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립대학 간 공유대학 활성화 방안 연구: 충청권 국립대학 공동 교육혁신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김수진(Sujin Kim),심관용(Gwan Yong Shim),조인(In Cho),이길재(Gil Jae Lee)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2 지방교육경영 Vol.25 No.3

        이 연구는 충청권 국립대학 공동 교육혁신센터 사례를 통해 대학 간 교류·협력 및 공유대학 활성화 방안 도출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 간 교류·협력과 공유대학의 개념을 정의하고, 국내외 교류·협력 및 공유대학 사례와 충청권 국립대학 공동 교육혁신센터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과거의 대학 간 교류·협력 사례와 국립대학 육성사업의 공동 교육혁신센터 사례, 2020년 이후 공유대학 사례는 대학 간 교류·협력이라는 내용적인 측면에서 유사하지만, 운영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과거 대학 간 교류·협력 사례는 교류·협력을 주관하는 전담조직의 부재와 안정적 예산 확보의 어려움이 한계점으로 나타났다. 2019년 이후 충청권 국립대학 공동 교육혁신센터와 공유대학 사례는 전담조직이 협력사업을 운영하는 공통점이 있으나, 공유대학 사례와 달리 충청권 국립대학 공동 교육혁신센터는 권역별 참여대학의 국립대학 육성사업 예산 분담금으로 운영된다는 측면에서 적극적인 사업 추진에 한계가 있었다. 반면 공유대학 사례는 대학 간 교류·협력을 목적으로 재정지원사업이 설계되고 실행되었기 때문에 참여대학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할 수 있고, 전담조직과 안정적인 예산확보가 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권역별 공동 교육 혁신센터를 통한 국립대학 간 공유대학 체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a plan to promote an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through the case of the Chungcheong Higher Education Compact(CHEC). To this end, the concept of shared universities and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were defined, and th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exchange cooperation, shared universities and the cases of the CHEC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ases of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the case of the CHEC of the National University Promotion Project, and the case of shared universities after 2020 are similar in content,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operation. In the past, in the case of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there was a limit to the absence of a dedicated organization in charge of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securing a stable budget. Since 2019, CHEC and shared universities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a dedicated organization operates a cooperative project. However, unlike the case of shared universities, in the case of CHEC, there is a limit to the active business operation as part of the budget for national university development projects is shared and operated. On the other hand, the case of shared universities has a relatively large influence on actively participating in exchange and cooperation because the dedicated organization manages the budget for financial support projects, where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is the main project.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a plan to promote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a shared university system through joint educational innovation centers by region was suggested.

      • KCI등재

        대학간 교육과정 공유 관련 학사제도 운영의 저해요인 분석

        채재은,이인서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3 고등교육 Vol.6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obstacles to curriculum sharing activities among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recently attracting attention as a strategy for overcoming the university financial crisis and educational innovation. To this end, eight consortia participating in the 'Digital New Technology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novation Sharing University Project' ('COSS Project'), which focuses on curriculum sharing activities, were set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First, the business plans for the first and second years of the eight consortia were used to analyze their joint curriculum operation plans and academic system improvement performance,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heads of the academic affairs teams of the eight consortia to understand the results in more depth. The analysis of the eight consortiums' plans showed that, first, the homogeneity of the participating universities, not jus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universiti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urriculum sharing among universities. Second, among the types of joint curriculum operation, joint operation of microdegree courses, credit transfer and credit accreditation, credit exchange systems, and intensive programs were found to have higher performance. This suggests that the lesser the need to change the existing academic system, the easier it is to gather opinions on campus and the more likely it is to encourage students to take courses at other universities. These findings were reinforced by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ith the heads of academic affairs teams, which revealed that in addition to factors at the level of the higher education system, higher education system, and policy, there are many factors at the level of individual universities that make it difficult to improve the academic syste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are a number of new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at the university and government levels to promote shared activities among univers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재정 위기 극복 및 교육혁신 전략으로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대학간 교육과정 공유활동’의 저해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공유활동을 중점 지원하는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COSS 사업’)’에 참여하는 8개 사업단들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우선 8개 사업단들의 1, 2차년도 사업계획서를 활용하여 교육과정 공유 관련 학사제도 개선 계획과 실적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 8개 사업단의 학사행정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8개 사업단의 계획서 분석 결과, 첫째 대학간 교육과정 공유 관련 학사제도 개선에는 ‘개별대학 특성’만이 아니라 ‘참여대학들의 동질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사제도개선 유형’ 중에는 마이크로디그리정 운영 관련 개선 실적이, ‘학점교류 및 학점인정’ 유형 중에는 학점교류제 시행 관련 개선 실적이, ‘학기 운영’ 유형 중에는 집중이수제 실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학사제도를 변경할 필요성이 적을수록 학내 의견 수렴이 쉽고, 학생들의 타교 교차수강도 활성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학사팀장 면담 결과 분석을 통해서 보다 확연히 드러났다. 분석 결과, 고등교육체제, 고등교육 제도와 정책 차원의 요인들 외에도 학사제도 개선을 저해하는 는 개별 대학 차원의 요인들이 다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학간 공유활동 촉진을 위해서 각 대학, 그리고 정부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추진해야 할 새로운 과제들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간 교양교육 공유 협력 현황과 과제

        이은화(Lee, Eunwha),강이화(Kang, Ewha)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최근 우리나라 대학들은 국내외적 여러 도전 앞에서 질적 도약을 요구받는 상황에 처해있으며 특히 수도권 외 지역 대학에서의 위기의식은 더욱 높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 대학이 대학간 교양교육의 공유 협력을 통해 고등교육의 본연적 역할에 충실하면서도 각 대학 교육의 강점과 자원을 공유하여 지금의 위기에 대응하는 방안의 실제를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현재 우리나라 지역 대학간 의 공유와 협력의 현황과 과제를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교양교육의 본연의 가치를 고찰해보고 오늘날의 고등교육 현실에서 그 가치를 훼손하고 있는 요소들을 교양교육의 구조적 문제와 교양교육 내적 요소로 나누어 검토한 후, 현재 진행 중인 대학간 공유협력 사례를 세 가지 공유대학 모형과 세 가지 하위 실천 방안으로 나누어 소개하며 그 과정에서 실증적으로 나타난 문제를 중심으로 향후 과제를 논의하였다. Recently, in a situation where Korean universities are being asked to take a qualitative leap forward in the face of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allenges, the reality is that the awareness of crisis at universities outside the metropolitan area is becoming higher. Therefore, this study is one way to respond to such a crisis, in which local universities share the strengths and resources of each university s education while being faithful to the original role of higher education through sharing and cooperation of liberal education between universities. To this end, the present status and tasks of sharing and cooperation among local universities in Korea were explored in a theoretical and empirical way. First, we examine the intrinsic value of liberal education and divide the elements that are undermining it in today s higher education reality into structural problems of liberal education and internal elements of liberal education. Second, we introduce the current status of sharing and cooperation between local universities dividing it into three sharing university models and three sub-action plans. In the process, tasks to be solved were discussed, focusing on the empirical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