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영수의 귀향의식에 나타난 ‘살림’의 실천적 의미

        최옥선 동학학회 2019 동학학보 Vol.0 No.53

        This study traces the fundamental origins of the home-coming ritual, which Oh Yeong-su pursued, through tracing his footprint in life, and elucidate the practical meaning of salim that shows in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mainstay of the home-coming ritual. As the first of the research methods to the purpose, the study discovers the meaning of the natural settings which background the author’s novels and then analyzes the meaning of the home-coming ritual that is manifested through practicing salim by connecting it to the Donghak ideas of sainyeocheon (事人如天; serve humans like heaven) and gyeongmul (敬物; respect things). The study proceeds as follows. First, Oh Yeong-su’s home-coming ritual consists in the vitality experienced in the natural world with which he identified in his childhood, his skepticism about living in the urban civilization, and the circularity found in the symbiotic life which he enjoys after he returns to his hometown. Second, the characters in his fiction who have returned to nature have recovered their original humanity in daily life. Overcoming conflicts and alienation, they lay great store on nature and humans and lead a life in harmony. This is fulfilled through practicing the Donghak principle of mosim and salim which are embedded in the home-coming ritual. The study has come up with these results. First, Oh Yeong-su’s homecoming ritual led to the return to the archetypal nature with lyricism serving as its axis. Second, the home-coming ritual is rendered in his works as building a community in the natural settings by putting into action mosim and salim. This specifically demonstrates the criticism on the modern-day civilization which rushes toward dehumanization and the utopia as an antidote. Therefore, the home-coming ritual that Oh Yeong-su sought has led to the practicing of salim with a view to restoring vitality with lyricism operating in the foundation. This confirms that the Donghak principle of mosim is connected with the spirit of salim as described in sainyeocheon that leads to the daily practice. Thus, the practical meaning of salim, which is embedded in Oh Yeong-su’s homecoming ritual, can be a practical healing remedy that is necessary for modernday people as restoring the original vitality in opposition of loss of humanity and alienation. 이 연구에서는 오영수의 삶의 궤적을 통해 그가 추구했던 귀향의식의 근원적 발생의 요인을 살펴보고, 귀향의식의 근간을 이루는 요소들에 나타난 ‘살림’의 실천적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이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오영수 소설의 배경이 되는 자연적 공간의 의미를 찾고, 귀향의식이 ‘살림’의 실천으로 나타난 의미를 동학의 사인여천(事人如天)과 경물(敬物)사상으로 연관지어 분석한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오영수의 귀향의식은 어린 시절에 동일화된 자연적 세계에서의 생명력, 성장 후 도시에서의 문명적 삶에 대한 회의 그리고 고향으로의 회귀 후 공생적 삶의 순환성이다. 둘째, 자연으로 돌아온 작중 인물들은 인간 본연의 모습을 회복하여 살아가고 있다. 그들은 갈등과 소외를 넘어서 자연과 인간을 귀하게 여기고 조화된 삶을 살아간다. 이것은 귀향의식속에 내재된 동학의 ‘모심’의 원리와 ‘살림’의 실천적 삶을 통해 이루진 것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오영수의 귀향의식은 서정성이 축이 되어 원형적 자연으로의 회귀로 이어졌다. 둘째, 이 귀향의식은 작품을 통해 자연의 터전에서‘모심’과 ‘살림’의 실천으로써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가는 모습으로 나타냈다. 이는 비인간화로 치닫는 문명사회에 대한 비판과 이상향을 구체적으로 보여준 것이다. 따라서 오영수가 지향했던 귀향의식은 서정성이 바탕이 되어, 생명력 회복을 위한 ‘살림’의 실천으로 이어졌다. 이는 동학의 ‘모심’의 원리가일상화로 이어진 사인여천의 '살림'의 정신과 맞닿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오영수의 귀향의식에 내재된 ‘살림’의 실천적 의미는 인간성 상실과 소외에 대한 근원적 생명력 회복으로서 현대인에게 필요한 치유의 실천적방법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좋은 삶’을 위한 공동체로서 살림 공동체

