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자산동결에 관한 제재결의 이행

        백지열(Paek, Ji Yeol) 국제법평론회 2021 국제법평론 Vol.- No.59

        The United Nations (UN) began to use asset freeze as a form of targeted sanction in the late 1990’s. The UN Security Council used asset freeze to prevent the sanctioned individuals or entities from engaging in harmful behaviors. Today, most of the UN’s sanctions regimes utilize asset freeze. Over the years, many advancements have been achiev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UN Security Council’s resolutions on asset freeze. However, there are many issues that still persist with regard to the implementation. This study examines and assesses the current status of the UN’s asset freeze system and Korea’s implementation of the sanction. To that end, this study compares the sanctions of the UN and the World Bank, along wit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aws regulating the implementation of asset freeze. It also analyzes cases involving asset freeze such as the Bank Mellat case. Issues with the UN’s asset freeze syste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UN’s asset freeze sanctions is undermined by various factors. The obscure language of sanctions on asset freeze makes it difficult to articulate the targets and objects of asset freeze. In addition, the UN has failed to prevent individuals and entities subject to asset freeze from evading asset freeze through various means. Secondly, the UN’s asset freeze system lacks transparency. The public is only provided with summaries of why certain individuals and entities have been subjected to asset freeze. The UN does not publicly disclose the reasons for decisions on delisting requests. Furthermore, the UN due process is not guaranteed with regard to asset freeze. The UN does not directly notify asset freeze to those subject to the sanction, and the outcomes of delisting requests are restricted by the intentions of the relevant countries. The UN does not have its own review mechanism for delisting requests. The UN should address these issues with the asset freeze system. First, the UN should work toward effective implementation by adopting standardized definitions of terms related to asset freeze, and analyzing and addressing asset freeze evasions. Next, in order to promote transparency, the UN should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regarding the reasons for listing, and disclose the texts of decisions on delisting requests. Futhermore, the UN should guarantee due process by directly notifying asset freeze to those subject to the sanctions, and create a review mechanism for delisting requests. Issues with Korea’s implementation of asset freeze measure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in Korea, the effectiveness of implementation is undermined by legislative gaps for certain transactions and sanctions regimes, and evasions of asset freeze using won-denominated accounts. In addition, Korea does not properly guarantee due process in its implementation of asset freeze. Korean laws lack provisions on delisting, and do not provide adequate procedural rights regarding asset freeze. Moreover, regulation of asset freeze implementation in Korea is divided between two regimes: the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Act regime, and the Act on Prohibition Against the Financing of Terrorism and Proliferation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regime. Such division undermines alignment with the UN’s resolutions on asset freeze, and causes confusion regarding the relevant terms and procedures. Korea should address these issues with asset freeze implementation by working towar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sanctions, guaranteeing due process, and solving the issues caused by the division between two regimes. To achieve these improvement goals, this study proposes the enactment of the “Act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on Asset Freeze.”

