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 논문 : 한라산 산수유기(山水遊記)의 산수문학적 연구

        손오규 ( O Gyu Sohn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5 퇴계학논총 Vol.26 No.-

        山水文學은 자연을 소재로 삼아, 산수애호의 정신에 입각하여, 山水美를 형상화한 詩歌와 文學작품이다. 그리고 江湖歌道類와 성리학적 이념을 자연미로 형상화한 작품도 포함한다. 하위 장르로 山水詩, 山水小品, 山水遊記가 있다. 첫째, 林悌(1549-1597)의 「南溟小乘」(1578)은 제주를 유람한 최초의 개인유람기이다. 金尙憲(1570-1652)의 「南차錄」은 1602년 8월 10일부터 이듬해 2월까지(6개월), 어사로 제주에서 수행한 임무와 見聞을 기록한 것으로, 관리의 한라산 유람기로서 대표적이다. 둘째, 金緻의 「遊漢拏山記」(1609)는 李元鎭의 「耽羅志」와 李源祚의 「耽羅誌草本」에도 실렸다. 김치는 1609년 4월 8일 한라산을 유람했다. 趙觀彬(1691-1757)의 「유한라산기」는 「遊南溟記」 「見老人星記」와 함께 제주 유배 時에 지었다. 李源祚(1782-1871)의 「유한라산기」는 「탐라록」 上에 실려 있는데, 1841년 秋分 다음날 한라산 등정을 출발하였다. 최익현(1833-1906)의 「유한라산기」는 형식적 구성면에서, 조선조 유학자의 전형적 산수유기라 하겠다. 이들의 산수유기는 장르의식이 명확하다. 셋째, 한라산의 名所舊蹟은 靈室 五百將軍, 白鹿潭, 尊者庵이 대표적이다. 또 특이한 식물이나 무생물을 포함한 여러 자연물과 자연현상도 포함된다. 따라서 한라산 명소구적은 반드시 人文歷史 유적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것이 한라산 山水遊記에 나타난 명소구적의 특징이다. 넷째, 존자암은 험준한 山勢와 기암괴석 때문에, 超世俗的이며 原初的인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그 주변의 영실기암을 김상헌은 千佛峯이라 하고, 임제는 오백장군이라 명명하였으니, 영실기암의 ‘형식미’에 주목한 것이다. 따라서 그 意想은 한라산의 原初的 敍景美를 표상한다. 다섯째, 백록담은 神仙과 白鹿의 설화를 통해 신성성과 초월성을 강조하니, 原初的 純粹性으로의 回歸를 그 意象으로 한다. 老人星은 한라산에서 관찰이 가능한별(星)로, 그 意象은 長壽와 國泰民安을 상징한다. 여섯째, 한라산경계는 敍景이란 객관물경과 유람자의 감정이 융합된 한라산 山水美의 예술경계를 의미한다. 모두 유학적 산수관을 견지하였는데, 이원조와 최익현은 한라산 등정을 聖人의 학문적 경지에 비유하여, 哲理的 세계를 表象하게 되었다. 따라서 傳來的인 한라산境界가, 성리학적 사유의 대상과 우주관에 입각한 理念美로 전환되었다. Sansu literature consists of Sansusi, Sansusopoom and Sansuyugi. First, Lim Je’s 「Nammoungsoseung」 is the first personal travel essay to Jeju ever written. Kim Sang-Heon’s 「Namsarok」 represents all the Halla Mountain travel essays written as a government official. Second, according to Kimchie’s 『Yuhanlasanki』, he traveled to Halla Mountain on April 8th, 1609. Jo Gwan-bin’s 『Yuhanlasanki』 was written in Jeju along with 『Yunammyungki』 and 『Gyunnoinsungki』. Lee Won-Jo departed for the summit of Halla Mouatain the day after autumnal equinox of 1841. Choi Ik-Hyun’s 『Yuhanlasanki』 demonstrated typical Sansuyugi of Joseon Dynasty scholars. Their Sansuyugi displays clear sense of the genre. Third, Halla Mountain’s recognized locations and historical sites are Youngsil Obaekjanggun, Baengnokdam and Jonjaam. In addition, unique plants, various natural matters encompassing inanimated objects and natural phenomena are included. Jonjaam symbolizes the philosophy beyond secular world the and instinctive form of scenery of Halla Mountain. Yeongsilgiam is named after Cheonbulbong, Obaekjanggun remarked on Sansu’s beauty of form. Fourth, through the mystical spirit and Baengnok(White deer) tale, Baengnokdam exemplifies a return to instinctive desire. Canopus embodies longevity, the nation and the peace of people. The aesthetics of Halla Mountain portrays Confucius landscape, and it defines the learning of Saints. Therefore, the status of traditional aesthetics of Halla Mountain revolved around as Confucius ideology of beauty.

