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희(朱熹)의 치심(治心) 수양론에 대한 고찰 ― 진덕수업(進德修業)에 관한 주자 어록을 중심으로

        김진희 한국중어중문학회 2023 中語中文學 Vol.- No.93

        This study explores the theoretical grounds that materialize Zhu Xi's mind cultivation theory by analyzing quotes related to Zhu Xi's the cultivation of virtue and deed appearing in Zhu Zi Yu Lei and Annotation Book of Jin Si Lu. The thesis was developed in a way to review the relationship with mind cultivation while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sincerity of mind, performing one's words and actions sincere, which are the practice methods of the cultivation of virtue and deed. In Chapter 2, it is argued that sincerity of mind, which indicate the true state of mind, are the basis of mind cultivation. It was analyzed cognitive action in a sincerity of mind from the aspect of cultivation theory. Based on Zhu Xi's definition of a sincerity of mind from Da Xue, Zhong Yong and Meng Zi, inferred how to expand a sincerity of mind. In Chapter 3, based on Zhu Xi's interpretation of the theory of Cheng Hao, Cheng Yi, it was clarified that performing one's actions sincere was the target point of mind cultivation that could be reached based on sincerity of mind, and it was confirmed that righteousness was the criterion for performing one's actions sincere. In Chapter 4, it was defined as a linguistic discipline in which making one's words sincere introspects his mind based on sincerity of mind and takes care not to reflect personal thoughts. It was confirmed that Zhu Xi presented the concept and method of performing one's words sincere through Zhong Yong and Lun Yu, and discussed the reality and presentness,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one's words sincere. From the discussion above, it was concluded that sincerity of mind are the root of mind cultivation, performing one's actions sincere is the goal of mind cultivation, and performing one's words sincere is the method of mind cultiva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discover the possibility that sincerity of mind, performing one's words and actions sincere, which are the practice methods of the cultivation of virtue and deed, could be components that form the theoretical system of mind cultivation theory.

