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9. 12. 31. 법률 제9905호로 개정된 공무원연금법 제64조 제1항 제1호의 적용 범위에 관한 부칙 규정의 해석론

        지창구 사법발전재단 2014 사법 Vol.1 No.29

        According to the State Public Officials Act, the Local Public Officials Act and the Public Officials Pension Act, if a public officer receives a punishment above imprisonment, he properly retires and gets a reduction on retirement annuity. The constitutional court pronounced rulings that the proper retirement provision is constitutional, but the provision about reduction on retirement annuity is unconstitutional and ordered the National Assembly amend the provision by 31th of December 2008. But the National Assembly had not amended that provision by December 31, 2008, so the provision became invalid from January 1, 2009, and public officers who were subject to punishments above imprisonment got full payment of their retirement annuity from January 1, 2009. The National Assembly amended the Public Officials Pension Act at December 31, 2009 so that retirement annuity is not reduced if the public official who received punishment above imprisonment as a result of a crime which was not related to his official work, and he had no criminal int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made a supplementary provision which provided that the amended provision is applied from January 1, 2009.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above supplementary provision is unconstitutional because it violated ex post facto law. But the above supplementary provision has two meanings. One is that the amended provision is applied to public officer who retired before January 1, 2010. And the other is that the above portion is retroactively applied from January 1, 2009. The part which violates ex post facto law is not the former, but the latter. Thus,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not have ruled the above supplementary provision unconstitutional and made the supplementary provision invalid.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have ruled the above supplementary provision unconstitutional and ordered the National Assembly to amend the supplementary provision. The unreasonable rul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caused absurd consequences where retirement annuity reduction from January 1, 2010 varies depending on when the public official retired. According to above rul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retired public officials during 2009 due to sentences of punishment above imprisonment should get full payment of their retirement annuity after January 1, 2010 in accordance to the absence of reduction provision. But Supreme Court made a wrong judgement on April 24, 2014 at the expense of legal reasoning. In conclusion, I criticize the above rul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above judgement of the Supreme Court concerning the erroneous legal reasoning. 국가공무원법, 지방공무원법, 공무원연금법에 의하면, 공무원이 재직 중 금고 이상의 형을 받으면 당연퇴직 됨으로써 공무원의 자격을 상실하고, 퇴직급여 및 퇴직수당도 감액하여 지급받게 된다. 헌법재판소는 당연퇴직에 관한 국가공무원법, 지방공무원법 규정에 관하여는 합헌으로 결정하였으나, 퇴직급여 및 퇴직수당 감액지급에 관한 공무원연금법 제64조 제1항 제1호에 관하여는 2007. 3. 29. 기존의 입장을 변경하여 헌법불합치결정을 하면서 2008. 12. 31.을 개정시한으로 하여 국회에 개선입법을 명하였다. 그러나 국회가 2008. 12. 31.까지 개선입법을 하지 아니함으로써 공무원연금법 제64조 제1항 제1호는 2009. 1. 1.부터 효력을 상실하였고, 재직 중의 사유로 금고 이상의 형을 받은 공무원은 2009. 1. 1.부터 퇴직급여 및 퇴직수당을 전액지급 받았다. 국회는 2009. 12. 31. 공무원연금법을 개정하면서 제64조 제1항 제1호를 직무와 관련이 없는 과실로 인한 경우 등에는 퇴직급여 및 퇴직수당을 감액지급하지 않는 것으로 개선입법 하였고, 부칙 제1조 단서, 제7조 제1항 단서 후단을 통해 위 조항을 2009. 1. 1.부터 소급적용할 것을 규정하였다. 헌법재판소는 2013. 8. 29. 소급입법금지원칙에 반한다는 이유로 위 부칙 제1조 단서, 제7조 제1항 단서 후단을 위헌으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위 부칙 제7조 제1항 단서 후단은 ① “같은 부칙 제7조 제1항 본문의 ‘지급사유 발생 당시 규정에 따른 급여 지급 원칙’에 대한 예외로서, 개정 공무원연금법 시행일인 2010. 1. 1. 전에 재직 중의 사유로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퇴직한 공무원에게도 2010. 1. 1.부터는 개정 공무원연금법 제64조 제1항 제1호에 따라 퇴직연금 등의 감액 여부를 결정하여 지급한다.”는 의미와 ② “위와 같은 취지를 개정 공무원연금법 시행일인 2010. 1. 1.부터가 아니라, 소급하여 2009. 1. 1.부터 관철한다.”는 의미를 겸유하는 것이고, 소급입법금지원칙에 반하는 것은 위 ② 부분이지 위 ① 부분이 아니므로, 헌법재판소는 위 부칙 제7조 제1항 단서 후단을 단순위헌결정 할 것이 아니라 헌법불합치결정을 하였어야 한다. 헌법재판소의 부당한 단순위헌결정으로 인해 공무원이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퇴직한 시점이 언제인가라는 우연적 사정에 의해 2010. 1. 1. 이후 지급되는 퇴직연금 등의 감액지급 여부가 달라지는 불합리하고 형평에 반하는 결과가 초래되게 되었다. 위 위헌결정의 결과 2009. 1. 1.부터 2009. 12. 31.까지 사이에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당연퇴직 된 공무원의 경우 퇴직연금 등의 감액지급 근거 규정이 존재하지 아니하므로 2010. 1. 1. 이후에도 퇴직연금을 전액지급 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법원 2014. 4. 24. 선고 2013두26552 판결은 구체적 타당성만을 위해 법리를 희생하여 잘못된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위 헌법재판소의 단순위헌결정과 위 대법원판결은 모두 법논리적 오류라는 비판을 면할 수 없다.