      • KCI등재

        退溪 山水遊記의 空間形象과 그 道學的 性格

        신태수(Shin, Tae-soo) 영남퇴계학연구원 2021 퇴계학논집 Vol.- No.28

        퇴계는 산수유기 두 편을 남긴 바 있다. 산수유기에 의하면, 산수가 즐거움을 직접 주지는 않는다. 心與理一의 논리에서 보듯이, 퇴계 그 자신이 격물을 통해 즐거움을 성취한다. 이 점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공간형상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공간형상은 장면 단위로 구성되고, 각 장면은 ‘寫景→類比→議論’ 과정으로 구성된다. 구성이 뚜렷하므로, 그 원리도 있게 마련이다. 유람 기간이 장면 개수를 통제하고, 장면이 ‘사경→유비→의론’ 과정을 갖추고자 하고, 의론이 심여리일의 논리에 입각한다는 점이 공간형상의 구성 원리이다. 구성 원리가 지향하는 바를 사경 방법에서 찾아볼 수 있다. 산수의 활발발한 본성 표출 방법과 원근 풍광의 자세한 묘사 방법이 그것이다. 전자는 의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후자는 의론과는 반대편에서 의론에 영향을 끼치지만, 인성 함양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데는 공동보조를 취한다. 이렇게 보니, 공간형상의 도학적 성격은 두 가지다. 分殊를 통해 理一을 구현한다는 점이 그 첫 번째요. 실천적 차원에서 天人合一을 추구한다는 점이 그 두 번째이다. Toigye left two works of Sansuyugi. According to Sansuyugi, mountains and rivers themselves do not offer pleasure. As dictated in the logic of Simyeoriil, the subject of pleasure was Toigye himself. There is a need to focus on spatial figurations to check this. Spatial figurations are comprised of scene units, and each scene is organized in the process of Sagyeong→Yubi→Uiron. Since the composition is clear, it will naturally have a principle. The principle of composition in spatial figurations is the restriction of scenes by the duration of sightseeing, the process of Sagyeong→Yubi→Uiron in each scene, and Uiron based on the logic of Simyeoriil. The orientation of this principle of composition can be found in methods of Sagyeong. They include the method of expressing the active nature of mountains and rivers and that of depicting distant scenes in details. While the former has direct impacts on Uiron, the latter affects it opposite to Uiron. They, however, share auxiliary roles in the emphasis of a need to cultivate personality. From this perspective, spatial figurations have Dohak nature in two aspects: one is to embody Ri-Il through Bunsu, and the other is to pursue unity between the Heaven and man at the practical level.

      • KCI등재

        한국 전통춤에 내재된 한, 멋, 신명에 대한 신화적 접근 - 산수유기(山水遊記)에서 산수(山水)와 풍류도의 관점을 중심으로 -

        김정은 ( Kim Jeong-eun ),차수정 ( Cha Su-jung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6 한국무용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한국전통 춤에 내재된 한, 멋, 신명의 민족적 정서들에 대한 신화적 접근으로 산수유기에서의 `산수`와 `풍류도`를 통해 한국 춤의 기원과 사상적 의미는 물론 춤사위의 내재된 예술성을 다시 한 번 재 고찰해 보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접근은 `산수`의 공간적 의미를 통해 논의되었는데 치유와 놀이, 수행이라는 세가지 체험공간을 통해 한국 춤사위의 정서적 특징들이 비교 고찰되었다. 둘째 `풍류도`를 통한 접근은 접화군생(接化群生)의 실천 덕목을 통해 한국 춤사위의 표현방식이 지닌 자연미에 관한 미적 담론들이 구체적으로 논거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s a mythical approach to ethnic emotions such as sorrow, flavor, and ecstasy inherent in Korean traditional dance, to examine the origin and ideological meaning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its artistic value through `Sansu` and `Pungryudo` of Sansuyugi. First, for the approach through the spatial meanings of `Sansu`,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ree types of experience space, that is, healing, play, and performance. Second, for the approach through `Pungryudo`, esthetic discourses regarding natural beauty inherent in Korean traditional dance were specifically discussed using practical virtues of Jubhwagunsaeng.