      • KCI등재

        권근 역학에서 ‘誠’과 ‘中’에 대한 형이상학적 분석

        이기훈(Lee, Ki-Hoon) 동아인문학회 2014 동아인문학 Vol.29 No.-

        《周易淺見錄》에 관한 기존의 논문들이 넓은 시각에 입각하여 연구되었다면, 이 논문은 미세한 부분을 파고 든 것이다. 이 논문은 《주역천견록》 <易說·上經>의 첫 단락을 위주로 해석하였다. 《주역천견록》의 첫 단락에서 權近은 《주역천견록》 전체를 개괄하면서, 자신의 역 철학 체계 속에서 ‘誠’과 ‘中’의 입장을 드러내었다. 이 논문은 바로 이 誠과 中의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권근이 말한 ‘성’과 ‘중’은 《주역》을 새롭게 이해하여 자신의 논리로 풀어낸 것이다. 이러한 것은 《周易》과 《中庸》을 동시에 해석하면서 풀어낸 개념인데, 형이상학적 의미를 담고 있다. 권근이 말하는 誠은 우주의 원리이자 본체이다. 그는 성이 포괄하고 있는 것이 天理라고 하였다. 그렇지만 성은 천리라 하여 고정되어 있는 본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천리가 활발하게 유행하는 동적인 개념을 의미한다. 이는 우주가 항상 변화하고 움직인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유추하여 개념화한 것이다. 아울러 中은 사람이 따라야 할 의리이다. 물론 사람이 따라야 할 의리 역시 성과 같이 천리를 드러내며 교화하는 것이다. 권근은 천리를 체현하고 교화를 지극히 한 사람으로 聖人을 내세운다. 성인은 리를 온전하게 인식한 사람이자 이 리를 구체적인 기록으로 남긴 사람이며, 또한 사람들을 도덕적인 리로 이끄는 사람이다. 즉 성인은 완전한 도덕적 인격을 의미한다. 권근은 송원대 역학을 받아들여 자신만의 역학을 완성하였다. 권근은 역학의 해석 방식에서는 송원대 여러 역학자들의 관점을 받아들였지만, 성과 중의 해석에 있어서만큼은 주돈이의 《태극도설》과 《통서》를 차용하였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권근 역학의 독자성은 바로 이 성과 중을 통해 확립할 수 있다. 권근 역학은 바로 송역의 연장선상에서, 그리고 학술 차원에서도 동일한 경지에서 조선역학을 개창한 것이다. Previous studies of Zhou Yi Qian Jian Lu is studied in a broad sense, this paper is studied in detail of it, and is mainly to interpret the first parapraph of Zhou Yi Qian Jian Lu, Yi Shuo Shang Jing. The paragraph of Zhou Yi Qian Jian Lu is that which Gweon-Geun sums up Zhou Yi Qian Jian Lu and states his position of ‘sincerity’ and ‘mean’ in his own philosophical system. This paper is to analyze ‘sincerity’ and ‘mean’. ‘Sincerity’ and ‘mean’ Gweon-Geun refered is that which newly understands Zhou Yi and then solves it by his logic. It is the concept that interprets and solves Zhou Yi and Zhong Yong at the same time. Sincerity that Gweon-Geun indicates is principle of the universe and noumena of it. He said that sincerity includes is ‘principle of heaven(Tien Li)’. But sincerity is not its own principle of heaven, it means principle of heaven goes around. So it means to reveal principle of heaven through sincerity. Sincerity is not just principle of heaven. Mean is justice which people have to follow. Of course, justice people have to follow is to reveal and to reform principle of heaven like sincerity. Gweon-Geun puts up saint as one who embodies principle of heaven and extremely reforms oneself. The saint is one who soundly recognizes principle(Li) and records priciple as cocrete thing and leads people into moral priciple. That is to say, it means saint has perpect personality. Gweon-Geun accepted I-hsuh in Song-Yuan period so that this argument was completed. In interpretive mode of I-hsuh, he accepted views of several philosophers in Song-Yuan period, but in interpret of sincerity and mean, he borrowed Chou Tun-I’s Taijitushuo and his T’ung-shu. Identity of Gweon-Geun’s I-hsuh can be established through sincerity and mean. Gweon-Geun’s I-hsuh inaugurated I-hsuh in Joseon dynasty on an extension of I-hsuh in Song dynasty.

      • KCI등재

        艮齋 田愚의 海上散筆에 대한 연구 간재의 ‘敬’字·‘誠’字 工夫論을 중심으로

        장병한(Jang,beoungha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8 동양한문학연구 Vol.51 No.-

