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후변화 적응정책 지원을 위한 토지이용통합모델 개발(Ⅱ)

        김오석 ( Oh Seok Kim ),안소은,윤정호,김기환,김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기본연구보고서 Vol.2016 No.-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요소와 자연·물리적인 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이에 근거한 모델링을 통해 2100년 시점의 국토이용 현황을 전망하였다. 시나리오 별 국토이용 결과에 따라 기후변화 리스크에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전략적인지에 대해 분석 하였으며 이를 통해 통합모델 연구가 국가 차원에서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시 어떻게 이바지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현재 시점에서 생각할 수 있는 부정적인 미래를 그리는 `보수적인 시나리오`와 이와는 대척되는 긍정적인 미래를 나타내는 `낙관적인 시나리오`를 개발·적용하였다. 낙관적인 시나리오는 두 개의 인구 시나리오를 고려하는데 이는 기후변화 적응역량과 인구변동 요인의 연관관계에 근거하여 도출하였다. 보수적인 시나리오는 TerrSet의 Land Change Modeler에 의해 전망되었고, 낙관적인 시나리오는 1차 연도에 개발한 케일럼(KEI-ILUM: Korea Environment Institute`s Integrated Land-Use Model)에 의해 전망되었다. 보수적인 시나리오에서 고려하는 개발에 대한 수요는 과도한 계획인구 가정에 근거하고 있으므로 2100년까지 지속해서 농지와 산림이 개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관적인 시나리오는 기후변화 적응을 고려한 장래추계인구 결과와 연계하여 개발에 대한 수요를 계산하였으므로 보수적인 시나리오의 결과보다는 상대적으로 덜 개발되어 농지와 산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모델링 결과를 KEI에서 수행한 기존의 폭염 및 해수면 상승 모델링 결과와 중첩하여 분석하면, 낙관적인 시나리오의 경우 개발된 지역에 미치는 폭염 영향은 약 30% 감소하는데 반해, 농지에 미치는 폭염 영향은 약 20% 증가하는 것을 확인되었다. 보수적인 시나리오의 경우, 향후 대한민국의 농지는 그 절대적인 면적이 감소할 것이므로 농축산물 생산이 이상기후 등에 받는 영향이 더 민감해질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정책적으로 이상기후를 대비한 식량안보 전략에 상대적으로 많은 노력을 쏟는 것이 합리적으로 보인다. 반대로 낙관적인 시나리오의 경우, 농지 침수나 염류 피해 등에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이에 무게를 실은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한편, 산림 지목의 경우는 시나리오에 상관없이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개발이나 농지 지목보다 시나리오별 전략이 상대적으로 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위 현 상태 유지(BAU: Business-As-Usual) 시나리오라고 할 수 있는 `보수적인 시나리오`와 합리적인 개발 시나리오라고 할 수 있는 `낙관적인 시나리오`를 비교·분석한 결과 어떤 특정 시나리오가 기후변화 적응에 있어 압도적으로 더 낫다고 할 수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장차 대한민국 사회가 국가 차원에서든 지자체 차원에서든 기후변화에 적응하고자 할 때 최대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고려해야 전략적으로 대비할 가능성이 증대됨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현재 정부에서 수립하고 있는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은 기후변화 리스크를 단순히 병렬적으로 나열하는 데 그치고 있고 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 또한 제시되지 않아 정책의 실질적인 활용 여부가 불분명하다. 과학적인 프레임 워크에 기반을 둔 통합모델을 활용하여 그 결과에 따라 이들을 시나리오별로 재구성해야 국가 정책으로서의 활용도가 제고될 것이다. 토지는 대기, 해양, 산림, 하천, 토양 등과 사회·경제적 요소를 모두 연결하는 중요한 환경매체이므로 통합모델 개발 시 케일럼은 통합모델의 중심에서 다른 세부 분석모듈과 연계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본 보고서에서 폭염과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기후변화 리스크를 연계하여 분석한 것은 케일럼이 보다 더 넓은 의미로서의 통합모델로 확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The research presents land-change modeling outcomes for the year of 2100 that are based on two distinct scenarios, where they take into account both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SSPs) and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s). The two scenarios are entitled “conservative” and “optimistic.” The conservative scenario portrays a business-as-usual situation and is modeled via Land Change Modeler (LCM). LCM is a analytical module embedded in TerrSet geospatial monitoring and modeling software, which has been developed and maintained by Clark Labs in the United States. The optimistic scenario depicts a more sustainable development (compared to the conservative scenario) and is modeled via Korea Environment Institute`s Integrated Land-Use Model (KEI-ILUM). KEI-ILUM integrates econometric model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systems (GIS) to simulate future land-use and land-cover change of South Korea. After the two scenarios are projected in a spatially explicit fashion the projections are overlaid with maps of heatwave and sea-level rise produced by KEI. Through the overlay,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ich land-use type is more vulnerable to a specific climate change risk under a certain scenario. The conservative scenario shows more Built than the optimistic scenario, and consequently the optimistic scenario shows more Agriculture and Forest than the conservative scenario. Under the optimistic scenario, Built is less vulnerable to heatwave by approximately 30% compared to the conservative scenario. In the case of Agriculture, however, it is expected to be more vulnerable to heatwave by approximately 20% when the optimistic scenario is to be realized. Under the conservative scenario, it is more effective for Agriculture to be prepared for extreme weather and climate events, whereas it is more effective to be prepared for flood or salinization under the optimistic scenario. In the case of Forest, the results of the two scenarios are similar hence no distinct adaptation strategies seem necessary. In conclusion, there is no “better” scenario in term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because all scenarios are differently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risks. Thus, it is crucial to develop more scenarios and prepare strategies corresponding to those scenarios in pursuit of “better” climate change adaptation.