      • KCI등재후보

        農淵 山水遊記 硏究

        안득용(An Deuk-y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6 동양한문학연구 Vol.22 No.-

          본고는 17세기 후반 산수유기의 특징과 변화요인에 대해 고찰하기 위해 농암 김창협과 삼연 김창흡의 산수유기에 주목하였다. 산수유기에 대해 적지 않은 연구 성과가 도출되었지만, 개별 작품과 시대적 변화의 양상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드물다. 이러한 미비점을 극복하고 이상적인 결과 도출을 위해서는 대표적 작가의 산수관과 실제 작품에 대한 종합적 고찰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목적 때문에 본고는 산수유기의 질적 변화와 양적 확대를 가져온 17세기 후반에 주목하였으며 당대 대표적 작가인 농연의 산수관과 실제 작품분석에 주력하였다.   농연은 前代보다 자연미를 중요시하는 시각을 지니고 있는데, 이러한 사실은 그들이 산수에 대하여 언급한 내용과 산수품평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이러한 자연관은 그들 작품에서 구조와 스타일적 측면에서 반영된다. 이를 세밀하게 살펴보기 위하여 김창협의 「凜巖尋瀑記」를 구조와 의미, 스타일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 작품은 전환을 통한 점층과 긴장 해소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王安石의 「游褒禪山記」와의 비교를 통하여 교훈적 내용을 여행의 스케치 아래에 배치하였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여행의 가벼운 스케치는 당시 소품의 유행과 일정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소품의 유행은 유연한 의식의 발현과 일정 정도 연관이 있으며, 유연한 의식에 의해 발현된 소품체의 성행은 당대 공고화되어 나가던 의식의 균열을 예감하게 하는 징후이다. 따라서 農淵은 균열에 일조하였으며, 이러한 점이 山水遊記 내에서 그들이 점유하고 있는 위치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d on Nongam Kim, Chang-hyeop(農巖 金昌協) and Samyeon Kim, Chang-heup(三淵 金昌翕)"s sansuyugi(山水遊記) in order to make a study on special features and meaning of sansuyugi in the 17th century. Many researchers studied sansuyugi, but only a few researchers thought over the individual works and the change of tide. Therefore I must make a study on representative writer"s works and the view of nature(山水觀), for ideal outcome. For this purpose, I focused on the 17th century when sansuyugi was made by many people and analyzing works of Nongyeon(農淵) as representative writers.   Conclusionally, I knew that they had laid weight on the natural beauty(自然美) by making a study on their estimating nature(山水品評) and references. And then, for the sake of researching the beautiful features of their works, I made a study on Kim, Chang-hyeop"s 「Fing waterfall in Neumam (凜巖尋瀑記)」. In result, I knew that the work had the structure that made inspiration by tense strengthening-dissolution. And By comparing 「Finding waterfall Neumam」 with Wang, An-seok"s 「Traveling Mt. poseon (游褒禪山記)」, I found that the former had a lesson beneath the sketch of travel. The light sketch of travel is related to the trend of sopoom(小品). This paper found that 「Find waterfall in Neumam (凜巖尋瀑記)」 and another sopoom(小品) works were made by his flexible sense and tension of beauty.   Conclusionally, I knew that flexible sense and sopoom(小品) style cracked conventional thought, and Nongyeon made the crack to a certain degree.