        정성훈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0 시대와 철학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front the philosophicaltradition that has given ethical priority to politicalcommunity, and to reveal that today the community for‘good life(eu zēn)’ is not a political community originatingfrom ‘polis’, but rather a salim-community(living community)originating from ‘oikos’. Salim-community is similar to whatwe often call ‘social economy’ or ‘community economy’. However, I would like to avoid these words, because‘economy’ is a function-system that is reproduced by priceprogram and is indifferent to human needs. To establish a theory of salim community, I review theworks of Socratic school. Xenophon’s “Oeconomicus” showsus the possibility of oikos-theory and the perspectives -diligent care, ecological life, moral economy, etc. - fortheory of salim-community. Aristotle’s ‘logos’ and ‘philia’,which are reasons for defining polis as a community for 'good life’, can be better realized in salim-community today. 이 글의 목적은 ‘정치 공동체’에 윤리적 우선성을 부여해온 철학적전통과 대결하면서, 오늘날 ‘좋은 삶(eu zēn)’을 위한 공동체는 폴리스를기원으로 하는 정치 공동체가 아니라 오히려 오이코스를 기원으로 하는 ‘살림 공동체’임을 밝히는 것이다. 살림 공동체는 흔히 ‘사회적 경제’로 불리는것, 그리고 일부에서 ‘공동체 경제’, ‘살림/살이 경제’ 등의 명명을 통해 그것에 대해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려는 것과 비슷한 대상을 지칭한다. 그럼에도 ‘경제(economy)’ 대신 ‘살림’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오늘날 경제가 자본의 자기증식 혹은 지불의 자기생산을 위한 체계의 명칭이 되었으며, 이 체계는 살림의 필요에 대해 가격 프로그램을 통해서만 선택적으로접근하기 때문이다. 살림 공동체의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정치 공동체 우위론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살림 공동체가 현대적 경제체계와 맺는 관계에 대한 보다 상세한 해명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 글은 전자의 과제를 보다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후자의 과제에 대해서는 문제의식만 밝히는 수준에서 그칠 것이다. 이 글의 중심적인 내용인 3장과 4장에서는 지금까지 정치 공동체를우위에 두는 철학적 논의의 전거가 되어 온 소크라테스학파의 저술들을 검토한다. 3장에서는 크세노폰의 살림꾼(Oeconomicus)을 통해 서양 철학의 출발점에서 오이코스 또한 중시하는 이론의 발전 가능성이 열려 있었음을 살펴본다. 플라톤과 달리 크세노폰은 공동체들의 종적 차이를 설정하지않으며, 부지런한 돌봄과 생태적 삶을 강조하는 등 오늘날 우리의 살림 공동체를 위해 중요한 관점들을 제시한다. 그리고 4장에서는 폴리스를 ‘좋은삶’을 위한 공동체로 규정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근거들인 로고스, 친애 등이오늘날에는 오히려 협동조합, 사회적경제 조직 등의 살림 공동체에서 더 잘실현됨을 밝힌다. 살림 공동체는 폴리스와 달리 포괄적인 공동체는 아니지만 그런 공동체가 없는 오늘날 우리의 좋은 삶에 기여하는 공동체이다.

      • KCI등재

        해월 최시형의 공경과 살림의 평화사상

        김용휘 ( Kim Yong-hwi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7 통일과 평화 Vol.9 No.2

        이 논문은 한국인의 평화사상 중에서 동학의 2세 교조 해월 최시형의 사상을 다룬다. 해월의 평화사상은 한마디로 공경과 살림의 평화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천지를 한낱 물리적 자연으로만 보지 말고 부모님처럼 섬기라고 하였고, 거기서 난 모든 사람과 만물이 하나의 형제자매라고 설파했다. 이러한 만유와의 우주적 연대성에 의거한 화해와 공경, 그리고 살림의 정신이 그의 사상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평화사상은 근본적인 차원에서 마음의 깊은 평화가 가져오는 힘과 부화부순의 가정의 평화, 그리고 사해동포주의적 평화의 이상을 보여주고 있다. 대부분의 폭력과 전쟁이 생명의 존엄성과 연대성에 대한 자각 없이 상대방을 차별하고 수단화함으로써 일어난다고 볼 때 해월의 공경과 살림, 사해동포주의적 이상은 비록 관념적으로 느껴질 수 있을지 모르나 가장 근본적이고 강력한 실천으로 나아가게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ideology of the second master of Donghak, Hoewol Choi Si-hyeong in the Korean thoughts of peace. The peace ideology of Haewol is, in a word, a peace thought of honor and salim. He told us not to see the heaven and earth as a physical nature, but to honor him like his parents, and he preached that all people and all things are brothers and sisters. The spirit of reconciliation, reverence, and ‘salim’ based on universal solidarity with all things is the core of his thought. His philosophy of peace, on the fundamental level, shows the power of deep peace of mind, the peace of home, the peace in everyday life, and the ideals of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family peace. While most of the violence and war are caused by discrimination and instrumentalization of the opponent without being aware of the dignity and solidarity of life, the ideal of honor and ‘salim’ of Haewol, the ideals of global citizenship, may seem to be ideological, but they can lead to the most fundamental and powerful practice.