      • KCI등재

        The UN's Smart Sanctions Regime and Its Human Rights Implications

        LEE, Seryon(이세련) 대한국제법학회 2011 國際法學會論叢 Vol.56 No.3

        국제공동체에서 개인과 국제기구는 비록 제한된 범위라 할지라도 그 지위와 역할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국제기구는 국가의 임의적 행위로부터 개인의 기본권리를 보하는 역할을 담당하지만, 국제기구가 국가행위에 미치는 영향이 확대되면서 국제기구에 의하여 개인의 기본권리가 제한되기도 한다. 이는 바로 가장 보편적이고 대표적인 국제기구인 UN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UN 안보리 제재위원회(Sanctions Committee)는 국제평화와 안보의 유지 기능면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타 위원회에 비해 잘 알려지지 않은 폐쇄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다. 1992년 소말리아와 에리츠리아를 시작으로 2011년 리비아를 대상으로 현재 12개의 UN 안보리 제재위원회가 운영 중에 있다. 기술적인 관점에서 볼 때 안보리의 제재조치는 유엔헌장 제7장에 의거하여 군사적과 비군사적 조치로 구분이 되지만 ‘sanction’ 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군사적 조치를 배제한 경제적 조치를 의미하며 이는 다시 포괄적 혹은 표적 제재로 구분이 된다. 1990년 이라크를 대상으로 한 포괄적 제재조치는 이라크 내의 인도적 재앙을 초래하였고, 이를 교훈삼아 마련된 것이 소위 “smart”혹은 표적 제재조치이다. 대다수의 연구에 의하면 smart 제재조치가 포괄적인 제재조치보다는 효율적이지만, smart 제재조치의 성공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용이한 일은 아니다. 또한, 인도적 고려로 인해 탄생한 smart 제재조치 역시 인도적인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도 역설적이다. 가장 대표적인 smart 제재조치는 2011년 9/11 테러를 계기로 채택된 UN안보리 결의안 1267으로, 오사마 빈 라덴 및 탈레반과 관련된 개인과 집단에 대한 경제적 제재조치가 가해졌다. 이들은 소위 ‘Consolidated List’에 포함되어 여행과 자산의 동결조치가 취해졌는데 2002년 당시에는 표적이 되는 개인 혹은 집단에 대한 통보 및 이유를 게재하는 절차가 마련되지 않았다. 절차적 미비에 대한 비판에 직면한 UN 안보리는 이후 일련의 결의안을 통하여 표적 제재조치를 취함에 있어 투명하고 상세한 절차들이 마련되었다. 하지만 더욱 중요한 표적제재로부터 해제되는 절차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이다. UN은 국제평화와 안보의 유지와 기본인권의 보호라는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그 어느때보다 최대의 딜레마에 직면하고 있다. smart 제재조치의 본연의 목적이 부수적인 인권침해를 예방하기 위한 사실을 상기하며 이를 보안하고 대안할 수 있는 조치가 절실한 상황이다. 가장 최근에 마련된 개선책인 옴부즈맨의 역할을 강화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일 것이다. The status and roles of individuals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though in a limited sense, have been strengthened and increased in international community. Particularly international institutions function as a means to secure the fundamental rights of individuals against arbitrary state conduct. However, with the increased impact by such institutions on state, the basic rights of individuals can be restrained by international institutions, themselves. This issue is what the UN, which is the most universal international institution, might be currently facing. The UN Sanctions Committee, while least known due to its closed nature, may be most important organ as the UN"s mechanism of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Starting with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751 in 1992 concerning Somalia and Eritrea, currently 12 sanctions committees are on operation. From a technical point of view, the term sanction would encompass both the military and non-military measures under Chapter VII of the UN Charter. However sanction imposed by the UN generally refers to economic restriction against states or against individuals and non-state entities. The comprehensive sanction against Iraq in 1990 has resulted in a massive humanitarian crisis with collateral damages to Iraqi civilians. With the lessons learned from this case, the UN has approached to so-called smart sanction or more commonly known as targeted sanctions. It is quite ironic that smart sanctions were initiated to cure the humanitarian crisis, yet they also face the criticisms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response to such criticism, UN Security Council has passed a series of resolutions between 2002 and 2011 to fill the gap of procedural deficiencies. Substantial progress as to the listing process has been made, yet there still remains concerns for the delisting procedure, at the moment. In balancing between international security and fundamental protection of human rights, the UN Security Council must remind itself of the fundamental purpose of smart sanction.