      • KCI등재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의 산수유기(山水遊記) 양상과 특징

        權津鈺 ( Kwon Jin-ok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6

        이 논문은 月沙 李廷龜(1564~1635)가 창작한 한문 산문 가운데 山水遊記를 대상으로 그 양상과 특징을 규명한 글이다. 동시대 대표적인 작가 그룹인 한문 사대가 중에서도 단연 이정귀의 산수유기가 많았던 점은 그가 산수유기를 문학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글쓰기 장르로 분명하게 인식하여 적극적으로 창작 활동을 벌인 결과이다. 「遊三角山記」는 이정귀의 산수유기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젓대 연주에 대한 애착이 잘 드러난다. 「유삼각산기」는 신선 세계를 노니는 듯한 인상을 시종 풍기고 있는데, 이는 유람지의 정경이 신선 세계를 상상케 하는 동시에 그에 짝하는 젓대 소리의 울림이 끊이지 않고 등장하기 때문이다. 이정귀 자신이 산중 유람에서 젓대 소리는 빠질 수 없는 것이라고 언급한 것처럼, 그의 산중 유람은 신선 세계와의 간접 경험을 자아내고, 그것의 흥취를 돋우기 위해서 유독 젓대 연주를 강조하였던 것이다. 또한 이정귀는 젓대 소리와 신선 세계를 피상적이거나 감각적으로 인식을 했던 것이 아니라 분명히 용례나 전거를 인식하여 활용하였다. 아울러 이정귀는 이 젓대에 대해 癖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애착이 있었다. 산수유기에서의 익살은 글을 더욱 생동감 있고, 정겹게 해주는 구실을 하는데, 이정귀의 「遊金剛山記」에는 이러한 익살이 다른 작품에 비해 특기할 만하다. 이정귀의 여타 산수유기에서는 이와 같은 익살스러운 일화는 보이지 않는다. 이는 이러한 일화들이 20여 일에 걸친 장편의 「유금강산기」가 자못 지루해지는 것을 해소해 주기 때문이다. 또한 「유금강산기」의 단락 구성이 순차적인 일기체가 아니라 특정 기사에 따른 일기체 구성이기 때문에 이러한 일화들을 특기한 것이다. 「遊松嶽記」는 기우제를 지내기 위해 오르는 첫 번째 등정과 기우제를 지낸 다음날의 두 번째 등정으로 나뉜다. 松嶽山 내적인 풍경 묘사와 외적인 풍경 묘사가 기우제를 기점으로 구분되는 것이 특징인데, 전자는 기우제를 지내기 전의 헌관으로서의 엄숙함과 경건함을 은근히 드러내는 표현이고, 후자는 기우제를 지내고 난 후 개인의 흥취를 위해 오르는 등정임을 자부하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작품은 특히 柳宗元 「永州八記」의 경물 묘사의 영향을 받았는데, 몇몇 부분들은 이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간 묘사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이 작품은 그 표현의 측면에서 기존의 다른 작가의 작품을 적극적으로 차용하고, 마찬가지로 이정귀의 이 작품을 후대의 작가가 차용한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益齋 李齊賢의 「重修開國律寺記」와 冠巖 洪敬謨의 「西征記」를 통해 알 수 있는데, 이제현에 대해 이정귀가 오마주[hommage]를 한 것처럼, 홍경모 역시 이정귀에 대해 오마주를 한 것이다. 특히 홍경모 같은 경우는 집안이 대대로 장서가였고, 우리나라 역대의 유기를 모은 『臥遊錄』도 소장하고 있었다. 게다가 홍경모 자신도 평소 유기 창작을 애호하여 『冠巖存藁』라는 이름으로 별도의 책을 만들기도 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홍경모가 「서정기」를 지을 때, 송악산을 묘사하게 되자 당연히 이정귀의 「유송악기」를 염두에 두었을 것이고, 송악의 핍진한 표현에 있어서 심지어는 이정귀의 글귀를 전재하여 활용하는 데까지 이르렀던 것이다. This thesis is a literature study on Lee, jeonggui(李廷龜), who was active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There are a total of 11 sansuyugi(山水遊記, travels) he created. In addition, most of the motives for sansuyugi(山水遊記) writing were either for public service or triggered by public service. This is because his official life was relatively smooth, and his diplomatic ability was excell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11 sansuyugi(山水遊記), he confirm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re is a work that shows a strong attachment to playing flute in a place where visitors are addicted, and it is yugeumgangsangi(遊金剛山記) which left to soothe the sadness of Mt. He mentions himself that the sound of a flute is indispensable from a cruise, and his pleasure creates an indirect experience in the immortal world and emphasizes playing the flute in order to enhance its excitement. The humorous excuse makes the writing more lively and neat. The yugeumgangsangiha(遊金剛山記下) he created is more pronounced than other works. These anecdotes do not get bored with a long 20-day writing. Also, the paragraph composition of this work is not a sequential diary format, but a diary format according to a specific anecdote. Finally, we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yeongjupalgi(永州八記) created by Ryu, jongwon(柳宗元). Among his writings, yusongaggi(遊松嶽記) was particularly influenced by the depiction of the landscape found in the Ryu, jongwon(柳宗元)’s yeongjupalgi(永州八記).

      • KCI등재

        권섭의 산수(山水) 유기(遊記) 연구(硏究)