        간재는 1914년(74세)에 「海上散筆」을 저술하게 된다. 이는 특히 간재가 1910년 庚戌 國恥(國亡)의 아픔을 간직한 채, 海島(繼華島)에 머물면서 지은 것으로, 한말 및 근대 이행기의 도학 계열을 대표하는 간재 및 간재학파의 학문과 사상, 그리고 그들의 활동에 관한 연구와 관련하여 주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의 저술 성향은 대체로 「㤓言」과 같은 류의 것으로서, 주로 李寒州의 心理說에 대해 비판·변론하는 형식을 띄고 있다. 그런 가운데 여기에는 간재의 해역 생활에서의 깊은 고뇌와 國 亡大亂에 대한 原因 診斷 및 그 克服의 講究策으로서 ‘敬字·誠字’ 공부론이 깊이 있게 전개되고 있다.간재는 먼저 작금의 국망 대란의 원인을 찾음에 있어, 당시 세간의 上位層에 있는 일부 선비들이 空虛한 心學을 전수하는 것, 浮華한 문자나 글귀에 집착하여 실천과 실용 학문에 힘쓰지 않은 것, 중간층의 사람들 역시 微賤한 氣를 학습하는 것 등을 들고 있다. 그리고 특히 간재는 당시 주심가들이 性을 가볍게 여기고 자신들의 ‘心 만을 사용하여(師心說)’ 천하가 결국 大亂을 겪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그는 진실로 心이 理를 따라야만 작금의 국망 대란을 치유할 수 있음을 밝히면서, 마음은 ‘敬으로써 理를 밝히고’, ‘誠으로써 道를 따르는’ 즉, ‘敬’字와 ‘誠’字 공부론을 제안하게 된다. 여기 誠과 敬에는 유가 工夫의 극진함이 모두 담겨있어, 이를 실천한 다면 凡骨을 되돌려 聖人의 血脈에 접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 간재의 ‘敬’字·‘誠’字 공부론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특이성을 발견할 수 있다. 1) 主理說에 입각하여 性(理, 體)은 천하의 至尊, 敬(人功의 用)은 學問의 大本임을 제안하여, ‘용경’ 공부론의 주요함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 2) 程伊의 敬 공부론은 경험(用, 人功)에서 나온 것임에 비추어 수용하는 반면, 朱子가 敬을 未 發時의 中(性, 體) 공부론으로 주장한 것에 대해서는 의문을 표시하고 있다는 점, 3) ‘용성’의 공부가 마음(意)의 未發時(靜)와 已發時(動)를 동시에 관통하고 있음을 주장 하여, 앞서 주심가들이 미발시(靜)에는 ‘용성’의 공부가 필요치 않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고 있다는 점, 4) 대학의 ‘誠意’의 성과 맹자의 ‘誠身’ 성에는 內(마음)와 外(身)의 공부가 二分 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내와 외를 동시에 관통하고 있음을 주장한 점, 5) 주자의 妙用으로서의 盡心과 全體로서의 盡性에 근거하여, 자신의 심성설을 ‘性體心用’설로 구체화하고 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현재의 연구 결과만을 가지고는 간재의 이와 같은 공부론의 특징들이 어떤 유학사적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서는 가늠하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생각한다. 앞으로 간재의 공부론에 대한 연구와 함께, 당시 간재학파와의 대척에 있었던 화서학 파, 노사학파, 한주학파의 공부론에 대한 연구도 아울러 진척이 된다면, 이들 각 학파와의 공부론의 차별성이 드러날 것이고, 이에 따라 간재의 ‘용경’, ‘용성’의 공부론의 유학사적 의미도 아울러 밝혀질 것으로 생각한다. Ganjae diagnosed the causes of then national ruin as scholars failure to strive for practical work, as the transfer of pointless mind science, as excessive learning of lowly Ki learning, and as mind believers taking the mind as their teachers to behave themselves as they please. As a method for overcoming the causes, Ganjae proposed to embrace loyalty, the essence of Confucianism, to establish the principle and sternly foster the middle way, and to practice the establishment of mind for sincerity, respect for supporting the body, and righteousness for retribution. 1) In the study theory of Respect Word - -‘Use of Respect, if Respect becomes the master of a human being, well searches the mind, and governs it, then, the person will be able to discipline oneself, manage his home and rule a nation thus achieving a world of peace. 2) In the study theory of ‘Sincerity Word’-‘Use of Sincerity, the study of ‘Sincerity Word’ will not fail to be learned in all things, will control both the movement and non-movement of the mind, so the Moral Person can stop wickedness and is equipped with the movement and non-movement in the study of maintaining sincerity. 3) In the theory of Sincerity -Respect Word, Ganjae defines the two characters, Sincerity (誠) and Respect (敬), as the key of our all Confucian goodness, and defines them as the holistic study theory of learning. And, he said: Respect mingles and interacts with Knowledge and Act, and Sincerity mingles and interacts with Movement and Non-Movement. And he further argues: ‘Brightening Reason with Respect and ‘Following the Way with Sincerity are the best study theory which changes a mediocre s skeleton so as to be linked to the saint s blood vessel.