      • KCI등재

        UN의 대북한 경제제재의 한계: 강제성의 제한과 전략적 선택의 확대

        양운철,하상섭 통일연구원 2012 統一 政策 硏究 Vol.21 No.2

        This article analyzes the detailed content and effectiveness of the United Nation’s economic sanction against North Korea provoked by the North’s decision to conduct it’s two nuclear tests. This article first analyzes the specific content of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718 and 1874, while also focusing on its practical limitations. Contrary to the UN’s objective,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economic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re not as effective as intended. In relation to the requirement for member states to report North Korea’s violations, only 93 member states among 193 participating nations have reported cases, a mere 48 percent participation rate. The search and seizure of luxury goods constituted the lowest record among reports filed to the UN. The UN’s North Korea sanctions are confronted by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the UN lacks enforcement measures to force member states from participating i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e UN can play the role of ante reassurance of actors by enhancing cooperation but it lacks the capacity to impose post punishment against nations that fail to comply. Second, there is discordance between the volition and capacity of participating major players. China who holds the largest political and economic influence over North Korea is not an active participant of sanctions, while the US, despite taking the lead in imposing sanctions, is unable to exert leverage aside from military pressure. South Korea is in an unique position of participating i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being unable to sever ties with the pariah state.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the May 24th measures,the expansion of the Kaesung Industrial Complex belittles effects of sanctions against the North. Third, the UN’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as a selective measure targeting the governing regime. However, unlike its limited effect on the regime, the enforcement measures have damaged humanitarian efforts toward the North Korean people. In conclusion, the primary cause that reduces the effectiveness of the UN’ 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can be identified by a conflict of interest between the major players. China’s reserved attitude toward participating in the sanctions stems from the need to expand its influence over North Korea and simultaneously confront a rise in pro-American elements in neighboring countries, a result of the US pivot back to Asia strategy. If the competitive landscape between China and the US continues in the future,the UN’s economic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ill continue to have little impact. 이 글은 북한의 1·2차 핵실험으로 인해 촉발된 UN의 대북 경제제재의 구체적 내용과 실효성을 분석하고 있다. 먼저 UN안보리의 대북제재결의안 1718호 및 1874호의 구체적 내용을검토하고, 결의안 실행의 한계가 무엇인지를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UN의 목표와다르게 대북 경제제재의 효과가 낮게 나타나고있었다. UN이 요구하는 북한의 위반사례 보고와 관련해서 UN의 제재참여국 193개국 중 93개국만이 보고하고 있어, 보고율은 48%에 머무르고 있다. 제재안이 결의된 후 초반에는 보고율이 높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점차 보고율이 떨어지는 추세를 보였고, 제출된 보고서도질적인 면에서 내용이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치품의 수색 및 압수에 대한 보고율이 매우 낮았다. UN의 대북제재가 잘 시행되지 않는 데에는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첫째, UN은 대북 제재안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 국가를 처벌할 강제력이 결여되어있다. 실제로 UN은 국가들의 공조를 가능케 하는 ‘사전적 재보증(ex ante reassurance)’의 역할은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지만, 제재와 관련한국제공조를 성실히 이행하지 않는 국가에 대한‘사후적 처벌(ex post punishment)’의 강제성은없다. 둘째, UN의 대북제재에 참여하고 있는주요 국가들의 제재에 대한 의지와 능력에 불일치성이 존재한다. 북한에 대해 가장 큰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보유하고 있는 중국은 대북제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있고, 제재를 주도하고 있는 미국은 북한에 대한 군사적 압박을 제외하고는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없는 것이 현실이다. 강력한 군사적 압박 수단은 미국의 세계전략 운영차원이나 동북아 정세를 감안할 때 실용적인 정책수단으로 활용되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 한국도 대북 경제제재에 참여하고 있지만 북한과의 관계를 아주 단절할 수 없는 특수한 상황에 처해 있다. 따라서5·24조치에도 불구하고 개성공단의 사업은 계속 확장되어 대북 경제제재 효과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UN의 대북제재는 제재대상국의 지배세력을 목표로 하는 선별적 제재이지만 실제로는 지배세력에게 큰 타격을 주지못하였고 오히려 국제사회의 인도적 지원 감소로 북한의 일반주민들에게 피해를 준 점도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결론적으로 보면, UN의 대북제재 효과를 감소시키는 가장 큰 요인은 주요 행위자인 미국과 중국의 국가이익이 대립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기타 국가들은 대북 경제제재 참여와관련한 정책적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중국이UN의 대북제재에 소극적인 이유는 첫째, 북한에 자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서이고 둘째, 미국 오바마 정부의 동아시아 회귀 정책에따른 역내 국가들의 친미 성향 강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고 판단된다. 앞으로도 동아시아에서 미국과 중국의 경쟁구도가 지속된다면 UN을 통한 대북 경제제재는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유엔 안보리의 대(對)북한 제재 연구 - 분야별 주요 내용 및 주요국의 이행을 중심으로 -