      • KCI등재

        상속회복청구권의 제척기간에 관한 적용법조

        박근웅(Keun Woong Park) 한국가족법학회 2010 가족법연구 Vol.24 No.2

        Recently, Inter-temporal Civil Law has come to a major issue in concerning the Succession Recovery Claim. The Korean Civil Law, which contains the Succession Recovery Claim provision(§999), was legislated in 1958. Since then, regarding the Succession Recovery Claim the Korean Civil Law has been revised in 1990 and in 2002. Especially, the 2002 amendment was caused by the rul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 the year 2001. Thus there rise the problem, which Law should be applied in specific cases? To resolve the issue, we must interpret the supplementary provisions of Korean Civil Law and review the effect of unconstitutional rul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Recently, the Court have made decisions on some Cases related to the Law of Application. But there are doubts whether the judgements are proper or not. After the rul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 2001, the Court have ruled as follows on the cases in relation with the Law of Application. First, if someone has inherited before 1960, according to the ruling of the Court, Article 25 of the supplementary provisions of 1958 Civil Law apply. But I assert that Article 2 of the supplementary provisions of 1958 Civil Law should apply. The intent of Article 25 is to protect the vested rights of a legal heir. But regarding the Succession Recovery Claim, a legal heir has the vested rights when the right of inheritance is infringed. Therefore “inheritance commenced” is not a proper standard. In conclusion, also with regard to inheritance commenced before the date of enforcement of 1958 Law, the provisions of the new 1958 Civil Law shall apply. Second, if someone has claimed for the Recovery of Inheritance after the date of enforcement of 2002 Civil Law, according to the ruling of Court, 2002 Law apply, and the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shall lapse at the expiration of ten years from the date of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of Inheritance. But I think that such decision of the Court infringe the vested rights of a legal heir. Because of the unconstitutional rul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article of 10 years Limitation of 1958 Law and 1990 Law lost validity, and such effect will be applied retrospectively(then a rightful heir had no time limit in exercising his Rights). Therefore, if the 2002 amended Law applies retroactively without considering the starting point of reckoning, that would be a real Retroactivity. So, I suggest in this paper that a rightful heir, who would be affected by the unconstitutional ruling, should exercise his rights within 10 years from the date of enforcement of the 2002 Law. In addition, the Court’s ruling mentioned above has another problem. According to the ruling, the fact that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inheritance, is not under consideration. But this is not reasonable in view of the legislators’ intention. So, I assert that “Validity caused by the previous provisions”(Article 2 of the supplementary provisions of 2002 Law) include Legal Stability based on 1958 and 1990 Civil Law. However, if the other party of the Claim for Recovery is not a third party in good faith, his protest would be a violation of §2 of the Civil Law. In Conclusion, I proposed in this paper as follows. Firstly, the Case that inheritance commenced before 19, July, 1991.: The Effect of unconstitutional rul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doesn’t affect in this case. And §999 of 1958 and 1990 Civil Law apply. However, if the other party of the Claim for Recovery is not a third party in good faith, his protest would be rejected due to the violation of §2. Secondly, the Case that inheritance commenced after 19, July, 1991.: The Effect of unconstitutional rul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ffect in this case and §999 of 2002 Civil Law will be applied retrospectively.