      • KCI등재

        『중용(中庸)』에서 성(誠)과 지(智)의 관계와 공부론적 의미

        한상인 ( Han Sang-in ) 한국교육사학회 2018 한국교육사학 Vol.40 No.2

        본 연구에서는 『중용』에서의 성(誠)과 지(智)의 관계를 해명하였다. 곧 성과 지, 양자 사이에 필연적 연관성이 있는가의 문제인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誠)은 천지자연과 성인(聖人)의 측면에서 지(智)와 필연적 연관성이 있다. 성(誠)은 천지자연과 성인(聖人)의 자기 전개의 근본원리로, 천지자연과 성인 자신을 이루고[成己] 동시에 타존재를 이루어낸다[成物]. 이때 성기·성물은 각각 인(仁)·지(智)의 덕에 말미암는다. 따라서 천지자연과 성인에게서 성(誠)은 지(智)와 필연적으로 관계한다. 둘째, 군자(君子)는 지(知) 공부를 통하여 지(智)를 함양하고 성(誠)에 이르기 위해 노력하는 존재다. 군자는 그 존재적 한계로 말미암아 온전히 성(誠)할 수 없다. 다만 성하기 위해 노력할 뿐이다 [誠之]. 성하기 위한 노력은 지행(知行)의 공부로 구체화하는데, 지 공부는 성인이 타존재를 이루어내기 위해서 제정한 예의(禮儀)·위의(威儀)에 대한 공부이다. 군자는 성인이 제정한 예의·위의를 통하여 성인의 역사적 안목을 학습한다. 이상의 성과 지의 관계 해명을 통하여 다음의 공부론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첫째, 주자학 내 사학(史學)의 위상이 경학(經學)에 비해 결코 낮지 않음을 확인했다. 둘째, 격물치지(格物致知)의 지공부가 성(誠)에 다다르기 위한 필수적 과정임을 확인했다. This article cla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sincerity(誠) and wisdom(智) in the 『Zhongyong』, addressing the problem of whether or not sincerity guarantees wisdom. Regarding this question, two points are concluded. First, from the standpoint of sages(聖人) and the cosmos(天地自然), sincerity does guarantee wisdom. As the basic principle of their self-unfolding, sincerity is how the cosmos and sages simultaneously actualize themselves(成己) and other beings(成物). Here the actualizations of selves and others arise through the virtues of ren(仁) and wisdom respectively. Therefore, to sages and the cosmos, sincerity guarantees wisdom. Second, junzi(君子) is a being who strives to become sincere by cultivating wisdom through intellectual(知) study. In accord with his existential limitations, he can never be wholly sincere. He can only strive to be sincere[誠之]. This endeavor to become sincere is made concrete through intellectual and practical(知行) kung fu. The intellectual portion of this kung fu pertains to the civil and dignified manners (禮儀, 威儀) that the sages had established for the sake of actualizing other beings. It is through these manners that a junzi studies the historical perspectives of the sages. The following inferences concerning kung fu are made based on this cla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incerity and wisdom. First, it is confirmed that in Neo-Confucianism the subject of history(史學) was not at all lower than that of classics(經 學). Second, it is confirmed that the intellectual kung fu of gewuzhizhi(格物致知) is a necessary process for attaining sincerity.

      • KCI등재

        치지(致知)와 성의(誠意)의 개념적 관련성 고찰 : 『대학장구』와 『대학혹문』을 중심으로

        정지연(Cheong, Ji-Yeon)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0 敎育思想硏究 Vol.34 No.1

