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경남지역 영양(교)사의 급식시설 설비에 대한 인지도 분석

        전영(Young Jeon),김현아(Hyun-Ah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9

        본 연구는 경남지역 초?중?고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시설 설비에 대한 인지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학교급식환경 개선 및 향후 진행될 급식시설 현대화에 실질적이고 유용한 기초 자료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2012년 7월 23일~8월 31일까지 총 391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89부(회수율 73.9%)가 회수되었고, 이 중 응답이 부적절한 14부를 제외하고 총275부(분석율 70.3%)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식소 운영 특성 현황으로 학교형태가 초등학교 51.6%였으며, 공립이 77.8%였다. 급식유형으로 도시형이 54.9%였으며, 조리종사자수는 평균 6.27명이 근무하였고 1일 급식횟수는 1식이 84.7%로 2?3식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급식실시기간은 11~15년 3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인 경남지역 학교 275곳 중 32.7%인 90곳이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완료되었으며, 67.3%인 185곳이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학교급식시설 현대화가 미완료된 학교 총 185곳 중 향후 현대화 계획이 있는곳은 24.9%인 46곳뿐이었다. 셋째,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소 부대시설 보유 실태 차이의 분석 결과,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을 완료한 학교에서는 검수실(P<0.01), 전처리실(P<0.001), 식기세척실(P<0.001), 소모품보관실(P<0.001), 조리원전용화장실(P<0.05), 경의실(P<0.01), 샤워실(P<0.001), 세탁실(P<0.001), 보일러실(P<0.05), 배식운반차 보관실(P<0.05)을 보유하고 있는반면, 현대화가 미완료된 학교에서는 보유하고 있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소 부대시설 면적에 대한 인지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1.71)와 미완료된 학교(1.60)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의 전처리실(P<0.001), 식품보관실(P<0.05), 소모품보관실(P<0.01), 급식관리실(P<0.001), 경의실(P<0.05), 샤워실(P<0.01)의 면적에 대한 인지도가 미완료된 학교보다 높았다. 다섯째,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소 부대시설에 대한 만족도 차이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급식소 부대시설에 대한 만족도의 전체 평균값이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3.32)보다 미완료 학교(2.62)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1). 여섯째,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 설비 실태 차이에서는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3.77)보다 미완료된 학교(3.30)에서 낮게 나타났다(P<0.001).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의 바닥(P<0.05), 출입구(P<0.001), 배수(P<0.001), 수도(P<0.01), 조명(P<0.001), 수세시설(P<0.001), 급식관리실(P<0.001), 경의실(P<0.001), 화장실?샤워실(P<0.001), 전처리실(P<0.001)에 대한 인지도가 미완료된 학교의 인지도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급식소의 외부고객인 학생, 교직원의 만족도 향상과 내부 고객인 급식종사원과 영양(교)사의 바람직한 직무환경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경남지역에서 학교급식시설의 현대화 사업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학교를 대상으로 향후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조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향후 학교급식시설 현대화가 미완료된 학교를 대상으로 현대화 사업을 실시할 경우 급식 위생 관리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부대시설의 설치 시급식인원수, 작업량과 작업자 인원수에 맞도록 시설별로 적정 수준의 면적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향후 경남지역 학교급식을 대상으로 학교급식시설 설비 및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erception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in dietitians and school nutrition teachers in the Gyeongnam area between schools that improved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versus those who did not. From July 23 to Aug 31, 2012, 391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89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A total of 27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improper o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275 schools, 90 schools (32.7%) improved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while 175 schools (67.3%) did not. Second, schools with improved facilities had a more well-equipped receiving room (P<0.01), preparation room (P<0.001), dishwashing room (P<0.001), storage room for supplies (P<0.001), rest-room for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P<0.05), locker room (P<0.01), shower room (P<0.001), laundry room (P<0.001), boiler room (P<0.05), and room for serving cart (P<0.05) than schools with no improvement. Third, total perception score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rea from schools with improved facilities (1.7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1.60) of school without improvement (P<0.001). Fourth, total satisfaction (3.32)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in school with improved faciliti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2.62) of schools without improvement (P<0.01). Fifth, schools with improved facilities had a better equipped of floor (P<0.05), entrance (P<0.001), drain (P<0.001), water supply (P<0.01), lighting (P<0.001), hand washing (P<0.001), foodservice management room (P<0.001), locker room (P<0.001), rest-room and shower room (P<0.001), and preparation room (P<0.001) than schools without improvemen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walls and ceilings, windows, ventilation, and storage. In conclusion,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improvement should conducted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경남지역 영양(교)사의 급식시설 설비에 대한 인지도 분석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학교와 미완료 학교의 비교를 중심으로-