        박효민 한국법제연구원 2019 법제연구 Vol.- No.57

        North Korea's nuclear related activities have posed an imminent threat to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The UN Security Council has been taking a leading role in taking collective measures in response to North Korea's nuclear tests and ballistic missile launches. From its initial adoption of the Resolution 1718 on 9 August 2006, for almost two decades, the UN sanctions on North Korea pursuant to existing ten(10) UN resolutions have become broader and stronger. This paper defines the concept of 'sanctions' as "UN Security Council's non-forcible measures imposed against a country threatening or breaching the peace- not upon the violator of international law as such to change its behavior, with an aim to restore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based on Article 41, Chapter VII of the UN Charter." This paper's main focus is on the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o impede the country's advances in nuclear and ballistic missile weapons, which is deemed illicit under international law. This paper starts with explaining UN sanctions in general including their legal bases and types. It further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existing United Nation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based on sectoral approach. Compiling certain measures imposed by a number of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this paper contributes to give exact and comprehensive pictures of the current North Korea sanctions regime. Finally, this paper reviews how much the North Korea sanctions regime under the UN has been developed and assesses som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existing resolutions' languages. It then casts doubt on whether current North Korea sanctions regime could be categorized as actual 'targeted sanctions' and considered 'well-implemented within a country's jurisdiction.' This paper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s to improve current UN sanctions regimes and states' practices of implementations through devising sanctions regimes more carefully and refraining from imposing unilateral sanctions. 북핵 문제에 대한 전세계적 노력은 유엔 차원에서 지속되고 있다. 2006.8.9. 북한의 최초 핵실험 직후 유엔 안보리 결의 제1718호 채택으로 최초 대북제재가 도입된 이래 최근까지 유엔 안보리는 10개 대북제재결의를 채택하였고, 유엔 대북제재 조치는 지속적으로 강력해졌다. 제재(Sanctions)는 국제법상 정의가 존재하지 않기에 많은 논의가 있지만, 본 연구는 특히 유엔헌장 제7장 제41조에 근거하여 유엔 안보리가 ‘평화에 대한 위협, 평화의 파괴 혹은침략행위’를 한 국가를 상대로 국제 평화와 안전을 회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동 국가의 행위변화를 강제하기 위해 취하는 비무력적 조치를 제재로 정의하고, 특히 북핵문제에 대응하여유엔 헌장 제7장 제41조에 근거하여 유엔 안보리 차원에서 취해진 제재를 연구 범위로 한정한다. 본 연구는 우선 유엔 안보리에서 부과하는 제재의 법적 기초 등 제재 일반론에 대한 국제법적 측면에서 설명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를 주요 내용별로 분석한다. 그간 유엔 안보리 결의문별 분석은 많이 있었지만 유엔 안보리 결의문 전체 내용의 분야별 내용에 대한 정확한 분석은 이루어진 적이 없다. 하지만 실제 유엔 대북제재 관련 업무시우선 필요한 것은 현재 대북제재 내용의 분야별 분석 자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북제재의 분야별 주요 내용을 면밀하게 분석함으로써 각 결의문별로 흩어져 있는 내용을 분야별로합치고, 어떻게 그 내용이 발전되어 왔으며 현재의 내용은 무엇인지까지의 포괄적인 분석을제공한다. 마지막으로는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주요 내용에 대해 평가를 하여 현재 대북제재 결의문상 문제점을 분석하며, 현재의 대북제재의 한계점을 드러내며, 향후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 마무리한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국제사회의 다양한 제재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지속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서해평화협력지대 구상과 UN 제재: 공동어로구역 설정과 UN 대북제재와의 저촉 가능성에 대한 검토