      • 탄소중립 시나리오 작성 및 이행점검체계 구축을 위한 기획 연구

        이창훈,전호철,신동원,박주영,류소현 한국환경연구원 2021 수시연구보고서 Vol.2021 No.-

        Ⅰ. 서 론 □ 세계 각국은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 온도보다 1.5℃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2050년 탄소중립(Net Zero)을 온실가스 감축목표로 설정하고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제안 ㅇ 2021년 3월 말 현재 탄소중립을 법제화했거나 논의 중인 국가들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국내총생산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과 GDP의 70%를 상회(IEA, 2021) ㅇ 우리나라도 2020년 10월에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발표하고 2021년에는 탄소중립 시나리오와 분야별 탄소중립 추진전략 마련을 계획 ㅇ 혁신기술 개발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탄소중립 시나리오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각종 국제기구와 독립적 공공기관, 민간 영리·비영리 연구기관들은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다양하게 제안하고 있고 국내 연구(이창훈 외, 2019)에서도 일부 제안됨 □ 연구 목적 및 범위 ㅇ 정부의 탄소중립 시나리오 작성을 위해 국제기구, 영리·비영리 연구기관이 제안한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비교·검토하여 우리 정부의 시나리오 작성에 필요한 핵심지표 선별과 데이터 및 시사점 제시 ㅇ 국내외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점검체계를 검토하여 정책이행 현황, 핵심기술의 발전 정도를 평가하는 우리나라 탄소중립 목표 추진에 적합한 이행점검체계 제시 Ⅱ.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국외 사례 및 시사점 1. 세계재생에너지기구(IRENA, 2020) □ 개요 ㅇ IRENA(2019)는 2050년 1인당 1.1톤 탄소 배출을 목표로 재생에너지 및 탈탄소화를 검토하고 IRENA(2020)는 2060년까지 탄소제로로 감축하는 방안을 검토함 ㅇ 전 세계를 대상으로 지역 단위의 탄소중립보다 더 강력한 탈탄소화를 전제로 하며,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전기화를 핵심지표로 다룸 □ 부문별 핵심기술 및 지표 ㅇ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에너지 분야의 다섯 가지 핵심요소로 ① 최종에너지의 전기화, ② 전력계통의 유연성 강화, ③ 수력, 양수 등 전통적인 재생에너지의 활용, ④ 그린 수소의 확대, ⑤ 선박, 항공 및 중공업 분야 등 온실가스 감축이 어려운 부문의 혁신 촉진을 꼽음 □ 비용 및 편익 ㅇ 기술별 구체적인 비용 및 편익 분석은 제시하지 않고 시나리오에 따른 전체적인 비용과 편익만 제시 - 시나리오별 투자금액과 지출에 따른 편익, 재생에너지 균등화발전단가 추정,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제시 2. 국제에너지기구(IEA, 2021) □ 개요 ㅇ 전 세계가 2050년까지 에너지사용 부문에서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현재 가능한 기술을 2030년까지 빠르게 수용할 것을 주장 -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 배터리, 수소 전기분해, 대기 중 탄소 직접 포집 및 저장과 같이 현재는 개발되지 않았거나 기술적 불확실성이 큰 기술에 대한 혁신을 강조하고 에너지 소비행동 변화도 핵심요소로 주목 □ 부문별 핵심기술 및 지표 ㅇ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주요 기술 및 수단으로 에너지효율 향상, 소비행동 변화, 전기화, 재생에너지, 수소 및 수소 기반 연료, 바이오에너지, 탄소 포집 및 저장을 꼽음 ㅇ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1인당 탄소배출량이 2040년에 동일한 수준에 이르려면 선진국의 1인당 배출량을 빠르게 줄여야 함 ㅇ 2030년까지의 주요 감축수단은 태양광, 풍력, 전기화, 에너지효율 향상이며 그 이후에는 CCUS 및 전기화임 3. 매킨지(McKinsey & Company, 2020) □ 개요 ㅇ 유럽의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발전, 수송, 산업, 건물, 농업 부문 내 75개 세부 부문의 탄소배출량 감축기술을 토대로 최소-비용경로를 제시 □ 부문별 핵심기술 및 지표 ㅇ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1990년 대비 2030년까지 55%, 2050년까지 100% 탄소배출량 감축목표를 제시 ㅇ 발전, 수송, 건물, 산업 부문은 각각 2040년대 중반, 2045년, 2040년대, 2050년에 탄소중립을 이룰 것으로 예상되며 농업 부문은 탄소중립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 4.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 Commission, 2020) □ 개요 ㅇ EU에서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50%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연구된 8개 시나리오와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한 16개 시나리오를 비교 분석한 메타분석 연구 □ 부문별 핵심기술 및 지표 ㅇ 주요 시나리오들에서는 재생에너지 비율과 에너지효율 향상을 통한 에너지수요의 감소로 주요 지표가 표현됨 5. 영국 기후변화위원회(UK CCC, 2019) □ 개요 ㅇ 영국의 기후변화 정책목표 검토 및 설정에 관한 보고서와 이에 따른 기술보고서에서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기술 및 정책 제시 ㅇ 기존 계획과 비교하여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요소를 언급 - 산업공정 부문에서의 탄소 추가 감축 필요: 에너지효율 향상, 최종에너지 전기화, CCS 및 저탄소 수소를 통한 열 생산 - 추가적인 저탄소 발전, 수소 및 CCS - 2050년까지 모든 화물수송 및 건물 열소비의 저탄소화 - 항공, 농업 및 토지이용 측면에서의 변화 □ 부문별 핵심기술 및 지표 ㅇ 전환, 수송, 산업, 건물, 농업, 토지이용, 토지변화 및 산림 부문의 핵심수단과 보다 야심찬 시나리오에서의 추가적 수단을 제시 □ 비용 및 편익 ㅇ 미래의 기술 비용 및 편익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완전한 형태의 비용편익분석은 이르지 못했지만 전반적 시나리오를 제시 -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위해 연간 총 GDP의 1~2%가 비용으로 소요될 것으로 추정 - 탄소중립 기술 도입 및 정책으로 인한 편익을 기후피해의 회피, 경제적 기회, 건강 및 환경적 영향으로 제시 Ⅲ. 탄소중립 이행점검체계 구축 1. 온실가스 감축 이행점검에 대한 국내외 사례 □ 우리나라 온실가스 감축로드맵의 이행점검 ㅇ 2019년 『제2차 기후변화대응기본계획』은 구체적 이행점검절차를 제안 - 중앙정부는 부문별 목표와 지표, 실적자료를 수집, 제출하며,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이를 바탕으로 관련 국책연구기관의 지원하에 평가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고 녹색성장위원회의 심의로 평가결과 확정 - 2030년 감축목표 및 감축로드맵상 정책수단의 이행에 초점이 있고, 2050년 탄소 중립 목표의 이행점검은 직접 대상이 아님 - 이행점검보고서는 정부기관인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작성한 관계로 정부정책에 대한 심층평가 및 정책제언은 상대적으로 부족 □ 영국 기후변화위원회의 이행점검 ㅇ 정부로부터 독립된 전문기관인 영국 기후변화위원회는 기후변화법에 따라 매년 이행 점검 보고서를 작성해 의회에 제출하고 온실가스 감축 및 적응 상황을 진단하여 정부에 정책 권고 - 온실가스 배출실적은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및 관련 지표를 통해 평가 - 2050년 탄소중립, 영국 탄소예산, 2030 NDC 달성을 위한 정책권고안 제시 □ 유엔환경계획(UNEP)의 이행점검 ㅇ 유엔환경계획(UNEP)은 매년 온실가스 배출격차보고서를 발간 - 각국이 감축목표를 이행했을 경우의 미래 온실가스 배출량과 파리협정의 목적을 달성하는 비용최소화 경로상의 배출량 간의 격차 제시 - 경기부양정책, 국제항공 및 해운, 라이프스타일 부문에 대한 정책 제안 2. 2050 탄소중립 이행점검 체계(안) ㅇ 이행점검의 내용으로 배출실적, 정책이행 수준, 탄소중립 기술수준을 평가하고 이를 종합하여 정부에 대한 정책안을 권고 ㅇ 이행점검의 절차를 향후 탄소중립위원회 중심으로 재조정 필요 -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실적에 대한 평가는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평가서를 작성하여 2050 탄소중립위원회가 심의하는 형태로 진행 - 탄소중립 기술수준 및 비용 평가는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와 현행 과학기술수준평가 전문기관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공동으로 평가서를 작성하고 2050 탄소중립위원회가 심의 - 전년도 정책권고안 이행평가와 당해연도 정책권고안 제시는 2050 탄소중립위원회 주관으로 시행 Ⅳ. 요약 및 추후 연구방향 □ 시나리오 작성 시 주요사항과 시나리오 핵심지표들에 대한 시사점 ㅇ 시나리오와 목표(target)를 혼동하지 않도록 정부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정기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구체화 필요 ㅇ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핵심은 에너지전환 시나리오이며 이는 에너지효율 향상으로부터 시작됨 ㅇ 에너지공급은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이루어짐 ㅇ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과 풍력이 재생에너지의 중심이 되므로 최종에너지 수요는 불가피하게 전기화가 필요 ㅇ 재생에너지를 통한 전기화가 어려운 기술은 수소를 활용 ㅇ 온실가스 순배출 0을 위해 CCUS, BECCS 등의 혁신 필요 ㅇ 비용편익분석을 활용하여 탄소중립의 필요성 강조 필요 ㅇ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탄소가격제 및 거시경제정책 시행과 같은 국제사회 및 각국의 확고한 정책적 의지 필요 ㅇ 부문별 관련 전문가 및 비정부조직에서 자체 시나리오를 마련할 수 있도록 시나리오 데이터의 개발 및 공개 필요 □ 추후 연구방향 ㅇ 국내외 시나리오들의 핵심지표 데이터베이스화 및 지속적인 업데이트 필요 ㅇ 시나리오 작성을 위한 기초 데이터 확보 필요 ㅇ 이행점검체계의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작성 필요 Ⅰ. Introduction □ Many countries announced the Net Zero goals and released Net Zero Scenarios to maintain the global temperature increase below 1.5 ℃. ㅇ Countries that have legislated or been discussing net-zero goals account for more than 70% of global GDP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IEA, 2021). ㅇ In 2020, South Korea announced its goal to achieve net-zero emissions by 2050. In 2021, it will release its net-zero scenario and strategies by sector. ㅇ Due to the uncertainty of innovative technologies, various net-zero scenarios can be developed and different entities including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dependent public institutes, and private profit and non-profit institutes are each suggesting their own scenarios. □ Objectives and scope of the study ㅇ Comparing several net-zero scenarios to select core indices and implications for providing South Korea’s scenario ㅇ Examining several evaluating and monitoring systems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s to provide the appropriate system for South Korea’s net-zero targets Ⅱ. Examples and Implications of Net-zero Scenarios 1. 