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Treponema denticola와 Treponema lecithinolyticum의 분쇄액이 치은섬유아세포의 Cytokine 분비 및 Matrix metalloprotein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서혜연,최봉규,최성호,조규성,김종관,채중규,Suh, Hye-Yuhn,Choi, Bong-Kyu,Choi, Seong-Ho,Cho, Kyoo-Sung,Kim, Chong-Kwan,Chai, Jung-Kiu 대한치주과학회 1999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치주질환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알려진 구강내 spirochetes 균중 Treponema denticola 분쇄액(TDC)과 가장 최근에 분리 배양된 Treponema lecithinolyticum 분쇄액(TLC)이 치은섬유아세포의 cytokine 분비 및 matrix metalloproteinase(MMP)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균의 분쇄액을 치은섬유아세포에 처리한 후 Interleukin-6(IL-6)와 $Interleukin-1{\beta}(IL-1{\beta})$의 분비 증가 여부를 ELISA를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또한 gelatinase zymography와 gelatin 분해능 측정을 통하여 교원질 분해 효소의 하나인 pro-MMP-2(progelatinase A)의 활성화 여부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TDC와 TLC가 치은섬유아세포의 IL-6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TDC 와 TLC 처치군에서 세균 분쇄액이 없는 비처치군에 비해 IL-6 분비량이 증가하였으며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2. TDC 와 TLC로 처리한 치은섬유아세포의 $IL-1{\beta}$ 분비는 측정 가능치(1pg/ml)이하의 분비량이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IL-1{\beta}$의 분비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3. 치은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되는 분자량 72 kDa의 pro-MMP-2가 TDC와 TLC에 의해 활성형으로 발현되어 zymography상에서 62kDa의 위치에 clear band로 나타났다. 4. 치은섬유아세포가 분비하는 MMP-2의 gelatin 분해능이, TDC와 TLC 처치군에서 비처치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 성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5. TDC 처치군에서는 gelatin 분해능에 있어서 세균 자체의 serin protease의 영향이 있었으나 TLC 처치군에서는 치은섬 유아세포의 MMP에 의해서만 gelatin이 분해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TDC와 TLC는 치은섬유 아세포를 자극하여 IL-6 의 분비는 증가시킬 수 있으나 $IL-1{\beta}$의 분비에는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치은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되는 pro-MMP-2를 활성형으로 발현시켜 결합조직의 파괴를 야기함으로서 치주 질환의 병인론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observe the effect of Treponema denticola cell sonicates(TDC) and Treponema lecithinolyticum cell sonicates(TLC) on cytokine secretion and matix metalloproteinase-2(MMP-2) activation of cultured human gingival fibroblast. Sever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cluding $IL-1{\beta}$, IL-6 ELISA for the effect on the $IL-1{\beta}$, IL-6 secretion of human gingival fibroblast. Also gelatinase zymography and gelatin dissolubility test for the activation of MMP-2 secreted by gingival fibrobla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ffect of TDC and TLC on IL-6 secretion of human gingival fibrobla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IL-6 secretion in the TDC and TLC treated group compared to no treatment group(p<0.05) . 2. The amount of $IL-1{\beta}$ secretion was below the lower limi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L-1{\beta}$ secretion of gingival fibroblast between TDC, TLC treated group and no treatment group. 3. The active form of pro MMP-2 with 72 kDa molecular weight was activated in both TDC and TLC treated group and clear band was appeared at 62kDa site on the zymography. 4. Gelatin dissolubility of MMP-2 secreted by gingival fibroblast was higher in TDC and TLC treated group compared to no treatment group(p<0.05). 5. In the TDC treated group, serine protease of T. denticola affect gelatin dissolubility. But in the TLC treated group gelatin was degraded by only MMP secreted by gingival fibroblast. Regarding to the above results, TDC and TLC have an effect on the IL-6 secretion increase of human gingival fibroblast and appears to activate pro MMP-2 which degrades collagen.