      • KCI등재

        세조 · 성종대 정몽주 인식

        김보정(Kim, Boe-Jeong) 역사실학회 2015 역사와실학 Vol.57 No.-

        본고는 조선 전기 성리학 이해과정을 살펴보려는 일환으로써 세조 · 성종대의 정몽주 인식을 살펴본 연구이다. 사서는 당대의 인식을 보여주는 척도이며, 그 시대 편찬자의 사관을 잘 반영하고 있다. 세조 · 성종대 편찬된 관찬사서인 『국조보감』과 『동국통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세조대 『국조보감』의 편찬자, 즉 신숙주 등 8인의 정몽주 인식은 실록에 비해 상당히 많은 부분이 배제되어 그들의 정치성향과 무관하지 않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성종대 『동국통감』의 편찬자는 서거정 중심의 훈척과 표연말?최부 등 사림으로서, 이들의 정몽주 인식은 사뭇 달랐다. 세조대 공신이자 훈척인 서거정은 『필원잡기』에서 농(弄)을 빌어서 정몽주를 폄하하고 있는데 비해, 김종직의 문인인 표연말 · 최부 등은 신편 『동국통감』에서 정몽주의 절의를 칭송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의 바탕에는 사서(史書) 진강의 영향을 들 수 있다. 세종대 경연과 달리 성종대 경연에서는 새로이 『고려사』를 진강한다. 『고려사』에 수록된 정몽주의 칭송기사를 발췌하여 신편 『동국통감『에 수록한 사실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성종대 사림은 정몽주를 ‘절의지사’ 라고 칭한다. 그러므로 세조 · 성종대의 정몽주 인식은 세종대 『삼강행실도』의 ‘충신’에서 중종대 문묘종사의 ‘성현’으로 숭배되는 과정에 있으며, 성종대 사림의 정몽주 인식은 ‘절의지사’ 라고 정의할 수 있다. This paper was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in Sejo?Seongjong Dynasty through the compilers of Kukjobogam and Dongguktonggam. Through the eight compilers of Kukjobogam such as Sin Suk-Ju, it had proved the fact that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in Sejo Dynasty were excluded in Kukjobogam unlike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Because Kukjobogam was written by focused in achievements and good words of the Kings, the articles for Jeong Mong-Ju were also partially omitted. This was found out being related to political opinions of eight persons such as Sin Suk-Ju. As the results about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in Seongjong Dynasty through the compilers of Dongguktonggam, there were distinctions between the recognition of the King’s relatives and the recognition of Sarim such as Pyo Yeon-Mal and Choi Bu. Seo Keo-Jeong who the King’s relatives in Sejo Dynasty have banteringly denigrated Jeong Mong-Ju through Pilwonjabki. It was a look that reflects from the regency by the queen mother in the initial Seongjong Dynasty and the political affairs by Chancellors. However the government styles were changed through the reorganization systems by Chancellors,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were gradually changed by appointed Sarim from the management the affairs of state in Seongjong 7th Dynasty. During the lecture, only Jeong Mong-Ju and Gil Je were mentioned as ‘Jeoleuijisa’, and the recognition about ‘Jeoleuijisa’ was changed as severely remonstrated persons in usual not urgent crisis. In the basis of this perception change, the lecture of history books was played an important role. Unlike Sejong Dynasty, Goryeosa was lectured twice, and Hanseo was lectured before and after the compilement of Dongguktonggam. As a result, Dongguktonggam in the Seongjong 16th Dynasty have been compiled by attaching 204 pieces of Shinsaron. Dongguktonggam was included the contents to honor the achievements of Jeong Mong-Ju in Goryeosa by Choi Bu and Pyo Yeon-Mal. Although Dongguktonggam in the Seongjong 16th Dynasty have coexisted the recognition of Hunchuk and Salim,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have been represented as the ‘Jeoleuijisa’ recognition of Salim. Therefore,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in Sejo? Seongjong Dynasty was in the process of being worshiped as ‘Saint’ for Jeong Mong-Ju in discussions of Confucian shrine in Jungjong Dynasty from the recognition as ‘Loyalty’ for Jeong Mong-Ju in Samkanghaengsildo of Sejong Dynasty, and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of Salim in Seongjong Dynasty could be defined as ‘Jeoleuijisa’.