        황혜인,김현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erception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in dietitians and school nutrition teachers in the Gyeongnam area between schools that improved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versus those who did not. From July 23 to Aug 31, 2012, 391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89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A total of 27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improper o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275 schools, 90 schools (32.7%) improved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while 175 schools (67.3%) did not. Second, schools with improved facilities had a more well-equipped receiving room (P<0.01), preparation room (P<0.001), dishwashing room (P<0.001), storage room for supplies (P<0.001), rest-room for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P<0.05), locker room (P<0.01), shower room (P<0.001), laundry room (P<0.001), boiler room (P<0.05), and room for serving cart (P<0.05) than schools with no improvement. Third, total perception score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rea from schools with improved facilities (1.7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1.60) of school without improvement (P<0.001). Fourth, total satisfaction (3.32)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in school with improved faciliti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2.62) of schools without improvement (P<0.01). Fifth, schools with improved facilities had a better equipped of floor (P<0.05), entrance (P<0.001), drain (P<0.001), water supply (P<0.01), lighting (P<0.001), hand washing (P<0.001), foodservice management room (P<0.001), locker room (P<0.001), rest-room and shower room (P<0.001), and preparation room (P<0.001) than schools without improvemen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walls and ceilings, windows, ventilation, and storage. In conclusion,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improvement should conducted as soon as possible. 본 연구는 경남지역 초・중・고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시설 설비에 대한 인지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학교급식환경 개선 및 향후 진행될 급식시설 현대화에 실질적이고 유용한 기초 자료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2012년 7월 23일~8월 31일까지 총 391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89부(회수율 73.9%)가 회수되었고, 이 중 응답이 부적절한 14부를 제외하고 총 275부(분석율 70.3%)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식소 운영 특성 현황으로 학교형태가 초등학교 51.6%였으며, 공립이 77.8%였다. 급식유형으로 도시형이 54.9%였으며, 조리종사자수는 평균 6.27명이 근무하였고 1일 급식횟수는 1식이 84.7%로 2・3식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급식실시기간은 11~15년 3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인 경남지역 학교 275곳 중 32.7%인 90곳이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완료되었으며, 67.3%인 185곳이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학교급식시설 현대화가 미완료된 학교 총 185곳 중 향후 현대화 계획이 있는 곳은 24.9%인 46곳뿐이었다. 셋째,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소 부대시설 보유 실태 차이의 분석 결과,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을 완료한 학교에서는 검수실(P<0.01), 전처리실(P<0.001), 식기세척실(P<0.001), 소모품보관실(P<0.001), 조리원전용화장실(P<0.05), 경의실(P<0.01), 샤워실(P<0.001), 세탁실(P<0.001), 보일러실(P<0.05), 배식운반차 보관실(P<0.05)을 보유하고 있는 반면, 현대화가 미완료된 학교에서는 보유하고 있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소 부대시설 면적에 대한 인지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1.71)와 미완료된 학교(1.60)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의 전처리실(P<0.001), 식품보관실(P<0.05), 소모품보관실(P<0.01), 급식관리실(P< 0.001), 경의실(P<0.05), 샤워실(P<0.01)의 면적에 대한 인지도가 미완료된 학교보다 높았다. 다섯째,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소 부대시설에 대한 만족도 차이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급식소 부대시설에 대한 만족도의 전체 평균값이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3.32)보다 미완료 학교(2.62)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1). 여섯째,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 설비 실태 차이에서는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3.77)보다 미완료된 학교(3.30)에서 낮게 나타났다(P<0.001).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의 바닥(P<0.05), 출입구(P<0.001), 배수(P<0.001), 수도(P<0.01), 조명(P<0.001), 수세시설(P<0.001), 급식관리실(P<0.001), 경의실(P<0.001), 화장실・샤워실(P<0.001), 전처리실(P<0.001)에 대한 인지도가 미완료된 학교의 인지도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급식소의 외부고객인 학생, 교직원의 만족도 향상과 내부 고객인 급식종사원과 영양(교)사의 바람직한 직무 환경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경남지역에서 학교급식시설의 현대화 사업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학교를 대상으로 향후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조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향후 학교급식시설 현대화가 미완료된 학교를 대상으로 ...