      • KCI등재

        “遺外子”의 國籍閒題를 論함

        嚴海玉(YAN, Hai Yu) 유럽헌법학회 2017 유럽헌법연구 Vol.24 No.-

        한국국적법 제2조 제1항 제1호의 부칙조항은 출생 시 혹은 출생 후 모를 잃은 자를 구제하기 위한 특례규정이고 제 2호는 출생하기 전에 이미 부를 잃은 遺順子의 선천적인 국적에 대한 규정이다. 한국국적법에는 부를 외국국민으로 하고 출생하기 전에 이미 한국국민이었던 모를 잃은 자의 선천적 국적취득에 관한 규정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어사전에서는 “자신이 출생하기 전에 이미 부를 잃은 자”를 遺順子라 해석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출생하기 전에 이미 모를 잃은 자에 대한 해석은 없다. 인류의 역사를 돌이켜 볼 때 임산부는 애를 낳으면서, 혹은 애를 낳은 후에 죽을 수는 있어도 애를 낳기 전에 죽은 전례는 없다고 하나 오늘의 인류과학은 자신이 출생하기 전에 이미 모를 잃은 자를 출산시키고 있다. 본문에서는 “遺體子”의 어감에 맞먹는 단어로서 출생하기 전에 이미 모를 잃은 자를 “遺外子”라 칭한다. 한국국적법에서 보자면 “遺外子”는 제2조 제1항 제1호의 부칙조항에서 규정한 특례대상 및 범주에 속할 수 없어 제1호에서 배제되고, 遺體子에 대한 규정이 명확히 유보되고 있는 제2호에서도 배척된다. 왜냐하면 “遺外子”는 父가 외국국민이라는 이유에서 한국헌법으로부터 국적에 관한 사항을 위임받은 한국국적법에서 제외되고 있다. 부모양계주의를 선천적 국적취득의 원칙으로 한 한국국적법은 한국국적을 소유한 자의 생사와 배우자의 국적을 따지지 말고 그 子에게 한국국적을 부여함이 마땅하다고 생각하면서 선진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한국국적법에서 볼 때 “遺外子”의 선천적국적문제로 부계혈통주의에 殘滓를 남긴 제2조 제1항 제1호의 부칙조항과 제2호는 사족적인 규정이 아니냐 하는 소견이다. Article 2 Term 1 No. 1 supplementary provision in South Korea s Nationality Law is the special regulation legislated for the child whose mother died before or after his birth. No. 2 supplementary provision is specially le gislated for the child whose father died before his birth. Unfortunately, no provision has been legislated for the child whose father is foreigner and mother is Korean but dead. The child whose father died before his birth is called as posthumous child, but so far, there is not a definition of the child whose mother died before his birth. Looking back on the human history, there is no precedent that pregnant woman died before the child s birth. However, modern medical science makes the possible occurrence of this case. In this thesis, considering language sense comparing to posthumous child, The child whose mother died before his birth is named as ;“遺外子”. According to Article 2 Term 1 No. 1 supplementary provision in South Korea s Nationality Law, the case of the child whose mother died before his birth does not apply to this special regulation. It is also excluded by No. 2 supplementary provision. In this case, the child whose mother died before his birth does not gain the Korean nationality because his father is foreigner. South Korea s Nationality Law adopted parents jus sanguinis principle, so nationality should be conferred to all Korean nationals children without considering Korean national s life or death or his spouse s nationality. From this thesis s point of view, South Korea s Nationality Law has been highly regarded, but Article 2 Term 1 No. 1 and 2 supplementary provisions are superfluous because these provisions reflect the echoes of patrilineal descent principle in the case of the child whose mother died before his birth.

