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중반 경성의 초상: 1935년 『동아일보』에 연재된 「서울풍경(風景)」 연구

        성효진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0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6 No.-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scapes of Seoul,” which was published serially in the Dong-A Ilbo (Dong-A Daily Newspaper) in 1935, and the city image of Gyeongseong in the mid-1930s. The “Landscapes of Seoul” is composed of illustrations by the eminent artist Yi Ma-dong (1906-1980) and writings by Seo Hang-seok (1900-1985) and Sin Nam-cheol (1907-1958). There are two main points of focus in this study. Firstly, the growing interest in the urban space and visual culture of Gyeongseong was heightened when the “Landscapes of Seoul” was published. Secondly, the “Landscapes of Seoul” was published in the form of newspaper illustrations based on the premise of readers. The most popular themes for Koreans were chosen and dealt with in the “Landscapes of Seoul.” Therefore, the main focus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at the “Landscapes of Seoul,” serialized in the form of newspaper illustrations, was a portrait of the city in the middle of the 1930s when interest in the city and art markedly increased. In the mid-1930s, Gyeongseong called Dae-Gyeongseong (Great Gyeongseong) and the area of Gyeongseong expanded. The urban space of Gyeongseong was considered a huge spectacle. The royal palaces symbolizing Hanseong, the old capital city of the Joseon dynasty (1392-1897), were turned into representative amusement parks in Gyeongseong. The department store, symbolic of the modern city of Gyeongseong, was established as the center of urban culture. The situation was also frequently dealt with in the newspapers. The newspaper was one of the most popular visual media. Theserialization of the novel was a powerful strategy to attract readers’ attention. Novel illustrations painted by prominent artists of the time played a key role in creating the urban images of Gyeongseong. Along with novel illustrations, newspaper illustrations in the mid-1930s gained enormous popularity. The “Landscapes of Seoul” exploring the urban space of Gyeongseong under the title of Seoul is one of the most unusual works of art. The “Landscapes of Seoul” is a collaborative work consisting of illustrations and writings published for about a month between June and July 1935. Yi Ma-dong drew illustrations and wrote the first four episodes. From the fifth to the 13th episodes, Yi drew illustrations and Seo Hang-seok and Sin Nam-cheol wrote episodes, while the other two episodes only featured Yi Madong’s illustr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re the following. Firstly, the places covered in the work are limited to the Bukchon (Northern Village) area. Namchon (Southern Village), the urban center of Gyeongseong, was excluded. Secondly, the perception of urban space is demonstrated, as seen in modern buildings, asphalt roads, and utility poles that are considered to symbolize modern cities. Thirdly, the places that appear on popular postcards are differently depicted in the “Landscapes of Seoul.” The selection and exclusion of sites in the “Landscapes of Seoul” are similar to visual media such as postcards. Both newspaper illustrations and postcard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iffusion and proliferation of urban images of Geyongseong. The “Landscapes of Seoul,” aimed to attract readers’ attention, shows how the urban city of Gyeongseong looked and how the visual images of the modern city appealed to the public. The use of the name Seoul, not Gyeongseong, however,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Landscapes of Seoul.” It was not easy to find the remaining traces of the old city of Seoul in the mid-1930s. As the modern city of Gyeongseong rapidly developed, old villages and monuments all disappeared. What represented the old capital city of Seoul vanished. Nostalgia for the old city emerged in the mid-1930s. Therefore, the “Landscapes of Seoul” is a portrait of Gyeongseong which was overlapped with the fragmented memories of Koreans about the old city. Both the present ... 이 글은 1935년 『동아일보』에 연재된 「서울풍경(風景)」이 1930년대 중반 경성(京城)의 도시 이미지와 맺고 있는 관계를 고찰하려는 시도이다. 「서울풍경」은 미술가 청구(靑駒) 이마동(李馬銅, 1906-1980)의 삽화와 문필가인 경안(耿岸) 서항석(徐恒錫, 1900-1985) 및 양산(凉山) 신남철(申南澈, 1907-1958)의 글로 이루어져 연재된 기사이다. 본 연구에서 중점을 둔 것은 두 가지이다. 첫째, 「서울풍경」이 게재된 1930년대 중반은 경성의 도시 공간과 시각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시기였다. 무엇보다 경성의 도시 공간 자체가 당시 하나의 거대한 구경거리였다. 둘째, 「서울풍경」은 독자를 염두에 둔 신문 삽화의 형태로 연재되었다. 「서울풍경」에는 신문이 발행된 시점에 신문의 독자, 즉 당대인들에게 가장 화제가 된 주제들이 선택되었다. 따라서 본고의 초점은 1930년대 중반 도시와 미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상황에서 신문 삽화의 형태로 연재된 「서울풍경」이 도시 이미지의 한 단면임을 구체적으로 밝히려는 데 있다. 「서울풍경」이 연재된 1930년대 중반 경성의 도시 공간은 볼거리가 넘쳐났다. 한성(漢城)을 상징하는 장소들인 궁궐은 경성의 대표적인 유원지가 되었다. 경성을 상징하는 백화점은 문화의 중심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무엇보다 1934년 조선시가지계획령(朝鮮市街地計劃令)이 경성에 적용되면서 1936년 경성은 그 영역이 확장된 대경성(大京城)으로 탈바꿈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당시 가장 대중적인 매체인 신문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주목되는 점은 신문 간의 구독 경쟁이 치열해진 가운데 신문 역시 독자에게 볼거리를 제공해야 했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소설 연재는 독자를 유인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전략으로 여겨졌다. 또한 소설 삽화는 소설 연재에 있어서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소설 삽화는 점차 소설만큼 이나 인기를 끌었다. 그 결과 1930년대 중반에 이르러 소설에서 독립된 형태의 신문 삽화가 등장하였다. 「서울풍경」은 이례적인 예로 이마동의 삽화 및 문필가 서항석, 신남철의 글과 함께 이루어져 1935년 6월에서 7월 사이에 약 한 달간 연재되었다. 「서울풍경」이 신문에 게재된 형태를 보면 삽화가 글의 부연(敷衍)이기보다는 삽화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첫 4회는 이마동이 그림을 그리고 글을 썼다. 5회에서 13회까지는 이마동이 그림을 그리고 서항석과 신남철이 글을 썼다. 마지막 2회에는 이마동의 그림만 실렸다. 삽화 및 글의 특징은 세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작품에서 다루어진 장소들 대부분은 북촌(北村) 일대에 한정되어 있다. 경성역(京城驛)조차도 봉래교(蓬萊橋)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이로 인해 식민 근대 도시 경성을 상징하는 남촌(南村) 일대와 백화점은 배제되었다. 둘째, 근대화된 도시 공간에 대한 인식이 나타났다. 대부분의 삽화에 조각난 형태로 얽혀진 근대식 건물들, 넓고 평평한 도로, 높은 전신주, 거미줄 같이 엮인 전선 등이 나타났다. 셋째, 일부의 장소들은 엽서에 나타난 장소들이지만 경성역을 제외하고는 엽서와는 다르다. 마지막 4회에서 다루어진 동소문(東小門)은 거의 허물어질 듯한 모습이다. 「서울풍경」에서 확인된 장소의 선택 및 배제, 엽서와 같은 시각 매체와의 유사성 등은 도시 이미지의 형성과 닮아있다. 명소 엽서들은 당대인들에게 도시를 대표할 만한 이미지들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서울풍경 ...