      • KCI등재후보

        초중고등학교 CPTED 개선 성과에 관한 기초 연구 - 서울지역 초중고등학교의 CPTED 시범학교를 중심으로 -

        유용흠(Jin-Wook Kim),김진욱(Soon-Sin Lee) 한국셉테드학회 2017 한국셉테드학회지 Vol.8 No.1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교의 CPTED 개선 사업이 실제 학교의 폭력 등의 범죄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2013년에 실시된 CPTED 환경 개선 사업의 결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서울지역 7개 CPTED 환경 개선 학교와 7개 일반학교의 학교폭력실태조사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CPTED 개선사업이 시행된 학교들의 환경개선 요소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CPTED개선 영역을 5가지 CPTED전략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7개의 학교는 5개 전략영역에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활동성 지원에는 6개교가 개선사업을 수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교폭력 실태조사와 CPTED사업의 연관성을 위한 분석 결과는 CPTED사 업이 진행된 학교의 폭력 감소율이 일반학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그 중에서도 특히 폭행, 갈취 등 강력 폭력의 감소율이 일반학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폭력 장소의 감소율 측면에서는 교실이나 운동장의 폭력 감소율 보다는 화장실, 복도, 학교 내 다른 장소의 폭력 감소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공용공간의 환경개선에 집중된 CPTED개선의 효과가 유효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시간대별 폭력 감소율 관점에서는 쉬는 시간, 점심시간, 수업시간의 주간 시간의 감소율이 CPTED사업 시행학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하교, 방과 후 시간에서는 유효한 결과가 나오지 않은 것으로 보아 물리적 환경과 폭력감소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PTED improvement project of K-12 school on crime prevention such as violence in school. In order to measure the results of the CPTED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conducted in 2013, the results of surveys of school violence by 7 CPTED environment improvement schools and 7 general schools in Seoul were compared.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factors of schools, CPTED improvement area was analyzed based on 5 CPTED strategies. As a result, 7 schools performed various projects in 5 strategic areas. Especially, 6 schools performed improvement projects for activity suppor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chool violence survey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PTED projects showed that the rate of violence reduction in schools where CPTED projects were conducted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schools. Especially, the decrease rate of violence such as assault and extortion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schools. In terms of the reduction rate of violent places, violence reduction rates in the restrooms, corridors, and other places in the school are higher than the rate of violence reduction in classrooms and playground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PTED improveme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public space environment is working effectively.