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Agency: IRENA(2020) □ Outline ㅇ IRENA (2019) discusses renewable energy issues and decarbonization by 2050 and IRENA (2020) examines ways to achieve net-zero emissions by 2060. ㅇ IRENA suggests global scenarios and they focus on stronger decarbonization and electrification measures than regional scenarios. □ Core technologies and indices by sector ㅇ IRENA suggests five core factors for net-zero emissions: 1) electrification of final energy, 2) increasing the flexibility of power system, 3) utilizing traditional renewable energy sources, 4) expanding the use of green hydrogen, and 5) promoting innovation in sectors for which greenhouse gas reduction is challenging. □ Costs and benefits ㅇ IRENA provides comprehensive costs and benefits of each scenario but does not provide a detailed cost-benefit analysis by technology. - It presents investment scales by scenario, the estimation of levelized cost of energy (LCOE) of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and socio-economic effects. 2.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2021) □ Outline ㅇ IEA presents scenarios to achieve net-zero emissions targets by 2050 in the energy sector on a global scale and suggests that the world accommodate available technologies by 2030. - It emphasizes the innovation of technologies that are not developed yet or have high uncertainty such as battery, hydrogen electrolysis, and 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technologies. - Also, energy consumption habits are another important core factor. □ Core technologies and indices by sector ㅇ IRENA suggests critical technologies and measures for reaching net-zero emissions: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changing consumer behavior, electrification, renewable energy, hydrogen and hydrogen-based fuel, bio energy, and CCUS. ㅇ People in advanced countries should reduce their greenhouse gas emissions to reach the level of per capita emissions equal to that in developing countries. ㅇ Key measures for reduction are solar power, wind power, electrification, and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until 2030; afterward, CCUS and electrification will be important. 3. Net-zero Europe (McKinsey & Company, 2020) □ Outline ㅇ McKinsey & Company suggests the minimum cost path focusing on the technologies in the sectors of generation, mobility, industry, building, and agriculture for Europe to reach net-zero emissions by 2050. □ Core technologies and indices by sector ㅇ It suggests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by 55% compared to 1990 levels by 2030 and 100% by 2050. ㅇ It is expected that the sectors of power generation, mobility, building, and industry will achieve net-zero emissions by mid-2040, 2045, 2040, 2050 respectively; and it forecasts that it would be challenging to achieve net-zero emissions in the agricultural sector. 4. European Commission (2020) □ Outline ㅇ It is a meta-analysis study that compares eight scenarios of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by 50% compared to 1990 levels by 2030 and 16 scenarios for reaching net-zero emissions by 2050. □ Core technologies and indices by sector ㅇ In most scenarios, the reduction in energy demand due to an increased proportion of renewable energy and enhanced energy efficiency was the major indicator. 5. UK Climate Change Committee (2019) □ Outline ㅇ UK CCC suggests technologies and policies for achieving net-zeo emissions by 2050 in a report which examined the UK’s climate policy targets. ㅇ It provides core factors to achieve net-zero emissions by 2050. - Reducing more greenhouse gases in industrial processes through increased efficiency, electrification, CCS, and heat generation with low carbon hydrogen - Decarbonization of all freight transportation and buildings - Changes in the sectors of aviation, agriculture, and land use □ Core technologies and indices by sector ㅇ It presents core factors for the sectors of transition, mobility, industry, building, agriculture, land use, and forestry and stronger measures. □ Costs and benefits ㅇ It has not conducted a complete cost-benefit analysis due to the uncertainties of future technology but provides analysis for general scenarios. - It is expected that about 1-2% of yearly GDP will be required to achieve net-zero emissions by 2050. - It also provides the benefits of Net Zero technologies; avoiding the damage from climate change, climate opportunities, and health and environmental impacts. Ⅲ. Establishing the Net Zero Monitoring System 1. Case examples □ South Korea’s greenhouse gas reduction road map monitoring ㅇ In 2019, the Second Climate Change Basic Plan suggested a specific monitoring system. - The central government collects and submit the targets, indices, and performances by sector to the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GIR) which writes evaluation reports. - It focuses on implementing 2030 reduction targets but not on 2050 Net Zero policies. - Evaluation reports lack in-depth evaluation on governmental policies because GIR itself is a governmental agency. □ UK Climate Change Committee’s monitoring ㅇ UK CCC, which is independent from the government, writes yearly monitoring reports, submits them to the national assembly, and provides policy suggestions. - Its policy suggestions include reaching net-zero emissions by 2050, carbon budgets, and 2030 NDC. □ UNEP ㅇ UNEP publishes an yearly Emissions Gap Report - It presents a gap between the situation when each country accomplishes its reduction targets and the situation when the Paris Agreement target is achieved with a minimum cost path. - UNEP also provides policy suggestions on reflationary measures, international aviation and marine transport, and lifestyle. 2. Monitoring system for achieving net-zero emissions by 2050 ㅇ The monitoring system should include reduction performance, the implementation status, evaluation of technologies, and suggestion on policies. ㅇ The Net Zero Committee should take a central role within the monitoring system. - It is proposed that GIR should write assessment reports on the emissions status and the Committee should deliberate on it. - GIR and KISTEP should collaborate on evaluating technologies and costs and the Committee should deliberate on the reports. - The Committee should evaluate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last year’s suggestions and make new policy suggestions. Ⅳ. Summary □ Key factors for scenarios and indices ㅇ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diverse scenarios and update them regularly to prevent confusion between scenarios and targets. ㅇ Energy transition is the core theme of Net Zero scenarios and it starts from energy efficiency. ㅇ Energy supply should be mainly based on renewable energy. ㅇ Energy demand should be electrified because it is relying on solar and wind power mainly. ㅇ Technologies that are difficult to be electrified can utilize hydrogen. ㅇ To reach net-zero emissions,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CCUS and BECCS are required. ㅇ The necessity of achieving net-zero emissions is emphasized by proper cost-benefit analysis. ㅇ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each country should implement policies with a strong determination. ㅇ Scenario data should be provided as an open-source for researchers. □ Further studies ㅇ Core indices of different scenarios should be stored in the database and updated regularly. ㅇ Raw data for scenario should be established. ㅇ A specific guideline for monitoring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일제강점기 영화 시나리오 연구

