, and teachers try to take the unconscious knowledges into consideration when they teach students textbooks.

      • KCI등재

        일반 논문 : 탄소무의식과 분열분석 -가타리의 분열분석적 메타모델화를 중심으로-

        신승철 ( Seung Chul Shin ) 한국환경철학회 2011 환경철학 Vol.0 No.12

        저탄소녹색성장이라는 위선적인 정부의 슬로건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스테레오타입화된 삶은 전혀 바뀌지 않고 있다. 탄소무의식은 탄소중독적 삶을 형성하는 무의식적 배치를 의미한다. ``아주 매끄럽게 달려가는 자동차, 빛깔 좋은 고기, 환한 불이 켜져 있는 아파트, 일회용으로 가득찬 상품들`` 이러한 이미지-영상들이 탄소무의식을 생산하며, 소비하게끔 하는 메커니즘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TV, 영화, 아파트, 자동차, 육식 등의 무의식적 배치를 펠릭스가타리의 분열분석적 지도제작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조망한다. 가타리의 분열분석의 방법론에 따라, TV가 고립되고 분리된 일상적 삶에 화음과 리듬을 부여하고 자본주의가 안전하고 평화롭다는 무의식을 주조하는 것, 영화가낯선 곳으로 튕겨져 나가는 탈영토화 효과를 가지면서도 상업영화에 있어서 탄소무의식적 콘텐츠로 채워지는 것, 아파트가 공동체적 삶과 분리되고 구조-환상을 통해서 자본주의의 안전을 추구하는 보수적인 사고방식을 생산하는 것, 자동차가 속도와 에너지를 독점하고 지역순환사회의 고유성을 해체하는 것, 육식이 공장식 축사라는 보이지 않는 곳의 윤리와 미학을 배신하는 것 등이 차례로 기계적 담론성, 에너지-공간-시간적 담론성, 무형적 복잡성, 카오스모제적 구현이라는 4가지 구도에 의해서 분석된다. 그에 따라 탄소무의식에 대한 대안으로 탄소순환적 무의식으로 돌아가``기계적 무의식``이라는 생명현상과 같이 주체성 생산으로 나타나는 무의식이 제출된다. In spite of "low-carbon green growth", the hypocritical slogan of government, the stereotype life made by capitalism is unchanging. The carbon-unconsciousness is the unconsciousness arrangement forming the carbon-toxic life. The picture of "smooth running cars, looking delicious meats, brightly lit apartments, and disposable products" is the mechanism of both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a carbon-unconsciousness. This article takes a view of the unconscious arrangement of TV, movie, apartment, car, meat diet, etc, applying the methodology of Felix Guattari`s schizo-analytic cartography. TV, movie, apartment, meat diet, etc are analysed through diagram of machinic discursivity, energetico-spatio-temporal discursivity, incorporeal complexity, and chaosmic incarnation by Guattari`s methodology of schizo-analysis: TV gives the harmony and rhythm to the isolated everyday life, and makes the unconsciousness that the capitalism is safe and peaceful. Movie has the deterritorialization effect making the entry into strange place, but is full of the carbon-unconscious contents in the most commercial movies. Apartment separates the life of community and makes the conservative mentality pursing the safe of capitalism through structure-fantasy. Meat diet betrays the ethics and aesthetics of the invisible place to use the factory farm for an example. Therefore, this article goes back to the carbon-cycling unconsciousness as an alternative to carbon unconsciousness, and suggests the ``machinic unconsciousness`` indicating the production of subjectivity as life phenomenon.