      • KCI등재

        학교 활력이 교사의 수업 개선 활동에 미치는 효과

        김동선,홍창남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4

        The atmosphere of the school is important for promoting teachers' participation in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In this study, we pay attention to the school vitality as the atmosphere of such a school and analyze the effect of school vitality on the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The fourth year teacher data of Gyeonggi Educational Panel Study was used for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school vitality on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we controlled the teacher-level variables and the school-level variables that influence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analyzed through previous researches and then analyzed them with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asic model of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with the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difference of the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between schools was verified. This implies that the school characteristics have an effect on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chool vita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fforts of schools which expedite collaborative atmosphere would be important in promoting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교사의 수업 개선 활동 참여를 촉진시키는 데에는 단위학교 차원의 분위기가 중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그러한 학교의 분위기로서 학교 활력에 주목하고, 학교 활력이 교사의 수업 개선 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경기도교육연구원의 「경기교육종단연구」 4차년도 교사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학교 활력이 교사의 수업 개선 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된 수업 개선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수준 변인과 학교 수준 변인을 통제한 후, 위계적 선형 모형(HLM)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개선 활동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위계적 선형 모형의 기초모형을 분석한 결과, 수업 개선 활동의 학교 간 차이가 검증되었다. 둘째, 학교 활력은 수업 개선 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의 수업 개선을 위해서는 교사 개인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이를 촉진하기 위한 단위학교 차원의 분위기 형성과 노력도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학교체육시설 개방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

        구정철 한국체육정책학회 2024 한국체육정책학회지 Vol.22 No.2

        In order to prepare measures to improve the system to expand the opening of school sports facilitie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sports facilities, derived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and provided basic data for system improvement. First, in order to ease the burden of opening school sports facilities, the school sports promotion regional committee's function under the School Sports Promotion Act requires the committee to decide whether or not to open school sports facilities. Second, as a follow-up to the revision of the School Sports Promotion Ac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evising the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rules so that the School Sports Promotion Area Committee can deliberate on matters related to the opening of school sports facilities.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the problems caused by damage to school facilities can be more clearly improved if the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rules are revised to institutionalize the introduction of a deposit system and insurance coverage. Third, if the government responds to the government's policy of opening school sports facilities and establishes a system that allows schools to receive many incentives to all school members, it will also be a place for schools to restore a sense of community centered on the region.

      • KCI등재

        School Integration Problem and Regional planning in Japan - The Future of the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and the Future of the Region -

        武者一弘 한국일본교육학회 2017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2 No.1

        In this study, I examined characteristics of the issue of school integration and abolition in today's Japan. At first, I confirmed the history of the school integration and abolition policy about elementary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after 1947. I could sort this history at three time. Stage I is time from the 1950s through the early 1970s. During this period, the school integration and abolition policy was promoted positively. Stage II is time from 1970s through 1990s. The policy to accept the continuation of the small school at this time was taken. Stage III is almost from the end of 1990s to the present. The promotion policy of school integration and abolition was taken positively again. The common point of stage III and stage I is the reason of school integration and abolition, that is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level and the reduction of the school expense. Then, I arranged the correspondence to today's school integration and abolition. It was fought in stage I whether we made schools closedown or we maintained schools as before. There is new movements, although there is the fight like that in stage III. As for attracting attention most, it is actions that children, parents, inhabitants and teachers become the person concerned of the school improvement directly, and it is actions that children, parents, inhabitants and teachers become the person concerned of the community improvement directly at the same time. Finally, I confirmed the problem of the integration and abolition study of today's elementary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The problem that I was able to confirm from this study is the school improvement with the community improvement". I can point out three points. The first point is the examination that what is “educational value”. The second point is the examination that what is “system” about the education. The third point is the examination that who is “the person concerned” of the school improvement and the commu

      • KCI등재

        학교별 연간 성취수준 향상에 기초한 수행지수 산출 및 학교특성 비교

        김준엽(Junyeop Kim),김성숙(Sungsook Kim),송미영(Mi-Young Song),이현숙(Hyun Sook Yi)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1