        어일선(Il-Seon E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3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시나리오 대한 연구에 대해 실증적인 자료를 토대로 연구하였다. 우선 영화와 더불어 발생한 영화소설 등 본격적인 시나리오가 등장하기 전에 전개과정과 구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무성영화에 이어 영화가 ‘대사’를 가지게 되는 유성영화시대가 됨에 따라 시나리오의 표현은 영화소설 즉 문학의 형식과는 다른 현식을 띠게 되었다. 발생초기에 시나리오는 촬영을 위한 단순한 메모에 그쳤다면 점차적 표현 양식을 갖추어 가면서 고유한 영역을 확장해 나가기 시작했다. 또한 영화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고 별도의 시나리오는 발표 지면을 가지게 됨으로써 시나리오 창작은 더욱 활발하게 되고 독립적인 장르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시나리오의 전개 및 발전과정에 대한 연구는 그 장르적 특성상 영화자체와 함께 연구되어야하나 무성영화시대의 영화가 제대로 보존되어 있지 않아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이러한 현상은 바꾸어 말하면 영화가 없는 상태에서 시나리오 자체가 유일하게 영화의 형식과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시나리오는 원래 영화 제작, 상영을 목적으로 쓰여진 속성을 지닌 까닭에 실제로 창작되더라도 지면에 발표하지 않거나, 혹은 영화화로 제작되어진 후 없어진 경우가 많아 양적인 면에서 다른 문학 장르에 비해 절대적으로 빈약하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시나리오 연구에 대해 자료 부족으로 수반하는 여러 가지 연구의 한계를 지니게 되었다. 본고는 앞서도 현존하는 시나리오 텍스트를 통해서 일제강점기 시나리오의 구조적 특성과 의미를 고찰해 보려고 하였다. 그러나 당시 영화시나리오가 오늘날 남아 있는 작품은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을 뿐더러 현존하는 영화 필름이 전무한 까닭에 당대의 온전한 시나리오문학의 성격을 규정하기에는 불가피한 한계를 지닌다. 한국 영화소설의 시나리오화에 대한 고찰은 20, 30년대의 영화의 연구와 보조를 맞추어야 하지만 현재 해방 전 영화가 거의 존재하지 못하는 현실에서 시나리오를 비롯한 2차 자료에 의존하는 수밖에 없다. 그러나 영화가 없는 현실에서 시나리오는 유일하게 영화를 대변하는 것으로 시나리오를 통해서 영화의 내용과 형식을 점검하고 한국 시나리오문학의 발생과정과 그 양식의 변천과정을 살펴본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based on empirical data on the study of Japanese colonial period scenario. First, before the full-fledged scenarios such as movie novels along with films were introduc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tructure were analyzed. As the age of silent films turns into non-silent films with “lines”, the expression of scenario became different from the movie novel, that is, the form of literature. If the scenarios were just a memo for shooting in the early stage of the outbreak, they began to expand their inherent areas while gradually presenting the expressive forms. Furthermore, as the interest of the public on film increased and a separate scenario had the presentation space, the scenario creation became more active and settled as an independent genre. The study of flow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se scenarios should be studied together with the movie itself due to the nature of genre, bu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since movies of the silent film age are not properly preserved. In other words, such phenomenon can be seen that the scenario itself is the only data can grasp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movie in its absence. However, since the scenarios are originally written for the purpose of film production and screening, they are not actually published or disappeared in a lot of cases even after they are made into film. Therefore they are absolutely meager in quantitative terms compared to other literary genres. Hence, there are limitations of various studies accompanying the lack of data on scenario studies. In this paper,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examined through the existing scenario texts. However, only a small part of the film scenarios still exist today, and there are no existing films, therefore, it has an inevitable limit to define the character of the contemporary scenario literature. The review of the scenario of Korean film novels should be kept in line with the study of films in the 20s and 30s. However, in the reality that there are few pre-liberation movies, it depends on secondary data including scenarios. Nevertheless, scenario is the only mean that represents the movie in the reality without the movie, it is very meaningful to examine the content and the form of the movie through scenarios and scope on the generation process of Korean scenario literature and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format.

      • KCI등재

        모듈형 HNS 사고 시나리오 개발

        하민재,이문진,이은방 한국항해항만학회 2017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1 No.3

        현행 해양유출사고 시나리오는 예상가능한 최대 유출사고를 근거로 하여 시나리오가 작성되었다. 하지만, 최대유출사고 시나리오 와 유사한 규모의 사고는 실제 거의 일어나지 않았는데, 이러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훈련이나 대응장비배치 등은 대비 측면에서 본다면 낮은 비용효율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현행의 시나리오는 활용성과 현장도가 높은 시나리오 구현을 통한 실전에 가까운 형태로 구성될 필요가 있고, 활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사고사례를 바탕으로 한 시나리오 작성을 위해 기 개 발된 HNS 사고 표준코드를 활용하여 현행 시나리오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사고 시나리오(Alternative Accident Scenario)를 구성하고자 하 였다. 시나리오는 HNS 사고 표준코드를 모듈화하여 최대 빈도 시나리오, 최대 피해 시나리오, 최대 취약성 시나리오 3가지로 구분하여 작성 하였다. 이런 과정을 거쳐 제시된 각 시나리오별로 제시된 사고발생 상황은 실제 사고와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므로 현장에서의 합목적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Current scenarios for marine spill accidents were developed based on probable maximum spill accidents. However,, accidents of similar scale to maximum spill accidents are virtually non-existent, and training or deployment of response equipment based on these scenarios can be cost prohibitive. Current scenarios require realism for practical use and need to be designed for purpose of use. In this study we developed scenarios that may replace current scenarios by using the HNS accident standard codes based on past accident cases. Scenarios were developed by modularizing the HNS accident standard code, that is classified into three scenarios: Maximum Frequency Scenario, Maximum Damage Scenario, and Maximum Vulnerability Scenario. The situation of an accident presented in each scenario developed in this process is much like a real accident, and therefore, it is has practical application.