      • KCI등재

        코스톨라니 대죄(Kosztolányi Dezső)의『퍼치르터(Pacsirta)』에 나타난 트라우마(trauma)와 무의식(無意識)의 발현(發現)

        유진일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8 No.1

        20세기 헝가리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사람인 코스톨라니는 당시 헝가리 문학의 주류를 이루어 왔던 사실주의 문학에서 눈을 돌려 서유럽의 다양한 문예사조를 작품에 구현함으로써 당시 서유럽에 비해 현저히 뒤쳐져 있던 헝가리 문학의 수준을 서유럽 문학의 주류 속으로 편입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코스톨라니는 19세기 프랑스의 문학가이자 비평가인 테오필 고티에(Théophile Gautier)가 주창한 “예술을 위한 예술(l'art pour l'art)"을 헝가리 문학에서 가장 탁월하게 구현한 작가로 평가될 수 있는데 코스톨라니 스스로도 자신을 ‘미학적 인간(homo aestheticus)’이라고 칭했다. 코스톨라니의 작품들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그의 소설들(regények) 중에서『피의 시인, 네로(Nero, a véres költő)』,『퍼치르터(Pacsirta)』,『이데시 언너(Édes Anna)』등 그의 대표작품들 대부분이 인물들 간의 갈등과 트라우마, 그리고 무의식의 문제를 예리하고 섬세하게 터치하고 있다. 인간은 일반적으로 사회라는 테두리 안에서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존재이며 그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스트레스와 콤플렉스가 내장되게 된다. 개인의 성격과 상황에 따라 그 스트레스와 콤플렉스가 적절히 관리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 반대의 경우에는 인간의 기저 속에 내장된 스트레스와 콤플렉스가 일시에 폭발하면서 심각한 인간관계의 훼손과 파멸을 유발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본고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퍼치르터』는 전자와 후자의 중간적인 작품으로 버이커이 아코시(Vajkay Ákos) 부부의 스트레스와 콤플렉스가 무의식과 의식 사이를 끊임없이 오가다가 때로는 도덕과 윤리의 테두리 속에서 적절히 관리되기도 하지만 또 때로는 의식이 무의식에 밀려 갈등을 야기하기도 한다.『퍼치르터』에서 주인공의 무의식 속에 내재된 트라우마는 항상 의식 밖으로 발현되려는 성질을 갖는데 운명과 윤리라는 두 요소가 그것을 가로막는다. 이 두 요소에 의해 발현을 저지당한 트라우마는 꿈, 환상, 상상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의식으로의 발현 기회를 모색한다.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던 버이커이의 딸에 대한 미움과 딸이 죽기를 바라는 소망은 무의식과 의식의 대립 속에서 의식의 힘이 약해지고 무의식의 힘이 강해지는 시점에서 발현한다. 이 발현의 접점을 제공하는 매개체는 알코올인데 운명과 윤리의 힘에 의해 억압되어 있던 무의식이 알코올의 힘에 의해 억압의 강도가 약해지는 순간 순식간에 분출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된다. 첫째 코스톨라니의 대표 소설 중 하나인『퍼치르터』는 프로이드 이론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고 정신분석 이론의 주요 개념들과 이론이 이 소설 속에 그대로 적용되어 있다. 둘째, 코스톨라니 본인이 ‘인생도 흘러가고 젊음도 지나간다. 모든 것이 지나가고 변하지만 아무 것도 해결되는 것은 없다.’라고 고백하듯 코스톨라니의 문학관과 세계관은 비관적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은 소설의 구조에서도 알 수 있는데『퍼치르터』가 13개의 장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사건이 금요일에 시작되어 일주일 후인 금요일에 끝을 맺는 것 역시 이를 암시한다. 