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정서, 경험에의 개방성 및 자기효능감과 창의성 간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경은 한국인간발달학회 2011 人間發達硏究 Vol.18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nner in which emotion, openness to experience and self-efficacy related to creativity and explored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in emotion-creativity and personality-creativity relationship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87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enrolled in the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Child Study from around the Seoul Greater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revealed that positive emotions related positively to openness to experience, self-efficacy and creativity but in contrast, negative emotions related negatively to openness to experience, self-efficacy and creativity. Openness to experience related positively to self-efficacy and creativity and self-efficacy related positively to creativity. Furthermore, self-regulation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s of positive emotions and openness to experience o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creativity. The influence of positive emotions and openness to experience o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creativity occurred indirectly through the facilitation of self-efficacy. The importance of positive emotions, openness to experience and self-efficacy to predict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s also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개방성, 창의적 마인드셋, 창의적 정체감과 창의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 대한 경로모형 검증

        한기순,안동근 한국영재학회 2023 영재교육연구 Vol.33 No.1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openness, creative mindset, creative personal identity, and creative self-efficacy among college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uggest ways to strengthen their creative self-efficacy in both academic and real-world contexts in which creativity is manifested by explaining the dynamic mechanisms underlying creative self-efficacy. The participants were 149 college students in the capital area of South Korea. This study measured their openness, creative growth mindset, creative personal identity, and creative self-efficac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th analysis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openness significantly influenced creative personal identity and creative self-efficacy. A creative growth mindset significantly influenced creative personal identity, and the influence of creative personal identity on creative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In regard to indirect effects, openness significantly influenced creative self-efficacy mediated by creative personal identity. Also, a creative growth mindset significantly influenced creative self-efficacy mediated by creative personal identity. This study has academic implications for explaining the complicated processes underlying creative self-efficacy with a sophisticated method by examining college students’ mechanisms of creative self-efficacy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Also, it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viding a useful theoretical and content basis for developing educational and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creative self-efficacy.

      • KCI등재

        초등 교과교육 : 초등학교 4학년 자유탐구 활동에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 효과 분석

        이국환 ( Kook Hwan Lee ),김효남 ( Hyo Nam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학년 자유탐구에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이 과학 탐구 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시에 있는 두 초등학교, S초등학교 4학년 2개 반과 J초등학교 4학년 2개 반을 각각 실험반 2개 반과 통제반 2개 반으로 구성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반 학생들에게는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를 활용한 자유탐구를 8주간 실시하였고 통제반 학생들에게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일반적인 자유탐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유탐구에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일반적인 자유탐구의 수행 보다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과학 탐구 능력 하위 요소에서도 기초 탐구 능력과 통합 탐구 능력 모두에서 효과를 보였다. 이는 자유탐구에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를 활용하는 것이 과학 탐구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유탐구에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은 교육 과정에 제시된 일반적인 자유탐구의 수행 보다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특히,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 중 개방성, 협동성, 자진성에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사후면담 결과와 같이 학생들은 자유탐구에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가 주제를 정하는 방법, 자유 탐구를 하는 방법, 결과를 작성하는 방법 등에 도움을 주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이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므로 다른 학년에도 적용하여 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using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grade 4 open inquiry activities on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scientific attitud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4th grade students, two experimental groups and two control groups, in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K district. The pre and post test were conducted on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scientific attitudes to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open inquiry with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for 8 weeks, meanwhile the control group conducted general open inquiry suggest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The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use of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open inquiry is more effective than general open inquiry in improving student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specifically in the areas of basic process skills and integrated process skills.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open inquiry is effective in improving science inquiry abilities. Second, the use of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open inquiry is more effective than the general open inquiry in improving students` scientific attitudes. Especially, open-mindedness, cooperation, and voluntariness in the areas of scientific attitudes were improved. Third, students acknowledged that the use of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open inquiry is effective in the way of choosing topics, conducting open inquiries, writing results, etc as shown in post interview results. Therefore, it is needed to apply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open inquiry to other grades since the use of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open inquiry i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scientific attitudes.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방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김선영,최수미,최은희,신경필 한국청소년학회 2024 청소년학연구 Vol.31 No.5

        본 연구는 청소년이 보고한 부모양육태도, 성태도, 자아존중감, 자기개방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QR코드 설문방식으로 남자 390명(52%), 여자 367명(48%)을 수집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SPSS Statistics 20.0과 SPSS Process Macro v4.2의 Process Macro Model 6을 통해 부모양육태도와 성태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자기개방의 직렬다중매개효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양육태도는 성태도, 자아존중감, 자기개방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양육태도와 성태도, 자아존중감, 자기개방은 직접효과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은 성태도와 자기개방에 직접효과가 있었지만, 자기개방은 성태도와 직접효과가 없었다. 셋째. 부모양육태도와 성태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부분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성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이 성태도 형성에 보호요인임을 밝힌데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sexual attitude, self-esteem, and self-disclosure reported by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llected from 390 men (52%) and 367 women (48%)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QR cod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0.0 and SPSS Process Macro v4.2, and the series of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disclosure were analyz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exual attitude through Process Macro Model 6.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parenting attitud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xual attitude, self-esteem, and self-openness. Second, the parenting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sexual attitude, self-esteem, and self-openness, and self-esteem had a direct effect on sexual attitude and self-openness. On the other hand, self-openness did not affect sexual attitudes. Third,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exual attitud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at self-esteem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on sexual attitude.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plan for cultivating healthy sexual attitudes of adolescents was proposed.