      • KCI등재후보

        최금동 시나리오 연구

        오영미 ( Young Mi Oh ) 한국드라마학회 2011 드라마연구 Vol.- No.35

        This research is the third one as part of a series of researches on Korean scenario writers after Han Woon-sa amd Kim Ji-heon. Choi Geum-dong, who is the first Korean scenario writer, started his literary career with a movie novel in 1936 and left more than 100 works until the 1980s. In the world of his works, in which his favorite materials were historical events or actual great men and Buddhist materials, he left exemplary legacy in both aspects of consciousness and original writings with the charging spirit and thorough historical consciousness throughout his lifetime. There have been minimal researches on scenarios in our country and the approach to the summation of this scenario writer has not yet been made. It is because his works have been excluded from the category of genuine literature on the ground that they are popular and in movies, approaches to directors and actors have been the mainstream. Based on such a critical mind, this research plans to continue to study the writer basically in the historical aspect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encompassing the overall works of an individual writer from both aspects of themes (materials) and dramaturgy and to clarify the meanings from the viewpoint of history of scenarios. The materials of Choi Geum-dong`s scenarios can be categorized into historical events and great men highlighting national consciousness, society charging materials through actual persons, human success stories of problematic main characters, and they are, on the whole, characterized by masculine and fluent tones of lines and texts. As writing technique, the works were based on classical narrative methods, and character-oriented play writing methods were highlighted by the description of circumstances and the use of narration, and he frequently used the methods in which plot was formed by presenting actually existent main characters and assistants, and as the result of applying Greimas` actant model, not only the composition of the desires of main characters and assistants but also the composition of senders and recipients were grasped as relatively clearly being contrasted. When the personality of main characters is more heroic, this makes clearer composi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benefits of recipients flow into the impersonal category. A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Choi Geum-dong`s scenarios form a main stream of historical works in the flow of Korean scenarios and are characterized by showing scenarios of masculine sentiments without flowing into melodramatic works or popular tastes in connection with unique material tastes of macroscopic discourse. Particularly in the 1950s-1960s when original works were shown most actively and when the dramas mainly featured literary works, literature adaptations, anti-Communist plays, domestic tragedies, he wrote original scenarios based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became the writer who were sufficiently recognized as the possessor of writer`s consciousness determining supply and demand of original writings autonomously. 본 연구는 한국 시나리오 작가 연구의 일환으로 한운사, 김지헌에 이어 세번째 작가연구 가 된다. 최금동은 최초의 한국 시나리오 작가로 1936년 영화소설로 등단해 1980년대까지 100여 편이 넘는 작품을 남기고 있다. 역사적 사건이나 실존했던 위인들과 불교적인 소재를 즐겨 사용했던 그의 작품세계는 고발정신과 투철한 역사의식으로 일생을 걸쳐 의식과 창작의 양면에서 귀감이 될 만한 족적을 남기고 있다. 우리의 시나리오에 대한 연구도 부족하지만 그 작가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접근해 보는 일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문학에서는 대중적이라는 이유로 본격문학의 법주에서 도외시했고, 영화에서는 감독이나 배우 위주의 접근 방식이 주류를 이루어 온 탓이다. 본고는 이런 문제의식에 착안해 기본적으로 통사적인 측면에서 작가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며, 주제(소재)와 드라마트루기의 양 측면에서 개별 작가의 작품 전반을 아우르는 특질을 고찰하고 시나리오사적 의의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최금동의 시나리오는 소재상으로는 민족의식이 돋보이는 역사적 사건과 위인, 불교소재, 실존인물을 통한 사회고발성 소재, 문제적 주인공의 인간승리 소재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남성적이고 유려한 대사톤과 지문을 특징으로 한다. 작법상으로는 고전적인 내러티브 방식에 기초하였고, 인물 위주의 극작법으로 선 상황의 묘사나 나레이션의 사용이 두드러지며, 실존하는 주인공과 가상의 조력자를 등장시켜 플롯을 형성하는 방식을 즐겨 사용하였으며, 그레마스의 행위소 모델을 적용한 결과 주인공의 욕망과 조력자, 반대자의 구도는 물론, 발신자와 수신자의 구도도 비교적 명확히 대립을 이루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것은 주인공의 성격이 영웅적일수록 더 분명한 구도를 이루고 수신자의 혜택이 보다 인물 외적인 범주로 흘러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최금동의 시나리오는 한국시나리오의 흐름에서 특히 역사물의 큰 줄기를 형성한다는 것과 거시적인 담론이라는 특유의 소재취향과 연관하여 멜로물적이거나 대중취향으로 흐르지 않고 남성적인 정서의 시나리오를 보여준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1950-60년대에 가장 왕성하게 창작물을 보여주던 시기, 문예물이나 문학 각색물, 반공극, 가정비련극 등이 주류를 이루던 시절에도 역사의식에 기초한 오리지널 시나리오를 창작하며 자신의 주관대로 시나리오 창작의 수요와 공급을 결정하는 작가의식의 소유자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충분한 작가로 자리매김 될 수 있겠다.

      • KCI등재

        하유상 시나리오 연구

        오영미 ( Oh Young-mi ) 한국드라마학회 2017 드라마연구 Vol.0 No.51

        이 논문은 한국 시나리오 작가연구의 일환으로, 하유상의 시나리오 연구로는 최초의 시도이다. 1950-60년대에 주로 활동한 하유상은 시나리오 작가로서는 많지 않은 작품을 창작했지만 시나리오 입문서와 작법서를 최초로 출간하고 교육에 이바지한 공로가 있다. 그의 창작세계는 멜로드라마적 관습을 수용한 작품, 희극모드의 작품, 실존의식과 사회적 이슈를 다룬 작품으로 대별해 볼 수 있다. 멜로드라마적 관습을 수용한 작품들은 타입화된 캐릭터와 플롯을 드러내고 있으며, 그 외의 범주에 있는 작품들도 멜로드라마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영화시나리오로 볼 때 작품성을 인정받을 만한 대표작은 희곡을 원작으로 한 각색물에서 찾을 수 있으며, 그것은 시나리오 창작환경 이전에 작가의식이 십분 살아있을 수 있는 원작 희곡이 바탕이 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하유상 시대의 시나리오 창작환경은 대부분 선 기획 후 대본의 제작 시스템으로 돌아가고 있어서, 작가는 대본조달자의 역할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으며, 개성보다는 관행에 발 빠른 작가가 인기작가일 수밖에 없었다. 한국 시나리오 작가를 사적으로 평가고찰해 볼 때, 하유상의 위치는 한국영화의 중흥기에 시나리오 창작환경에 순응하여 멜로드라마 양식을 창작원리로 삼았던 작가로, 시나리오 창작으로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지만 시나리오 작법서와 그 교육에 이바지한 공로가 큰 작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겠다. This study is part of research of Korean scenario writers, and the first major approach to research scenarios written by HA Yoosang. HA Yoosang, generally acting in the 1950s and 1960s, did not write many scenarios, but is more known for his contribution to education with his publication of books on how to write scenarios. His works can be categorized as: acts adopting melodramatic customs; comedy; and acts of social issues or existential consciousness. Acts adopting melodramatic customs has typical stereotype characters and plots, and other acts also do not vary far from the frame of melodramas. Movie scenarios whose cinematic quality is recognized are the comedy scenarios dramatized, which already had an established original scenario representing the original author`s philosophy. The majority of the scenarios from his time are pre-arranged work where the authors are only story tellers, who were unable to express their individual characters due to the production circumstances at that time. A historical review of Korean scenario writers conclude that HA Yoosang was a writer who followed the given production circumstances at his time adopting forms of melodramas throughout the revival period of Korean movies. He did not have a successful career as a scenario writer, but he definitely earned a place in history for his contribution in education with his publication of books on how to write scenarios