      • KCI등재후보

        실리카 젤과 알루미나 TLC 상 유도체화 반응을 이용한 암페타민류 유사 화합물의 동정 및 검출한계 비교

        최성운,오상훈,성낙도 한국과학수사학회 2013 과학수사학회지 Vol.7 No.2

        불법약물인 amphetamine류 화합물에 대한 신속하고 용이한 동정 및 반 정량적인 분석은 법과학상 중요한 쟁점이 되어왔다. 이를 위한 예비실험으로 amphetamine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3종의 유기 화합물(1-3)을 실리카 젤 (SiO2)과 알루미나 (Al2O3)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TLC) 상에서 각각 N-(9-Fluorenylmethoxycarbonyloxy)succinimide (FMOC-NHS)와 직접 유도체화 반응을 시켜 얻은 반응 생성물(R1-R3)을 유기합성을 통하여 얻은 대조 물질과 UV 조사 하에서 확인하고 검출한계(LOD)를 비교하였다. 유도체화 시약으로서 FMOC-NHS는 상기 2종의 TLC상에서 1차 및 2차 아민과 반응하여 UV를 강하게 흡수하는 FMOC-group을 함유한 화합물이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검출한계는 실리카 젤 TLC 실험에서 0.002~0.007 mg/mL (2 μL per spot), 그리고 알루미나 TLC 실험에서는 0.004 ~ 0.1 mg/mL (2 μL per spot) 를 나타냄으로서 실리카 젤 TLC 사용시의 검출한계 농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유도체화 시약의 농도에 다소 의존적이었다. 그러나 알루미나 TLC사용 시, 유도체화 된 화합물들의 분리가 실리카 TLC에 비하여 용이하였다. 그러므로 차후, 검출한계 및 유도체화 조건에 대한 구체적인 조정실험으로 유도체화 시약의 종류, 반응온도, 농도 및 용매에 따른 변수를 찾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TLC 상에서 1차 및 2차 아민 혼합물에 대한 FMOC-NHS 및 FMOC-Cl의 유도체화 반응성

        최성운,김현태,성낙도 한국과학수사학회 2013 과학수사학회지 Vol.7 No.3

        Amine계 불법약물의 혼합물에 대하여 신속하고 용이한 동정과 반정량의 목적을 위한 예비실험으로, 이들 혼합물의 직접적인 유도체화 반응성을 평가하고자 구조적으로 유사한 2종의 amine(1, 2) 혼합물을 silica gel (SiO2) 및 alumina (Al2O3) TLC 상에서 유도체화 시약인 9-fluorenylmethyl chloroformate (FMOC-Cl, C) 및 N-(9-fluorenylmethoxycarbonyloxy)succinimide (FMOC-NHS, D) 와 각각 반응시켰다. 유도체화 반응 생성물을 대조 물질(A, B)과 비교한 후, TLC image 분석을 통하여 생성 spot(s)에 대한 반 정량화를 시도 하였다. C 및 D는 2종의 TLC상에서 1차 및 2차 amine과 반응하여 UV-active한 FMOC-group 을 함유한 유도체를 생성하였으며 각 시약에 따른 amine 화합물의 반응성 차이가 관찰되었다. TLC image 분석결과, silica gel TLC상 D를 사용한 유도체화 실험에서 1차 amine(1)이 2차 amine(2)에 비하여 높았으나(면적 비, 1 : 0.62 ~ 0.88), C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면적 비, 1 : 1.06 ~ 1.67). 그러므로 반응성은 사용된 유도체화 시약 및 TLC의 종류에 따른 차이, 그리고 농도에 의존적이었다. 그러나 alumina TLC에서는 사용 시약의 종류에 무관하게 2차 amine(2)의 반응성이 높았다(면적 비, 1 : 1.01 ~ 1.62).