숫자 13과 금요일은 유럽에서 일반적으로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것들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퍼치르터가 집으로 돌아온 후 비둘기를 다시 새장에 가두는 장면을 통해서도 엿볼 수... As one of Hungarian representative writers in the 20th century, Kosztolányi played a role of incorporating the Hungarian literature, which lagged behind Western European literature, into the mainstream of Western European literature by escaping from the realism, which led the Hungarian literature, and applying the various literary styles from the West European literature to his works. He can be considered to be a writer who realized “l'art pour l'art" advocated by Théophile Gautier, a French writer and critic in the 19th century; he also referred himself to as “homo aestheticus.” Greatly influenced by S. Freud’s psychoanalysis, his representative fiction works, such as Nero, a véres költő, Pacsirta, Édes Anna, deal with the conflict, trauma and unconsciousness among characters sharply and finely. Living together with others within the framework of society, human beings are generally compelled to be subject to stress and complex. According to character and circumstances, some get their stress and complex properly managed, but with the simultaneous outbreak of inherent stress and complex, others are seriously damaged or destroyed in their human relations. As an intermediate work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Pacsirta shows that stress and complex are properly managed within the framework of moral and ethics, while Vajkay Ákos and his wife restlessly wander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but consciousness is sometimes pressed by unconsciousness, causing conflicts. In Pacsirta, the trauma inherent in the hero’s unconsciousness always tends to manifest itself outside the consciousness, which is thwarted by fate and ethics. Prevented from manifestation, the trauma seeks an opportunity of being manifested continuously through dream, fantasy, imagination etc. Vajkay‘s hatred toward his daughter and wish for death in his unconsciousness are revealed, when consciousness gets weaker and unconsciousness gets stronger in the conflicts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 very medium offering a contact point of the manifestation is alcohol, which instantly manifests the unconsciousness suppressed by fate and ethic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Pacsirta, directly influenced by Freud’s theory, shows the major concepts of his psychoanalysis. Second, his view of literature and world is pessimistic, as seen in his confession. This is indicated by its structure: the work consists of 13 chapters, and an event begins on Friday and ends on Friday in a week. In general, 13 and Friday are regarded as negative in Europe. This is shown by the scene that Pacsirta returns home and confines a pigeon in a cage again.