      • KCI등재

        매체에 기고된 유근(柳瑾,1861~1921)의 한시연구

        이고은 이화어문학회 2019 이화어문논집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lassical Chinese poetry (漢詩) which Yu Geun (柳瑾, 1861-1921) submitted to magazines and newspapers, and find the meaning of it. Yu Geun contributed classical Chinese poetry to the Daily Newspaper (每日新報), SEOUL (서울) and Dong-A Newspaper (東亞日報). The work Yu wrote for the Daily Newspaper was a new attempt to make Korean songs into classical Chinese poetry under the name “sin-akbu” (新樂府). However, it can be said that it was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his classical Chinese poetry published in Dong-A Newspaper and SEOUL.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s on poems written for Dong-A Newspaper and SEOUL. Yu Geun’s work can be divided into two: social work that shows his values calculated from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 as he saw it; and work that projects his personal feelings. The magazine editors of SEOUL set readers as the main agent of enlightenment, publishing their magazine for the purpose of solving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mot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pride in the cultural nation. For SEOUL, Yu showed an attitude of trying to protect tradition and actively expressed his values. In 詞藻, in Dong-A Newspaper, it is peculiar that Yu shows a passive attitude after the release and the suspension of a newspaper. In 諷林, I can confirm Yu Geun's political stance toward Western powers after World War One. As media, SEOUL and Dong-A Newspaper both published many poems that were close to social criticism. SEOUL and Dong-A Newspaper conveyed such messages to readers who were familiar with Chinese characters in a compressed way, by using familiar idioms that originated in ancient events. Yu’s poetry, which contributed to media in the era of national enlightenment, shows that classical Chinese writing had some power in the 1920s. 본고는 유근(柳瑾, 1861~1921)이 잡지와 신문에 기고한 한시를 소개하고 매체별 한시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근은 『매일신보(每日申報)』, 『동아일보(東亞日報)』, 잡지 『서울』에 시를 기고했다. 『매일신보』에 기고한 작품은 ‘신악부(新樂府)’라는 제명을 가지고 한글노래를 한역했던 새로운 시도로 평가할 수 있으나 『동아일보』와 『서울』에 기고된 시의 방향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잡지 『서울』과 『동아일보』 소재 유근의 한시에 주목했다. 그의 작품은 국내외 사회적 모습과 정세를 파악한 데에서 산출된 가치관을 드러낸 작품, 사물이나 전통적 요소를 가지고 개인의 감정을 토로한 작품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잡지 『서울』은 당대 과제들을 극복하고 민족의식과 문화민족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기 위한 목적 하에 만들어졌다. 한학적 배경을 기반으로 한 독자층을 겨냥했던 것은 독자들을 계몽의 대상자가 아닌 주체자로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근은 자국의 전통과 ‘옛 것’을 수호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본인의 가치관을 적극적으로 개진했다. 반면에 『동아일보』 사조란에서는 신문 정간 이후 소극적 태도로 변모한 작품들이 등장했다. 또한 풍림란에서는 1차 세계대전 이후 서구 열강을 바라보는 유근의 정치적 가치관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그는 열강에 대한 가치판단은 유보한 채 독자의 몫으로 남겨두었다. 이는 신문법에 의거해 일제에 검열을 당할 것을 염려한 편집진의 전략으로 인한 것이었다. 『서울』이나 『동아일보』 모두 각각의 매체에 맞는 방향으로 시가 기고되었기에 매체별 기고된 시에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서울』과 『동아일보』 모두 한문학의 자장 안에 있던 이들을 주 독자층으로 설정하였으므로, 유근은 각 매체에 한학전통을 활용하여 주장하는 바를 압축적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그의 시 기고 활동은 민족계몽운동의 일환으로서 행해졌던 것으로, 이러한 활동 속에 기고되었던 그의 시는 한글 전용을 표명했던 1920년대에도 소극적이나마 ‘당대적 문학’으로서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1950년대 후반 『서울신문』의 존속과 이승만 정부의 개입