        학교별로 진입하는 학생들의 초기성취를 포함한 개인배경이 다른 점을 고려해본다면 단일시점의 성취도 자료를 이용한 학교의 교육효과에 대한 분석은 형평성의 문제를 포함한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두 시점의 자료를 이용한 분석에서도 특히 전년도에 부진한 성취수준을 기록한 학교의 향상도가 커질 가능성 혹은 그 반대의 경우를 포함한 천정효과, 평균으로의 회귀 등의 요인이 실재할 경우, 단순한 향상도를 기초로 한 학교비교는 편파된 결과를 산출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년도의 성취수준 및 학교를 구성하는 학생의 사회경제적 수준을 고려한 당해 연도의 성취수준을 학교간 비교의 준거로 제시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다층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형을 통한 학교수행지수는 ‘SES 및 전년도 학업수준이 비슷한 학교들을 비교했을 경우 해당 학교가 올해 얼마나 더 혹은 덜 성취했는가?’로 정의될 수 있다. 기대 이상의 성취를 보인 학교의 특성을 탐색한 결과, 수행지수의 학교간 변산 중 약 7~12%정도가 학교의 노력과 관련된 요인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의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비슷한 여건의 학교들보다 더 높은 향상도를 이루어 낼 수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준 결과라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2008 and 2009 NAEA results were linked at school level to explore individual schools' achievement change and to develop improvement-based school performance index. Given the fact that each schools' incoming students are different in terms of many correlates of achievement such as initial achievement level and student backgrounds, assessing schools' performance based on one time point test results can raise fairness problem. Even with school level two time points repeated data, simple improvement measure can cause biased inference on individual schools' effectiveness because of possible correlation between initial status and improvement, especially if initially low-performing schools present higher improvement than initially high-performing schools (i.e, ceiling effect). Considering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a multilevel model for 2009 achievement that takes into account 2008 achievement status and schools' socio-economic status. From the model, school performance index is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2009 academic performance and expected 2009 score among schools with the same 2008 score and school SES. Based on the estimated school performance index, this study explored the school characteristics that are associated with positive (higher than expected) school performance index. Result shows that the effect of school level efforts varies across school level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However, about 10~12% of the between-school change-based performance variation is attributable to factors that are manipulable by schools' effort.

      • KCI등재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학교 폭력 피해 초등학생의 대인불안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김모라,진미경 한국놀이치료학회 2019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Gestalt Relation Improvement Program on the reduction of interpersonal anxiety and the improvement of peer relationships among children who had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mong the students in H elementary school in Seoul, pre-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select children who experienced school violence. Nineteen students in grades 4-5 referred by the recommendations of their teach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10 experimental groups and 9 control groups. The program was then conducted for 45 minutes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0 sessions over a total of 5 weeks. The GRIP (Gestalt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is a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developed from the application of play and art therapy techniques based on Gestalt theory.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pretest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performed and analyzed by means of the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estalt Relation Improvement Program was see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interpersonal anxiety amongst tho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violence in school. Second, the Gestalt Relation Improvement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in improving the peer relations of tho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violence at elementary school. Therefore, the Gestalt Relation Improvement Program can be used with confidence as a therapeutic and preventive group program for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in schools as well as adolescents and adults. 본 연구는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학교폭력 피해 아동들의 대인불안 감소와 또래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소재 H초등학교 학생 중 사전설문조사를 통해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아동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교사의 추천으로 의뢰된 4-5학년 19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9명을 무선 배정하였으며, 주 2회 45분씩, 총 5주간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GRIP(Gestalt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은 게슈탈트 이론을 바탕으로 놀이와 미술치료 기법을 적용하여 개발된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이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Mann-Whitney U Test와,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은 학교 폭력 피해 초등학생의 대인불안을 감소시키데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은 학교 폭력 피해 초등학생의 또래관계를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은 청소년과 성인뿐 아니라 아동의 정신건강을 위한 치료적․예방적 집단프로그램으로서 학교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다층모형을 활용한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이승진,유난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7 敎員敎育 Vol.33 No.3