        이세련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0 동북아법연구 Vol.14 No.2

        Since the mid-1990s,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as been quite dynamic. As the tension in the West Sea escalated, the Declaration on the Advancement of South-North Korean Relations, Peace and Prosperity in 2007, commonly known as October 4 Declaration, was signed between the two Koreas to prevent the potential military conflict. This Declaration states that the South and the North agreed to create a special peace and cooperation zone in the West Sea as well as a joint use of the Han River estuary. In order to implement such agreement, the matters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peace and cooperation zone in the West Sea for the peace in the region and common benefits were included at the Ministerial-Level Meeting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eld in 2017. In line with this development, the Military Agreement of September 19, 2018 included the provisions on designation of joint fishing area within the peace maritime zone in the West Sea. This article primarily examined whether designation of such joint fishing area is in violation of the UN sanctions against Korea. As the paper explored the contents of UNSC resolutions relevant to humanitarian exemptions, the following activities could be available for exemptions by the 1718 UN Sanctions Committee : religious activity, activities to relieve the need of the civilian populations, medical/safety-related, food, medicine, and other humanitarian assistance deemed necessary by the Sanctions Committee. With respect to the designation of joint fishing area, first, such designation itself is not subject to UN Sanctions, yet there exist possibilities that fishing in such area could lead North Korea into conducing prohibited activity such as trading or exporting the seafood obtained from the joint fishing area. In this case, the Republic of Korea may be criticized and even responsible for agreeing to designate the joint fishing mostly due to the potential cash flow into North Korea. If South and North Korea jointly adopts the system to monitor such cash flow. Second, even if the designations fall under the measures prohibited the UNSC, humanitarian exemption can be invoked. However, the approval of such exemption is at the discretion of the Sanctions Committee. Third, exchange of commodities can contribute to solve North Korea's food shortage problem. Fourth, the most desirable approach will be easing the UNSC sanctions and possibly getting approval for humanitarian exemptions, if removal of sanctions are not viable. 1990년대 중반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남북관계는 역동적으로 변화해오고 있다. 1990년대 서해를 둘러싼 남북 간의 긴장이 고조됨에 따라 2007년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10.4 선언)은 서해의 우발적 군사적 충돌을 완화하기 위해 평화수역 지역, 경제특구 건설, 및 한강하구의 공동이용을 추진할 것을 합의하였다. 2018년 9월 19일 군사분야 합의서에는 평화수역 내 시범적 공동어로구역 설정 등이 포함되었다. 동 논문은 공동어로구역의 설정이 UN대북제재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검토하였고, 구체적으로 공동어로구역 설정이 “금지된 물품”에 해당되는지, 금지된 물품의 “공급, 판매, 이전”에 해당하는지 및 제재대상자의 어획 행위도 허용되는지를 각각 살펴보았다. UN 대북제재 결의에서 개별적으로 명기된 인도적 예외의 내용을 살펴본 결과, 종교적 행위 (1718호), 주민들의 필요를 직접 해소 (1874호), 의료, 안전 (2094호), 식료품, 의약품 (2094호), 제재위원회에서 검증된 필수적인 인도적 지원(2094호)이 공통으로 발견되었다. 2018년 8월을 기준으로 UN 대북 제재위원회가 승인한 면제는 총 26건이며 승인된 사안은 대부분 보건, 아동의 건강, 의료품 지원과 관련되었다. 공동어로구역 설정과 관련해서는 다음의 결론에 도 다를 수 있다. 첫째, 공동어로구역 설정은 UN 대북제재의 적용대상에 포함되지 않지만, 공동어로구역의 어획으로 인해 제재 대상 행위의 발생 가능성은 존재한다. 둘째, 공동어로구역 설정이 UN 대북제재의 적용대상에 해당하더라도, 인도적 예외조항을 활용한 접근이 가능하다. 특히 인도적 목적의 식량 지원을 주장할 수 있다. 다만 공동어로구역에서 북한이 어획한 해산물을 수출하는 경우 공동어로구역 설정에 합의한 대한민국의 책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UN 대북제재는 북한산 또는 북한을 경유하는 해산물의 교역을 이미 차단하고 있으므로, 대규모 자금의 유입 가능성은 없지만, 남북한 합의 하에 북한에 유입되는 자금의 흐름을 제도활 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부득이하게 북한산 해산물과의 교역을 추진하는 경우에는 북한에 필요한 현물과 교환하는 방식을 추진함으로써, 북한의 식량문제 해소와 함께 국제사회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을 것이. 넷째, 가장 이상적인 방식은 UN 안보리 대북제재의 완화방식이며 이를 위해서는 다각적인 외교적 차원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다.

      • KCI등재

        대(對)테러 · WMD 비확산을 위한 UN 금융제재 : 연혁, 효과 및 국제정치적 쟁점

        조현구(Hyun-Koo Cho)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09 평화연구 Vol.17 No.2