        이길중 수선사학회 2024 史林 Vol.- No.89

        . The Seoul Newspaper, which was transformed into a government organ in the early 1950s after government interference and oppression, defended the government's stance and played a role in responding to criticism of the government. The Seoul Newspaper exposed a pro-government tendency. This was a result of a structure in which a majority of people in authority were organized as intended by the government. It was a main subject of outcry not only for the opposition party but also for other major daily newspapers which were critical of the government, and caused public outrage. This was a pressure and problem that was inevitably burdensome for the Seoul Newspaper. In order to cope with the difficulties faced by the Seoul Newspaper, the Syngman Rhee Government attempted various preferential measures and interventions. Compulsory newspaper subscriptions and preferential treatment related to the supply of newsprint paper implemented based on the cooperation of the administration were measures that revealed the importance of the existence of the Seoul Newspaper. In particular, the government's intervention in the newsprint paper issue was a preferential measure that could be of great help, considering the insufficient supply and high cost. However, because these measures were clearly biased, they caused adverse effects and backlash, and eventually led to the arson and burning of the Seoul Newspaper building during the April Revolution.

      • KCI등재

        버튼 홈즈(E. Burton Holmes)의 서울 여행기와 영화

        백문임 ( Baek Moon 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7

        본 논문에서는 버튼 홈즈의 여행기 「서울: 한국의 수도(Seoul: the Capital of Korea, 1901)」와 2004년 한국 영상자료원에 기증된 영화 <한국(Korea): Elias Burton Holmes의 기행기록영화>를 중심으로 하여, 미국의 여행 강 연자 버튼 홈즈가 한국을 방문한 시기가 1901년이었음을 규명하고 또 영 화를 촬영 및 상영한 맥락을 복원하며, 그의 여행기가 갖는 특징을 분석하 였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 버튼 홈즈는 한국에서 최초로 영화를 상영한 사람 이고, 최초로 영화를 촬영한 사람이다. 그의 서울 여행기는 1901년에 10 권짜리 『버튼 홈즈 강연(Burton Holmes Lectures)』 전집의 마지막 권에 수록 되어 있고, 여행 강연(travel lecture) 형식을 통해서도 세차례(1901년, 1913~ 1914년, 1922~1923년) 소개된다. 버튼 홈즈는 19세기에 한국을 방문했 던 여타 서구인들(종교인, 정치가, 사업가 등)과 달리 순수 민간인이었다 는 점에서 차별화될 뿐만 아니라, 불과 6년 전에 발명된 ``영화``라는 장치를 이용하여 서울을 촬영했다는 점에서, 그리고 갓 개통된 경인선과 전차를 체험하며 한국을 관찰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더욱이 그는 미국에 서 최초로 자신이 여행 중 촬영한 영화를 활용하여 여행 강연을 한 사람으로서, 관객으로 하여금 여행자-강연자인 자신과 동일시하며 낯선 장 소로의 여행 체험을 하도록 만드는 독특한 강연 스타일로 초기 영화사에 서 큰 비중을 차지한 인물이다. 그는 전세계를 여행하며 19세기말~20세 기초 중요한 장면들을 포착한 여행가인 동시에, 특히 급변하는 아시아 정 세에 개입하던 미국에 있어서 시각매체를 통해 미국형 오리엔탈리즘(U.S. Orientalism)을 예증한 사람이라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버튼 홈즈가 서울을 방문한 것은 하와이 병합, 스페인-미국 전쟁으로 인한 필리핀의 식민지화를 관찰한 것에 이어 1900년 개통된 시베리아 횡 단 열차를 통해 모스크바에서부터 ``극동(Far East)``으로 여행하고자 했던 그 의 아시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 시기 한국은 청일전 쟁 후 러시아와 일본의 각축장이 되어 있었고 한편으로는 미국인 콜브란 과 보스트윅에 의해 경인선과 전차, 전기가 부설되면서 근대적 시공간의 재편을 경험하고 있었다. 1901년, 사진기와 60미리 영화 카메라를 들고 서울을 방문했던 버튼 홈즈의 여행기는 미국 내에서 급증하던 아시아에 대한 관심과 영화, 그리고 근대화라는 벡터들 속에서 한국이 어떤 좌표를 차지하고 있었는가를 말해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xt of Burton Holmes`s visit to Seoul, his film production and screening in Seoul, as well as his 1901 travelogue. Burton Holmes is widely known as the first foreigner in Korea who photographed and screened a moving picture, and his film print of Seoul was donated to Korean Film Archive by William Cartwright and Genoa Cardwell in 2004. However, there has been an assumption that Holmes`s trip to Seoul was in 1899 and his filmmaking and screening occurred in the same year. This paper first clarifies that he visited Seoul in 1901, after his trip to Russia and Peking through Trans-Siberian railway to observe the Russia`s eastward influence, and that he showed the Korean royal families a portable Mutoscope or Kinora that he brought with him to Seoul. Burton Holmes`s travelogue on Seoul illustrates the following: first, the author`s desire of vivid report-Koreans` daily lives-, similar to visual newspaper that was prevalent during and after the American-Spanish War. Second, Holmes adopts a political point of view to observe the close competition between Russia and Japan for supremacy in Korea, which is partly influenced by his trip through Trans-Siberian railway. It reflects Holmes` experience of the emerging power of Russia that substituted Chinese dominance in the Far East. Third, Holmes describes the state of Seoul as in transition of Americanization while exemplifying trespass by trolley of the traditional places such as major Gates. He expresses the feeling of mourning towards the vanishing tradition as well as the hatred towards the ugliness of the cityscape inscribed by the violent construction of Western infrastructure. In sum, Holmes` travelogue shows the contradictory visions that illustrate the passivity and savageness of Korean government and culture, and the activity and violence of Western and Japanese civilization as a regretful but inevitable process. But unlike other travelogues written by westerners who visited Korea at the same period, Holmes` portrays the incoherence between literary document and visual newspaper that resonates influences of the new apparatus of moving picture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 KCI등재