      • KCI등재

        코스톨라니 대죄(Kosztolányi Dezső)의『퍼치르터(Pacsirta)』에 나타난 트라우마(trauma)와 무의식(無意識)의 발현(發現)

        유진일(Yoo, Jin-il)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8 No.1

        20세기 헝가리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사람인 코스톨라니는 당시 헝가리 문학의 주류를 이루어 왔던 사실주의 문학에서 눈을 돌려 서유럽의 다양한 문예사조를 작품에 구현함으로써 당시 서유럽에 비해 현저히 뒤쳐져 있던 헝가리 문학의 수준을 서유럽 문학의 주류 속으로 편입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코스톨라니는 19세기 프랑스의 문학가이자 비평가인 테오필 고티에(Théophile Gautier)가 주창한 “예술을 위한 예술(l’art pour l’art)”을 헝가리 문학에서 가장 탁월하게 구현한 작가로 평가될 수 있는데 코스톨라니 스스로도 자신을 ‘미학적 인간(homo aestheticus)’이라고 칭했다. 코스톨라니의 작품들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그의 소설들(regények) 중에서『피의시인, 네로(Nero, a véres költő)』,『퍼치르터(Pacsirta)』,『이데시 언너(Édes Anna)』등 그의 대표작품들 대부분이 인물들 간의 갈등과 트라우마, 그리고 무의식의 문제를 예리하고 섬세하게 터치하고 있다. 인간은 일반적으로 사회라는 테두리 안에서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존재이며 그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스트레스와 콤플렉스가 내장되게 된다. 개인의 성격과 상황에 따라 그 스트레스와 콤플렉스가 적절히 관리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 반대의 경우에는 인간의 기저 속에 내장된 스트레스와 콤플렉스가 일시에 폭발하면서 심각한 인간관계의 훼손과 파멸을 유발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본고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퍼치르터』는 전자와 후자의 중간적인 작품으로 버이커이 아코시(Vajkay Ákos) 부부의 스트레스와 콤플렉스가 무의식과 의식 사이를 끊임없이 오가다가 때로는 도덕과 윤리의 테두리 속에서 적절히 관리되기도 하지만 또 때로는 의식이 무의식에 밀려 갈등을 야기하기도 한다.『퍼치르터』에서 주인공의 무의식 속에 내재된 트라우마는 항상 의식 밖으로 발현되려는 성질을 갖는데 운명과 윤리라는 두 요소가 그것을 가로막는다. 이 두 요소에 의해 발현을 저지당한 트라우마는 꿈, 환상, 상상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의식으로의 발현 기회를 모색한다.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던 버이커이의 딸에 대한 미움과 딸이 죽기를 바라는 소망은 무의식과 의식의 대립 속에서 의식의 힘이 약해지고 무의식의 힘이 강해지는 시점에서 발현한다. 이 발현의 접점을 제공하는 매개체는 알코올인데 운명과 윤리의 힘에 의해 억압되어 있던 무의식이 알코올의 힘에 의해 억압의 강도가 약해지는 순간 순식간에 분출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된다. 첫째 코스톨라니의 대표 소설 중 하나인『퍼치르터』는 프로이드 이론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고 정신분석 이론의 주요 개념들과 이론이 이 소설 속에 그대로 적용되어 있다. 둘째, 코스톨라니 본인이 ‘인생도 흘러가고 젊음도 지나간다. 모든 것이 지나가고 변하지만 아무 것도 해결되는 것은 없다.’라고 고백하듯 코스톨라니의 문학관과 세계관은 비관적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은 소설의 구조에서도 알 수 있는데『퍼치르터』가 13개의 장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사건이 금요일에 시작되어 일주일 후인 금요일에 끝을 맺는 것 역시 이를 암시한다. 숫자 13과 금요일은 유럽에서 일반적으로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것들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퍼치르터가 집으로 돌아온 후 비둘기를 다시 새장에 가두는 장면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As one of Hungarian representative writers in the 20th century, Kosztolányi played a role of incorporating the Hungarian literature, which lagged behind Western European literature, into the mainstream of Western European literature by escaping from the realism, which led the Hungarian literature, and applying the various literary styles from the West European literature to his works. He can be considered to be a writer who realized “l'art pour l'art” advocated by Théophile Gautier, a French writer and critic in the 19th century; he also referred himself to as “homo aestheticus.” Greatly influenced by S. Freud’s psychoanalysis, his representative fiction works, such as Nero, a véres költő, Pacsirta, Édes Anna, deal with the conflict, trauma and unconsciousness among characters sharply and finely. Living together with others within the framework of society, human beings are generally compelled to be subject to stress and complex. According to character and circumstances, some get their stress and complex properly managed, but with the simultaneous outbreak of inherent stress and complex, others are seriously damaged or destroyed in their human relations. As an intermediate work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Pacsirta shows that stress and complex are properly managed within the framework of moral and ethics, while Vajkay Ákos and his wife restlessly wander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but consciousness is sometimes pressed by unconsciousness, causing conflicts. In Pacsirta, the trauma inherent in the hero’s unconsciousness always tends to manifest itself outside the consciousness, which is thwarted by fate and ethics. Prevented from manifestation, the trauma seeks an opportunity of being manifested continuously through dream, fantasy, imagination etc. Vajkay‘s hatred toward his daughter and wish for death in his unconsciousness are revealed, when consciousness gets weaker and unconsciousness gets stronger in the conflicts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 very medium offering a contact point of the manifestation is alcohol, which instantly manifests the unconsciousness suppressed by fate and ethic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Pacsirta, directly influenced by Freud’s theory, shows the major concepts of his psychoanalysis. Second, his view of literature and world is pessimistic, as seen in his confession. This is indicated by its structure: the work consists of 13 chapters, and an event begins on Friday and ends on Friday in a week. In general, 13 and Friday are regarded as negative in Europe. This is shown by the scene that Pacsirta returns home and confines a pigeon in a cage again.