      • KCI등재

        "遺外子”의 國籍問題를 論함

        嚴海玉 유럽헌법학회 2017 유럽헌법연구 Vol.24 No.-

        한국국적법 제2조 제1항 제1호의 부칙조항은 출생 시 혹은 출생 후 모를 잃은 자를 구제하기 위한 특례규정이고 제2호는 출생하기 전에 이미 부를 잃은 遺腹子의 선천적인 국적에 대한 규정이다. 한국국적법에는 부를 외국국민으로 하고 출생하기 전에 이미 한국국민이었던 모를 잃은 자의 선천적 국적취득에 관한 규정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어사전에서는 “자신이 출생하기 전에 이미 부를 잃은 자”를 遺腹子라 해석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출생하기 전에 이미 모를 잃은 자에 대한 해석은 없다. 인류의 역사를 돌이켜 볼 때 임산부는 애를 낳으면서, 혹은 애를 낳은 후에 죽을 수는 있어도 애를 낳기 전에 죽은 전례는 없다고 하나 오늘의 인류과학은 자신이 출생하기 전에 이미 모를 잃은 자를 출산시키고 있다. 본 문에서는 遺腹子의 어감에 맞먹는 단어로서 출생하기 전에 이미 모를 잃은 자를 “遺外子”라 칭한다. 한국국적법에서 보자면 “遺外子”는 제2조 제1항 제1호의 부칙조항에서 규정한 특례대상 및 범주에 속할 수 없어 제1호에서 배제되고, 遺腹子에 대한 규정이 명확히 유보되고 있는 제2호에서도 배척된다. 왜냐하면 “遺外子”는 父가 외국국민이라는 이유에서 한국헌법으로부터 국적에 관한 사항을 위임받은 한국국적법에서 제외되고 있다. 부모양계주의를 선천적 국적취득의 원칙으로 한 한국국적법은 한국국적을 소유한 자의 생사와 배우자의 국적을 따지지 말고 그 子에게 한국국적을 부여함이 마땅하다고 생각하면서 선진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한국국적법에서 볼 때 “遺外子”의 선천적국적문제로 부계혈통주의에 殘滓를 남긴 제2조 제1항 제1호의 부칙조항과 제2호는 사족적인 규정이 아니냐 하는 소견이다. Article 2 Term 1 No. 1 supplementary provision in South Korea’s Nationality Law is the special regulation legislated for the child whose mother died before or after his birth. No. 2 supplementary provision is specially legislated for the child whose father died before his birth. Unfortunately, no provision has been legislated for the child whose father is foreigner and mother is Korean but dead. The child whose father died before his birth is called as posthumous child, but so far, there is not a definition of the child whose mother died before his birth. Looking back on the human history, there is no precedent that pregnant woman died before the child’s birth. However, modern medical science makes the possible occurrence of this case. In this thesis, considering language sense comparing to posthumous child, The child whose mother died before his birth is named as “遺外子”. According to Article 2 Term 1 No. 1 supplementary provision in South Korea’s Nationality Law, the case of the child whose mother died before his birth does not apply to this special regulation. It is also excluded by No. 2 supplementary provision. In this case, the child whose mother died before his birth does not gain the Korean nationality because his father is foreigner. South Korea’s Nationality Law adopted parents jus sanguinis principle, so nationality should be conferred to all Korean nationals’ children without considering Korean national’s life or death or his spouse’s nationality. From this thesis’s point of view, South Korea’s Nationality Law has been highly regarded, but Article 2 Term 1 No. 1 and 2 supplementary provisions are superfluous because these provisions reflect the echoes of patrilineal descent principle in the case of the child whose mother died before his birth.

