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신입생 가정의 학업지지와 공동체 의식 간 관계에 미치는 대학특성과 학생특성의 직렬매개효과

        안선영(Ahn, Sunyou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의 공동체 의식 역량에 가정에서의 학업지지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 두 요인인 대학특성과 학생특성이 어떠한 간접효과가 있는지 탐색하는데 있다. 간접효과의 확인은 SPSS를 이용한 Baron과 Kenny(1986)의 단순 및 위계적 회귀분석과 Mplus를 이용한 직렬적 다중매개모형의 두 방법으로 하였고, 대학 신입생 150명의 응답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의 학업지지는 대학 신입생의 공동체 의식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었다. 그러나 매개변수를 투입했을 때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가정의 학업지지와 공동체 의식 간 관계는 학생특성에 의해 완전히 매개되었다. 또 대학특성은 학생특성에는 영향을 주었지만, 공동체 의식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가정의 학업지지는 대학특성, 학생특성 모두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대학특성과 학생특성을 각각 투입했을 때는 학생특성만이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고, 두 매개변수를 모두 투입했을 때에도 가정의 학업지지에서 대학특성, 학생특성을 거쳐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 즉, 완전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에게 대학특성의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던 결과를 바탕으로 검사 시기, 비교과 프로그램과 교양 교육, 장학지원 등 신입생의 공동체 의식 강화를 위해 대학특성이 긍정적으로 향상되도록 고려해 볼 방안들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보완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s academic support that affects the sense of community of university freshmen. It is also aimed to explore the indirect effects of university and student traits as mediators. For this, two types of analysis about indirect effect were implicated for 150 response data of freshmen: First, the simple linear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carried out with Baron & Kenny(1986) procedures. Second, a serial multiple mediation model with Mplus 8.5 was applied. As a result, family’s academic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the sense of community of university freshmen. However, when the mediators were put in the model, direct effect was disappeared. The relation on family’s academic support and the sense of community was fully mediated by student traits. Family’s academic support influenced both traits of university and student. university traits had an effect on student traits though, it did not influence on the sense of community. Finally only student traits showed a full mediated effect when university and student traits were input. Even both mediators were input simultaneously, the full mediated effect on sense of community through university and student trai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iscussed that some considerations are needed for freshmen such as appropriate diagnosis timing, developing the support programs with scholarships, extracurricular and general education. Then some complementary points were suggested for the future study.

      • KCI등재

        중년 여성의 퍼스널 브랜딩과 플로리싱의 관계: 성장 마인드셋, 멘탈력 및 삶의 의미의 직렬 다중 매개효과

        황연경,임수희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3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퍼스널 브랜딩과 플로리싱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 멘탈력 및 삶의 의미의 직렬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퍼스널 브랜딩, 성장 마인드셋, 멘탈력, 삶의 의미 및 플로리싱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성장 마인드셋, 멘탈력 및 삶의 의미는 퍼스널 브랜딩과 플로리싱의 관계에서 직렬 삼중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다. 분석을 위해 SPSS 25와 PROCESS macro 4.2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및 순차(직렬) 매개효과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퍼스널 브랜딩, 성장 마인드셋, 멘탈력, 삶의 의미 및 플로리싱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퍼스널 브랜딩은 성장 마인드셋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었고, 성장 마인드셋은 멘탈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멘탈력은 삶의 의미에 영향을 주었고, 삶의 의미는 플로리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퍼스널 브랜딩이 성장 마인드셋, 멘탈력 및 삶의 의미를 경유하여 플로리싱에 이르는 경로의 간접효과도 유의미하였다. 즉, 성장 마인드셋, 멘탈력 및 삶의 의미는 퍼스널 브랜딩과 플로리싱의 관계에서 순차(직렬) 삼중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삶의 전환점에 있는 중년 여성의 퍼스널 브랜딩과 심리정서 변인을 활용한 플로리싱 모델로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serial-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growth mindset, mental toughness, and meaning in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branding and flourishing among middle-aged women.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branding, growth mindset, mental toughness, meaning in life, and flourishing? Second, do growth mindset, mental toughness, and meaning in life have a serial trip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branding and flourishing? SPSS 25 and PROCESS macro 4.2 were used for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equential mediation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branding, growth mindset, mental toughness, meaning in life, and flourishing. Second, personal brand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growth mindset. A growth mindset had an effect on mental toughness, mental toughness had an effect on meaning in life, and meaning in life had a positive effect on flourishing. The indirect effect of personal branding on the path to flourishing through a growth mindset, mental toughness, and meaning in life was also significant. In other words, growth mindset, mental toughness, and meaning in life had a sequential (serial) trip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branding and flourishing. These results will be used as a flourishing model utilizing personal branding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variables of middle-aged women at a turning point in their lives.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수용성과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윤미리,장유나,홍세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o school adaptation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clarify their relationship. For this analysis, 1,329 multicultural youth from the 5th and 6th survey data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were used to structure and analyz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cultural adaptation stress,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in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on school adaptation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by using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model. As a result of analysis, the higher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felt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lower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Cultural adaptation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Also, all mediation effect paths in the research model were significant. In conclusion, stress of cultural adap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but it was found that the negative effect could be reduced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paths which include both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s mediators.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nhancing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is important to increase school adapta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is study suggest that political supports of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re necessary to increase school adaptation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was revealed by examining multicultural adolescents for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bicultural acceptance, which have been mainly studied in non-cultural youth.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를 명확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 청소년 패널(MAPS) 5차 및 6차 자료를 활용하여 1,329명의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중학교 2학년 시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다문화 수용성,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중학교 3학년 시점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직렬다중매개 모형을 접목하고 구조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 청소년이 느끼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성 및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낮아졌으며, 다문화 수용성이 높을수록 이중문화 수용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부적으로, 다문화 수용성 및 이중문화 수용태도는 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모형의 모든 매개효과 경로가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다문화 수용성 및 이중문화 수용태도를 거치는 매개효과 경로를 통해 그 영향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문화 수용성 및 이중문화 수용태도를 기르는 것이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한 심리·정서적 차원의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그동안 비다문화 청소년에게서 주로 연구되어 온 다문화 수용성 및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대해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다문화 수용성 및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중요성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 체계가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인지정서조절 전략과 탄력성의 연속다중매개효과

