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기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은폐의 관계: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전슬기,박기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3

        목적 본 연구에서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자비를 각각 매개하여 자기은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자비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이중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자기은폐 척도, 단축형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척도, 한국판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SPSS 2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 Model 4, 6을 활용하여 단순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은폐,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서로 정적 상관을, 자기자비는 모든변인들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은폐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자기자비의 단순매개효과가 각각 검증되었다. 다음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자비를 순차적으로 매개해 자기은폐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가 검증되었으나,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은폐 간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자기은폐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요인들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내면화된 수치심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지닌 사람들의 자기은폐 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자기자비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이 시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negative / positive evaluation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cealment. Methods A total of 426 adults complete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Internalized Shame Scale, Self-Concealment Scale, Brief-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Korean Version of Fear of Positive Evaluation Scale, Korean vers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 Result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internalized shame, self-concealment and fear of negative / positive evaluation, while self-compass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other variables. Seco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self-compassion had simpl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cealment. Thir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elf-compassion had a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cealment. However, a dual mediating effect of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cealment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compassion have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self-concealment behavior.

      • KCI등재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은폐의 관계: 자기비난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차보영,이아라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사회과학연구 Vol.31 No.4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internalized shame, self-criticism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elf-concealment, and, more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riticism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cealment. Data from a total 291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esting. The results showed that internalized sham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criticism,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concealment. self-criticism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concealment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concealment. Self-criticism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cealment.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in actual consultations for reduce the college students’ self-concealment in the form of training programs to reduce self-criticism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effectively.

      • 자아강도와 자기은폐에 따른 상담 동기와 상담자에 대한 기대

        장성숙,황주연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6 社會科學硏究 Vol.2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은폐와 자아강도에 따라 상담동기와 상담자에 대한 기대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반 대학생 348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포함한 자기은폐, 자아강도, 상담동기, 상담자에 대한 기대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먼저, 상담자에 대한 기대 질문지를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그중 3개의 요인을 선택하여 상담자의 지시성, 자기노출, 공감성으로 명명하였다. 본 분석에서는 자기은폐, 자아강도와 두 변인 간의 상호작용이 상담동기와 상담자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아강도가 강할수록 상담에 대한 동기가 높았고, 자기은폐가 높을수록 상담에 대한 동기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상담자에 대한 기대에는 자기은폐의 주효과가 있어 자기은폐 수준이 높을수록 상담자에 대한 기대는 높아졌다. 또한 자아강도와 자기은폐의 상호작용효과로 인하여, 자기은폐 수준이 높으면 자아강도 수준에 따라 상담자에 대한 기대는 차이가 없이 높았고, 자기은폐 수준이 낮으면 자아강도가 강할수록 상담자에 대한 기대는 낮아졌다. 셋째, 상담자의 자기노출과 공감성에 대한 기대에 자기은폐가 영향을 주었고 각 하위요인들에 대해 자아강도와 자기은폐의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즉, 자기은폐 수준이 높을수록 상담자의 자기노출과 공감을 더 기대한다고 할 수 있다.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상담자의 지시성에 대해서도 자아강도와 자기은폐의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자기 은폐 수준이 높으면 자아강도 수준에 따라 상담자 지시성에 대한 기대는 차이가 없이 높았고, 자기은폐 수준이 낮으면 자아강도가 강할수록 상담자 지시성에 대한 기대는 낮아졌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연구의 의의, 그리고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시 사점들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differences in counseling motivation and expectations about counselor in accordence with the effects of self-concealment and ego-strength. To do this, 348 university students(165 men, 183 women) were asked to the questionnaire which were composed of self-concealment, ego-strength, counseling motivation and expectations about counselor and demographic informations. Through a factor analysis of the expectations about counselor, four factor were extracted. Three factors of them were choosen and named counselor's directiveness, self-disclosure, empath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ego-strength affected significantly on counseling motivation. The higher was the ego-strength, the higher counseling motivation. And the higher was self-concealment, the lower counseling motivation but nonsignificantly. Second, the higher was self-concealment, the higher expectations about counselor. And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the ego-strength and self-concealment. That is, when the self-concealment was low, the expectations about counselor became lower as the ego-strength get higher, but not so when it was high. Third, the self-concealment affected significantly on counselor's self-disclosure and empathy. The higher the self-concealment of the student was, the more he or she expected counselor's self-disclosure and empathy. Although of not significant level, ego-strength interact with self-concealment about counselor's directiveness. That is, when the self-concealment was low, the expectations about counselor' directiveness became lower as the ego-strength get higher, but not so when it was high.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nseling implications, the limit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are discussed in the last session.