      • KCI등재

        배임행위의 기망행위에 대한 불가벌적 사후행위 여부

        이승준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학연구 Vol.53 No.3

        대상판결은 기망의 고의를 가진 상태에서 기망행위로 금원을 편취한 이후 다시 배임행위를 한 경우, 사후에 이뤄진 배임행위가 사기죄의 불가벌적 사후행위로 범죄 성립에서 제외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법익의 침해로서 경합관계에 놓이는지가 핵심 쟁점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사후의 배임행위가 불가벌적 사후행위인지 여부는 불가벌적 사후행위의 요건에 대한 철저한 검토를 전제로 한다. 대상판결의 원심은 사기죄에는 피고인이 제3자에게 근저당권을 설정한 사정이 이미 평가된 것으로 불가벌적 사후행위가 된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대법원은 배임죄의 행위주체에 대한 검토 없이 기망적 설정계약을 통해서도 근저당권 설정의무가 발생하며, 그 임무를 위반하여 제3자에게 근저당권을 설정한 것은 별도의 배임죄가 성립한다고 판단하였다. 원심과 대법원의 판단은 모두 적절하지 않다. 불가벌적 사후행위가 인정되기 위해서는 사후행위가 구성요건에 해당하고 위법하여야 한다. 그런데 피고인의 행위는 기망행위에 배임행위가 수반된 유형으로 양죄의 경합이 가능한 유형이나, 사후행위인 배임죄에 있어 행위주체성을 인정할 수 없으므로 불가벌적 사후행위의 검토 이전에 사기죄만 성립하는 것으로 판단함이 적절하다. 이러한 결론은 최근 배임죄에 대한 대법원의 새로운 이해, 동산 이중매매에 대해 배임죄의 제한적 해석을 통해 배임죄의 본래의 위치를 찾으려는 방향에도 부합하는 해석이라고 할 것이다.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개인 간의 계약 자유를 간과하고, 배임죄를 통해서 계약 불달성을 전보하려는 태도는 형법의 보충성 원칙 관점에서 지양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The issue of the target sentence is whether breach of trust after an act of cash acquired by fraud has committed is not punishable. The possibility of conforming to breach of trust depends on post action will satisfy elements of crime through thorough review. The prior trial judged the settlement of third party mortgage has already assessed in the facts of an offense of fraud not punishable. But the Supreme Court without a review of the subject of breach of trust, settlement of mortgage duties occurs through fraudulent contracts and those duties to third parties constitute a separate breach of trust in violation of his duty. The judgment of the prior trial the Supreme Court and all is not appropriate. Post-action must satisfy to be punished elements of crime and illegality. In the target case, the fraudulent conduct of defendants accompanying breach of trust have involved two types of sin, namely the possible types of conflict, but the subject in breach of trust can not be accepted. Thus, the acts of defendant constitute only fraud. These conclusions meet the direction we want to find of the location of breach of trust considering the recent Supreme Court’s new understanding of breach of trust, for double transaction of movable property by restrictive interpretation of nature of breach of trust. Overlooking freedom of contract between individual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al law, such attitude to compensate for the failure of civil contract to by the breach of trust has to be avoided in terms of supplementary principle.

      • 개정 부정경쟁방지법에 대한 일고

        이상정(Lee, Sang Jeong) 세창출판사 2013 창작과 권리 Vol.- No.73

        The Purpose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UCPA') is to maintain the order of fair trade by preventing the unfair competitive acts, such as unjustifiable use of other person's well-known trade marks and trade names in Korea and by preventing the infringements of other person's trade secrets. The 'UCPA' was amended recently by adding the provisions of supplementary general provision, the proof system of trade secret existence, the adjustment of penalty against the trade secrets infringement, the reporting awards system, etc. The highlight of this amendment is the adoption of the supplementary general provision against the misappropriation of the results of other's efforts. So the person whose business interests is injured or threatened by such acts may seek the court injunction and preventive order against that person, and also get the damage compensation. But in that case there is no criminal sanction. Only civil relief is permitted.

      • KCI등재

        국제항공여객운송계약의 준거법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14. 8. 28. 선고 2013다8410 판결을 계기로 -