      • KCI등재

        중년의 역기능적 태도, 공감능력 및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 정서적 자기개방의 조절된 매개효과

        서은숙(Eunsuk Seo),이주희(Juhee Lee) 한국인간발달학회 2022 人間發達硏究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성인들을 대상으로 역기능적 태도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매개효과가 정서적 자기개방에 따라 얼마나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중년기 성인남녀 478명 이었으며, 측정도구로 역기능적 태도, 공감능력, 정서적 자기개방, 대인관계문제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PROCESS 모델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중년기 성인의 대인관계문제와 역기능적 태도 간에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공감능력, 정서적 자기개방과 대인관계문제 간에는 부적 상관이 보였다. 둘째, 역기능적 태도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셋째, 공감능력과 대인관계문제 간에서 정서적 자기개방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역기능적 태도와 대인관계문제 간에서의 공감능력 매개효과에 정서적 자기개방이 미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역기능적 태도를 가진 중년기 성인이 대인관계문제를 저하시키는데 있어 공감능력이 매개변인으로 제시되었으며, 역기능적 태도의 특성에 따라 대인관계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중년기 성인의 공감능력뿐만 아니라 정서적 자기개방을 함께 고려할 때 더 효율적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중년기 성인들의 대인관계문제에 관한 효과적인 상담접근과 심리치료 개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empath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ysfunctional attitud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middle-aged adults, and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verification method to find how much this mediating effect changes with emotional self-opening. The subjects were 478 middle-aged adult men and women, and the dysfunctional attitude, empathy ability, emotional self-opening, and interpersonal problem scale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s and dysfunctional attitudes of middle-aged adults, and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mpathy ability, emotional self-opening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ability between dysfunctional attitud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was significant.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self-opening was significant between empathy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self-open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ability between dysfunctional attitude and interpersonal problems was significant. To reduce interpersonal proble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ysfunctional attitudes, we confirmed that it could be more effective when considering the empathy ability of middle-aged adults and emotional self-opening. To reduce interpersonal proble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ysfunctional attitudes, we confirmed that it could be more effective when considering the empathy ability of middle-aged adults and emotional self-opening.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ffective counseling approaches and psychotherapy interventions on interpersonal problems of middle-aged adults.

      • KCI등재

        사회복지 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다차원적 자아존중감이 의사소통의 개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김예랑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1

        Communication openness can make direct impact on the social work intervention process and result. Therefore, enhancing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Social Welfare is critical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workers’ professional experti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key factor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enhancing communication openness.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impact of ‘resilience’ and ‘multi-dimensional self-esteem’ (e.g. individual self-esteem, social level self-esteem, self-esteem related to family, self-esteem related to school) on the level of communication openness was analyze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study with 168 students majoring Social Welfare in 3 different universities in Gyeong Gi province.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increasing the level of communication openness was the self-esteem related to family. Other important factors included resilience, social level self-esteem, and economic status(in order of importance). Based on the study result, implications were made for intervention methods for Social Welfare education, seminar, and field practicum. 개방적 의사소통은 사회복지 개입의 과정 및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사회복지 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을 강화하는 것은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과 중요하게 관련된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대학생들의 의사소통 개방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 중 회복탄력성과 다차원적 자아존중감(예: 개인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지역 3개 대학교의 사회복지학과 학생들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의사소통 개방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이었으며, 그 뒤로 회복탄력성, 사회적 자아존중감, 그리고 경제적 수준의 순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대학생들의 의사소통 개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복지 교육, 세미나, 실습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개입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활적응과 학업 성취의 관계:개방성과 셀프리더십의 이중매개효과

        문화진(Moon Hwa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4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과 학업 성취의 관계에서 성격의 개방성과 셀프리더십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9월 한 달동안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19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Macro 프로그램을 통해 변인 간 관련성 및 영향력에 대해 검증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결과 대학생활적응, 성격의 개방성, 셀프리더십은 모두 학업 성취와 정적인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개별매개효과 검증 결과 성격의 개방성과 셀프리더십은 모두 대학생활적응과 학업 성취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중매개효과 검증 결과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성격의 개방성보다 셀프리더십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학업 성취 증진을 위해서는 이들의 비인지적 특성인 적응, 성격, 인지·행동적 특성 또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adaptation of college and academic achievement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openness and self-leadership. A sample of 198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3.0 and SPSS Macr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s of openness and self-leadership were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dual mediating effect were found not openness but self-leadership. In sum,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daptation of college, openness, self-leadership are considered all together to understand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especially adaptation and self-leadership should be considered more importantly. Based on this study, I hope that further investigations to improve the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re to be continued.