        본고는 『대학』의 치지(致知)와 성의(誠意)의 개념적 관련성을 주희(朱熹)의 『대학장구』와 『대학혹문』을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지식과 도덕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치지는 격물(格物)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나의 지적 활동으로, 사물에 대한 이해에 근거하여 나의 앎을 지극히 하는 활동이며, 나를 둘러싼 세계의 현상적 법칙과 그 법칙대로 되어야만 하는 이유를 파악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이해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에 대한 이해이며, 인간이 지켜야 할 도덕원리를 파악하는 것이다. 격물·치지는 이미 알고 있는 것에 근거하여 꾸준히 이루어져야 하며, 그 누적을 바탕으로 다른 영역에 대하여 유추할 수 있다. 치지의 다음 단계인 성의는 마음이 발하는 바에서 선(善)과 악(惡)이 갈리는 도덕의 첫 관문이다. ‘뜻을 참되게 한다’는 성의는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것을 진실로 행하는 것이다. 뜻이 참되어지면 스스로 흡족하게 되는데, 이러한 흡족함은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사람의 본성과 일치되기 때문이다. 치지가 잘못되었을 경우 성의는 결코 기대할 수 없으나, 성의를 위해서는 치지뿐만이 아니라 성의만의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성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마음이 발하여 의도가 일어날 때 그 기미를 살펴야 한다. 선을 좋아하고 악을 제거해야 하는 것에 대한 우리의 지극한 앎은 마음이 발하는 바의 참됨을 보장하지는 못한다. 뜻이 참되어지기 위해서는, 뜻을 우리의 선한 본성에 대한 앎에 일치시키려는 노력을 끊임없이 해야 한다. 성의가 잘못되었을 때 치지는 그 조회처(照會處)로서 기능한다. 지식은 도덕에 문제가 일어났을 때 그 사태를 시정하는 기준이 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knowledge and morality by understanding the conceptual relations of the extension of knowledge(致知) and sincerity(誠意) in Chu Hsi(朱熹)′s 『Great Learning Chapters(大學章句)』 and 『Question and Answer of Great Learning(大學或問)』. The extension of knowledge defined as intellectual activity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ings(格物) and understanding of the law and reason of things which exist in the world around us. The ultimate purpose of the activity is to understand the transcendental principle. The activity should be conducted with existing knowledge, accumulated and continued. The inference is its effect. Sincerity(誠意) is the next clause of the extension of knowledge. It is the first gateway of morality in regard to the division of good and evil. Sincerity is defined as removing evils by doing genuine good. Pleasure can be derived in this state not because of the result, but because of human nature. Sincerity cannot be expected in the case the extension of knowledge goes wrong. To determine sincerity, the inner self must be examined with careful examination of intention at the time. The extension of knowledge can not guarantee sincerity. Sincerity requires the effort to follow the point of the extension of knowledge in addition to the achievement to the extension of knowledge. The role of the extension of knowledge in regard to sincerity is the standard to correct the insincerity. Knowledge works as the standard for correcting immorality.

      • KCI등재

        ‘성경(誠敬)’을 통해서 본 정호의 수양공부론

        이연정 ( Lee Yeon Jeong ) 한국유교학회 202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4

        우리는 보통 ‘성경(誠敬)의 도’라고 통용해서 사용하고 있지만, 성(誠)과 경(敬) 개념은 각기 자체만으로 수양공부론적 의미를 함의한다. 성경을 중심으로 수양공부를 제시한 인물은 정호(程顥)인데 정이(程頤)와 구별되는 자신만의 사상을 제시한다. 그에게 있어서 ‘성(誠)’은 믿을만한 행위로 이루어진 삶을 의미하며 이상적인 경계로까지 그 의미가 확대된다. ‘경(敬)’은 실제 삶에서의 행동지침으로 구체적인 수양방법이면서 성(誠)과 동일시된다. 성경(誠敬)은 본체공부로서의 특색을 드러내면서도 정호 사상체계를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핵심 개념이다. 본 논문은 그가 제출한 성경(誠敬)의 의미를 성(誠)과 경(敬)을 합치한 성경(誠敬)의 도에 대한 통합적 고찰을 통해 정호가 제시하는 공부론의 특색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전개한다. 이는 정호 사상 전반을 파악하는 유의미한 작업이 될 것이다. Sincerity and Piety are usually combined together to define justice as the word Justice of Sincerity and Piety. However, the concepts of Sincerity and Piety imply the meaning of self-discipline study theory respectively. It was Cheng Hao who suggested the study of self-discipline focused on Sincerity and Piety, which was distinguished from Cheong Yi’s theory. He thoughts that Sincerity meant the life that consisted of reliable behaviors, which would extend its meaning up to the ideal level. Piety is not only a clear self-discipline method that plays a behavior standard to everyday life but also considered as same as Sincerity. The concept of Sincerity and Piety is essential in grasping Cheng Hao’s idea system while exposing its attribute as a study of the existence root. This study is developed in the way to expose the attribute of the study theory suggested by Cheng Hao through a convergent consideration on the Justice of Sincerity and Piety in which they are integrated into Justice in order to explain their meaning shown by him, which will be a meaningful work to understand Cheng Hao’s idea in overall.