      • KCI등재

        중등학교장의 교육지도성이 교사학습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유성완(Yu seong-wan),김도기(Kim do-ki)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전라북도 소재의 중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장의 교육지도성과 교사학습공동체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학교장 교육지도성이 중등학교 교사들의 학습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전라북도 14개 시 · 군에 소재하는 35개 중·고등학교 교사 38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및 인편설문을 실시하였고,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 교육지도성의 전체 평균은 5점 척도에서 3.54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직교사 배경변인(t=2.01, p=.045)을 제외한 다른 배경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의 전체 평균은 5점 척도에서 3.78점으로 보통 수준을 보였다. 배경변인에 다른 교사학습공동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교장의 교육지도성과 교사학습공동체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669, p<.01)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학교장의 교육지도성과 교사학습공동체는 상관관계가 높다는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단순회귀 분석을 통해 학교장의 교육지도성이 교사학습공동체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교장의 교육지도성이 교사학습공동체의 변화의 44.7%를 설명해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학교장의 교육지도성이 교사학습공동체가 형성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결과는 학교장의 교육지도성이 발현된다면 교사 학습공동체가 형성 및 유지, 발전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aims at figuring out empirically levels of principal s educ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TLC) perceived by teachers of secondary schools in Jeollabuk-do and analyzing the influences of principal s educational leadership on the TLC in secondary school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s online and in person on 387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35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14 cities and countiees in Jeollabuk-do from March 21st to April 8th, 2016.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those research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ntire average of the principal s educational leadership was 3.54 of 5, showing ordinary level. Except for the background variant of assigned teachers(t=2.01, p=.045), the other background variant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Second, the entire average of level of TLC was 3.78 of 5, showing ordinary level. For levels of TLC different in background variants, it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between the principal s educational leadership and forming level of TLC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r=.669, p<.01). Through i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incipal s educational leadership and TLC had higher correlations. Fourth, in simple regression analysis on influences of the principal s educational leadership o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it affected 44.7% of changes in TLC and statistically, it was significant in p<.001. This shows that the principal s educational leadership affect to form TLC. These results means that if principal s educational leadership is realized, it will positively affect forming, maintaining, and developing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 KCI등재후보

        아민함유 유기화합물의 TLC 상 유도체화 반응물에 대한 반 정량적 TLC-Image 분석 방법의 비교

        김연수,최성운 한국과학수사학회 2013 과학수사학회지 Vol.7 No.4

        아민 함유 유기화합물을 유도체화 시약 9-fluorenylmethyl chloroformate (FMOC-Cl)와 박막 크로마토그래피(TLC) 상에서 직접 반응시켜 생성된 유도체에 대한 반 정량법의 확립을 위한 예비 실험으로, 2종의 TLC image 분석 프로그램, ImageJ와 CP Atlas 2.0을 비교하였다. 유기합성을 통해 얻은 대조 물질(R1, R2)의 농도 0.01-1mg/mL (2 μL per spot)에 대한 선형상관관계는 2종 image 분석 프로그램 모두 유사한 선형상관관계를 보였다(r2 > 0.993). TLC상 유도체화 직접반응의 재현성 분석 결과에서는 2종 프로그램 모두 유사한 표준편차를 나타내어 이들 프로그램의 반 정량법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보였다(RSD= 2.0 - 4.4%). ImageJ는 CP Atlas 2.0에 비하여 낮은 농도의 TLC상 spots에 대해 구분이 가능한 peak를 보여 감도가 높음을 보였다. 그러나 대조물질 농도별 peaks의 분석에서는 CP Atlas 2.0이 비교적 낮은 background noise를 보여 상대적으로 용이한 작업과 낮은 표준편차를 보였다. 결국 낮은 농도의 spots에 대하여서는 ImageJ를 높은 농도의 spots에 대해서는 CP Atlas 2.0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TLC 낸드 플래시기반 저장 장치에서 페이지 중복쓰기 기법을 이용한 SLC 버퍼 성능향상 연구

        원삼규(Samkyu Won),정의영(Eui-Young Chung) 대한전자공학회 2016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3 No.1

        다중 셀 기반의 저장장치 특히, TLC 낸드 플래시는 낮은 가격을 무기로 SSD에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TLC는 기존의 MLC대비 느린 성능과 내구성으로 인해 일부 블록(Block)을 SLC 영역으로 할당하여, 버퍼로 사용함으로써 성능을 개선하는 구조를 발전시켜 왔다. 본 논문에서는 SLC 버퍼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SLC 블록에 대해 페이지 덮어쓰기 기능을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제한된 회수 이내에서 지움 동작 없이 데이터 갱신을 가능하도록 했다. 특히, 기존의 SLC 버퍼 영역이 채워지는 경우 유효 페이지를 TLC 블록으로 이동 복사하고, 해당 블록을 지워야 하는데, 제안된 방법을 통해 유효 페이지 복사 및 지움 동작을 50% 이상 줄일 수 있었다. 시뮬레이션 평가 결과 기존의 SLC 버퍼 대비 버퍼 덮어 쓰기를 통해 2배의 쓰기 성능 개선을 달성 하였다. In multi-level-cell based storage devices, TLC NAND has been employed solid state drive due to cost effectiveness. Since TLC has slow performance and low endurance compared with MLC, TLC based storage has adopted SLC buffer scheme to improve performance. To improve SLC buffer scheme, this paper proposes page overwriting method in SLC block. This method provides data updates without erase operation within a limited number. When SLC buffer area is filled up, FTL should execute copying valid pages and erasing it. The proposed method reduces erase counts by 50% or more compared with previous SLC buffer schem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LC buffer overwrite method achieves 2 times write performance improvement.