        본 논문은 실무적 중요성이나 우리 안보현실과의 직접적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국내 한계의 주목을 받지 못해온 UN금융제재의 실태, 효과 및 쟁점 등에 대해 논의한다. 첫째, 외교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융제재의 연혁 및 기본적인 메커니즘을 살펴보고 교역금지 등 일반적 경제제재수단과의 차이점을 부각한다. 둘째, 단편적으로 부각되어 온 금융제재의 효력 및 취약점에 대한 연구성과를 정리하여 실제 금융제재조치가 그 명성에 걸맞은 성과를 거두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셋째, 금융분야의 제재수단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여건이 만족되어야 하는지를 살펴보고 다양한 이해당사자간 타협문제는 어떻게 쟁점화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UN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안 등 1차 문헌을 분석하고 서구 학계의 논의 등 2차 문헌을 검토하는 한편, 미국 패터슨연구소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테러 · WMD 비확산 관련 금융제재의 빈도 및 효과를 추정하였다. 이를 통해 그간 언론보도에 치중되어 온 UN 금융제재에 대한 국내의 논의를 보완하고 UN 금융제재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Financial sanctions have increasingly taken on important roles in addressing global security problems such as terrorism and WMD proliferation. This article surveys the field of financial sanctions in pursuit of these security goals, especially those employed by the United Nations, by looking into their evolution, impact, and outstanding issues. In so doing, it seeks to highlight the underlying conditions for a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uch sanctions and elicit some useful lessons for dealing with the current North Korean nuclear issues. First, it illustrates modem-day financial sanctions mechanics in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with episodes from existing sanctions committees on Al-Qaeda (1267 Committee) and Iran (1737 Committee). It focuses on why the targeted sanctions regime came about and how it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economic sanctions. Second, it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financial sanctions in terror and WMD related activities in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terms, utilizing the database developed by the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Given the low success score in the area, it looks into a recent example of US Treasury’s sanction on Banco Delta Asia, often touted as an unexpected success, to suggest the potentials of such tools in the globalized finance. Finally. it lists some contentious political debates on the issue at the international level: legality of non-proliferation law; due process in the implementation of targeted sanctions. These areas are pointed out as the weak links that could endanger the proper functioning of financial sanctions regime at the United Nations. Against this backdrop, the article emphasizes the limitations of current financial sanctions policy to curb North Korea’s nuclear ambitions and suggests some policy tools at South Korea’s disposal, such as introducing the specific ‘asset-freeze’ clause in its legal framework, to improve the situation.

      • KCI등재

        유엔의 스마트제재 연구 : 앙골라 사례가 대북제재에 주는 시사점

        박지연 세종연구소 2015 국가전략 Vol.21 No.1

        “Smart Sanctions" could be ways to render sanctions a less blunt and more effective and also reduce the humanitarian costs to civilians. Therefore there might be more smart sanctions in the international politics for the next few decades. Certainly, in the case of sanctions towards North Korea, there have been smart versions of sanctions since the 2000s, and there would be more unless there is nuclear issues unsolved. This paper explores UN's smart sanctions to Angola(UNITA), then figures out implications to the case of sanctions to North Korea. There has been successful results from UN's smart sanctions to UNITA. That was for more detailed designation, and stronger authorities than before. Especially, in terms of enforcement authorities, states such as Togo and Gabon which had high trade linkages to UNITA, strongly required to implementing the sanctions using ex post punishment.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no success signal of smart sanctions towards North Korea yet. Contents in sanctions become detailed, but still there is no powerful authority. Like UNITA case, there should be ex post punishment to a state which has strong relationships with North Korea economically, such as China. If there is a punishment when China does not participate in UN's smart sanctions toward North Korea, it could be a signal not only to other senders, but also to North Korea. Therefore we can expect sanctions to be more successful. Also, for the North Korean case, six-party talks would be one of channels to enforce China to cooperate for the successful sanctions. 스마트제재는 한 나라 경제 전체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특정인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인도적 차원에서 부담감이 작을 뿐 아니라, 국제법을 위반하는 행위자에게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신호(signal)를 줄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외교적으로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될 것이며, 사용빈도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제사회는 무력제재를 도입하기 어려운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북핵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외교술로 스마트제재를 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외교적 노력은 향후 일정기간 지속될 것이다. 본 논문은 성공적인 스마트제재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앙골라에 대한 제재를 분석하여 대북 스마트제재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 있다. 앙골라의 경우, 제재안이 구체화되고, 제재이행에 대한 관리가 강화됨에 따라 제재의 효과가 증가하였다. 특히 제재안이 일정 수준 구체화된 이후에는 주변국들의 적극적인 제재 참여가 제재의 효과증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대북 스마트제재의 경우 제재가 반복되면서 제재안은 구체화되었으나, 여전히 효과적으로 이행되고 있지 못한 상태이다. 앙골라 사례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제재가 철저히 이행될 수 있도록 유엔 회원국, 특히 무역 연관성이 높은 주변국들의 참여를 강제하는 것은 제재효과 증진에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후적 처벌(ex post punishment)을 도입하여 제재 이행의 강제성을 높이는 방식이 효과적일 수 있다. 대북제재의 경우에는 중국에 대한 사후적 처벌의 도입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닐 것으로 판단된다. 물론 처벌의 방식이 간접적인 수준에 머물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지만, 처벌의 존재는 여타 회원국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북한에게도 국제사회의 제재 이행에 대한 강력한 시그널을 보내줄 수 있다. 또한 6자회담의 협상틀을 통해 중국의 대북제재 참여를 독려하고, 북한에게도 이와 관련해 강력한 시그널을 보내는 방법으로 유엔 스마트제재 효과 증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UN 대북제재 이행을 위한 항만 관계부서의 협력에 관한 연구