      • KCI등재

        일두(一?) 정여창(鄭汝昌)의 도학사상

        정성식 ( Jeong Seong-sik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4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 전기에 삶을 영위한 정여창의 도학사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정여창은 스승인 김종직의 실천적 학풍을 계승하였다. 그는 도덕의식을 확립하고, 후학을 기르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유학에서는 학문의 최종 목표가 성인의 경계에 도달하는 것이다. 정여창의 학문방법은 우선 유교 경전에 들어있는 깊은 뜻을 발굴하여 스스로 터득해 나가는 것이었다. 그리고 성리학의 근본내용들을 자세히 인식하고자 하였다. 도학적 입장에서는 현실에 있어서의 실천적 문제를 보다 중시한다. 따라서 도학자인 정여창의 사상적 목표는 도덕적 인격의 완성을 추구하는데 있었다. 그것은 사회적 실천윤리와 풍속의 교화로 전개되었다. 정여창은 김종직의 문하에서 소학의 학습과 실천윤리를 배웠고 이를 학문의 근본으로 삼았다. 정여창의 학문과 자세는 실천윤리의 방면과 연계되는 것으로서 당시 사림파의 학문적 기반을 견실하게 하였다. 정여창은 당시 풍속의 교화 활동으로 봄과 가을에 양로례(養老禮)를 행하였다. 백성들의 혼례와 장례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잘 돌보아 주니, 사람들이 모두 감격하였다. 정여창의 실천적인 삶은 훌륭한 스승의 모습으로 남아 후세 사림의 전통으로 계승되었다. 그의 도학사상은 유교의 왕도정치와 민본사상에 근거한 지극히 아름다운 정치로 완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Dohak Thought of Jeong Yeo-chang, who served in the first half of the Chosun Dynasty. Jeong Yeo-chang was succeeded by the teacher Kim Jong-jik, the teacher of the practice. He made a lot of effort to bestablish moral consciousness and increase his scholarship. In Confucianism, the final goal of learning to reach boundaries of the sages. Jeong Yeo-chang's method of learning was to discover the deep meaning of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I wanted to learn more about the fundamental contents of the Neo-Confucianism. From the standpoint of Dohak, we place more emphasis on practical ethics issues in reality. Therefore, the ideological goal of Jeong Yeo-chang was to pursue the completion of moral character. It developed as a practice of social morals and reform of social convention. Jeong Yeo-chang learned from KIm Jong-jik, who learned the lesson of Sohak and practicing ethics, and became the foundation of learning. Jeong Yeo-chang's learning and attitude were aligned with the field of practical ethics and established the academic foundation of Salim. Jeong Yeo-chang performed the rite in spring and autumn as a result of the enlightenment of the customs. Everyone was impressed by the great attention of the people, the wedding, the funeral and the great care of the people. Jeong Yeo-chang's practical life was inherited by a respectable teacher and inherited from the tradition of Salim. His Dohak Thought has been perfected with exquisite politics based on the ideals of Confucianism and the ideals of democracy.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鄭夢周 내용 분석