        지역신문 만족도와 감시기능에 관한 연구

        김정재 ( Jungjai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본 연구는 지방자치발전의 동반자로서 지역주간신문의 만족도와 감시기능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지역주간신문을 읽은 경험이 있는 서울시 4개 자치구 공무원 240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및 방문 조사를 통해 지역신문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만족도 조사 결과 전체 평균은 3.12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 만족도는 행정홍보기능, 의정활동 보도, 지역단체 대변, 주민교육 순으로 높았으며 정책비판, 정책대안제시, 합의도출 기능의 만족도는 가장 낮았다. 지방 공무원들은 지역신문의 주요한 역할을 구정홍보, 의정활동 보도 기능으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역언론의 감시기능이 지역신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시기능은 지역신문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신문 감시기능 만족도와 지방정부 청렴도와의 상관관계에 관하여 살펴본 결과 4개 자치구 중 3개의 기관에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지역신문의 감시기능이 공직사회와 지방정부에서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reviewed the satisfaction and surveillance function of the local newspapers as a partner in the development of local autonomy. 240 public officials from four autonomous governments in Seoul were surveyed for satisfaction with local newspapers through e-mail and door-to-door surveys. The satisfaction survey showed that the overall average was relatively high at 3.12. The satisfaction level of each item was higher in the order of administrative promotion, reporting on parliamentary activities, representing local organizations, and educating residents. But the satisfaction level of policy criticism, policy alternative proposal and consensus drawing function was the lowest. Local officials could see that the main role of the local newspaper was to promote the administration of the district and to report on parliamentary activities. A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monitoring function of the local press on the satisfaction of the local newspaper, and it was found that the monitoring fun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local newspaper.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atisfaction of local newspaper monitoring function and the integrity of local government found that there was a connection in three of the four autonomous districts. This showed that the function of monitoring local newspapers was operated by the public and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1950년대 중후반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이미지 변화 - 정부기관지 『서울신문』의 보도를 중심으로 -