        홍성욱 ( Hong Seong-uk ) 국제어문학회 2006 국제어문 Vol.36 No.-

        소품체의 하나인 산수 유기는 산수 유람의 흥취와 견문을 주로 하는 것이다. 당나라 유종원에 의해 처음 지어진 이 글은 조선 전기 김종직과 그의 문인들에 의해 ○○록이란 표제 하에 산수 유람의 흥취와 사대부 의식의 고취를 주 내용으로 활발히 지어졌다. 그러나 조선 후기 들어 금강산과 지리산 유람이 활발해지면서 다수의 산수유기가 지어진다. 권섭은 기사환국(己巳換局)을 경험하면서 정치 현실에 대한 환멸을 느껴 출사에 대한 생각을 접고 평생토록 전국의 산수를 두루 유람하면서 보낸다. 그에게 산수는 세상과 분리된 자유공간이며 탐미대상일 뿐 이전의 산수 유람자들이 의식한 것과 같은 사대부 의리를 실현하고 도체(道體)를 발견하는 공간은 아니었다. 그는 정신의 자유와 산수의 아름다움을 찾기 위해 가족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노구를 이끌고 전국 각지를 유람하였다. 스스로 산수벽이 있다고 할 정도로 탐승(探勝)에 몰두하였으며 이를 다양한 형식의 산수유기로 남겼다. 그가 남긴 산수유기는 조선 전기나 동 시대 문인의 그것과는 내용과 형식면에서 매우 차별적 양상을 보인다. 평생의 유람 기록을 빠짐없이 남기고자 환갑을 넘은 노년에도 기억을 더듬어 지난날의 유람을 다시 기록하기도 하고, 타인의 유람 기록을 그대로 옮겨 놓기도 하였다. 일반 유기의 형식을 준용하여 일기체로 서술하되 날씨, 이동거리, 그날의 주요 유람지 등만 서술하고 자신의 감상은 거의 배제시키기도 하였고, 자신만의 독창적 체재로 유람 전 과정을 자세히 서술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그는 자신이 전범으로 여긴 문장의 문체를 모방하여 서술하기도 하였다. 그의 유람은 어느 시기에 집중된 것이 아니라 평생을 두고 꾸준히 지속되었다. 그리고 그의 산수유기는 유람의 흥취를 서술한 것이 주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유람의 전 과정이 두루 망라되어 있다. 특히 권섭은 유람을 하면서 여정과 그날그날의 일정을 하나도 빠뜨리지 않고 자세히 기록하였다. 또 자신의 유람에 도움을 준 사람들의 구체적 내역을 일일이 적어 놓았다. 그에게 있어 탐승의 욕구는 식욕과 색욕을 억제하는 것보다 더 힘들었다. 까닭에 老年에도 산수 유람을 멈추지 않았고 가족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기어이 결행하였던 것이다. 그는 탐승에 몰입하면서 자신의 내면에 잠재된 정감을 산수에 투사시킨다. 또 이를 통해 정신적인 자유와 해방을 만끽하고 그것은 그의 정신과 육체를 산수 유람 이전보다 한층 강건하게 만든다. 그것이 그를 평생 동안 산수의 기승(奇勝)을 추구하도록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강고한 산수벽을 지녔으면서도 그는 산수유기에서 산수 유람의 흥취와 견문만 적지 않았다. 산수 유람의 전 과정이 모두 소중하였기에 어디를 어떻게 다녔는지 그리고 누구와 어떻게 어울렸는지는 빠짐없이 적었던 것이다. 이유는 이 모든 것이 산수 유람을 통해 자신의 정신적 자유를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Kwon Seop was disillusioned about political reality through experiencing Kisahwanguk(Returning to former political system through Political strife) and he spent his life in going on a trip to see the beautiful mountains and rivers while giving up the entrance into the governmental office. For him, mountains and rivers are free spaces to be separated from the world. Mountains and rivers were just objects of exploring beauty for him but not spaces to find the morality and righteousness, pursued by people of noble birth. In order to explore the beauty of mountains and rivers, and enjoy the spiritual freedom, he travelled the whole nation at his old age in spite of persuasion of his family. He was absorbed in exploring the beauties of mountains and rivers and eventually left travel sketches called "SANSUYUGI", which are written with various forms. His travel sketches are very discriminative from those of other literary men, living in the same era, in terms of form and matter. In order to leave the record of every excursion, he retraced his memory, re-wrote the past excursion, and transferred others excursion note into his record even though he was over 60 years old. As a type of diary, he described daily weather, movement distance, and major sightseeing places. He excluded his own emotion, and wrote the whole process of excursion in detail with his original structure. He also imitated others` writing styles, which were considered as exemplary models. His excursion was not intensified at a certain age and he continued his excursion for his whole life. In `SANSUYUGI` only enjoyment and fun is not a main part, but the whole process of his journey represents meaning as an integrated one. For him, the desire to explore the beauties of nature was greater than desire for food and sex. He didn`t stop his journey and he turned a deaf ear to his family`s persuasion at his old age. While being absorbed in mountains and rivers, he projected his emotion, buried in his inside, into mountains and rivers. Through it, he enjoyed inner freedom, and made his mind body stronger than the former times of excursion. It seems that he pursued for scenic beauty for his whole life with unyielding spirit.