      • KCI등재

        「布衣交集」의 眞情과 虛僞

        정길수 민족어문학회 2019 어문논집 Vol.- No.85

        Poui-gyojip is a Korean classical Chinese medium-length novel written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narrator of Poui-gyojip illuminated the male and female protagonists with two contradictory views, the view for amusement(the author’s view that saw Cho-ok as an object of play) and the view of sincerity(the author’s another view that try to understand the inside of Cho-ok sincerely). The beginning of the work was dominated by the view for amusement, but since the middle of the work, the center of gravity shifted towards the view of sincerity. At the end of the work, the view of sincerity was completely dominant, and especially in the finishing scene, only the view of sincerity that saw the male and female protagonists sympathetically remained. However, in view of the tragic destiny of Cho-ok, the author of Poui-gyojip did not fully express the tragic embedded in the work. The reason for this was that the author, who did not understand the consciousness of Cho-ok, chose the way of the comic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work and then illuminated Cho-ok with two contradictory views. The peculiarity of Poui-gyojip lay in Cho-ok's idea that defined ‘affair’ as ‘pure friendship’. However, the ‘ethics of love’ proposed by Cho-ok was hardly recognized as justified for the following two reasons. First, the author of Poui-gyojip could not set up appropriate character relationships for searching issues seriously. The relationship between Yi-saeng and Cho-ok family was a major obstacle to judge Cho-ok's desire as sincerity, not false consciousness. Secondly, there is a big logical flaw in Cho-ok's idea. Cho-ok pursued spiritual sympathy between best friends, and furthermore publicly insisted that the physical relationship was legitimate. But a friendship and physical love are separate issues. In order to avoid logical contradictions, Cho-ok must justify the love of married men and women in the dimension of affirmation of desire by abandoning the name of pure friendship, but she did not choose this way. 「布衣交集」은 19세기 후반에 창작된 한문 중편소설이다. 「포의교집」의 서술자는 모순된 두 시선, 곧 ‘유희의 시선’과 ‘진정의 시선’으로 남녀 주인공을 조명했다. 작품 초반부는 ‘유희의 시선’이 지배적이었으나 중반부 이후 차츰 ‘진정의 시선’ 쪽으로 무게중심이 옮겨 갔다. 종반부에 이르면 진정의 시선이 완전한 우세를 점하고, 특히 마무리 장면에서는 남녀 주인공을 모두 동정적으로 바라보는 진정의 시선만 남았다. 그러나 초옥의 비극적 운명에 비추어 「포의교집」은 작품에 내장된 비극성을 충분히 발현하지 못했다. 그 원인은 초옥의 의식을 온전히 파악하지 못한 작자가 작품의 출발점에서 희화화의 길을 택하고 이후 모순된 두 시선으로 초옥을 바라본 데 있다. 「포의교집」의 가장 큰 특이점은 ‘불륜’을 ‘순수한 우정’이라 규정한 초옥의 생각에 있다. 그러나 「포의교집」에서 초옥이 제시한 ‘사랑의 윤리’는 다음 두 가지 이유에서 그 정당성을 인정받기 어렵다. 첫째, 진지한 문제 제기와 탐색에 적합한 인물 관계를 설정하지 못했다. 이생과 초옥 가족의 불평등 관계, 특히 초옥 남편의 취약한 위치는 초옥의 願望을 허위의식이 아닌 진정으로 판단하는 데 큰 방해 요소로 작용했다. 둘째, 초옥의 생각에 큰 논리적 결함이 있다. 초옥은 ‘知己論’을 내세워 정신적 교감을 추구했고, 나아가 육체관계까지 정당한 것으로 공공연히 주장했다. 그러나 ‘포의지교’와 육체적 性愛는 별개의 사안이다. 논리적 모순을 피하기 위해서는 포의지교의 명분을 버리고 욕망 긍정의 차원에서 기혼남녀의 사랑을 정당화해야 하나 초옥은 이 길을 택하지 않았다.

