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來庵 鄭仁弘 政治 哲學思想과 功業의 位相 硏究 - 중국의 北宋 范仲淹, 越南의 黎朝 阮를 비교하며 -

        권인호 동양철학연구회 2008 東洋哲學硏究 Vol.53 No.-

        유학은 사람에게 필수적이고 실학적인 학문이다. 즉 유학사상의 종지는 『대학』에서 말하는 ‘수기치인’으로서 구체적으로 ‘경세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의 중심 연구대상 인물인 정인홍은 조식의 수제자이자 조선 중기 강우학파(남명학파)의 대표적 인물이다. 또한 그는 선조 말년에서 광해군 시대 대북파의 영수이고 임진왜란 때 제일의 의병장이며 조선조 산림정치의 효시를 이룬 인물이다. 그의 정치철학과 학문사상 및 공적과 업적은 한 마디로 ‘출장입상(出將入相)’으로 표현될 수 있는 국가와 사회에 공업을 이룩한 사람이다. 그것은 조선 후기 실학적 사상과도 연결되는 특징을 가진다. 정인홍이 효렴과 탁행으로 이른바 ‘오현사’의 한 사람으로 발탁되어, 남명 조식의 유교적 민본과 실천적 학문사상을 이어받아 출사하였던 시대적 중요성의 의의를 부각할 수 있는 바탕을 가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정인홍이 경연 강의와 상소문에서 시폐에 대한 광정을 개진하고 ‘당대 최고의 선정관’ 및 기축옥사의 올바른 처리와 임진왜란 때 창의하여 의병장으로 실천하는 모습을 재조명 해본다. 정인홍은 올바른 유학자상을 지녔으면서도 파란만장하고 불행한 개인의 생애를 중국 북송 시대 범중엄과 월남의 려조 완채에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일찍이 사마천의 『사기』 「공자세가」에 “문사가 있는 자는 반드시 무비가 있는 법이다.”라는 말에서 ‘출장입상’이라는 공통점을 정인홍과 범중엄 그리고 완채를 비교 연구하기에 알맞은 인물이다. 범중엄에 대해 사고전서제요 등에서도 극찬하였는데, 그의 정치사상으로는 ‘선우후락’ 사상으로 유학의 민본사상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고 대략 ‘그의 인품과 행사는 시대에 매우 탁월하였다. 베트남의 완채가 지은 「평오대고」의 전체적인 요지는 중국 명나라의 침략에 맞서 월남의 독립을 이루어 나가는 역사적 쾌거 사실을 기록하였다. 여기에 도도히 흐르는 그 핵심 주제는 유학적 민본사상이었다. Confucianism is essential and practical science for the people. Therefore, the core of Confucian thought is 'Self-Cultivation and the Ordering of Society'(修己治人) in the Great Learning(『大學』) or the 8administration thought(經世思想). But the study of Confucianism and ancient sages in Joseon have attached weight to Neo-Confucianism of Song period and the people who are related to that. Jeong In-hong(鄭仁弘, 1535-1623) who is the central figure of this study was Cho Sik(曺植,1501-1572)'s best pupil and representative person of the School of Right-river(江右學派[the School of Nam-myeong 南冥學派]) in the middle period of Joseon . ‘To become a general outside, to become a prime minister inside(出將入相)' is the expression of His political philosophy, learning and achievement are expression. He distinguished himself at the country and society. That result was connected with practical science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I studied his political philosophy and achievement in comparison with Fan Zhong-yan(范仲淹, 989-1052) in the North Song dynasty, China and Nguyen Trai(阮廌, 1380-1442) in the Le Dynasty, Vietnam. Fan Zhong-yan won high praise by Sikuquanshutiyao 四庫全書提要. This material said that his personality and behavior were excellent of the times. The core of His political philosophy is the thought of 'Feel anxiety first, enjoy later(先憂後樂)' that was based on democratic thought of Confucianism. Nguyen Trai recorded historical fact of brilliant that resist Ming dynasty, China and achieve independence of Vietnam in 「BinhNgoDaiCao 平吳大誥」. The main theme of this record is democratic thought of Confucianism.