        이형우(Lee Hyoung Woo)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4 No.-

        이 논문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사회과 교육과정(2011년 8월 9일의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에 따라 편찬되어 2014년 3월부터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8종 한국사 교과서에서 포은 정몽주에 관하여 어떤 내용이 어떻게 서술되어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8종 교과서에서 정몽주와 관련된 해당 부분과 내용을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교육과정에서 내용 영역으로 제시한 것을 모두 대단원 제목으로 삼았다는 점이다. 2대단원의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과 3대단원의「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라는 제목이 그것이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지정한 내용 요소를 포함하여 내용을 구성하면서도 2009년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집필 기준 취지에 걸맞게 집필자의 자율성과 다양하고 창의적인 방식을 반영하여 중단원 및 소단원, 그리고 소주제를 추가 구성한 경우가 많았다는 점이다. 셋째, 정몽주에 관련된 서술 내용이 기존 학계의 연구 성과와 다소 차이를 보이는 부분도 있다는 점이다. 3장에서는 8종 교과서 정몽주 관련 수록 내용에 대한 의미 분석을 하였다. 먼저 정몽주 관련하여 수록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내용 다섯 가지 곧 ①‘신진 사대부’로서 활동한 사실, ②성리학을 수용하고 그 발전에 영향을 끼친 사실, ③ 조선 건국에 반대한 사실, ④사림에게 시조로서 추앙받은 사실, ⑤고려말 외교관으로서 활약한 사실 등이 8종 교과서 본문에 수록되었는지 여부를 단순 비교하였다. 그 결과 5가지를 모두 포함한 교과서는 없고, 4가지를 포함한 교과서는 두산동아(주), 3가지를 포함한 교과서는 (주)비상교육과 (주)천재교육 교과서, 2가지를 포함한 교과서는 (주)금성출판사, (주)리베르스쿨, (주)미래엔, (주)지학사 교과서, 1가지만 포함한 교과서는 (주)교학사 교과서였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정몽주 초상을 수록한 교과서는 (주)지학사, (주)천재교육 교과서가 있고, 선죽교 등 정몽주 관련 문화유산을 소개한 교과서는 (주)교학사, (주)지학사 교과서였고, (주)미래엔 교과서는 『오륜행실도』중 충신도를 수록하였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문 내용은 정몽주 관련 연구자가 보기에 다소 미흡한 점들이 있었지만, 여러자료를 활용하는 창의적인 방식을 사용하여 정몽주 관련 내용을 서술하려고 한 점은 의미 있는 작업을 한 교과서도 여럿 있었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서술 방향을 분석해 본 결과 첫째,‘신진 사대부’로서의 정몽주 관련 내용을 서술하지 않은 교과서가 많다는 점, 둘째 이색이 정몽주에게 성리학을 가르쳤다는 잘못된 서술을 한 점, 셋째 사림의 시조로 인정받는 것을 서술하지 않은 교과서가 4종이라는 점, 넷째 외교관으로서의 정몽주 활동에 대한 서술은 거의 하지 않았다는 점, 다섯 째 정몽주가 조선 태종때 복권된 내용이 서술되지 않은 사실 등을 확인하였다. 이런 점들은 향후 교과서를 개정할 때 수정,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는 내용들이다. 정몽주는 고려 말‘신진 사대부’로서 활동하다가 죽었지만, 조선시대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 인물로서 한국사 교과서에서 그에 관련된 내용을 반드 시 서술할 수밖에 없다. 그럴 때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과 내용 요소, 그리고 집필 기준이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2009 개정교육과정의 집필기준이 대강화(大綱化) 원칙을 적용하고 있는 만큼 학계연구 성과를 보다 충실하게 포함시킬 수 있는 창의적인 교과서가 제작되기를 기대한다. There was a revis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notification 2011-361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on August 9, 2011) as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eight new Korean History textbooks are in conformity with the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is study examines how Jeong Mong-ju is depicted in the new textbooks which are currently used in high schools as of March 2014. Chapter two of this study covers some facts that were found while examining the contents related to Jeong Mong-ju in the new textbooks in a general manner. Firstly, the naming of the big chapter’s titles was directly influenced by the curriculum. Specifically, 「The Formation and Change of Goryeo Aristocracy」, which is the title of chapter two