      • 역사지도 데이타베이스 구축을 통한 한국 비무장지대(DMZ)와 독일 그뤼네스반트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분석 (II)

        ( Oh Seok Kim ),( Marco Neubert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 기본연구보고서 Vol.2019 No.-

        본 연구는 한반도의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이하 DMZ)와 독일의 그뤼네스반트 또는 그린벨트(Grünes Band 또는 Green Belt, 이하 GB) 일부 및 인근 지역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를 비교·분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비교연구를 통해 인간과 자연 간의 지속가능한 공존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한반도와 독일은 각각 국가 분단을 경험한 역사적 공감대가 있다. 한국과 북한 사이에는 DMZ가 1953년부터 놓여져 있어 왔고, 과거 구동독과 구서독 사이에는 ‘죽음의 띠’ 또는 ‘철의 장막’이라 불리우는 무장지대가 있었다. 1990년, 독일의 재통일 이후 해당 지역은 GB로 탈바꿈해 현재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으로 보존되어 왔다. 하지만, DMZ는 군사적 목적에 의해 아직 접근이 어려울 뿐이지 체계적인 보존 대책이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전년도 연구는 한반도와 독일의 분단 상황에서의 경관변화를 분석하였다면, 금년도 연구는 활발한 교류 또는 통일 상황 하에서 예상되는 경관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독일의 경우와는 다르게 한반도는 아직 통일이 되지 않았으므로 여기에 미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를 전망할 수 있는 모델링을 적용해 미래의 상황을 체계적으로 유추할 필요가 있다. 모델링 기법 적용 시 다양한 토지이용 시나리오를 도입하면, 미래의 불확실한 상황을 모의하는데 있어 더 유리한 점이 있다. 단 하나의 경우만 고려하기에 DMZ의 미래가 너무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한편, 독일의 경우는 재통일이 된지 30년 가까이 지났으므로 변화탐지분석을 적용하여 경관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연구질문은 아래와 같다. 첫째, 독일 재통일 이후, 25년 간 세 시점(1990, 2000, 2014년)의 토지피복지도를 근·현대지도와 위성영상에 근거해 구축하고 시계열 변화를 분석해 본 결과, 구동독과 구서독 중 어느 지역이 더욱 많이 변화하였는가? 둘째, 재통일 이전·이후의 변화 패턴이 같은가? 만약 다르다면, 어떻게 다른가? 마지막으로 셋째, 전년도에 구축한 1951년과 2015년 시점의 토지피복지도에 근거하여, 50년 이후의 DMZ 미래를 ‘현 상태 유지’와 ‘독일 그뤼네스반트’ 시나리오로 모의했을 때, DMZ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는 각각 어떻게 나타나는가? 분석결과, 독일은 재통일 이후에도 구동독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가 구서독보다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통일 이전과 이후의 변화 패턴은 변화감지분석 결과만 고려하였을 때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겉으로 드러난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패턴이 비슷해 보여도 문헌조사, 현지답사, 인터뷰 등을 통해 정성적으로 조사해 본 결과, 구동독의 경관변화를 야기하는 시기별 기저요인은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재통일 이전에는 공산·사회주의 체제 하의 집단농장 구축과 군사진지화로 인한 경관변화가 주를 이루었다. 재통일 이후에는 시장경제로 인하여 기존의 농지가 대농장화되면서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다. 시가화지역은 재통일과 크게 상관없이 꾸준히 증가해왔고, 습지는 꾸준히 감소해왔다. 재통일 이후에 발생한 주된 변화는 크게 두 가지이다. 먼저, 과거 구동독과 구서독의 접경지역이었던 ‘죽음의 띠’ 또는 ‘철의 장막’이 GB로 변화한 것을 토지피복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이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아우토반)이 개통된 것이 커다란 변화인데, GB를 지나는 구간에 터널을 설치하여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한 점이 괄목할 만하다. 한반도 연구지역에 시나리오 모델링을 적용한 결과를 제시하기에 앞서, 본 연구에 사용한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모델의 수리적인 알고리즘과 미래 토지이용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모델의 이름은 Land Change Modeler(이하, LCM)로 미국 클락대학교의 지리공간정보분석연구소인 클락랩스(Clark Labs)에서 개발한 털셋(TerrSet)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시뮬레이션을 담당하는 모듈이다. LCM은 변화의 면적과 위치를 양분하여 미래의 상황을 모의한다. 면적의 총량은 마코프 체인(Markov Chain)에 근거해 전망하였고, 변화 위치 정보는 다층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을 활용하여 파악하였다. 다층퍼셉트론의 입력자료로 철도, 주요 도로, 해발고도, 경사도, 향, 토지피복 등을 고려하였다. ‘현 상태 유지(Business-As-Usual, 이하 BAU)’ 시나리오는 한반도 분단 이후로 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토지이용 경향을 미래 상황에 투영한 것이다. 환경영향평가를 생략한 개성공단 제2,3,4지구 완공, 경의선 및 국도 제1호선 개보수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더 나아가, 고려시대 역사유적인 나성 성곽 및 그 주변 지역과 DMZ에 행위제한 법제가 존재하지 않는 시나리오이다. 기존의 지속가능하지 않은 개발의 압력을 저감할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와 대비되는 상황인 ‘독일 그뤼네스반트(Grünes Band Deutschland, 이하 GBD)’ 시나리오는 DMZ와 고려시대 유적지에 행위제한을 설정해 해당 토지이용변화를 전적으로 지양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것은 독일의 튜링기아(Thuringia) 주정부에서 GB를 국가자연기념물(National Nature Monument)로 지정해 보존하고 있는 점을 벤치마킹한 것이고, 이는 국제적 차원에서 IUCN(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보호지역 범주에 포함된다. 고려시대의 수도였던 개성은 2013년 다수의 문화유적지를 UNESCO(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세계유산으로 등재하였고, 나성 성곽도 이에 포함된다. GBD 시나리오는 DMZ와 나성 성곽에 법제를 통한 엄격한 행위제한을 가정해 온전히 보존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더 나아가, 대규모 개발사업인 개성공단의 나머지 계획을 전면 백지화한 상황을 가정해 미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를 모의하였다. 그 결과, BAU 시나리오 하에서는 DMZ 내에 지속해서 경관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추가적인 환경훼손의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개성 시 가지는 개성공단 제3지구와 연계되어 개발이 집중될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 나성성곽은 이들 지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현 상태의 개발경향이 계속 유지된다면 추가적인 훼손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GBD 시나리오 하에서는 DMZ와 나성 성곽은 변하지 않으므로 이들과 관련해서는 추가적인 환경훼손의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법제를 통해 행위제한을 엄격하게 제한한 공간역을 벗어나면 바로 난개발이 만연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개성공단 제1지구와 DMZ 사이 지역이 개발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 지역은 개성공단 제1지구 뿐만 아니라 경의선, 국도 제1호선과도 인접해 있고 대부분이 평지로 이루어져 있어 개발하는 데 있어 유리하기 때문이다. 한편, 해당지역은 DMZ와 인접하는바 환경적으로도 민감한 지역이라고도 볼 수 있으므로 이는 개발과 보전이 상충하는 공간역의 대표적인 예시인 셈이다. 본 연구가 정책적인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발을 중요하게 여기는 BAU 시나리오와 환경보존을 중하게 여기는 GBD 시나리오 모두 DMZ와 인근의 자연환경 및 역사경관을 효과적으로 보전하는 데 있어 각자의 한계점을 드러냈다. 남북 관계가 개선되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 적용한 시나리오의 한계를 보완한 지속가능한 DMZ 토지이용 계획 마련이 시급하다. 미래의 계획은 최우선적으로 남북이 동의할 수 있는 내용이어야 하는바, 이를 위해서는 한국과 북한의 개발수요와 환경보전 수요를 균형있게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국제연합(United Nations, UN)의 지속가능 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UN SDGs)는 국제사회 차원에서 이미 합의를 본 내용이므르 UN SDGs에 명시된 틀을 활용해 DMZ와 인접 지역에 지속가능한 토지이용 계획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mainly compares and analyzes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in the Demilitarized Zone (DMZ)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parts of the German Green Belt (GB). The Korean peninsula and Germany have the historical similarity that they have both experienced divisions of the state. The DMZ has been emplaced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ince 1953. In the past, there was a strongly fortified border zone called the “Death Strip” or the “Iron Curtain” between East Germany and West Germany. In 1990, after German reunification, the area was converted into the so-called “Green Belt” and is still conserved systematically to the present day. However, no systematic conservation measures yet exist for the DMZ. Our 2018 study analyzed landscape changes in the situation of the separated Korea and Germany. In this follow-up report, the landscape changes are compared and examined under the condition of reunification. Unlike in the case of Germany, the Korean peninsula has not yet been reunified, so it is necessary to apply a predictive modeling approach to forecast future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and infer the future situation systematically. The introduction of land-use scenarios in the application of modeling techniques has the advantage of simulating multiple futures, given that the DMZ’s future is too unclear to consider only one prediction. In contrast, it has been already 30 years since the German reunification. That is, for the German case, a predictive modeling approach is not required, so a change detection