      • KCI등재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자기몰입 및 자기은폐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하위요인을 중심으로

        이나희,이동귀 한국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2 No.3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absorption and self-concealment in this relationship. Participants were 462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elf-absorption, self-concealment, and social anxiety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Self-absorption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omotion (PSP; a sub-factor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the two other PSP sub-factors, nondisplay of imperfection (NDP), and nondisclosure of imperfection (NDC). Additionally, self-concealment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DC and social anxiety, but no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P and NDP.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providing support to college students with social anxiety a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tendencies.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하위요인 각각이 사회불안으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자기몰입과 자기은폐가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총 46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자기몰입, 자기은폐, 사회불안은 서로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하위요인 중 ‘완벽주의적 자기노력’ 요인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몰입이 완전매개하였다. 반면,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적’ 요인과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적’ 하위요인에서는 자기몰입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적’ 요인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은폐가 완전매개하였다. 반면, ‘완벽주의적 자기노력’ 요인과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적’ 하위요인에서는 자기은폐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회불안의 발생 기제에 대한 정보를 확장함으로써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을 지닌 대학생들의 사회불안 치료의 초점을 명확히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불안정 성인애착이 자기은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대인신뢰의 매개효과

        이세영,최가희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2 人間理解 Vol.43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self-concealment. 405 colleg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insecure adult attachment, self-esteem, interpersonal trust, and self-concealment. The result indicates that higher the level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the higher the tendency to self-conceal. Second, interpersonal trust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self-concealment, whereas self-esteem did not. Third,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trust significantly and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self-concealment. Finally, attachment anxiety was discovered to be more influential on self-concealment through interpersonal trust compared to attachment avoidance. This study identified the role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trust in understanding clients’ self-concealmen.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정 성인애착과 자기은폐 사이의 관계를 자아존중감과 대인신뢰가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에 거주하는 4년제 대학생 405명이 연구에참가하였고, 연구참여자는 친밀관계경험척도, 자기은폐척도, 자아존중감척도, 자기개념척도로구성된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자료는 SPSS 22.0와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성인애착과 자기은폐의 관계를 자아존중감과 대인신뢰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가정한 연구모형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가정한 경쟁모형 중 연구모형이 최종모형으로 선택되었으며, 불안정 성인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은폐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불안정 성인애착과 자기은폐의 관계를매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대인신뢰는 불안정 성인애착과 자기은폐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대인신뢰는 불안정 성인애착과 자기은페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회피애착에 비해 불안애착이 대인신뢰를 통해 자기은폐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불안정 성인애착을 가진 대학생의 자기은폐 성향에 변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대인신뢰를 강화하는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와 이상섭식행동간의 관계에서 자기은폐의 매개효과

        김주영(Ju-Young Kim),신희천(Hee-Cheon Shin),김은하(Eun-Ha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가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 과정을 자기은폐가 매개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348명을 대상으로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 자기은폐, 이상섭식행동을 측정하였다. 먼저, 상관분석을 통해 각 변인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는 자기은폐와 이상섭식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자기 은폐 또한 이상섭식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구조방적식 모형을 검증하여 자기은폐가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와 이상섭식행동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자기비판적 완벽주의는 직접적으로 이상섭식행동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높은 자기 은폐를 매개로 이상섭식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신에게 높은 기준을 부여함과 동시에 스스로에게 비판적이고 타인의 부정적 평가를 두려워하는 특성을 가진 사람, 즉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자는 부정적인 사적인 정보를 숨기는 경향, 즉 자기은폐를 할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이상섭식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상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al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al perfectionism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Toward this aim, 348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measures of self-critical perfectionism, self-concealment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self-critical perfection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concealment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In addition, self-conceal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sordered eating behavior. Structural equations analysi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al perfectionism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ha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n self-concealment, meaning that self-critical perfectionism increased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rough high levels of self-concealment. This finding suggests that individuals who place high standards on themselves, and featur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from others, are at greater risk for disordered eating behavior. Based on this finding, we discuss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clinical implications.