        함상연,최석윤 한국해사법학회 2024 해사법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을 대상으로 결의하는 제재조치인 대북제재 중 해양에서 적용되는 조항을 분석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해 항만관계부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우리나라는 UN 안보리가 채택될 당시 UN 회원국에 부과된 의무 때문에 적극적으로 이행하다가도 대북정책의 변화에 따라 평화적인 노선을 취하는 등의 대북제재 이행에 변화가 있었으나, 북한의 위협은 증대되고 있으며, 대북제재를 적극적으로 이행해야 한다. 대북제재의 주요 조치는 북한산 석탄, 철, 수산물을 전면 수입금지, 북한선박의 해상환적을 금지, 북한으로 수입되는 정유와 원유의 수입상한 설정과 같은대부분 해상에서 제재가 필요한 항목들이라 할 수 있겠다. 한반도 주변해역과 항만이 주요무대이기 때문에 우리나라가 주도적으로 이행해야 하며, 위와 같이 단속이 쉽지 않으므로 해군과 해양경찰 뿐만 아니라항만 관계부서의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대북제재를 이행을 위한 항만 관계부서 협력방안은 첫 번째, 관계부서의 대북제재 관련 정보(관심선박 목록, 위반사례, 선박위장)를 최신화해야 한다. 두 번째, 대북제재 법제도 개선 우수사례를 벤치마킹 해야 한다. 세 번째, 관계부서인 해양수산부, 지역세관, 해상교통관제센터가대북제재 이행지침을 마련하고 적용해야 한다. 네 번째, 해운업계가 대북제재이행을 위한 내부지침을 마련하는 등의 적극적인 협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ovisions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hich are sanctions resolved by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against North Korea, and studied the cooperation measures of port-related departments to implement them. When the UN Security Council was adopted, Korea changed its implementation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such as taking a peaceful line in response to changes in North Korea policy, even though it actively implemented the obligations imposed on UN member states. Most of the major sanctions on North Korea require sanctions at sea, such as a total ban on imports of North Korean coal, iron, and fisheries products, a ban on maritime transshipment of North Korean ships, and a cap on imports of oil and crude oil imported to North Korea. Since the waters and port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re the main stages, Korea must take the lead in implementing them, and since it is not easy to crack down as above, cooperation between the navy and the maritime police as well as port-related departments is essential. The first way to cooperate with port-related departments to implement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hich is intended to be presented in this study, is to update information o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by related departments (list of ships of interest, cases of violations, and ship camouflage). Second, it is necessary to benchmark best practices for improving the legal system for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ird, the relevant departments,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regional customs, and maritime traffic control centers, should prepare and apply guidelines for implementing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Fourth, active cooperation is required, such as the shipping industry preparing intern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 KCI등재

        UN 대북제재에 대한 북한의 위기관리전략 연구 : 북한의 외교성명에 대한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중심으로