      • KCI등재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개방성과 형제자매의 장애에 대한 지각이 비장애형제자매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서진실,박혜준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opennes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perception about disabilities, and self-esteem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gender, age, and perceived family income) and disability related factors(severity of disabilities and support program participation), 2)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parent-child communication, perception about disabilities,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with siblings with special needs. Subjects were one hundred and eighty-three 10- to 18-year-old adolescents who have siblings with special needs. The statistical methods adopt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means, percentages, standard deviation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12.0 for Window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Female adolescents' perceived openness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perception about disability related communication were more positive than that of male. 2.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ir family income as 'high' reported more opennes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lower levels of fear about disabilities and higher self-esteem. 3. Adolescents with siblings with severe disabilities reported significantly low self-esteem. 4. Adolescents who had participated in support program perceived that they could talk to parents, friends, and other adults about disabilities more openly than adolescents who had not participated in any program. 5.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openness of father-child communication, perception about disabilities, perceived family income and severity of disabilities. The strongest factor affecting self-esteem was the openness of father-child communication. 이 연구는 가족체계론적 관점에 근거하여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개방성과 형제자매의 장애로 인한 상황에 대한 지각이 비장애형제자매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비장애형제자매 183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여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장애 관련 변수에 따른 부모-자녀간의사소통의 개방성, 장애에 대한 지각, 자아존중감의 차이 및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결과를 토대로 각 변수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가정의 소득수준에 대한 지각과 형제의 장애등급,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의 개방성, 장애에 대한 지각이 비장애형제자매의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의 개방성과는 달리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의 개방성은 비장애형제자매의 자아존중감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 KCI등재

        완벽주의 성격과 다문화태도와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이현미(Lee, Hyun-Mi),하정희(Ha, Jung-H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9

        본 연구는 완벽주의의 하위차원인 자기지향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 및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다문화태도와의 관련성을 전제로 하여 완벽주의와 다문화태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 있어서 무조건적 자기수용 수준의 조절 효과를 발견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258명을 그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상관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완벽주의의 하위변인과 다문화태도의 하위변인 간에 부분적으로 관련성을 나타내었으며, 완벽주의 하위변인들 각각의 영향력이 통제된 상황에서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타인지향 완벽주의는 다문화 태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다문화태도의 하위변인인 차이인식간의 관계는 무조건적 자기 수용 수준에 따라 유의하게 달라졌다. 아울러,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다문화태도의 하위변인인 차이인식, 개방과 수용 간의 관계 또한 무조건적 자기수용 수준에 따라서 유의하게 달라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다문화사회에서 중요성이 더해가는 다문화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완벽주의 성격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해 무조건적 자기 수용을 조절변인으로 고려함으로써 완벽주의와 다문화태도 간 관계에 대해 이해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실 제 상담 및 교육 현장에서 완벽주의 성향이 강한 사람들을 접할 때, 무조건적 자기 수용 수준을 높히는 개입이 도움이 되지 않음을 경험적으로 확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perfectionism and multicultural attitude upon a premise that sub-factors of the perfectionism : self-oriented perfectionism,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re related to multicultural attitude and to examine the moderation effect of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multicultural attitude. The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multicultural attitude were administered to 258 office workers in Seoul and Gyeoggi-Do. The results from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ed. First, sub-factors of the perfectionism was partially associated with sub-factors of multicultural attitude. In particular two sub-factors of the perfectionism : 'self-oriented perfectionism', 'other-oriented perfectionism' yielded effect on multicultural attitude, controlling the effects of other subscales. Seco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self oriented perfectionism' and sub-factor of the multicultural attitude : 'recognizing difference'.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ub-factors of the multicultural attitude : ‘'recognizing difference', 'openness and acceptance'. This present findings not only extend understandings about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multicultural attitude by examining self-concept :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but also provide that it isn’t helpful that further support and rationale for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s intervention for targets to focus in counseling process for those who suffer from perfectionism.

      • KCI등재

        자기성장 캠프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통합교육 예비실무전문가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효과

        고은교(Ko, Eun-Kyo),신수경(Shin, Su-Ky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자기성장 캠프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통합교육 예비실무전문가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통합교육 실무자의 인간적 자질 함양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5년 2월 3일부터 5일까지 2박 3일 동안 G시에 소재하는 N대학교의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과, 초등특수교육과, 사회복지학과, 언어치료 청각학과의 재학생 중 자기성장 캠프프로그램에 참여한 7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충실히 응답한 57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성장 캠프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통합교육 예비실무전문가의 자기이해, 타인이해, 자기수용, 타인수용 및 자기개방에 유의미한 정적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성장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교육 에비실무자의 인간적 자질 함양을 위한 실천적 ·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elf-growth camp program on self-growth in pre-service practitioners of integrated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ultivating the human quality of integrated education practition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 students of N University in G City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Social Welfare, or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They participated in the self-growth camp program for three days from the 3rd to 5th of February in 2015 and answered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 recovered questionnaires, 57 were used as valid data for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paired‐sample t-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elf-growth camp progra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others, self-acceptance, acceptance of others, and self-openness in pre-service practitioners of integrated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o it was effective in promoting self-growth. Based on this finding, this study made suggestions of practice and policies for cultivating the human quality of pre-service integrated education practitio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