      • KCI등재후보

        Pseudoephedrine과 유도체화 시약의 TLC상 직접반응과 이미지 분석을 통한 검출한계 및 반정량분석법에 관한 선행평가

        김현태,이상순,최성운 한국과학수사학회 2014 과학수사학회지 Vol.8 No.4

        Pseudoephedrine (PSE) is the critical chemical precursor involved in the illegal production ofmethamphetamine. A preliminary test for the rapid and easy identification and semi-quantitative determinationof PSE was performed. PSE derivatives generated from direct reaction (in situ ,co-spot) of PSE with derivatizing reagents were identified and used to determine the LOD. The TLC images were analyzed with densitometric image analysis programs to determine the repeatability and linearity of derivatization reaction for a potential semi-quantitative analysis. PSE was reacted in situ (co-spot) to evaluate their derivatization reactivity in the pre-column mode on a silica gel TLC plate with FMOC-Cl, Dansyl-Cl or Dabsyl-Cl as derivatizing reagents. The derivatized products were identified under naked eyes with or without UV light and the TLC image analysis of corresponding spots was performed using the densitometric image analysis for the semi-quantitative evaluation. All the derivatizing reagents generated compounds containing strongly visible or UV-absorbing FMOC-, Dansyl- and Dabsyl- groups on the TLC plate after reacting with PSE. However, a different reactivity of PSE with the reagents was observed. In the experiment using FMOC-Cl (reaction spots exposed with air at room temperature for 10 min.) and Dansyl-Cl (reaction spots covered with glass plate while heated at 70 oC for 10 min.), the LODs (Limit of detection, 2 μL/spot, mg/mL) of PSE was in the low concentration range of 0.001 ~ 0.005, but the higher LOD concentration of 0.25 was found when Dabsyl-Cl was used even when the reaction spots were covered and heated. The RSD value (average, %) to test the repeatability of the derivatization reaction for PSE (0.5 mg/mL) was in the range of 2.14 ~ 2.27% when FMOC-Cl used. But a high RSD value range of 5.87 ~ 6.20% was shown at the low concentration (0.1 mg/mL) of PSE. Also at two concentrations (0.5 mg/mL and 0.05 mg/mL) of PSE with Dansyl-Cl, the high RSD value range of 4.63 ~ 5.61% was found. In the test of the linearity (R2) of the derivatization reaction at a high concentration range (0.1 ~ 1.0 mg/mL) of PSE with FMOC-Cl and Dansyl-Cl, a relatively good correlation was shown to be in the range of 0.96 ~ 0.98 between the areas of spots of generated derivatives and concentration of PSE. However, the R2 values calculated from the concentration of the LOD of PSE up to a high concentration (1mg/mL) of PSE was dropped into the range of 0.90 ~ 0.92. The current method generated three derivatives with rather low repeatability and provided a way to improve the LOD of PSE to 160 ~ 1000 times compared to the TLC method of underivatized PSE. To demonstrate the validity of the current method to be used for a semi-quantitative analysis of PSE by showing the high repeatability of a derivatization reaction at various concentration of PSE, additional experimental results are required such as the various changes of the concentration of derivatization reagents, the usage of other reaction solvent, changes of reaction temperature, etc.

      • KCI등재후보

        Dansyl chloride를 이용한 아민 계 화합물의 TLC판 상 동정 및 검출한계

        김연수,최성운 한국과학수사학회 2014 과학수사학회지 Vol.8 No.1

        As a preliminary step to improve detection limit and easy identification using the highly fluorescentcharacteristics of derivatized organic compounds with dansyl chloride (DNS-Cl), three structurally similar aminecontainingorganic compounds (1-3) were reacted on silica gel thin-layer chromatography (TLC) with DNSClas a derivatizing reagent. The new products from a direct derivatization method on a TLC plate (as visualizedunder long wavelength UV365 light) were used for the identification and their limit of detection (LOD) wascompared. DNS-Cl as a derivatization reagent generated compounds containing highly fluorescent dansyl-groupon the TLC plate after reacting with primary- and secondary amines. In the experiment on TLC plates theLOD of amines was in the range of 0.01 ~ 0.001 mg/mL (2 uL/spot)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FMOCderivatizedamines. The LODs of the amines tested were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the derivatizingreagent. Three derivatized products were shown to be separated well on silica gel plate. Further studies onaspects of these experiments, such as concentration of the derivatizing reagent, reaction temperature and itsassociated solvents should be pursued.