      • KCI등재

        동학의 ‘성(誠)’관에 나타난 기일원론(氣一元論) 문제

        이정애 한국유교학회 202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92

        Donghak attempts to establish the logic of humanness related to human identity through the view of ‘Sincerity’. Donghak's view of Sincerity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logic of constantly changing energy, not on the logic that values immutable rationality. Donghak thinks that everything that exists in this world is formed by harmony of spirit. According to Donghak, this world is filled by the huge spirit, which is the ‘one Qi[一氣]’, and all things are made by this ‘extreme Qi(至氣)’, Since Donghak was also achieved by ‘extreme Qi’, I think humans can live a human-like life only when they understand the laws of this universe well. Soon, Donghak formed a theoretical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origin on the basis of existence and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world. Donghak identifies the human attitude that truthfully reveals the fair mind of heaven in life without self-interest with the logic of ‘Sincerity’. In Donghak, ‘Sincerity’ is a mysterious life activity formed inside humans by the mysterious "Jiji." This life activity is always with a fair sky, so it is the source of morality that can maintain human dignity. In Donghak, keeping the mind upright(守心正氣) is a practical method for realizing Sincerity. Donghak constructs this unique logic of depth by utilizing the perspective of the unification of way of heaven, the principle of heaven's operation, and the path of way of human, of humans, which are emphasized in traditional study abroad. In other words, in Donghak, ‘Sincerity’ is not only a symbol of personality cultivation that protects and corrects the original heart of the pure sky, but also a peaceful action plan to realize an equal society. The moral life that Donghak values is an important theoretical basis for social practice. Donghak believes that human beings, who are social beings, should form a desirable community society through their inner awareness. This is because the goal of building an equal society based on Donghak's sense of community is to regard both human-human relations as ‘one body[一體]’. In this way, Donghak's ‘Sincerity’ view, based on the Qi monism(氣一元論), aims to realize that each human being is heaven and lead a life as an equal being. 동학은 ‘성(誠)’관을 통해 인간의 정체성과 관련되는 인간다움의 논리를 정립하고자 한다. 동학의 ‘성’관은 불변의 리(理)를 중시하는 논리에 근거하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기(氣)의 논리를 토대로 하여 성립되었다. 동학은 이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기(氣)의 조화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생각한다. 동학에 의하면 이 세계는 ‘한 기[一氣]’인 ‘지기(至氣)’에 의해 가득 채워져 있고, 모든 만물은 이 ‘지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동학은 인간 역시 ‘지기’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인간은 이 우주의 법칙을 잘 파악해야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곧 동학은 세계의 존재 근거와 운행원리에 대해 기일원론(氣一元論)의 관점으로 이론체계를 구성했다. 동학은 사심(私心) 없이 공평한 하늘의 마음을 삶 속에서 진실하게 드러내는 인간의 태도를 ‘성(誠)’의 논리로 규명한다. 동학에서 ‘성’은 허령창창한 ‘지기’가 인간의 내부에서 형성한 신묘한 생명 활동이다. 이 생명 활동은 항상 공평무사한 하늘과 함께하기 때문에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도덕성의 발원처이다. 동학에서 수심정기(守心正氣)는 성(誠)을 구현하기 위한 실천 방법이다. 동학은 전통적인 유학에서 중시하는 하늘의 운행 원리인 천도(天道)와 사람의 길인 인도(人道)의 통일에 대한 관점을 활용하여 이러한 독창적인 수심정기의 논리를 구성한다. 동학에서 ‘성’은 본래의 마음인 순수한 하늘의 마음을 잃지 않고 지키며 기를 바르게 하는 인격수양의 상징일 뿐만 아니라, 평등사회를 구현하는 평화로운 실천 방안이다. 동학에서 중시하는 도덕적 삶은 사회적 실천의 중요한 이론 근거이다. 동학은 사회적 존재인 인간이 스스로 내면의 자각을 통해 바람직한 공동체 사회를 형성해야 할 것으로 여긴다. 동학의 이러한 공동체 의식을 기반으로 하는 평등사회 건설의 지향은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모두 ‘한 몸[一體]’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이처럼 기일원론(氣一元論)을 토대로 하는 동학의 ‘성’관은 인간 각자가 하늘님임을 깨달아 모두 평등한 존재로서의 삶을 영위할 것을 지향한다.