      • KCI등재

        칼 융의 무의식 개념과 정신에서의 자기인식의 의미

        진 숙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lf-cognition in the concept of unconsciousness and psyche, i.e. the conscious unconsciousness suggested by Carl Gustav Jung of analytical psychology. First it will look at the difference in the concept of unconsciousness, the structure of personality and the recognition of unconsciousness in the philosophy between Jung and Freud. Human psyche is beyond explanation through the concept of consciousnes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human psyche and minds as a whole, we need to discover the meaning of unconsciousness and why we need to know it. Jung calls the entire personality 'psyche' and the science of mind is referred to as ‘psychology’ in modern times. In this sense, the psyche embrace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helps us to adjust and adapt to the environment in which we belong. This concept supports Jung’s basic idea which is the belief that a human being is inwardly whole. We humans are already inwardly focused by birth and branch out into and develop such wholeness and become harmonized. When harmony and balance are broken in this process, illness of the mind arises and life falls into poverty. Our ultimate purpose is to rediscover that wholeness which we have lost and build the strength to consolidate our psyche in a conflicting or disrupting situation. As a way to increase this power, we will discuss the meaning of Self-Cognition, that is, the conscientization of the unconsciousness. For this, we first examine how Freud and Jung unravel and develop the concept of the unconscious, and then discuss what the unconscious means to us living in the modern world and why we need to know about it. Our life of goal is to live our own life being oneself; as highlighted by Jung self-recognition is more important than self-realization. Thus, continuous effort, patience and philosophical wisdom are required. Therefore, it intends to investigate why being oneself and then achieving Self–Cognition are important goals for modern people and how they’re recognized. 이 글은 분석심리학의 칼 융(Carl Gustav Jung)의 무의식 개념과 정신에서의 자기인식, 즉 무의식의 의식화에 대한 의미를 알아본다. 이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융과 프로이트의 무의식 개념에 대한 차이와 인격의 구조, 그리고 철학에서의 무의식의 인식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의 정신은 의식의 영역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의 정신, 마음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의식이란 어떤 의미를 가지며, 왜 알아야 하는지에 대해 밝혀야 한다. 융은 전체로서의 인격을 ‘정신(psyche)’이라 부르며 현대에는 마음의 과학을 심리학이라고 하듯이 ‘마음(mind)’이라 한다. 여기에서 정신은 의식과 무의식 전체를 포함하며 우리가 속한 환경에 대해 조절하고 적응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개념은 융의 기본 사상인 인간은 본래부터 하나의 전체라는 것을 뒷받침해준다. 우리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이미 전체성을 가지며 우리는 이 전체성을 분화시키고 발전시키는 것으로서 조화를 이루어 가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조화와 균형이 깨질 때 마음의 병이 생기며 삶은 빈곤해진다. 우리의 궁극적 목적은 잃어버린 전체성을 찾아 갈등이나 분열의 상황에서 우리의 정신을 강화하는 힘을 키우는 것이다. 이러한 힘을 키우기 위한 방법으로 무의식의 의식화, 즉 자기인식의 의미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프로이트와 융이 어떠한 방식으로 무의식의 개념을 밝히고 전개하는지 살펴 본 후 이를 토대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무의식은 어떤 의미이며, 왜 알아야 하는지 논의한다. 우리 삶의 목표는 궁극적으로 자기답게 사는 것, 즉 융이 강조했듯이 자기실현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기를 인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개인의 지속적인 노력과 인내, 철학적 지혜가 절실하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자기다움 그리고 자기인식은 왜 중요하며 어떻게 인식되는지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오토매틱 드로잉과 생성 예술 : 자율적 시스템으로서 무의식- 라깡의 무의식과 생성 미학의 측면에서