analysis can be applied instea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ich part of Germany (either former East or West) has experienced more change than the other, after the reunification based on the three land-cover maps of 1990, 2000, and 2014? (2) Before and after the reunification, do the change patterns differ? If so, how? (3) Based on the Korean land-cover maps of 1951 and 2015, the two scenarios, namely “Business-as-usual” and “Grünes Band Deutschland”, are simulated for the next 50 years for the case on the Korean peninsula. How do the simulated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of the two scenarios differ? Following reunification,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in East Germany have been more intensive than those in West Germany. Change patterns showed littl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reunification, only when the results of the change detection analysis were considered. However, even though the patterns of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seemed to be similar, qualitative investigat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s, field trips, and interviews showed that the underlying forces causing the changes in East Germany were different over time. Before the reunification, the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in the East German border region were mainly caused by the establishment of collective farms and by the expansion of military border fortification under the communist and socialist regimes. After the reunification, a market economy and capitalism were introduced. The introduction changed the underlying forces, and the change triggered the conversion from older collective farming to privatized large-scale agriculture, which uses lands intensively. Besides, settlement areas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but wetlands have been steadily decreasing regardless of separation and reunification. Two major changes have been noticeable since the reunification. The changedetec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rotective strip―or so-called “Death Strip”― was converted into a GB largely. The other major change was the opening of the highway (Autobahn) across the former border region, and, remarkably, the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was minimized by installing a tunnel in the section passing through the GB. Before presenting the results of the scenario modeling application to the study area on the Korean peninsula, the details and scenarios of modeling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are summarized as follows. Developed by Clark Labs, the Land Change Modeler (LCM), an analytical module that simulates the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was used to simulate the future of the study area. LCM divides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into two components: the amount of change and the spatial allocation of change. The former was estimated based on the Markov Chain, while the latter (the spatial allocation) was identified using a multi-layer perceptron (a type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nput data include railways, major roads, elevation, slope, and aspect, in addition to the land-cover maps for two points in time. The two land-use scenarios are applied in this research and explained as follows. The Business-As-Usual (BAU) scenario reflects the historical trend of land use projected to the future. This scenario considered the pro-development tendency of the Korean peninsula. The BAU scenario includes completing the 2nd, 3rd, and 4th districts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s planned and renovating the existing railways and major roads. It is likely that a prope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ill be omitted. Furthermore, this BAU scenario assumes no law enforcement regarding the conservation of the DMZ and historical castle walls. It means that the pressure of existing unsustainable development cannot be reduced. In contrast, the Grünes Band Deutschland (GBD) scenario consists mainly of setting restrictions on the DMZ and the ruins of the Goryeo Dynasty to limit the changes in land use and land cover in the region. This idea was borrowed from the state of Thuringia, Germany, as that state legally designated the GB as a National Nature Monument, which is also regarded as the protected area by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In 2013, Kaesong, the capital of the Goryeo Dynasty, was registered as World Heritage by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The GBD scenario assumes that the DMZ and ruins of the Goryeo Dynasty are fully preserved under strict legal protection. Furthermore, we assumed that the remaining plans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ere no longer taking place. As a result, under the BAU scenario,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continue to occur within the DMZ,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further environmental damage. The existing built areas of Kaesong downtown will be expanded further as these will connect with the 3rd district of Kaesong Industrial Complex. Such a connection will lure more concentrated development than when not connected. Because the ruins of the Goryeo Dynasty are located between downtown Kaesong and the 3rd district of Kaesong Industrial Complex, further damage appears inevitable. Under the GBD scenario, the DMZ and historical sites remain unchanged because they are legally well protected, so little damage would be expected in these areas. However, unplanned development will prevail for those areas that are not under legal protection. In particular, the region between the 1st district of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the DMZ appears to be genuinely vulnerable to development. This region is flat in nature, is adjacent to existing development such as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is close to the major transportation network that cuts through the DMZ, connecting the two Koreas. However, this region is essential in an environmental sense because of its adjacency to the DMZ. That is, the region is a clear illustration of conflicts between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The research outcomes demonstrate a vital policy implication. Both scenarios, whether one is pro-conservation or not, were not able to conserve the landscape of the DMZ successfully. As inter-Korean relations improve, it is critical to develop a sustainable land-use plan of the DMZ region that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the two scenarios applied in this research. A future plan cannot be realized without a consensus between the two Koreas, and it is essential to balance the need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oth conservation and development-wise. As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UN SDGs) provide a compelling list of agendas and have already reached an agreement at the international level, making good use of the UN SDGs may be beneficial to both South and North Korea. If successful, we may indeed be able to come up with a sustainable land-use plan for the DMZ and adjacent areas.