        이수경,양혜정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9 복지상담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탄력성을 매개로 한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 과정적 이해를 통해 역경에 대처하는 심리적 역량들을 밝힘으로써 탄력성의 증진 및 역경 후 성장을 촉진하는 개입방법을 모색하고 그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아울러 최근 탄력성 연구 동향인 발달적 맥락주의 관점에 입각하여 개인의 기질적 요소인 BAS/BIS와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으로 구성된 병행 모형을 사용하여, 기존모형들이 지닌 단점을 보완하고 탄력성의 연속적인 과정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팬텀변수(phantom variable)를 이용한 연속다중매개모델(serial multiple mediator model)을 구성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역경 경험이 있는 30대 이상 60대 이하의 성인 316명을 대상으로 역경경험 질문지와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 탄력성, 역경 후 성장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을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중 역경 당시의 고통의 수준이 7점 척도에서 5점 이상인 25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역경당사자의 특질이 탄력성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정서 및 인지행동적 매개변인들이 관여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BAS/BIS 기질적 특성이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데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만으로는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탄력성을 매개로 할 때 역경 후 성장을 촉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for ways to promote resilience and adversarial growth by uncovering the psychological abilities for dealing with adversity through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reaching adversarial growth. The conceptualization of resilience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developmental contextualism, a recent trend of resilience research. Accordingly, a serial multiple mediator model comprised of BAS/BI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resilience, and adversarial growth was proposed and tested. Data were collected from 316 adults in their 30s to 60s with adversarial experience. Of those 316, data from 251 whose perceived pain from the adversity scored 5 or higher on the 7-point scale were analyzed. As a result, BAS/BIS did not have an effect on adversarial growth when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as the only mediator. Rather, the effect of BAS/BIS on adversarial growth was mediated through resilience alone or throug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resilience consecutively.

      • KCI등재

        역할 모호성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비전 리더십과 학습민첩성의 직렬다중매개효과

        이진주,강현구,송지훈 한국인력개발학회 2023 HRD연구 Vol.25 No.1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visionary leadership and learning agility for employees to adapt to the environment and perform their tasks faithfully in a business environment with growing uncertainty.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503 employees four days from August 22, and 306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SPSS PROCESS macro model 6 was used to analyze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in which visionary leadership and learning agility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ambiguity and adaptive performance.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role ambiguity negatively affects adaptive performance, but visionary leadership and learning agility positively affect adaptive performance. Second, although the mediation effect of visionary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ambiguity and adaptive performanc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erial mediation effect of visionary leadership and learning agility is significant.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role of leaders and individuals, which prevent negative consequences of employees failing to faithfully perform a task or adapt to the organization due to role ambiguity and influenced them to achieve their required task performance in a new environment. This study identifi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using two or more variables'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The study also provide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examines the role of individuals and leaders among various variables affecting adaptation performance. Finally, it also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ing employees' role ambiguity in the organizational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불확실성이 커지는 경영 환경 속에서 직원들이 환경에 적응하고 자신의 과업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비전 리더십과 학습민첩성을 직렬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데이터 수집은 2022년 8월 22일부터 4일간 503명의 재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배포하여 최종 분석에 306부를 사용하였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SPSS PROCESS macro model 6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 모호성은 적응수행에 부적 영향을 주었고, 비전 리더십과 학습민첩성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역할 모호성과 적응수행의 관계에서 비전 리더십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학습민첩성은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전 리더십과 학습민첩성의 순차적인 매개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변동이 큰 환경 변화 속에서 직원들이 역할 모호성으로 인해 과업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하거나 조직에 적응하지 못하는 부정적인 결과들을 방지하고, 새로운 환경에서 자신에게 요구되는 과업 성과를 달성하는 데 영향을 주는 리더와 개인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두 개 이상의 변인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사용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고, 적응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 중 개인과 리더의 역할을 동시에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며, 조직 현장에서 직원들의 역할 모호성을 관리하여 궁극적으로 적응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려할 수 있는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동기와 셀프리더십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의 직렬다중매개효과