        권경아,윤준성 한국영상학회 2017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5 No.1

        본 논문은 예술 실험에서 시도된 무의식과 무의식의 표출 사이의 관계에 관한 고찰을 통해 무의식의 본질을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무의식의 표출은 주로 무작위한 형식으로 드러나며 이로 인해 무의식 또한 종종 무질서하고 혼란스러운 상태로 여겨진다. 따라서 무의식의 표출에 대한 추적은 역으로 무의식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가져다 줄 수 있으며, 예술 실행에서 무의식의 역할 또한 확장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세기 초 초현실주의자들은 무의식의 기술(記述)을 시도한다. 무작위한 형태로 표현된 이들의 작품은 무의식이 체계가 없는, 일종의 무질서한 상태로 여기게 한다. 이런 무작위한 형식은 생성 미학에 기반을 둔 생성 예술에서도 종종 나타나는데, 이것은 생성 예술이 예술가의 통제에서 벗어난,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가진 시스템을 도입하는 데서 비롯된다. 하지만 생성 예술에서 나타나는 무작위한 형태는 규칙과 자율성의 정도에 따라 발생되는 예측 불가능함에 의한 것이며, 이런 상호작용의 결과는 기존 질서와는 다른 새로운 질서가 된다. 즉, 체계 내에서 생성되는 무질서는 특수한 형태의 무질서이며, 무작위한 형식은 무질서에 의한 것이 아니라 질서에 의한 무질서화의 결과이다. 여기에 더해, 심리학과 진화 심리학, 신경 과학에서의 무의식의 발생에 관한 연구는 무의식이 뇌신경의 상호작용과 언어를 통해서 비롯됨을 보여주며, 언어와 무의식의 관계를 통해 무의식이 독립된 구조를 가지고 자율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존재임을 시사한다. 이런 관점은 라깡의 언어처럼 구조화된 무의식이라는 개념을 통해 보다 면밀하게 고찰될 수 있으며, 따라서 무의식은 한 시스템 내에서 서로 다른 요소들 간에 작용하는 규칙과 자율성, 그리고 예측불가능성 사이에서 미적 창조의 가능성을 실험하는 생성 예술을 통해 자율적 시스템이 된다. This paper explores the essence of unconsciousness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conscious and the description of the unconscious in art experiments. The description of the unconscious is mainly revealed in random states. Hence, unconsciousness is also considered in states of disorder or randomness. Therefore, traces of descriptions of the unconscious can conversely bring about an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the unconscious, which can be expected to expand the role of unconsciousness in the practice of art. The work of surrealists, expressed in a random form, makes it appear as if the unconscious exists in a disordered state without a system. This random form also appears in generative art based on generative aesthetics, which derives from the use of a certain autonomous system, beyond the control of the artist. However, the random form in generative art is due to the unpredictability of the components between rules and autonomy, and the result of this interaction becomes a new order which differs from preexisting order. In other words, the disorder generated within the system can be regarded as a very particular form of disorder; therefore, the random form is the result of disorder caused by order, not by disorder itself. In addition, studies of the initiation of unconsciousness in psychology, evolutionary psychology, and neuroscience show that the unconscious comes from the interaction of the cranial nerves and language, suggesting that the unconscious is a self-evolving entity with an independent structure akin to languag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unconsciousness. This view is considered more closely through the concept of structured unconsciousness, as expressed by Lacan. Thus, the unconscious becomes an autonomous system in contemporary art that explores the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elements within a system.

      • KCI등재

        칼 융의 사상과 다석 류영모 사상의 비교분석

        박정환(Jung-hwan Park) 한국종교학회 2017 宗敎硏究 Vol.77 No.1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ideas of C.G. Jung, a Western psychologist with Dasuk Ryu Youngmo who known as the spiritual man of Korea. In contrast to Freud, who had neglected unconsciousness as a repository of sexual desires, Jung found unconsciousness as an important research area by discovering the creativity and possibility of unconsciousness. For this reason, Jung, unlike other psychologists, has not only been much easier to compare with people with religiosity, but also the contents that can be revealed through comparison can be much richer. Therefore, by comparing two thinkers in the East and the West, I would like to find common points of their ideas and to reveal their ideas more deeply. The composi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keeping in mind the common sense of unconsciousness and nothingness(無), I want to compare Jung s unconsciousness with Dasuks nothingness(無) and void(虛空). They saw the unconsciousness and nothingness(無) as the basic foundation for forming human beings. Second, the questions about the center of nothingness(無) and unconsciousness, which can be seen as the innermost nucleus of human being as Selbst and Ölna, respectively, were raised. Jungs Selbst is the center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Dasuks Ölna is an immanent self(selbst) given by God. Jung and Dasuk insisted that we should go back to these two centers of humanity. Third, we reviewed Jung and Dasuks Christolog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one of Jungs prototypes was Christ. Their Christology has a lot in common in that it emphasizes the possibility of human beings distinct from orthodox Christianity. Finally, We compared ‘the individualization’ and ‘the Bataltagi(바탈타기)’ perceived by two people as the process of self–actualization. Given the life they have lived in, the two process are likely to be recognized as important goals for them.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bove two people, I tried to show that the two people made their way towards their goal of self-life, and that they lived for the completion of their own life and tried to inform others about it.