        김진흠 역사문제연구소 2022 역사문제연구 Vol.26 No.1

        언론이 전달하고 만들어내는 정치인의 이미지는 대중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친다. 재임 당시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이미지는 ‘우상화’와 ‘독재자’로 대표된다. 그런데 1950년대 중후반 언론에서 전하는 혹은 만들어내는 이승만 대통령의 이미지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단조로운 우상화에 의한 추앙과 독재자라는 공격만 받았던 것은 아니었다. 정부기관지인 서울신문에서는 근엄하고 존경받는 대상에서 친근하고 인자하며 검소한 이미지, 그리고 건강하면서 열정적인 할아버지의 이미지 등 이승만의 다양한 이미지를 만들어냈다. 1954년의 사사오입개헌 이후 이승만을 독재자로 규정하는 발언이 적극적으로 나타나고 독재라는 단어가 이승만 정권과 연결되었다. 이런 요인들이 이후의 이미지 변화 시도로 이어졌다. 이승만은 경무대를 개방하여 독재국가가 아닌 ‘민주주의 나라’의 대통령이 되어 국민들과 나란히 섞여 지내는 모습을 연출했고, 소통할 줄 아는 인자한 ‘우리 할아버지’가 되어 국민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려는 시도와 노력을 보여주려 했다. 아이들을 사랑하고 검소하며 소박한 이미지의 추구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 가능하다. 야당으로부터 독재자로 공격받는 대통령의 모습과는 정반대의 모습들이다. 또한 정권 유지를 위해서 이승만이 건강 면에서 건재하다는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국민들에게 주입했다. 이와 같은 이미지 변화모색이 우상화와 독재자로의 공격 속에서 동시에 추진되었다. 국민들의 이승만에 대한 감정은 우상화와 독재자라는 키워드만으로 이해하기 힘들다. 국민들은 양극의 감정으로만 이승만을 바라본 것은 아니었다. 언론에 의해 만들어진 이승만의 이미지들을 고려한다면 이승만에 대한 대중들의 다양하고 복잡한 감정과 반응의 일면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시 국민들에게 이승만이 어떠한 존재였는지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image of politicians delivered and created by the media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ublic. During his tenure, President Syngman Rhee's media image is represented by "idolization" and "dictator." However, the images of President Syngman Rhee delivered or created by the media in the mid-to-late 1950s appeared in various ways. It was not just reverence by monotonous idolization and attack as a dictator. The Seoul Newspaper, a government agency, created a variety of images of Syngman Rhee, including a friendly, benevolent, frugal image, and a healthy and passionate grandfather's image. After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n 1954, remarks that defined Syngman Rhee as a dictator actively appeared, and the word dictatorship was linked to the Syngman Rhee regime. These factors led to subsequent attempts to change the image. Syngman Rhee opened the presidential residence to become the president of a "democratic country," not a dictatorship, to live side by side with the people, and there were attempts and efforts to become a kind "grandfather" who can communicate and approach the people friendly. The pursuit of loving children, frugal, and simple images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These are the opposite of the president being attacked as a dictator by the opposition party. 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regime, Syngman Rhee continued to inject the image of being healthy into the people. This attempt for image change was promoted simultaneously amid idolization and attack by dictator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people's feelings for Syngman Rhee only with the keywords idolization and dictatorship. Considering Syngman Rhee's images created by the media,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one aspect of the public's diverse and complex emotions and reactions to Syngman Rhee. Also, we can guess what Syngman Rhee was to the people at the time.

      • KCI등재

        1960년대 안수길의 신문 연재소설과 4·19혁명 전후(前後) 서울의 문화적 재현 양상 - 『생각하는 갈대』(1961~62), 『백야』(1963~64), 『내일은 풍우』(1965~66)를 중심으로-