      • KCI등재

        기행가사와 산수유기(山水遊記) 비교 고찰 - 어당(峿堂) 이상수(李象秀)의 「금강별곡」과 「동행산수기」를 대상으로 -

        장정수 민족어문학회 2017 어문논집 Vol.- No.81

        This paper compares the structures, contents,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s, thoughts and the writer's attitudes in the traveling Gasa <Geumgangbyeolgok> and Sansuyugi <Donghaengsansoogi> written by 19th century poet Eodang Lee, Sangsoo (1820~1882). And I examined how the Han-gul Gasa and Chinese Sansuyugi were created and accepted and the differences of the aesthetics and interests pursued in the various categories of travel literature. <Geumgangbyeolgok> is organized organically according to the route from the departure to the impression of finishing the journey. It takes on the character of narrative literature by stating the experience, the subculture and the emotion of the itinerary in a panoramic way. On the other hand, <Donghaengsansoogi> is consisted of the several independent texts occupied a large part with the discussions. It has the character of an essay, which philosophically unravels the aesthetic experience of Nature. They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s and the author's attitude. In addition to fengshui, which was used as a device for displaying scenic beauty of Mt. Geumgang. No special thought is found, but experience and inspiration of travel are main in <Geumgangbyeolgok>. On the other hand, the confucian view of nature and the scholarly attitude to the tales, ruins, remains are strongly expressed in <Donghaengsansoogi>. In terms of the narrative and expression techniques, both works have a strong point of description and are rich in analogy and imagination. However, <Geumgangbyeolgok> has a tendency to enhance emotions by directing inspiration and subculture to travel, And that <Donghaengsansoogi> has a lot of rational and critical perception on the Sansoo. The differences presented above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two works were created and enjoyed for different purposes and uses. <Geumgangbyeolgok> is a book for enjoying excursions and recalling the experience of the trip from the viewpoint of the artist himself and also provides the reading materials for indirect experience of excursion for those who cannot decipher Chinese texts. <Donghaengsansoogi> is not a simple tour record, but a result of the artist's philosophical awareness and the aesthetic experience of nature. And is came from the process of writing for self-reflection and spiritual growth. 본고는 19세기 문인인 어당(峿堂) 이상수(李象秀; 1820∼1882)의 기행가사인 「금강별곡」과 한문 유산기(遊山記)인 「동행산수기」의 구성 및 내용, 표현상의 특징, 사상 및 작가의 태도 등을 비교함으로써 기행문학의 다양한 범주 속에서 한글 기행가사와 한문 유산기(遊山記)가 어떤 맥락에서 창작되고 수용되는지, 작가가 각 장르를 통해 추구하는 미의식과 관심사는 어떤 차이를 지니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금강별곡」은 출발부터 여행을 마친 소회까지 노정(路程)에 따라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정에서의 체험과 소회·정서를 파노라마식으로 진술함으로써 이야기 문학의 성격을 띤다. 반면 「동행산수기」는 여러 편의 독립적인 기문(記文)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의론(議論)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산수(山水)에 대한 심미적 경험을 철학적으로 풀어내는 수상록(隨想錄)의 성격을 띤다. 「금강별곡」과 「동행산수기」는 내용 및 작가의 태도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금강별곡」은 금강산의 산수미를 드러내는 장치로 사용된 풍수사상 외에는 특별한 사상이 발견되지 않고 여행의 체험과 감흥이 주를 이루는 반면, 「동행산수기」에는 유교적 산수관(山水觀)과 설화·유적·유물 등을 대하는 학자적 태도가 강하게 표출되고 있다. 서술 방법 및 표현 기법에 있어서는 두 작품 모두 묘사력이 뛰어나며 비유와 상상이 풍부하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지만, 「금강별곡」은 여행에 대한 감흥이나 소회를 직설적으로 토로함으로써 정서를 고양시키는 경향이 있고 「동행산수기」는 산수에 대한 이성적·비판적 인식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차이를 지닌다. 이상에서 제시한 차이들은 두 작품이 각기 다른 목적과 용도로 창작되고 향유되었음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금강별곡」은 작가 자신의 입장에서는 유람의 흥취를 노래하고 여행의 경험을 회고(回顧)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한문을 해독하지 못하는 주변인들을 위해서는 금강산 유람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독서물을 제공하기 위해 지었다고 할 수 있다. 「동행산수기」는 단순한 유람 기록이 아니라 작가의 산수자연에 대한 심미적 체험, 산수에 대한 철학적 인식의 결과물로서 자아 성찰·정신적 성장을 위한 글쓰기의 과정에서 나온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정(止亭) 남곤(南袞)의 한문 산문 소고(小考) - 산재(散在)된 현전 작품들을 중심으로 -