      • KCI등재

        『자매들』: 무의식의 의식화

        김상효 ( Sanghyo Kim ) 한국제임스조이스학회 2015 제임스조이스저널 Vol.21 No.1

        There is no doubt that one of the major themes of “The Sisters” is “paralysis.” In fact, many critics have tried to identify this same theme of the story from many perspectives; however, it seems very difficult or almost impossible for reader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paralysis naturally both at the level of the boy’s consciousness and within the context of the whole story. Therefore, I suggest that it is a more reasonable way to understand the theme of paralysis in the story by investigating it in the protagonist’s “unconsciousness” and its overt expression or “conscientization” in “The Sisters.” In the first paragraph of the story, even though he is unaware of the word itself and its meaning consciously, “I [the boy] said softly to myself [himself] the word paralysis.” In the context of the story, there is no way to explain his murmuring the word paralysis to himself from the perspective of his consciousness. From an unconscious point of view, however, it could be argued that his actions make perfect sense. Throughout Irish history, the Catholic Church was commonly both morally and spiritually corrupt and paralys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boy’s unconsciousness about the paralysis of the Irish priests and Irish Catholic Church was formed during his childhood by hearing stories about the paralysis repeatedly from family members and neighbours. Later, this unconscious idea emerged into the sphere of his consciousness through association with the word paralysis, and, furthermore, due to the influences of his external environments, specifically, Father Flynn’s physical paralysis. His conscientized unconsciousness becomes concrete as he is exposed to both the priest’s death and the confused discourse among the adults. This aspect of conscientization of unconsciousness reveals itself again in his dream and through his unconscious expression of emotion about the priest’s paralysis in the street. The paralysis of the Irish Catholic Church was exceedingly serious and has been repeated throughout Irish history to the extent that it dominated children’s collective unconsciousness. Joyce used the conscientization of the boy’s unconsciousness as a device to express the seriousness of this paralysis of the Irish priests and Irish Catholic Church of his day.