        강용훈 ( Kang Yong Hoon ) 민족어문학회 2022 어문논집 Vol.- No.96

        이 논문은1960년대초·중반에연재된 안수길의신문연재소설 『생각하는갈대』, 『백야』, 『내일은 풍우』가 4·19 혁명 전후(前後) 서울의 문화를 재현하고 있는 양상에 대해 분석했다. 안수길 작품이 신문에 연재되었던 1961년부터 1966년까지는 서울의 도시개발이 본격화되기 이전의 시기이지만, 4·19와 5·16 및 한일협정 반대운동 등의 정치적 격변이 진행되며 한국전쟁 직후와는 다른 특성의 문화들이 생성되던 때이기도 하다. 안수길은 이 시기의 소설들을 통해 휴전 직후인 1954년부터 한일협정 반대운동이 실패로 끝나는 1965년까지의 서울을 형상화하며 댄스홀 · 바(Bar) · 뮤직홀 · 다방과 같은 1950~60년대의 문화적 유희 공간을 재현하고 있다. 그러한 공간이 청계천 시장과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경제적 일상, 그리고 4·19 혁명이나 한일협정반대운동 등의 정치적 사건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안수길의 신문연재소설은 독특함을 지닌다. 1961년부터 1962년까지 연재되었던 『생각하는 갈대』는 ‘일본’ 및 ‘북한’과 같은 금기시되던 것들이 귀환한 상황에 반발하거나 두려움을 느끼는 피난민 기성세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동시에, 시장에서 노동하고 있는 여성인물과 교육 사업에 매진하는 청년인물 또한 함께 형상화하고 있다. 새로운 인물들을 부각시키는 작업은 1950년대 안수길의 신문연재소설과 구별되는 공간적 상상력을 드러내는 작업으로 이어졌다. 1963년부터 1964년 연재되었던 『백야』에서는 대중적 유희문화가 지배하는 공간으로만 규정되던 도심의 복판에 자리했던 ‘청계천 시장’의 문화적 특성을 형상화한 동시에, 그 공간에 초점을 맞춰 전후의 서울이 공간적으로 재편되고 있는 양상 또한 그려내고 있다. 1965년부터 1966년 연재되었던 『내일은 풍우』에서는 부정적으로만 형상화되던 도심에 청년들의 다층적 문화 공간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학사주점’과 같이 4·19 혁명 이후 새롭게 형성된 문화적 장소들을 서사 안에 담아내고 있다. 공간적 기획이 변화해간 양상은 안수길의 신문연재소설에 재현된 청년문화의 모습이 입체적 면모를 드러내기 시작한 것과도 맞물려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분석하며 4·19 혁명 전후(前後) 서울의 문화적 변화 양상이 소설 속에 어떻게 재현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In this thesis, it was analyzed how Seoul culture before/after the 4.19 Revolution was represented by newspaper serial novels, i.e. “Thinking reeds (1961-62),” “White night (1963-64),” and “Tomorrow will be windy and rainy (1965-66)” published in early-to-mid 1960s of Ahn Su-gil. The period from 1961 to 1966 when Ahn Su-gil’s works were published in the newspaper was the time that urban development of Seoul was not regularly started yet. However, specific cultures different from the times just after the Korean War were also generated during such period due to political upheavals such as 4.19, 5.16, and movement against the Korea-Japan Agreement. Through the novels during such period, Ahn Su-gil represented cultural amusement spaces in 1950-1960 represented by dance halls, bars, music halls, and coffee shops by narrating Seoul from 1954 when a ceasefire was determined, to 1966 when the movement against the Korea-Japan Agreement failed. Newspaper serial novels of Ahn Su-gil had the aspect to reveal that such spaces were linked with economic daily life in such places as Cheonggyecheon Market and political events such as 4.19 and the movement against the Korea-Japan Agreement. In the thesis, newspaper serial novels of Ahn Su-gil in early-to-mid 1960s were analyzed and it was analyzed how cultural changes of Seoul before/after the 4.19 Revolution was represented and how the sensibilities of characters in the novels were embodied to meet such changes.

      • KCI등재

        1960년대 초반 안수길 신문연재소설의4·19 표상과 피난민의 시민권-『생각하는 갈대』(1961~62)와 『백야』(1963~64)를 중심으로-

        강용훈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2 No.-