      • KCI등재

        청소년의 자기불일치, 자기은폐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친구관계 질의 매개효과

        송경은,이아라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12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s on self-esteem using the basis of relations between self-discrepancy, self-concealment, and friendship quality of adolescents. In addition, the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that friendship quality plays on self-esteem between self-discrepancy and self-concealment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self-esteem. 416 students from four high schools located in Daejion were surveyed as subjects of this study and the regression analysis, Sobel’s test and bootstrapping were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elf-discrepancy and self-concealment of adolesc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friendship quality. Also, friendship quality and self-estee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each other. In addition, friendship qual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elf-discrepancy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and between self-concealment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counseling process and suggested a further part of necessary studies.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불일치, 자기은폐, 친구관계 질,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에 기초하여 청소년의 자기불일치와 자기은폐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친구관계 질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D광역시 소재 네 곳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41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자기불일치와 자기은폐는 자아존중감과 부적 상관을, 자기불일치, 자기은폐는 친구관계 질과 부적상관을, 친구관계 질과 자아존중감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친구관계의 질은 청소년의 자기불일치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그리고 자기은폐와 자존감의 관계를 각각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불일치와 은폐 성향이 강한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있어 친구관계의 질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필요한 상담적 접근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병리적 자기애가 부적응적 자기제시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과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의 매개역할

        장효진,안명희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2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shame and self-oriented perfection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hological narcissism and maladaptive self-presentation. Pathological narcissism was measured in terms of narcissistic grandiosity and narcissistic vulnerability while maladaptive self-presentation was measured in terms of ideal self-presentation and self-concealment.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385 (N=385)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narcissistic vulnerability on self-concealment and ideal self-presentation was mediated by shame. Second, the effect of narcissistic grandiosity on ideal self-presentation was mediated by self-oriented perfectionism. The effect of narcissistic grandiosity on self-concealment was mediated by self-oriented perfectionism. I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with a better fit indices, however, self-oriented perfection did not mediate the effect of narcissistic grandiosity on self-concealment. These findings supported that narcissistic vulnerability tends to actively conceal more negative or imperfect self-aspect and present perfect or more ideal self-aspect to protect an unstable self-esteem and defend against vulnerability for shame. Results confirmed that narcissistic grandiosity tends to present perfect or ideal self-aspects in order to maintain grandiose self-image, while, the effect of narcissistic grandiosity on self concealment needs further investigation. Implications of the current findings for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 on pathological narcissism are discussed along with limitations of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investigations. 본 연구에서는 병리적 자기애의 양면성인 자기애적 취약성과 자기애적 웅대성이 이상적 자기제시와 자기은폐를 포함한 부적응적 자기제시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 과정을 수치심과 자기지향적 완벽주의가 매개하는지 확인하였다. 대학생 385명의 자기보고를 토대로 자기애적 취약성이 수치심을 매개로 이상적 자기제시와 자기은폐, 그리고 자기애적 웅대성이 자기지향적 완벽주의를 매개로 이상적 자기제시와 자기은폐에 직․간접 영향을 미치는 경로구조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자기애적 취약성은 수치심을 매개로 자기은폐와 이상적 자기제시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애적 웅대성이 이상적 자기제시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지향적 완벽주의가 매개하였다. 셋째, 연구모형에서 자기애적 웅대성이 자기지향적 완벽주의를 완전매개로 자기은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미하였으나,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적합도를 보인 대안모형의 경우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의 부분매개 경로가 유의하지 않게 나왔다. 본 연구결과는 자기애적 취약성이 높을수록 불안정한 자존감을 보호하고 수치심에 방어하기 위해서, 부정적이거나 불완전한 자기의 모습을 감추고, 완벽하고 이상적인 자기의 모습을 드러내려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자기애적 웅대성의 경우, 웅대한 자기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이상적인 자기의 모습을 보여주려 하는 경향은 확인하였으나, 부정적인 자기의 모습은 감추려 하는 경향에 대한 경로는 추가 탐색을 요하는 것으로 나왔다. 본 연구결과의 치료적 함의,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 KCI등재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신뢰가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방과 자기은폐의 종단적 매개효과