      • KCI등재

        경량화 차선이탈시간 기반의 차선 이탈 방지 알고리즘

        김근우,김윤겸,홍준기,우수호,최재환,이순걸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23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9 No.1

        A lane keeping assistant (LKA) is a control system that maintains marked lanes for driving safety. This paper shows an LKA system based on a time to lane crossing (TLC). A TLC can be calculated by dividing the distance to the lane crossing by the vehicle velocity and represents the time in which a vehicle will cross the lane. Instead of using a complicated TLC calculation for both straight and curved roads, a lightweight TLC (LTLC) method as a simplified one is proposed to reduce the computing time. By approximating the curved road to two straight roads, based on look-ahead points, the TLC computation of time can be reduced. The LKA system pre-calculates the vehicle's LTLC and turns the steering wheel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remaining time is running out. To verify the proposed algorithm, an IPG's CarMaker simulation with Matlab/Simulink was execute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it was possible to show stable driving results. Moreover, the calculation time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existing TLC.

      • KCI등재

        유사 마약류 육안 확인용 Dabsyl chloride와 아민과의 유도체화 반응 및 반 정량방법

        이상순,김진경,최성운 한국과학수사학회 2015 과학수사학회지 Vol.9 No.1

        향정신성 약물인 methamphetamine (Meth)은 인터넷 등을 통한 구매가 용이하여 불법유통 및 마약사범의 증가 등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그러므로 현장에서는 물론, 마약분석실험실에서의 신속하고 용이한 확인과 경제적인 반정량분석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다. 이를 위한 예비실험으로 암페타민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3종의 유기 화합물(phenethylamines (PEs); phenethylamine (PE), Nmethylphenethylamine(NM) 및 DL-alpha-methylbenzylamine (DL))을 silica gel TLC상에서 발색특성을 나타내는 유도체화 시약 dabsyl chloride (DAB-Cl, D)과 반응시켰다. TLC 상에서 PEs와 유도체화 시약의 직접반응(in situ, co-spot)으로부터 생성된 유도체를 육안만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확인하여 검출한계(LOD)를 결정한 후, TLC의 이미지지 분석을 통하여 생성 유도체에 대한 재현성을 평가하고, 추가적으로 반 정량분석을 위한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유도체화 시약(D)은 TLC상에서 PEs와 반응하여 가시광선 작용기를 함유한 유도체를 생성하였으며, PEs와의 반응성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PEs의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 2 μL/spot, mg/mL) 농도는 반응 spot들을 유리판으로 덮은 상태에서 70 oC로 10분간 가열시 0.001 ~ 0.0025 mg/mL의 낮은 농도구간으로 FMOC-Cl사용 결과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상온에서 공기 중에 노출하여 10분간 반응시켰을 경우에 농도는 0.01 ~ 0.05 mg/mL로 높은 검출 한계농도를 나타났다. 반응의 재현성(RSD, 평균치, %)은 시료 PEs 0.5 mg/mL의 농도에서 0.5~3.3%로 양호하였으나 저농도 0.05mg/mL에서는 0.9 ~ 8.4%으로 변동이 심하였다. 반응의 직선성(linearity, R2) 평가에서 PEs의 전체 농도구간(1.0 ~ 0.001 mg/mL)에서는 0.85 ~ 0.99 으로 나타났으며, PEs의 제한된 농도구간(0.5 ~ 0.05 mg/mL)에서는 0.98 ~ 0.99로 비교적 양호한 직선형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방법의 PEs에 대한 반정량적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 유효성을 보이기 위해서는 사용시약의 다양한 농도변화, 다른 반응용매 사용에 의한 영향,반응온도의 변화 등에 대한 PEs의 다양한 농도에서의 유도체화 반응의 재현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