        1961년부터 1962년까지 『서울신문』에 연재된 『생각하는 갈대』와 1963년부터 1964년까지 『조선일보』에 연재된 『백야』는 4‧19 및 5·16 이후 본격화 된 전후 한국 사회의 질서 재편과 맞물려 안수길 신문소설이 변화해간 양상들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들 작품에서 형상화되고 있는 해방 이후부터 5·16까지의 16년의 기간은 안수길의 대표작 『북간도』에서 형상화되고 있는 1870년에서 1945년까지의 시간, 그리고 후기 단편소설에서 형상화되고 있는 1960년대 중·후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의 시간을 매개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들 작품에는 기존 연구에서 논의된 후기 안수길 단편소설의 여러 모티프들이 선취되어 있다. 『생각하는 갈대』와 『백야』는 4‧19 직후 한국 사회의 상황(『생각하는 갈대』) 및 한국전쟁 이후부터 4‧19가 발생하기까지의 과정(『백야』)를 월남한 피난민의 시각에서 형상화하고 있다. 이들 소설에 나타난 4‧19 표상은 안수길 소설이 혼란과 폭력의 발현 양상을 주시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안수길은 4‧19가 기존의 법적 질서를 새롭게 정초하기 위한 폭력적 순간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형상화하며 전후 한국 사회의 법적 질서 자체가 행사하고 있었던 폭력 또한 부각시켰다. 안수길 소설에서 그 폭력은 ‘경계에 놓여 있는 공간’과의 연관을 통해 효과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북간도』가 중국과 일본의 법적 질서의 경계에 놓여 있던 만주 공간을 통해 폭력을 형상화했다면, 『백야』에서는 남한과 북한의 치안 질서가 교차했던 전시 서울의 폭력을 그려내고 있다. 4‧19를 형상화하는 과정에서도 안수길은 4‧19를 주도한 청년들의 내면 질서가 아니라 치안질서를 유지하려는 폭력과 대항폭력이 맞부딪히는 무정부 상태의 ‘거리’ 공간에 초점을 맞춘다. 안수길 소설 속 폭력의 공간은 『백야』에서 부각되고 있는 시민증과 연결하여 해석될 필요가 있다. 전시 서울에서 『백야』의 월남민 인물들이 획득한 시민증은 전후 한국 사회의 시민권이 분단 국가의 다른 한 축, 즉 ‘북한’과의 단절을 증명하는 자에게만 부여될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백야』를 비롯한 안수길의 소설은 궁극적으로는 그 시민증을 획득한 사람들의 시선, 즉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려 하지 않는 자의 시선에서 그려지고 있다. 그러나 그 시선의 이면에는 시민증을 획득하지 못한 자, 즉 경계 공간에 놓여 있는 자가 감당해야 했던 폭력에 대한 응시가 깔려 있다. 그 응시 때문에 안수길의 소설의 피난민들은 가까스로 획득한 시민권을 물신화하지 않고 거리감각을 지닐 수 있게 된 것이다. 4‧19를 대면한 안수길이 신문연재소설을 통해 그 시민권의 한계를 본격적으로 문제 삼기 시작한 것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안수길 소설 속 피난민들은 전후의 사회질서에서 일종의 마이너리티였다. 안수길의 1960년대 초반 신문연재소설은 시민증을 부여받은 것에 안도하던 마이너리티가 역동적인 시민권의 재구축 과정과 결합될 수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안수길은 4‧19에 참여한 주체의 내면을 부각시켜 4‧19 및 4‧19 세대를 신화화하려 하지 않고 있다. 대신 4‧19에 내포되어 있던 폭력과 무정부적 혼란을 형상화하며 4‧19가 개개인들에게 맞닥뜨리게 했던 ‘예측 불가능성’의 순간들을 보여주고 있다. 『Thinking Reed』 that was published as a serial novel in the Seoul Newspaper from 1961 to 1962 and 『White Night』 that was carried in Chosun Ilbo from 1963 to 1964 showed the changing modes of Ahn Soo-gil’s newspaper novels. These works span across a period of 16 years from liberation of Korea to the May 16 coup of 1961. This period mediates the period from 1870 to 1945 that was the setting of Ahn Soo-gil’s most famous work, 『North Jiandao』 and the mid-to-late 1960s to the mid-1970s that is the setting of his later short stories. Various motifs of Ahn Soo-gil’s later short stories are predated in these works. 『Thinking Reed』 and 『White Night』 embodies the situation of the Korean society immediately following the April 19 revolution in 1960 (『Thinking Reed』) and the situation following the Korean War to the April 19 revolution (『White Night』) from the perspective of refugees who crossed over from North Korea. The refugees in the novels of Ahn Soo-gil were a sort of a minority in the social order following the war. Therefore, they know that they were not given full citizenship. The newspaper serial novels of Ahn Soo-gil in the early 1960s show that minorities can be united to the dynamic process of reconstructing citizenship. However, Ahn Soo-gil did not make an attempt to mystify the April 19 revolution generation by highlighting the inner being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at revolution. Through this, he shed light on the violent aspect possessed by the legal order of the Korean society following the war.