        오희정(Heejung Oh),유영만(Youngmahn You),최영태(Youngtae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동기와 셀프리더십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H대학교 4학년 재학생 364명의 응답 결과 중 무응답과 불성실한 응답자 13명을 제외하고 351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변인들의 관계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직렬다중매개모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Hayes(2018)의 PROCESS Macro Model 6을 활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대학생의 진로동기, 셀프리더십,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동기와 셀프리더십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의 직렬다중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진로동기와 셀프리더십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라는 개인의 내재적 심리 변인과 사회적지지라는 외재적 환경 변인에 대한 인식이 순차적으로 매개하였을 때 더욱 시너지가 일어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개인의 삶 속에서도 중요한 부분으로 강조되고 있는 셀프리더십의 연구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otivation and self-leadership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o this end, the results of 351 responses were analyzed, excluding 13 non-response and unfaithful re-sponses, among 364 fourth-year students at H University in Seoul.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Pearson's titra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Hayes (2018)'s PROCESS Macro Model 6 was used to analyze the serial multiple mediator model. Results As a result,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career motivation, self-leadership,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career motivation and self-leadership,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bu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not. In addi-tion,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ynergy occurs when an individual's intrinsic psychological variabl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xternal environmental variable of social support are sequen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career motivation and self-leadership.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xpanded the research area of self-leadership, which is emphasized as an important part of individual life.

      • KCI등재
      • KCI등재

        부모공동양육과 유아 사회성 간의 관계에서 부부 의사소통과 부모- 자녀 의사소통의 직렬다중매개효과

        허미애,오미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rial multiple mediation of marital communic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parenting and young children’s sociability. To this end, data collected from 227 parents with young children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4.0.1.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arental co-parenting, marital communicatio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young children’s sociability al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ach other.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parenting and young children’s sociability, the simple mediation effect of both marital communic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the effect of serial multiple mediation between marital communic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awaken the importance of parental co-parenting, marital communic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to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nd also to give great attention and effort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marital communication in the field of young children education that has traditionally implemented parent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promoting parent-child commun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공동양육과 유아 사회성 간의 관계에 있어서 부부 의사소통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 227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SPSS 26.0과 PROCESS macro 4.0.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공동양육과 부부 의사소통,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아의 사회성은 모두 상호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확인하였다. 또한 부모공동양육과 유아 사회성 간의 관계에서 부부 의사소통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단순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하였으며, 부부 의사소통과 부모-자녀 의사소통 간에는직렬다중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성이 중요한 발달과업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에게 부모공동양육, 부부 의사소통,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전통적으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증진에 편중된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왔던 유아교육 현장이 부부 의사소통 증진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큰 관심과 노력을 경주하도록 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The Effect of the Leader’s Anger-out on Organizational Members’ Silence Behavior: Focusing on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Anger Rumination and State Hostility

        부경미,신제구 대한경영학회 2018 大韓經營學會誌 Vol.31 No.8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of anger rumination and state host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 anger-out and organizational members’ silence behavior. To minimize the common method bias from the self-report survey method, the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separately after a time interval. Also, trait hostility and affectivity at the workplac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ity)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to increase the objectivity in the responses of organizational members to the leader’s anger-out. 335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employees working at companies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in various industries to be used as the data f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the leader’s anger-out increases silence behavior when mediated consecutively by anger rumination and state hostility. That is,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of anger rumination and state hostility between the leader’s anger out and organizational members’ silence behavior was verifi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Subordinates’ Innovative Behavior: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and Creativity

        왕러,JINXIU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4

        Organizational members’ innovative behavior is a key element that promotes organizational growth and sustainability. With today’s unstable environment of economic and market , the importance of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is being emphasized. The reason is that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securing a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Based on this, this study focused on ways to improve employees’ innovation behavior. Specificall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ory leadership and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was identified and the influence of innovative behavior was also verified. Furthermore, in the process of participatory leadership influencing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and creativity was verified. In order to demonstrate the hyphotheses, this study focused on 237 employees who work in Chinese SM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participatory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creativity, and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and crea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ory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was significant. Overall, this study verified the positive role of participatory leadership that enhances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in Chinese SMEs and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research field related to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through serial multiple mediating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