      • KCI등재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 정치(政治) 철학사상(哲學思想)과 공업(功業)의 위상 연구 -중국의 북송(北宋) 범중엄(范仲淹), 월남(越南)의 려조(黎朝) 완치(阮치)를 비교하며-

        권인호 ( In Ho Kwon ) 동양철학연구회 2008 東洋哲學硏究 Vol.53 No.-

        Confucianism is essential and practical science for the people. Therefore, the core of Confucian thought is `self-Cultivation and the Ordering of Society`(修己治人) in the Great Learning(『大學』) or the 8administration thought(經世思想). But the study of Confucianism and ancient sages in Joseon have attached weight to Neo-Confucianism of Song period and the people who are related to that. Jeong In-hong(鄭仁弘, 1535-1623) who is the central figure of this study was Cho Sik(曺植,1501-1572)`s best pupil and representative person of the School of Right-river(江右學派[the School of Nam-myeong 南冥學派]) in the middle period of Joseon. `To become a general outside, to become a prime minister inside(出將入相)` is the expression of His political philosophy, learning and achievement are expression. He distinguished himself at the country and society. That result was connected with practical science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I studied his political philosophy and achievement in comparison with Fan Zhong-yan(范仲淹, 989-1052) in the North Song dynasty, China and Nguyen Trai(阮치, 1380-1442) in the Le Dynasty, Vietnam. Fan Zhong-yan won high praise by 『Sikuquanshutiyao 四庫全書提要』. This material said that his personality and behavior were excellent of the times. The core of His political philosophy is the thought of `Feel anxiety first, enjoy later (先憂後樂)` that was based on democratic thought of Confucianism. Nguyen Trai recorded historical fact of brilliant that resist Ming dynasty, China and achieve independence of Vietnam in 「BinhNgoDaiCao 平吳大誥」 The main theme of this record is democratic thought of Confucianism.