      • KCI등재

        일제강점기 지역축제로서의 단오(端午)의 지속과 변화 - 서울[京城]을 중심으로 -

        안주영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0

        전통적으로 단오에 행해지는 의례들은 한국의 근대화과정, 국가의 공휴일 정책의 변화로 인해 대부분 변화되거나 소멸되었다. 특히, 농업의 세시주기에 의존하는 농촌의 농민들과는 달리 다양한 생업을 가지고 있는 도시의 도시민들에게 일상의 세시주기는 국가의 시간정책에 의해 크게 변화될 수밖에 없었다. 전통적으로 단오에는 많은 의례가 행해졌다고 기록되는데, 일제강점기 서울(경성)에서 단오는 중요한 세시풍속으로 세시의례와 놀이가 행해져왔으며, 도시의 지역축제로서 점차 발전되어갔다. 지금은 음력 오월 오일인 단오가 전통적인 세시풍속으로서의 위치를 많이 상실했으나, 한국의 4대명절 중의 하나인 단오는 일제강점기에 중요한 세시풍속으로 자리매김해갔으며, 일제강점기의 각 시기별로 지속과 변화를 겪어왔다. 본고에서는 식민지라는 상황속에서도 고래로부터 이어온 전통적인 세시풍속으로서 단오를 지켜온 서울(경성)인들의 단오날의 풍경을 당시의 신문, 잡지들 중 세시풍속 관련 기사가 가장 많이 게재되었던 『매일신보』와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의 단오는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해서 살펴볼 수 있는데, 1925년부터 1933년까지는 단오 지역축제의 절정기로 전국에서 크고 작은 지역축제가 활발히 개최되었다. 먼저 1910년대는 일제의 무단통치기로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기까지 경성의 단오는 남묘와 동묘를 중심으로 그네뛰기와 씨름대회가 개최되었고, 창포물에 머리를 감거나 단오빔을 입고 참배를 하는 등 세시의례가 행해지는 세시명절로서 기능하였다. 1920년대의 문화정치기에는 『동아일보』, 『조선일보』 등의 한국어 신문 발행이 허가되면서 조선의 전통 세시명절인 음력 단오절의 각종 행사와 축제들이 매년 보도되었고, 단오 관련 행사는 각종 신문사나 각 지역의 여러 단체들로부터 후원을 받거나 주최가 되어 개최되었다. 그러나 1930년대 중반 이후에는 일제의 황국신민화정책과 민족말살정책이 본격화되면서 음력 단오에 대한 부정적인 기사가 증가되기 시작하였고, 전쟁의 그림자가 짙게 밴 1940년대의 경성에서 단오는 더 이상 지역축제로서 기능하지 못하였고, 쇠퇴를 겪을 수밖에 없었다. 비록 1941년부터 1945년까지는 전쟁이라는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단오축제가 중단될 수밖에 없었으나 1940년까지 전국의 주요 도시에서는 음력 단오절을 맞이하여 씨름대회와 그네뛰기대회를 포함한 각종 크고 작은 세시 행사들이 꾸준히 개최되었고, 경성인들에게 음력 단오는 중요한 세시명절이자 지역축제로 인식되어 왔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e rituals traditionally performed at Dano were mostly changed or destroyed in the course of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 due to the national holiday policy change. Especially, people in the cities who have various occupations unlike the farming people in the rural area do not place much importance on the times and seasons. To them national holiday policy is more important than the time and season of the nature. It is recorded that many rituals have been performed in Dano. In the occupation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in Keijyo (Seoul), Dano was an important seasonal customs and various ceremonial rituals and plays were performed. It became gradually developed into a regional festival of the city. Although Dano, the fifth day of May in lunar calendar, lost its position as the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now, it used to be one of the four big holidays in Korea. In the occupation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it became the important seasonal customs and has undergone changes in the occupation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Maeil Shinbo' and 'Dong-A Ilbo' reported scenery of Keijyo (Seoul) at the seasonal customs most frequently among the contemporary newspapers and magazines. This study looked at the scenery of Dano of people in Seoul (Keijyo) who kept Dano as the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in the colonial situation and analyzed Dano in the occupation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by dividing the period into three sub-periods. First, in the 1910s until 1919 when the March 1 independent movement took place, it was the period of the military government. During the rule of the Japanese military government, Dano festival was held in the city center centered on Nammyo and Dongmyo. In the festival Swing Play and Ssireum contests were held. People washed hair with water infused with sweet flags and went to worship dressed up with new dresses called Danobim. In the second period of 1920s (Period of Cultural Policies) the issuance of Korean newspapers such as 'Dong-A Ilbo' and 'Chosun Ilbo' was permitted. In these newspapers, various events and festivals of Dano, a traditional festive holiday of Chosun, were reported annually. Events related to Dano were sponsored or hosted by Newspapers and various local organizations. However, after the mid-1930s, the Japanese colonialism and national extermination policies became enforced in full scale, and negative stories about the Dano festival began to increase. In the 1940s when the shadow of the war is dark, Dano was no longer functioning as a seasonal festival, and had to suffer a decline. However, until 1940, Dano had been celebrated in major cities throughout the country holding various ceremonies, including the Ssireum and Swing contest. As a matter of fact, Dano was re cognized as an important seasonal holiday by people in Seoul (Keijyo).

      • KCI등재

        광장에 대한 공론의 생성과 공간적 반영

        안진희(Ahn, Jin-Hee),배정한(Pae, Jeong-Han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6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7 No.6

        이 논문은 광장을 매개로 변화가 일어난 서울의 여의도 공원, 서울광장, 광화문광장을 대상으로 도시의 상징적 공간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그 형태적 반영 양상을 진단한다. 이를 위해 신문의 지면기사, 칼럼, 독자 의견, 그리고 전문 월간지에 게재된 세 공간과 관련한 정보와 비평을 공간과 논점, 논의에 따라 분류한 후 해석했다. 서울의 대표적 공간으로서의 지위를 얻어 결과물이 완성되고 이용되기까지, 이를 다룬 신문과 전문 월간지의 논의에 나타난 세 공간의 유기적 관계는 다음과 같이 공간적으로 반영되었다. 첫째로 공간의 변화 과정에서 나타난 논의는 이후 다른 공간이 만들어지는 배경으로 작용하거나 만들어진 공간의 형태와 구성 요소에 참고되었다. 다음으로 공간의 삭제와 생성, 계획의 수립과 보류, 계획의 재가동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세공간은 수직적이고 전통적인 요소, 그리고 불완전한 평면성이라는 공통의 형태적 특성을 반복했다. 결과적으로 서울의 세 공간은 공원과 광장이라는 성격에 관계없이 도시의 대표적 공간에 요구되는 개념을 모두 도입한 평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symbolic spaces in Seoul (Yeoido Park, Seoul Plaza, and Gwanghwamun Plaza) and interpret the aspects that are reflected in their forms. To achieve it, the authors classified and interpreted the information and criticism related to the three spaces on the newspaper articles, columns, readers’ opinions, and professional monthly magazines according to the space, issues, and discussion. From earning status as the representative spaces of Seoul to being completed and used, these articulated spaces in newspapers and monthly publications were covered following spatial reflections. First, Discussion in the course of space change is then referred to as the background in which other spaces are created, or in the form and components of the spaces created. Next, these three spaces were repeated common form characteristics, which are vertical and traditional aspects, and incomplete flatness through the process of elimination and creation of space, establishment and retention of a plan, and restarting of the plan. As a result, these three spaces in Seoul performed their role as the flat land that could adopt all of the concepts that were demanded in the representative spaces regardless of the character of the park or plaz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