      • KCI등재후보

        시나리오 플래닝(Scenario Planning)을 통한 미래교육에서 실과교육의 내용과 방법 연구

        고인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8 實科敎育硏究 Vol.24 No.3

        이 연구는 시나리오 플래닝 방법을 통해 미래교육에서 실과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예측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실과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3가지 과정을 거쳐 예측되었다. 먼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미래 실과교육의 내용과 방법 시나리오 변수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전문가 검토를 통해 시나리오 핵심변수를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핵심변수를 바탕으로 미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최종 결론으로 도출 된 미래 실과교육의 내용과 방법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질적인 것과 변화하는 것 플랫폼 레볼루션(Platform Revolution)의 실생활‘ 시나리오에서는 플랫폼 기반 실생활의 특성을 반영한 실과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강조하였다. 둘째, ‘해방적 생활 세계로서의 실과의 진보적 발달’ 시나리오에서는 상호작용성이 강조되는 실과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강조하였다. 셋째, ‘실과의 공동의 미래(Our Common Future) 지속 가능’ 시나리오에서는 지속 가능 개념이 강조되는 실과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강조하였다. 넷째, ‘삶의 실제성을 인지하는 행복형 진로교육’ 시나리오에서는 진로교육을 중핵으로 인간의 행복을 추구하는 실과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predicting contents and method of practical education in future education through scenario planning method. In this study, contents and method of practical education were predicted through three processes. First, the content and method scenario variables of future practical education were selected through big data analysis. Next, the core variables of the scenario were selected through expert review. Finally, we developed future scenarios based on core variables. The contents and method scenarios of the future practical education derived from the final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enario Essential and Changing Platform Revolution's Real Life’ emphasizes contents and methods of practical education that reflects characteristics of platform - based real life. Second, ‘The scenario Progressive development of practical arts as a liberating living world’ emphasizes contents and methods of practical arts which emphasize interactivity. Third, ‘The scenario Sustainability of Common Future’ emphasizes contents and method of practical education which emphasizes sustainability concept. Fourth, ‘The scenario Happiness-based career education that recognizes the actuality of life’ emphasizes contents and method of practical education pursuing human happiness with core of career education.

      • KCI등재

        시나리오 플래닝을 활용한 농촌지도사업 조망

        김진모,전영욱,손규태,임정훈,박진경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spect the future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using the method of scenario planning. To meet this purpose, we reviewed literature, conduct series of stake-holder interview, and classify the critical statements and put them in order by subjects. Critical statements by subjects are classified as 19 constants and 7 variables applying the Wilson Matrix through the agricultural specialist opinion survey. In following workshop, agricultural experts developed scenarios in the light of constants, variables, and options. Future predictions limited to the next 5 years. Finally, we could develop 4 scenarios – a trend-based scenario, two normative scenarios, and a constant scenario. The detailed findings of them as follows. First, the most positive scenario, which named ‘Brave New World, Future in Opportunity, Utopia, means the future that the roles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diversified as the domain expands and condi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 are improved. Second, the worst case of scenario, which named ‘Omnishambles, Dystopia, Being surrounded by enemies on all sides’, is supposed that the roles of public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drastically reduced by transferring most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area to agricultural administration body or private sector and the condi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 are getting hard. The trend-based scenario that is likely to be realized is 'very slow change', and the outlook for the near future is not so different from the current one. The contrast scenario that is likely to be realized too is ‘Burning Boats, the Small Pie’, and it is developed by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still an opportunity to highlight the necessity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although the business are has been reduc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the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accurately and to find preemptive countermeasures to make better agriculture, farmers, and rural areas. 이 연구의 목적은 시나리오 플래닝을 활용하여 농촌지도사업의 미래를 조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 및 이해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농촌지도사업의 외부환경 변화를 분석하고 핵심진술을 분류하였다. 전문가 설문조사와 워크숍을 통해 핵심진술에서 19개의 시나리오 상수와 7개의 시나리오 변수를 도출하였으며, 추세기반 시나리오, 규범적 시나리오, 대조적 시나리오 등 4개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가장 긍정적인 시나리오는 ‘멋진 신세계, 기회의 미래, 유토피아’로 농촌지도사업의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역할이 다양해지고, 농업농촌의 여건 개선이 이루어질 미래이며, 최악의 시나리오는 ‘총체적 난국, 디스토피아, 사면초가’로 농촌진흥기관의 사업영역이 농업행정 및 민간에 대부분 이양됨에 따라 농촌지도사업의 역할이 대폭 축소되고 농업과 농촌 여건이 어려워지는 미래이다. 실현가능성이 높은 추세기반 시나리오는 ‘매우 느린 변화’로, 가까운 미래의 모습이 현재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보는 것이며, 실현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 대조적 시나리오는 ‘배수의 진, 작아진 파이’로, 농촌진흥기관의 사업영역이 축소되었으나 여전히 농촌지도사업의 필요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기회가 있는 미래이다. 이러한 시나리오들은 농촌지도의 미래 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학령인구 감소 시대 미래 학교교육의 방향 탐색: 미래학교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김현미,이수정,최항섭,변희현,정은주,주형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4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through developing future school scenario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future education and scenarios, embodied three 2040 future school scenarios and related issue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for future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e issues and prepare for the future. First, this study analyzed recent research on megatrends of future society, future school cases, and scenarios of future education. Second, it utilized scenario research method and Delphi survey. Four variables were set for future school scenarios: school-age population distribution, school operation, educational space, and educational governance. Third, it developed three 2040 future school scenarios: Concentrated, Distributed, and Crisis Scenarios. It also discussed several issues predicted in each scenario. Finally, based on the scenarios and issues of future schools, it suggested the direction of change for future education and improvement plans. For future education, school education should be redesigned reflecting the school-age population decline, school operation should be diversified, educational space should be expanded, and educational governance should be dispersed.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 시대의 미래학교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이를 바탕으로 미래 학교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래 교육 및 시나리오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시나리오 방법론과 델파이 조사를 통해 3개의 2040년 미래학교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각 시나리오에서 예상되는 쟁점들을 바탕으로 하여 미래 학교교육의 변화 방향을 탐색하였다. 첫째, 선행연구는 미래 사회 메가트렌드, 미래학교 사례, 미래 교육 시나리오 등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메가트렌드 및 시나리오의 변인들을 본 연구의 변인 도출에 참고하였다. 둘째, 연구 방법으로는 위계적 복합시나리오 방법론과 온라인 델파이 조사를 활용하였다. 시나리오의 변인으로는 학령인구 분포, 학교 운영, 교육 공간, 교육 거버넌스의 4가지를 도출하였다. 셋째, 델파이 조사 결과를 통해 2040년 미래학교 시나리오로 집중형, 분산형, 위기형 시나리오를 포함한 3개의 시나리오를 구체화하였다. 또한 각각의 시나리오에서 예상되는 쟁점 사항들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래학교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미래 학교교육의 변화 방향을 제안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정책적 개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미래 학교교육의 방향으로는 학령인구 변화를 반영하여 학교교육을 재설계하고, 학교 운영은다변화되고, 교육 공간은 확장되며, 교육 거버넌스는 분산되는 방향으로 변화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