        권진옥 ( Kwon Jin-ok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1 No.-

        This thesis is a study of prose works by Jijeong(止亭) Nam, gon(南袞, 1471-1527). The works studied in this paper are Haejuhyanggyojungsugi(海州鄕校重修記) and Yubaeksajeonggi(遊白沙汀記). The former work is a record of public buildings that described the repair of Confucian school, and the latter work is a travelogue of Baeksajeong(白沙汀) in Hwanghaedo(黃海道). This is the result of considering the evaluations of Yu, manju(兪晩柱) and Song, in(宋寅).` Haejuhyanggyojungsugi(海州鄕校重修記)'purpose is clear because it is a document posted on a public building called Confucian school. Since the main reader class is Confucian scholars, it is to persuade and induce these people to give more effort for learning and writing. He spreads and persuades the logic of the emergence of talented people and the nature of classical scholars, and also conveys his viewpoint of learning and literature and requests future talented people.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Yu, manju(兪晩柱)'s evaluation, Confucian scholars are naturally persuaded by weaving various meanings and arguments. Yubaeksajeonggi(遊白沙汀記) is a work that, unlike general sansuyugi(山水遊記), focuses considerably on discussion rather than article and description. However, the content of discussion is multilayered and complex. If the reality is correct, the name and the work will naturally be left to posterity, so we should pursue only the reality, not the name and the work. However, in order to request future readers to live a life that pursues reality, ironically, it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work. In the end, he found a kind of compromise in pursuit of 'the reality' of the ideal human being by leaving 'the work' called sansuyugi(山水遊記).

      • KCI등재

        鐺洲 朴琮의 〈白頭山遊錄〉 硏究

        손혜리(Son Hye Li) 대동한문학회 2007 大東漢文學 Vol.26 No.-

          본고는 함경도 출신의 유학자 ?洲 朴琮(1735~1793)과 그의 백두산 유람 기록인 〈白頭山遊錄〉을 주목하여, 당주 박종에 대한 문학적 조명과 아울러 〈백두산유록〉의 작품적 성과를 확인하였다. 〈백두산유록〉은 함경도 鏡城에서 출발하여 18일에 걸쳐 1322리에 달하는 여정을 기록한 것으로, 출발할 때부터 그날그날의 여정 및 견문과 감상을 날짜별로 기록한 일기체 기행문이다. 당주는 백두산으로 오르는 여정 및 주변의 풍물을 사실적이면서도 유려한 필치로 자세하게 묘사함으로써 현실감을 더하고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더욱이 백두산의 풍광을 체험하면서 그 속에서 사물의 근원이치를 궁구하는 등 사색적이고 철학적이기까지 하다. 한편 그는 함경도의 토착민으로 북방의 산천 형세에 정통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관심과 애정을 지닌 결과, 백두산을 유람하면서 주변 곳곳의 형세를 세심하게 관찰하고 국경 수비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또 부역으로 고통받는 민의 비참한 생활상을 적실하게 드러냄으로써, 민에 대한 애정과 유자로서의 의식을 표출하였다. 이처럼 〈백두산유록〉은 백두산을 유람하면서 체험한 승경과 산천의 형세를 사실적으로 묘사했을 뿐만 아니라, 역사와 지리적인 사실까지 두루 폭넓게 수용하여 그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었다. 그런 만큼 〈백두산유록〉은 산수유기가 지녀야 할 요건인 情景ㆍ議를 두루 갖춤으로써 작품적 성과가 크다. 그러므로 당주 박종의 〈백두산유록〉은 백두산 유람기록의 걸작으로 평가하기에 손색이 없다.   This paper is focused on Dangju Pak Jong(?洲 朴琮: 1735~1793) and his 『Paekdusanyurok(白頭山遊錄)』. Pak Jong traveled around Mt. Paekdu as a schloar from Hamkyeongdo and recored about it’s landscape.<BR>  He started from Kyeongsung in Hamkyeongdo and it took about a thousand three hundred twenty two ri for eighteenth day. 『Paekdusanyurok』 is a record for travel which was written travel’s distance in daily, information and appreciation. and He guaranteed a truth and actuality by describing landscape around Mt. Paekdu with skilled touches in detail.<BR>  In addition, he is even a thoughtful and philosophical because he studied a basic principle of things in appreciating landscape in Mt. Paekdu. on the other hand, he not only had many information about mountains and streams’ features of the north area as a son of the soil from Hamkyeongdo, also had steady interest and love about it. In result, he indicated problems in defending frontiers and came up with an answer after he observed things in Mt. Paekdu in detail and he expressed his consciousness as a scholar and love for the people by properly exposing a wretched life feature of the people that were suffered a corvee.<BR>  Like this, 『Paekdusanyurok』 was realistically described a landscape and mountains and streams’ features around Mt. Paekdu and had abundant many contents with widely accepting even a historical and geographical fact. so 『Paekdusanyurok』 was enough to be called a excellant sansuyugi(山水遊記) that well had feeling[情]ㆍa scene[景]ㆍan argument[議] in which will be basically equipped.<BR>  Therefore, 『Paekdusanyurok』 by Dangju Pak Jong was one of the most great work from among recording about Mt. Paekdu.