        이현지(Lee, Hyeonji),이화준(Lee, Hwaju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21 亞細亞硏究 Vol.64 No.3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저지하기 위해서 UN 안전보장이사회는 2006년부터 본격적으로 대북제재 결의안을 채택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UN 대북제재에 관한 연구는 제재의 실효성을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것에 치중하고 있다. 하지만 UN 대북제재의 방향성을 전망하기 위해서는 대북제재에 대한 북한 당국의 인식과 대응 유형 파악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UN 대북제재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대응을 우선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북한에 가해지는 UN 대북제재를 위기로 보고 북한이 이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George의 위기관리전략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북한은 시간 벌기 전략, 기정사실화 전략, 팃포탯 전략, 공약 전달 전략, 제한적 떠보기 전략이라는 5가지 위기관리전략을 구사하였다. 공세적 위기관리전략에 해당하는 ‘기정사실화 전략’, ‘제한적 떠보기 전략’을 제외하고 북한은 대체로 수세적인 전략을 펼치며 UN 안보리 대북 제재에 대응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To deter North Korea from developing nuclear weapons, the UN Security Council has been adopting sanctions resolution since 2006. To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UN sanctions, it is not enough to analyze the change in Pyongyang’s economic scale with statistical figures. Finding out North Korea’s perception and responses to the UN sanctions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sanctions. On the basis of the limitation of existing researches, this study sought to first grasp North Korea’s perception and response to UN sanctions. This study set the UN sanctions as a crisis to North Korea, and analyzed the way North Korea manages the crisis based on George’s analysis of crisis management strategies. North Korea used five crisis management strategies: Buying time strategy, Fait-accompli strategy, Tit-for-tat strategy, Limited probe strategy, and Conveying commitment strategy. North Korea is found to deal with the crisis mostly with defensive strategies. While North Korea’s physical and verbal provocations toward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eem offensive, network analysis confirmed that North Korea’s foreign policy is quite defensive.

      • KCI등재

        유엔 및 국제사회의 대북한 제재 조치와 실효성에 대한 경험적 접근

        이헌경 한국통일전략학회 2017 통일전략 Vol.17 No.3

        This study is to know sanctions and effectiveness of the UN and the international society against North Korea. For this, it is to analyze the case studies on sanctions,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the US secondary boycott, South Korean, Japanese, EU and other countries’ independent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t is also to analyze Chinese response and effectiveness in respect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n terms of inputting various variables. As described from the empirical study, effectiveness and success rate of economic sanctions are low. In a case of North Korea, effect of sanctions had not been achieved due to China’s low performance in conformity with corresponding measures. However,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270 and 2321 in 2016 together with sanctions by each country’s independent sanctions are the powerful comprehensive sanctions measure on the basis of blocking financial transactions. The Resolution 2356 in 2017 is to give a strong warning message to North Korea. Such measures are a smart sanction for effect of sanctions by means of reducing foreign exchange earning into Kim Jung Un. The effectiveness or ineffectiveness with regard to international society’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s controversial as before. But to be obvious is the effectiveness or ineffectiveness on th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depends upon China’s variables. The goal achievement may take more time, but implementation is a step to advance the goal accomplishment when an ultimate goal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s denuclearization. This is the process and direction to advance for the goal achievement. 본 연구는 유엔 및 국제사회의 대북한 제재 조치의 실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재에 대한 사례연구를 분석하고, 유엔 대북제재결의안과 미국의 세컨더리 보이콧 그리고 한국, 일본, 유럽연합, 기타 국가들의 독자 대북제재 조치 등을 알아보면서 중국의 대응과 여러 변수를 투입시켜 대북제재 조치의 실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경험적 연구에서 묘사되듯 경제제재의 실효성 및 성공률은 낮다. 북한의 경우는 중국의 상응적 조치의 낮은 이행으로 제재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개별 국가들의 독자 대북제재 조치와 2016년부터 취해진 유엔 대북제재결의안 2270호와 2321호는 금융거래 차단 중심의 포괄적이면서 강력한 제재 조치를 담고 있으며, 2017년 결의안 2356호는 일종의 경고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이러한 조치는 김정은에게 직접적으로 가는 외화수입을 줄임으로서 제재 효과를 거두려는 ‘똑똑한 제재’이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대한 실효성 여부는 여전히 논란에 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중국변수에 의해 대북제재의 실효성과 비실효성이 나타날 것이다. 대북제재의 궁극적 목표가 비핵화임을 감안할 때 목표달성은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으나 그 이행은 목표달성을 위해 진행되는 수순이다. 이는 목표달성을 위해 나아가야 할 과정이며 방향인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