and「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the Joseon Dynasty’s Confucian Society」, which is the title of chapter three were the exact contents that were suggested to be included by the curriculum. Secondly, while including the designated contents, at the same time, the new textbooks often reflected the author’s autonomy, diversity and creativity by additionally including sub chapters and sub themes, which satisfy the 2009 revised curriculum’s Korean History writing criteria. Thirdly, there are parts where Jeong Mong-ju related descriptions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academic research results. Chapter three covers a meaning analysis of Jeong Mong-ju related contents in the eight textbooks. First, a simple comparison of whether the eight textbooks include the five facts that are thought to be necessarily included was done. Those are ①the fact that Jeong Mong-ju worked as a‘New Scholar-Official’, ②the fact that he embraced Neo-Confucianism and had an influence on its development, ③the fact that he disagreed on the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④the fact that he was revered as progenitor of Salim(士林), ⑤the fact that he was an active diplomat in late Koryo Dynasty. As a result, there was no textbook that contained all five, while textbook from Doosandonga co., ltd contained four among five, Visang Edusation Inc. and Chunjae Education Inc. contained three, Kumsung Publishing Co., Ltd., Liberschool, MiraeN Co.,Ltd, Jihak Publishing Co.Ltd contained two and Kyohaksa contained one. Also, textbooks from Jihak Publishing Co.Ltd and Chunjae Education Inc. included a portrait of Jeong Mong-ju, textbooks from Kyohaksa and Jihak Publishing Co.Ltd introduced a cultural heritage related to Jeong Mong-ju and textbook from MiraeN Co.,Ltd included Choongsindo(忠臣圖 : a picture of a loyal subject) from『Oryunhangsildo』(五倫行實圖 : picture book of five moral disciplines in Confucianism). Even though there were points in the main text where the content seemed somewhat unsatisfactory, there were many textbooks which did a meaningful job by creatively using various materials to describe Jeong Mong-ju. Next, the direction of description was analyzed. Firstly, there were many textbooks that did not include the‘New Scholar-Officials’related contents of Jeong Mong-ju. Secondly, there was a wrong description in the text which said that Lee Sek taught Neo-Confucianism to Jeong Mong-ju. Thirdly, there were four textbooks which did not include the fact that Jeong Mong-ju was revered as progenitor of Salim. Fourth, there were almost no descriptions about Jeong Mong-ju as a diplomat. Fifth, the fact that Jeong Mong-ju was reinstated in Taejong period of Joseon Dynasty was not written. These points need to be modified or supplemented when the textbooks are to be revised in the future. Although Jeong Mong-ju died while acting as a ‘New Scholar-Official’, he is still a figure of importance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refore needs to be covered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 While doing so, following the curriculum regarding the content domain, the elements to be included and the writing criteria is of course crucial.