      • KCI등재후보

        누가 구호 활동의 진정성을 더 중시하는가?: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나준희 한국콘텐츠산업학회 2023 콘텐츠와 산업 Vol.5 No.1

        Donation is a sacrifice of ownership. Underlying the sacrifice lies a warm heart for the neighborhood. The donor wants his sincerity to be conveyed to his neighbors in need. Even if a donor chooses a relief organization as an agent without directly doing relief activities, the essence of the donation is a commitment to the neighbors in the neighborhood. The nature of donations that donors think is sacrifice and sincerity. The relief organization is an agent of the donor. The essence of donors' thinking of relief organizations is also sacrifice and sincerity. As such, the essence of the situation related to donation and relief is sacrifice and sincerity. This is authenticity. In particular, the sincerity of the activities conducted by the relief organization, which is an agent,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erms of the spread of the donation cul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under what conditions the authenticity of relief activities performed by relief organizations is valued or relatively less. This study found that donors' self-esteem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authenticity effect of relief activities. This study predicted that the donor's self-esteem would be a moderating variable of the authenticity effect of relief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onors with high self-esteem recognized the authenticity of relief activities carried out by relief organizations as very important. When it was judged that the sincerity of relief activities of relief organizations was low, their intention to donate was significantly low. However, the sincerity effect of relief activities carried out by relief organizations did not appear in donors with low self-esteem.

      • KCI등재후보

        虛와 誠의 관점에서 본 南冥의 수양론

        엄연석(Eom Yeon-seok) 한국국학진흥원 2007 국학연구 Vol.10 No.-

        본 논문은 남명 조식의 철학에서 도덕적 수양과 실천의 핵심 덕목으로서 경敬과 의義의 존재론적 가능근거로서 허虛와 성誠이 그의 수양론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중점적으로 해명하고자 하였다. 남명 철학에 있어 성誠은 천도와 인도를 포괄하는 것으로 천도天道로서의 성은 도덕적 수양의 근거인 반면, 인도人道로서의 성은 도덕적 행위를 행할 수 있게 하는 실천적인 경지이다. 반면 남명 철학에서 허虛는 도가에서 언급하는 본체론적 근원으로서 도道의 기능이나 작용을 의미한다. 또한 허는 유가적인 실리實理 사물의 근거로서의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이렇게 볼 때, 남명 철학에서 ‘허’는 도가와 유가를 관통히는 수양의 핵심적 계기가 되는 마음의 상태라 할 수 있다. 남명의 철학은 경의敬義를 강조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성에 대한 자각과 그것을 가능케 하는 조건이며 마음의 상태인 허를 동시에 깔고 있다. 곧 남명의 철학에서 수양의 과정은 성을 보존하고자 하는 지향을 가지고, 마음을 허의 상태로 유지하는 것, 경으로 물욕을 제어하는 것, 궁리로 격물치지의 앎을 넓히는 것, 의로 실천에 나아가는 것 등의 단계적인 계기를 포함하고 있다. 요컨대, 남명의 철학에서 성과 허의 관계, 경과 허, 그리고 허와의 등의 관계는 매우 긴밀한 수양론적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특히 허의 의미에 대한 탐구는 남명철학의 노장적 특성과 성격을 규명하는 데도 유의미한 시사를 던져준다. This Essay try to elucidate a position which vacuity虛 and sincerity誠 as the ontological foundation of reverence and rightousness have in Nam-myung's theory of cultivation. Sincerity in Nam-myung's philosophy is a thing which encompasses a principle of heaven and man, and while sincerity as a principle of heaven is a ground og moral cultivation, sincerity as a principle of man is a practical standard of mora act. On the other hand, vacuity in Nam-myung's philosophy means the function or action of way as a cosmological origin in Taoism Also, the vacuity has a meaning as a real principle in confucianism and the ground of the thing. In this view, the vacuity can be a central motive of cultivation penetrated into Confucianism and Taoism. Nam-myung's philosophy has emphasized reverence and right-ousness, but an awareness on sincerity and vacuity as it's possible condition is placed in it's meaning. That is to say, in Nam-myung's philosophy the process of cultivation has an orientation to intend to reserve sincerity, and contains classified procedure such as maintenance of vacuity in mind, discard of desire by reverence, extension of knowledge through investigation of principle, practise on rightousness etc. In conclusion, in Nam-myung's philosophy the relation between sincerity and vacuity, reverence and vacuity, vacuity and rightousness has a very intimate meaning of cultivation-theory. Especially, through the investigation into a meaning of vacuity, we can illuminate Taoistic characteristic and disposition of Nam-myung's philoso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