      • KCI등재후보

        내설악 화전민 취락과 너새집 분포

        김우선 운곡학회 2024 운곡논총 Vol.15 No.-

        In this article, the research area is the valley section of Baekdamsa(백담사)~Yeongsiam(영시암) including the branch valleys of Gilgol(노동), Gomgol[백담리], and Yeongsidong(영시동), and Neolhyeobigol[광협동]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Inner Seorak[內雪嶽]. This area belongs to Yongdaeri, Bungmyeon, Injegun, Gangwondo. I investigated the historical distribution of neosaejip(너새집) by various records of three periods; Joseon dynasty, Japanese occupation, and post Korean war. All the materials such as Sansuyuki(산수유기), historical records, and regional geography books of Chosun; topographic maps of Japanese occupation with related documents and photos; modern topographic maps and documentary photos of post Korean war gave me essential basis. Research result is that there were at most fifty neosaejips from Baekdamsa region to Yeongsiam, including the Garyeokchon(갈역촌), Oegapyeong(외가평) where used to be a horse relay of Joseon. On the line of 12 kilometers’ main path through Baekdam and Suryeomdong(수렴동) valley, there were such temples as Baekdamsa, Chukseongam(축성암), Yeongsiam, Wonmyeongam(원명암) and Oseam(오세암). Various size of neosaejips were located with small arable land originated from slash and burn field along this main line including two branch valleys(Gilgol and Gomgol) and Neolhyeobigol placing in the middle of Jeohangnyeong(저항령) path. Till the early 1970s after Korean war, about 10 neosaejips remained but all of them were demolished by government policy, the readjustment project of slash and burn field. In the last year of the project, 1979, the last remaining neosaejip in Inner Sorak was disappeared by forced removal of Injegun. Now in bush and woods, there can be found only some indistinct sites of neosaejip with crashed stone wall. Since the designation of Seoraksan as the fifth national park of Korea, 1970, there has been some remarkable accomplishment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But the three hundred-year long human landscape and cultural assets were erased totally, such as neosaejip and slash and burn field in the area of Inner Seorak, Yongdaeri, Bungmyeon, Injegun. Based on this research,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s involved, Inje-gun and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I urge the active restoration project of neosaejip as a kind of cultural heritage. The result of such project will be contribute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Injegun as well as promoting lots of tourists’ understanding about human environment of Seorkasan national park.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일원, 백담사~영시암과 널협이골, 길골 등에 분포했던 내설악 너새집을 대상으로 하여 조선시대의 산수유기, 일제강점기의 기록 및 1대 5만 지형도, 6.25 전쟁 이후의 지형도와 사진 기록 등을 근거로 각 시기별 분포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내설악 너새집은 조선시대 역말인 갈역촌(용대리 외가평)을 포함, 현재 국립공원 지역인 백담사 일원에서 영시암에 이르기까지 약 4km 구간에 걸쳐 최대 50여 채가 분포했다. 이들 너새집은 백담사-축성암-영시암-원명암-오세암을 잇는 경로상 입지를 기본 축으로 널협이골, 길골, 곰골 등 백두대간 저항령을 넘어가는 계곡길에도 분포해 있었다. 대부분의 너새집은 화전 개간 이후 숙전화된 경작지 농사 및 사냥과 약초 채취 등을 생업으로 하는 이들의 터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백담사~영시암 지역의 너새집은 6.25전쟁 이후 1970년 초까지 존재했다. 그러나 정부의 화전정리사업 및 국립공원 지정 등과 맞물려 1979년경 내설악에 남은 마지막 한 채까지 모두 철거되었으며, 여러 곳에 남아있는 돌담 등 집터 일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설악산 지역은 국립공원 지정 이후 자연생태계 보존에 괄목할만한 성과를 보여왔다. 그러나 조선시대 이래 1970년대 초까지 근 300여 년간 인제군 북면 용대리, 내설악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의 흔적 등 인문경관은 모두 지워지고 말았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립공원공단과 인제군 등 관계 기관이 나서서 백담계곡에 한 군데만이라도 이곳을 터전으로 하여 살아왔던 화전민의 자취인 너새집을 복원, 전시함으로써 탐방객들에게 설악산의 인문환경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업을 적극 추진하기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