        하양명(Ha, Yang-Myong),김희정(Kim, Hee-Joung) 한국교육치료학회 2020 교육치료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신뢰가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방과 자기은폐가 종단적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상담센터, 사설 상담센터, 기업체 상담센터에서 최소 4회 이상의 상담을 받은 내담자 100명을 대상으로 상담자에 대한 신뢰, 상담성과, 자기개방, 자기은페에 관한 질문지를 매 회기 상담을 마친 후에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해 분석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신뢰, 자기개방, 상담성과는 상담이 진행됨에 따라 유의하게 선형으로 증가하며, 자기은폐는 유의하게 선형으로 감소하였다. 둘째,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신뢰가 상담성과를 예측하는 과정에서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신뢰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자기개방이 매개하는 모형과 자기은폐가 매개하는 모형에서 각각 다르게 상담성과를 예측하였다. 셋째,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신뢰가 상담성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방과 자기은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of self-disclosure and self-concealment on the effect of clients’ perceived trustworthiness of counselors on the counseling outcome. This study included one hundred clients who received at least four counseling sessions at various counseling service facilities, such as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private counseling centers, or counseling service centers for the employees. Participants completed inventories including the Counselor Rating Form, the Session Evaluation Scale, the Self-Disclosure Scale, and the Self-Concealment Scale after each session. Data were analyzed using LGM and the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the clients’ perceived trustworthiness, self-disclosure, and counseling outcome linearly increased as the counseling progressed, while self-concealment significantly decreased linearly. Second, the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of clients’ perceived trustworthiness predicted counseling outcome differently in the model mediated by self-disclosure and the model mediated by self-concealment.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sclosure and self-concealment was not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the clients’ perceived trustworthiness on the change of counseling outcome. Finall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기은폐 척도개발 및 타당화

        박미란,이지연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Larson과 Chastain(1990)의 자기은폐 개념에 기초하여, 자기은폐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Larson과 Chastain의 자기은폐 개념을 참고하여 이론적 구인체계를 구성하고 문항을 작성하여 수도권과 충청권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558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와 본 검사를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예비검사와 본 검사 자료 수집결과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3요인, 15문항으로 구성된 자기은폐 척도를 개발하였다. 자기은폐 15문항은 문항-전체 간 상관이 높고 내적합치도로 알아본 결과 신뢰도도 만족할 정도로 높았다. 또한 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완벽주의 및 자존감, 우울과의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는데 그 결과 자기은폐는 완벽주의와 자존감, 우울과 모두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와 더불어 자기은폐가 완벽주의와 우울 간에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구조모형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자기은폐는 완벽주의와 우울간의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self-concealment scale, based on a self-concealment definition by Larson and Chastain. Theoretical system on self-concealment definition organized, considering definitions by Larson and Chastain and new items for this study are developed. 558 university students in Metropolitan area and Chungcheong province were surveyed and validity was verified by practicing preliminary testing and present testing. Self-concealment scale, which are composed of three factors with fifteen items, is developed by analyzing data results from the surveys. The fifteen items show high correlation between items. Reliability from inter-item consistency reliability is also high. Correlation analysis is applied to evaluate between conformity of scale and related propriety. From the analysis suggests that self-concealment has strong interrelationship with perfectionism, self-esteem and depress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was adop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direct or indirect relationships among these three variables. Self-concealment works as a parameter between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Finally, the study’s limits and further discussion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