      • KCI등재

        조식의 ʻ경의(敬義)ʼ설에서 ʻ안·밖ʼ과 ʻ성(誠)ʼ

        진보성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9 시대와 철학 Vol.30 No.1

        Gyeong(敬) and Ui(義) are the ideas related to human's inside and outside of mind and the human is cultivating agent with Cho Shikʼs theory of Cultivation of confucianism. It is often described as 'Self-Cultivation and the Ordering of Society(修己治人)' if it extends into the category of social practice. However, Nammyeong Cho Shik combined these two ideas and expressed them with the word 'Gyeong-ui(敬義 ; Reverence -Righteousness)', which is referred to as the academic essence of Cho Shik. This word was used to combine with the two ideas ; 'Gyeong is explore the mind on the inner side (內明者敬)' and ʻUi is deciding an act on the outer side(外斷者義)ʼ : 'Do Ui(義) rightly by doing Gyeong(敬)' and 'Do hold to the highest moral standard by doing Ui(義)'. Thus, Cho Shikʼs 'Gyeong-ui(敬義)' theory is regarded as the combination of an ideal cultivation and practice by exchanging mutual impact organically between self-cultivation on the inner side and social practice on the outer side with a mind dividing ʻinside and outside.' Cho Shik drawn 「Shinmyeongsado(神明舍圖 ; the diagram about house of mind)」 that described an individual's state of mind. ʻ Shinmyeongsaʼ symbolized a king's residence and a castle town representing a countryʼs border. And it show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cultivating the humanʼs mind and preserving and sustaining a nationʼs authority, placing plenty of elements that form its military power and ministry in his picture. Cho shik defined Seong (誠;sincerity) is a ultimate level in cultivating as a goal. 「 Shinmyeongsado」 shows the King Taeil symbolized as a real king is in the ultimate level. This means being an ideal monarch and it is so-called 'Being Sage Inside Being Kingly Outside(內聖外王)'. In 「Shinmyeongsado」, however, Cho Shikʼs understanding about the inside and outside went through changes a few times. In the initial theory, the mind of individual is set up inner side to be defended and the outer side to be excluded. If the theory is applied to the nationʼs system, the individual as a monarch who had already experienced with Seong(誠;sincerity) will prepare for foreign attacks. However, if Benevolent Royal Government(王道政治) is not for people and country, the system will collapse. And scholars like Cho shik will undertake kingʼs duty instead of him. Those were fifty seven unofficial soldiers from the Nammyung School, which was activ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ʻ경(敬)ʼ과 ʻ의(義)ʼ는 유가의 수양론에서 수양하는 주체의 내면과 외면에 관계하는 개념이다. 이것이 사회적인 실천의 영역으로 확장되면 ʻ수기치인ʼ이라는 말로 설명되기도 한다. 그런데 조식(曺植)은 이 두 개념을 합치하여 ʻ경의ʼ라는 말로 표현하였다. 이것은 주역 의 ʻ경으로써 의를 곧게한다ʼ와 ʻ의로써 밖을 방정하게 한다ʼ를 ʻ내명자경ʼ과 ʻ외단자의ʼ로 바꿔 쓰면서 두 개념을 합치하여 사용한 것이다. 그래서 조식의 경의설은 ʻ안ʼ과 ʻ밖ʼ 을 설정하고 안으로 자기수양[敬]과 밖으로 사회적 실천[義]이 서로 유기적인 영향을 주고받는 것을 이상적인 수양과 실천의 조합으로 본다. 조식은 수양하는 개인의 마음상태를 표현한 「신명사도」라는 그림을그렸다. 한 나라의 테두리를 상징하는 도성과 왕의 거처를 상징하는 ʻ신명사ʼ, 그리고 그 도성을 지키는 군사력 및 조정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을그림에 배치시키면서 인간의 마음을 수양하는 것이 일국을 보존하고 존속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입장을 나타낸다. 조식은 수양에서 목표로 하는 궁극적 단계를 성(誠)으로 보는데, 「신명사도」에서 현실의 왕과 동일한 ʻ태일군(太一君)ʼ이라는 궁극의 상태가 그것이다. 이 때가 이른바 내성외왕(內 聖外王)으로 이상적인 군주의 상태이다. 그런데 「신명사도」에서 조식의 안과 밖에 대한 이해는 몇 번의 변화를 거친다. 최초의 상태는 수양하는 개인의 입장에서 지켜야할 안과 척결해야 할 밖으로 설정되고 이것이 국가적 영역으로 확장되면 성(誠)을 경험한 주체는 한 나라를 지키는 군주의 위치에서 바깥의 외적에 대한 방비를한다. 그러나 왕도정치와 국가와 민생을 위한 통치가 불가능하게 되면 이구도는 무너지고 그 자리는 조식과 같은 선비 도학자들이 대신한다. 그것이 임진왜란 시 활약한 남명학파 문도 57명의 의병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통치 지식・이념의 전달 매체로서의 조선후기 국왕 행장(行狀)

        김태훈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조선후기 국왕의 전기・일대기인 국왕 행장이 통치에 활용되는 핵심적인 지식을 전달하고 통치이념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였음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 자료에 대한 문헌분석 방법을 통하여 연구주제에 대한 역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연구 내용: 국왕의 행장은 조선후기에 들어서 왕권의 강화와 맞물리면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국왕 개인의 일대기를 넘어 매우 정치적이고 공적인 문헌으로서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국왕의 행장에는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로 표현되는 유교적 윤리인 수기치인(修己治人)을 실천함으로써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추구하는 군주가 모범으로 제시되었다. 결론 및 제언: 조선후기 국왕 행장은 통치자의 공덕을 찬양하기 위한 문헌이 아니라, 축적된 통치 지식의 요체와 통치이념을 담고 있는 문헌으로서, 그 가치가 합당하게 평가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