        The main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ttributes of principalsand teachers on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inside the school using hierarchicallinear modeling. The responses of 192 principals and 6,377 teachers were used from the dataof ‘the Actual Status and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2013). The results were asfollows. First,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inside the school was explaineddifferently in principal factors. Second, teacher-level attributes, ‘homeroom teacher ornon-homeroom teacher, major, and teaching years had an positive effect on teachers’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inside the school while sex and school type did not affect‘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within the school’. Third,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principal of the teachers reduced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outside the school. Fourth, the perception of the principal of the teachers was however significantly related to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within the school. It means that the more positiveperception of the teachers a principal has, the more the teacher made an effort to improvetheir instructional skills in school. Fifth, the perception of the principal of the teachers wasnot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 of the principal. Finally, principal employmentmethod, principal’s education management purpose, and perception of the principal of teachersexplained the difference of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inside the school overprincipals but the portion which was not explained by the three principal-level variablesabove remain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다층모형을 이용하여 교장・교사수준별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연구 2013’ 데이터를 사용하여 총 192명 교장과 6,377명 교사들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대하여 교장차이에서 설명할수 있는 변량의 비율은 10%로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활동은 학교교장들 역량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의 양성교육기관 유형과 근속기간, 담임여부는 교사들 교내수업개선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성별과 학교유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학교장의 해당학교 교사들에 대한 긍정적 견해는 교사들의 ‘교외 수업개선 활동’ 학교 평균에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특히 학교장의 해당학교 교사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가 높은 학교일수록 교사들의 ‘교외 수업개선 노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부적으로 작용하였다. 넷째, 교장들의 해당학교 ‘교사들에 대한 견해’는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유의미하게 영향력을 나타냈다. 다섯째, 교장의 해당학교 교사들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는 교사들의 해당학교 ‘교장에대한 긍정적인 견해에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여섯째, 학교장의 ‘임용방식’, ‘교육경영목표’는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 평균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의 교내외 교외 수업개선 노력에 있어 교장 간 차이를 설명해 줄 수 있는 교장 수준에서의 영향요인들이 탐색되어야 한다.

      • KCI등재

        Research on Child-Friendly Improvements to Streets in the Primary School Surrounding Area -Take Shenzhen Haijing 2nd Road as an example-

        양자월,김철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Background and Purpose) The ongoing urban expansion has resulted in a fragmented built environment, decreased density, and restricted public space, rendering city streets and their public areas unfriendly for children and impeding their opportunities for independent mobility, play, and social inter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child-friendly streets in Shenzhen based on the street improvement plan of Haijing 2nd Road around a foreign language primary school in Yantian District, Shenzhen, promote its application to improve the urban street environment, promote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child-friendly cities, and improve children’s rights to survival and development. (Method) After determining the definition and scope of the above needs, examining their causes and types, and determining improvement goals, this research used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by the United Nations as a guide, and derived five improvement principles, namely Children’s Life Safety Principles, Children’s Survival and Protection Principles, Children’s Walkability Principles, Children’s Fun, and Convenience Principle, and summarized 15 elements for the improvement of streets around primary schools. Based on the elements, with the five principles as the standard, a survey study and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treets around a primary school in Yantian District, Shenzhen City, was conducted. The feasibility of child-friendly street improvement applications is explored through improvement programs. (Results) The research applies five design principles in developing a scheme for Haijing Road 2 in Yantian District, Shenzhen, to find a suitable design methodology to investigate child-friendly improvements for streets. There are 15 key elements of a child-friendly street environment, including Entrance and Exit Space, Road Space, Parking Spaces, Crime Prevention Equipment, Traffic Signs, Notice Boards, Interactive Facilities, Pedestrian Space, Traffic Calming, Pedestrian Lights, Smooth Traffic Flow, Bus Stops, Green Space, Barrier-Free Facilities, Resting Facilities, and Waiting Facilities. In addition, the above elements are rationally used and applied to the study of improving streets in the area surrounding the elementary school. (Conclusion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mplexity of traffic and the lack of places for children to use on the route to and from school in the area around primary schools,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ets and children, describes the impacts of child-friendly improvements to streets on the city and children, and proposes a child-friendly improvement plan that is in line with Haijing Road in Yantian District, Shenzhe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streets in the surrounding area of schools for all ages in Shenzh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