        이연 한국국제사법학회 2022 國際私法硏究 Vol.28 No.2

        As international flights, which had been reduced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have normalized, many people are on their way to travel abroad. In this process, a number of international passenger carriage contracts by air are being concluded. Thus, research on the governing law is essential to properly resolve the disputes raised in this process. The supreme court of the Republic of Korea proposed som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governing law of international passenger carriage contracts by air in decision of Docket No. 2013Da8410 rendered on August 28, 2014. Provoked by it, this paper conducts a systematic study on the governing law of international passenger carriage contracts by Air by synthesizing the issues raised in the above decision and those that are not actually raised but should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The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Section II briefly introduces the related decision and raises a series of issues arising therefrom. Section Ⅲ separates the cases where “Convention for the Unification of Certain Rules for International Carriage by Air” should be directly applied and where not, and clarifies that the supplementary governing law decided by the rules of conflict of laws should be applied in the latter situation. Section Ⅳ explores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special provisions on the governing law of consumer contracts and the governing-law rules of general contracts in “Act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of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Korean PIL Act”). Section Ⅴ gives a legislative proposal to amend the special provision on the governing law of consumer contracts and to establish the special provisions on the governing law of passenger carriage contracts in Korean PIL Act. Section Ⅵ summarizes the overall discussion and presents a personal view of the issues raised during the discussion.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축소되었던 국제선 운항이 정상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해외 여행길에 오르고 있다. 그 과정에서 다수의 국제항공여객운송계약이 체결되고 있고, 이와 관련된 분쟁을 적절히 해결하기 위하여는 계약의 준거법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대법원은 2014. 8. 28. 선고 2013다8410 판결에서 국제항공여객운송계약의 준거법을 결정하는 일부 기준을 제시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계기로 삼아 위 판결에서 제기된 쟁점과, 실제로 제기되지는 않았으나 그 연장선상에서 동시에 고려되어야 하는 쟁점들을 종합하여 국제항공여객운송계약의 준거법 문제를 체계적으로 검토한다. 구체적인 논의의 순서는 아래와 같다. 우선 대상판결을 간단히 소개하고 이에 비추어 국제항공여객운송계약의 준거법 결정에서 제기될 수 있는 일련의 쟁점들을 제시한다(Ⅱ). 다음으로 그 기초 위에서 ① “국제항공운송에 있어서의 일부 규칙 통일에 관한 협약”(몬트리올협약)이 직접 적용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여 후자에는 법정지의 국제사법이 지정한 보충적 준거법이 적용된다는 점을 명확히 한 후(Ⅲ), ② 한국 국제사법상 소비자계약의 준거법 특칙의 적용 여부 및 일반 계약의 준거법 규칙의 해석과 적용에 대한 논의를 하고(Ⅳ), ③ 한국 국제사법상 소비자계약의 준거법 특칙의 문언을 수정할 것과 여객운송계약의 준거법 특칙을 설정할 것에 관한 입법적인 제안을 한다(Ⅴ). 마지막으로 논문 전반의 논의를 개관하고 결론을 제시한다(Ⅵ).

      • KCI등재

        소멸시효에 관한 민법개정시안과 경과규정

        박근웅(Park, Keun-Woong)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5 江原法學 Vol.46 No.-