      • KCI등재

        전후 현대시에 나타난 정치적 무의식과 기호적 주체 연구 -서정주와 김춘수의 경우

        이민호 ( Min Ho Lee ) 한국기호학회 2014 기호학연구 Vol.40 No.-

        전후 현대시의 특질은 ‘상실과 회복’이라는 두 기의(記意) 속에 양적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전후 현대시에 나타난 이질적 양태는 제대로 규명되지 않은 상태다. 전후 현대시가 반복적으로 재현하는 기표(記標)는 주체의 분열과 공포, 유토피아적 욕망을 드러내고 있다. 궁극적으로 무의식의 구조화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전쟁의 외상적 기표들이 무슨 의미인가를 찾기보다는 어떻게 의미가 생성되는지 기호학적 실천을 요구한다. 이에 본고는 텍스트의 형식 분석과 더불어 시적 주체와 독자가 공유하는 동시대적 문제를 조명하였다. 더불어 개인사, 가족 구조, 사회 문화적 상징질서, 정치적 무의식, 개인적 무의식 등을 동시에 탐구하였다. 전후의 주체는 ‘욕망하는 주체’이다. 그리고 ‘잃어버린 대상(objet a)’을 찾아 끝없는 미로를 헤매는 운명으로 환상구조(環狀構造)를 이룬다. 이때 잃어버린 대상은 무의식속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므로 의미가 대치되는 현상을 추적하면 드러나게 된다. 전후 이데올로기는 주체에게 가해지는 공포로서 ‘증상적 기호’라 할 수 있다. 첫번째 의미화 과정은 기표 ‘식민주의’와 기표 ‘전쟁’이 은유적 대치과정을 통해 나타나고, 두 번째 의미화 과정은 기표 ‘전쟁’과 기표 ‘전후 이데올로기’와의 환유적 치환 과정을 통해 나타난다. 서정주의 ‘소리공포’와 김춘수의 ‘환지공포’라는 증상적 기호는 전후 현대시에 전제될 수밖에 없는 주체 상실의 두 가지 기표, 즉 ‘식민주의’ 기표와 ‘전쟁’의 기표가 의미화 과정을 거쳐 나타난다. 그러므로 주체가 겪고 있는 ‘소리공포’의 증상적 기호는 식민주의와 전쟁 경험이 만들어낸 사후적 병적 징후라 할 수 있다. 전후 서정주와 김춘수의 시에 자리하고 있는 ‘가족주의’, ‘자유주의’는 식민지 시대 혼종화된 주체와 해체된 주체의 무의식을 환상구조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당대에 스스로를 희생의 중심에 놓고 과거의 행적을 기만하려 했던 사회적 이념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후 현대시의 상실과 회복의 기의는 가족주의와 자유주의 담론에 함몰된 비역사적 무의식의 담론이라 할 수 있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poem in the postwar achieved quantitative achievements with two signified of ‘loss and restoration.’ But, heterogeneous features in the contemporary poem in the post war period have not been properly. The signifiers that are repeatedly represented in the contemporary poem in the postwar include splitting, fear and Utopian desire of the subject. Ultimately, it requires structuralization of unconsciousness. And, traumatic signifiers of a war require semiotic practices on the creation of meaning instead of seeking meaning of those signifiers.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mporary problem which the poetic subject shares with readers together with the format analysis of texts.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personal history, family structure, social and cultural symbolic order, political unconsciousness and personal unconsciousness at the same time. The subject of the postwar is ‘desiring subject. And, it forms annulations with destiny wandering in an endless labyrinth in search for ‘a lost object (objet a).’ In this point, the lost object is recorded in the unconsciousness. Therefore, it is revealed if any replacement phenomenon in terms of meaning is sought. The postwar ideology can be said as a ‘symptom sign’ as a fear adding to the subject. In the first signifying process, a signifier ‘colonialism’ and another signifier ‘war’ are revealed in the process of metaphorical replacement process, and the second signifying process is demonstrated by a metonymic substitution between a signifier ‘war’ and another signifier ‘postwar ideology.’ For Seo, Jeong-ju, the symptom sign as ‘fear of sound’ and For Kim, Chun-su, the sympton sign as ‘fear of phantom limb pain’ is expressed by the signifying process of two signifiers of loss of the subject as ‘colonialism’ and ‘war’ that must be premise of the contemporary poem in the past war period. The threat for expulsion which the subject suffer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connected to the sorrow and ugliness of the Korean War in related to the images of sorrow and ugliness. Therefore, symptom sign of ‘fear of sound’ for the subject is an ex post pathological sign which experiences of colonial life and war created. ‘Familism’and ‘Liberalism’ in the poem of Seo, Jeong-ju and Kim, Chun-su in the postwar period shows the unconsciousness of contaminated subject and the dissolved subject in the colonial period as annulations. It reflects the social ideology to put self at the center of sacrifice in order to deceive past behaviors. Therefore, the signified of loss and restoration of the contemporary poem in the postwar is a narrative of unhistorical unconsciousness that was impaired by a narrative of familism and liber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