        최근 법무부 민법개정위원회는 민법 전반을 폭넓게 검토하여 민법개정시안을 새로이 마련하였다. 본 개정시안은 소멸시효제도와 관련하여서도 채권의 일반소멸시효기간을 5년으로 단축하되 기산점에 주관적 체계를 도입하고, 단기소멸시효제도를 폐지하며, 시효장애사유를 3분화 하는 등 전면적인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다만 이렇듯 제도가 변화하고 법률이 개정되는 경우에는 이른바 시제법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정한 법률관계를 규율하는 법의 내용이 시간적으로 달라졌을 때 종전 규정과 새로운 규정과의 관계설정, 개정법의 충격완화의 과제가 제시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제법의 문제와 관련해 입법자는 부칙의 경과규정을 통하여 법률의 시간적 충돌의 문제를 조정하고 개정법의 충격을 완화하게 되는데, 법무부 민법개정위원회에서도 새로이 변화되는 소멸시효의 각 규정에 대한 설명에 경과규정이 필요함을 곳곳에서 밝히고 있다. 다만 그럼에도 관련 경과규정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이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분명한 입장을 밝히고 있지 않고, 종전에 부칙이나 경과규정과 관련한 연구 또한 거의 찾아보기 어려워 개정시안의 시행과 관련하여 적지 않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 글은 법무부 민법개정위원회가 마련한 소멸시효 개정시안에 관한 경과규정을 입법함에 있어 참고가 될 수 있는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칙조항을 마련함에 있어 기득권보호가 전제되는 한 신법이 소급적용 되는 것을 원칙으로 할 수 있다. 기득권보호와 관련해서는 종전 법률에 의하여 기간이 도과하였는지 여부가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정법에 의해 기간이 단축되거나 새로운 기간제한이 추가된 경우에는 권리행사의 기산점을 개정법 시행일로 삼는 것이 타당하다. 둘째, 종전 법률에 따라 발생한 시효장애사유와 관련해서는 개정법 시행당시 그 사유가 완료되었는가를 기준으로 신법과 구법 중 적용될 법률을 정하여야 한다. 다만 개정법이 시효의 중단 대신에 정지를 규정하고 종전 규정에 의하여 시효의 중단상태가 이미 발생하였으나 개정법 시행 당시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는, 시효의 중단은 개정법의 시행으로 종료한 것으로 보고 새로운 시효는 그 이후에 정지되는 것으로 정할 수 있다. 한편 종전 민법이 정하지 않았던 새로운 정지사유가 신법에 의해 추가된 때에는 신법시행 이전에 그러한 새로운 정지사유가 이미 개시된 경우라도 신법시행일부터 시효가 정지되는 것으로 규정해야 할 것이다. Ministry of Justice organized Civil Law Amendment Commission(CLAC) in 2009. CLAC had reviewed whole Provisions of Korean Civil Code(KCC) and drawn up Civil Code Amendment Draft 2013(CCAD 2013). KCC on Extinctive Prescription is also staring Revision in the face. Meanwhile, it can cause the Problem of Intertemporal Law, the Question which of different Legal Systems prevailing at successive Periods is to be applied in a particular case, to revise Law. In this problem, the Key is Transitional Provisions, whose Necessity was specified a couple of times in the CCAD 2013. But Some difficulties are expected in enforcing Revised Law, because there has been no meaningful Discussions on Transitional Provisions of KCC. This Article advances some Opinions in regard to Contents of Transitional Provisions on Extinctive Prescription as Follows. First, a retroactive Effect can be accepted as a Rule on Supplementary Provision of KCC so far as Protection of vested Rights which occurred in relation to the former statute. In connection with Protection of vested Rights, it can be Standard whether a Period for Exercise of a Right expires or not. And furthermore, it is rational Conclusion that Period for Exercise of a Right should be calculated from the day when the revised civil code was actually enacted if extinctive prescription is shortened. Second, the Civil Code in force before Revision shall be applied about Interruption of Limitation which is occurred and completed before enforcement of Revised Law. But when the provisions of the revised Civil Code shall provide Prescription’s Suspension instead of Interruption and the Interruption of Prescription as past Law lasts until Execution time of the New Law, the Interruption of Prescription finished under Enforcement of revised Law and the new limitation period is suspended since then.

      • KCI등재

        북한 형법의 특징과 죄형법정주의

        김한기 ( Kim¸ Han-kee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一鑑法學 Vol.- No.49

        모든 국가의 법체계는 각각의 이념과 가치 및 전통 등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현상과 특성을 반영하는 지표로서도 기능하게 된다. 법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법규범 중 형법은 가장 강력한 강제력을 통한 제재수단을 발동할 수 있는 법규범으로서 북한 역시 이러한 형사법 체계를 통하여 국제 정세와 내부 상황의 변화의 흐름을 적절히 통제하고 그러한 변화 속에서도 자신들의 체제를 수호하기 위하여 나름의 대책을 강구하기 위하여 잦은 형법 개정이 이루어져 왔다. 북한에 있어서의 법의 이념과 법에 대한 관점, 그리고 그로 인한 법체계는 우리와는 매우 다른 모습이기에 북한의 법체계, 그 중에서도 형사법의 체계에 대한 분석과 이해를 위한 노력은 북한의 상황과 현실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할 뿐 아니라 남북한의 통합 또는 적어도 긴밀한 관계로의 전환 시 형사법 분야의 통합 내지 형사영역의 협력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하여 예견하고 그에 대한 대응책을 강구함으로써 남북한 교류·협력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법적인 문제들에 대하여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준비를 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것이다. 현재 북한의 형사법 체계에 있어서 실체법으로는 기본 형법전과 형법부칙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형법의 개정과 형법부칙의 채택 과정 속에서 소급효금지의 원칙을 명문화하고, 유추해석 금지의 원칙을 도입하였을 뿐 아니라 개별 구성요건을 명확히 하는 일련의 시도들을 통하여 죄형법정주의를 실현하기 위하여 나름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는 점은 분명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김일성-김정일-김정은의 교시를 실정법을 초월한 최고 상위규범으로 인정하는 인식태도를 근간으로 하면서 실정법의 상위원리이자 사회와 국가가 추구하여야 할 가치를 최우선시하는 자연법사상을 근간으로 한 강력한 법원리주의의 법인식 태도, 계급독재 실현을 위한 도구적 성격으로서 형법을 이해하는 태도, 개정을 통한 꾸준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의미가 불명확하거나 구성요건적 행위자체가 불분명한 규정들이 산재되어 있다는 점 등은 죄형법정주의의 실현에 장애요소가 될 수 있음은 부인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며 이로 인하여 북한의 이러한 노력들 자체가 형식적인 측면에 불과하고 그 동기가 참된 인권개선을 위한 노력과 무관하다는 비판적 시각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적인 시각에 입각하여 평가한다 할지라도 법적인 측면에서 볼 때, 형법의 이데올로기적 요소와 강도에 있어서 어느 정도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하나의 객관적 사회통제규범으로서 기능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여야 할 것이라 생각되며 이러한 측면을 상대주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Every country has its own legal system to ensure the integ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state and society and the safe life of the people. Such a legal system not only implicitly expresses the ideology, values, and traditions of each country, but also functions as an index reflecting social phenomena and characteristics. Among the various legal norms constituting the legal system, the criminal law is the legal norm that can invoke sanctions through the strongest coercive force. North Korea has also undergone frequent revisions to its criminal law in order to properly control the flow of changes in international and internal situations through this criminal law system and to devise its own countermeasures in order to protect its own system in the midst of such changes. In North Korea, the ideology of the law, the view of the law, and the resulting legal system are very different from ours. Therefore, efforts to analyze and understand North Korea’s legal system, especially criminal law,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North Korea’s situation and reality. In addition, in the event of a change to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it is possible to foresee various problems that may arise in the process of integration in the criminal law field or cooperation in the criminal field and take countermeasures against legal problems that may arise in the process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It is very meaningful to be prepared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ese situation. In North Korea’s current criminal law system, substantive laws consist of the basic Criminal code and supplementary provision of criminal code. During the revision of the Criminal Code and the adoption of the supplementary provision of criminal code, the retroactive effect prohibition principle was stipulated and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analogy interpretation was introduced. In addition, the fact that it has made its own efforts to realize the principle of nullum crimen sine lege through a series of attempts to clarify the individual components is certainly a positive aspect to be evaluated. However, based on the recognition attitude that recognizes the teachings of Kim Il-sung-Kim Jong-il-Kim Jong-un as the highest norm that transcends positive law, it is a strong legal principle based on the natural law ideology that prioritizes the values that society and the state should pursue as the upper principle of positive law. Having a corporate attitude and understanding the criminal law as a tool for realizing class dictatorship can become obstacles to the realization of the nullum crimen sine lege. And the same is true for the fact that, although it has been continuously revised, the meaning is still unclear or the constituent acts themselves are unclear. For this reason, it is also true that there is a critical view that North Korea’s efforts are only a formality and that their motives have nothing to do with efforts to improve human rights. However, even if the evaluation is based on such a critical point of view, some changes are being made in the ideological elements and intensity of the criminal law from a legal point of view. In addition, I think it should be evaluated positively that it is moving in the direction to function as an objective social control nor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y to look at these aspects from a relativistic point of view.

      • KCI등재

        저작권법에 의한 보호가 부정되는 경우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차)목의 적용범위

        박성호(Park, Seong-Ho) 한양법학회 2018 漢陽法學 Vol.29 No.1

        Article 2 (1) (j)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was newly established in 2013. This provision is supplementary general provision and its contents are inclusive.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rticle 2 (1) (j) will be expanded in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limits to which Article 2 (1) (j) is applied when the protection by copyright law is denied. The key point of this paper is that there should be `special circumstances` that can be judged to be illegal as unfair competition act in applying Article 2 (1) (j). In order to formulate these `special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m. For the classification of `special circumstances`, the precedents and interpretations of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German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can be referred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German precedent and interpretation theory, as a type of behavior in which "special circumstances" are recognized, direct imitation of the intellectual achievements of another person, imitation of a mode contrary to contractual obligation or justice, or imitation of the mode of acquiring information by means of fraudulent means. And in order to be recognized as a `special matter`, it is necessary that the achievements of others are of a certain transaction value. The degree of transactional value required will need to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imitation, the mode of imitation, and the limited period of time reasonably necessary for the return on investment of the achievement develo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