      • KCI등재

        조선중기 사대부의 혼례형태 - 假館親迎禮의 시행을 중심으로 -

        장병인 조선시대사학회 2008 朝鮮時代史學報 Vol.45 No.-

        The administrators of the Choson dynasty tried to introduce Chinyongrye(親迎禮) in accordance with Juja-Garye(朱子家禮) from the beginning of the foundation of a country. However, since Chinyongrye was a marriage form which was based on Chinese family relationship, it was difficult to implement in Choson. Therefore, after the failure of the trial of Chinyongrye implementation during Taejong(太宗) dynasty, it was never mentioned until the Joongjong(中宗) dynasty when Salim(士林) started to discuss about it. Many Salim started to enter politics in Joongjong dynasty, documents show that Chinyongrye started to be performed in some Sadaebu(士大夫) family in that period. However, this was a temporary phenomenon and Chinyongrye disappeared with the decline of the Salim School. In the 16th century, the performance of Chinyong was again proposed with the development of thought of Confucian Rituals. A new way which kept the meaning of Chinyongjae(親迎制) without change of residence system, was sought, Gaguan-Chinyeongrye was one of that example, which was tried by Hoseo-Sarim(湖西士林) in Injo(仁祖) dynasty. Gaguan-Chinyeong permitted to lease a house Gaguan(假館) between the bride's and the groom's house to meet the bride and perform a procedure. This, which can be found in Juja-Garye in detail, was for the case when the groom's place was far from the bride's, which made difficult to perform a procedure of Chinyongrye-ceremony at groom's place at wedding day. The concrete discussion about the implementation of Gaguan- Chinyeongrye seemed to be firstly made at Song, Si-Yeol's(宋時烈) house during Injo(仁祖) dynasty. Gaguan-Chinyeongrye was performed intensively the following 50 years and the last case is shown in Sukjong(肅宗) dynasty. And this fact perhaps represents the decline of the enthusiasm for performing Gaguan-Chinyeongrye. The actual case shows that the supporting party of Gaguan-Chinyeongrye, is only arguing the principle that the systems which were made by Juja and Confucian Sages, have to be followed to recover Gorye(古禮). Moreover, Gaguan-Chinyeongrye, which had the limits concerning its ritual itself and implementation problems, was more controversial than the original Chinyeong. In conclusion, Gaguan-Chinyeongrye, which was implemented in Choson dynasty, couldn't change the marriage form of Seorubuga(壻留婦家) while adding some complicated procedures, couldn't last for a long time. 조선시대 위정자들은 건국이래 친영제를 도입하려 시도하였지만 처가거주제를 바탕으로 한 서류부가혼속의 저항으로 좌절되었다. 명종대에 이르러 주자학을 신봉하는 사대부들이 친영제의 절차와 조선 고유의 혼속인 서류부가혼의 절차를 혼용하여 새로운 혼례방식을 창안하였으니, 그것이 ‘半親迎’이었다. 그러나 반친영의 요건의 하나인 ‘明日見舅姑禮’의 시행이 현실적으로 용이하지 않아 명일현구고례를 제외한 채 ‘當日相見禮’만을 도입한 서류부가혼의 변형으로서의 ‘新俗禮’가 성립을 보게 되었다. 신속례의 성립으로 친영제를 도입하려는 사대부들의 노력이 사라지게 된 것은 아니었다. 16세기 예학의 발달과 함께 古禮의 시행이 다시 화두로 등장하게 되자 거주제를 바꾸지 않고도 친영제의 의의를 살릴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던 것이다. 인조대 이래 호서사림을 중심으로 시도되었던 ‘假館親迎禮’가 그것이다. 가관친영은 신랑과 신부집과의 거리가 멀어 신부를 맞아오는 당일에 신랑집에서 혼례를 치르기 어려울 경우를 대비해 신부집과 신랑집 사이에 민가를 빌어 館所를 설치하여(假館) 신랑이 신부를 직접 맞이하여(親迎) 예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주자가례』에는 관소를 신부집 근처에 설치하는 방식과 신랑집 근처에 설치하는 두가지 유형의 가관친영례가 실려있다. 그러나 정작 시행과정에서는 『주자가례』의 두 방식도 속례의 요소를 많이 수용하였을 뿐 아니라 신부집을 사위집으로 가정하고 관소에서 신부를 맞이해 신부집에서 혼례를 치르는 제3의 방식까지 창안되었다. 가관친영례 시행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와 실천은 인조 22년 여름에 회덕에 있는 송시열의 집에서 그의 딸과 윤문거의 아들과의 혼인에서 최초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때의 충청 5현의 결의로 본격적으로 가관친영례가 확산될 계기가 마련되었던 것이다. 이후 50여년간 집중적으로 시행된 것으로 확인되는 가관친영례는 숙종년간 김창협의 셋째 딸의 사례를 끝으로 구체적인 시행사례를 찾아보기 어렵게 된다. 이는 단순한 사료의 일실에서 연유한 것이라기보다 가관친영례의 시행 열의가 쇠퇴했음을 반영한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 시행사례를 통해 보면 가관친영례를 주장하는 입장에서는 가관친영례를 시행해야 하는 이유로 고례를 회복하기 위해 주자를 위시한 선유들이 만든 제도를 따라야 한다는 당위론 이상의 유도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도리어 가관친영례는 의례자체가 가진 문제점이나 시행상의 문제점 등을 태생적으로 내포하고 있어, 眞親迎보다 논란의 소지가 많았다. 즉 절차상 ‘男先於女’라는 친영 본래의 정신에 어긋나는 부분을 가진 것이나 지나친 형식주의 내지 가식성의 요소를 가진 것이 의례자체의 문제점이었다. 뿐만 아니라 관소를 마련하여 혼례를 치르는 데 따르는 행사의 번거로움․별도 비용의 필요․오랜 관행을 바꾸는 데 대한 정서적 반발 등 시행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들이 불거져 나왔던 것이다. 결국 조선사회에서 시행된 가관친영례는 서류부가 혼속을 바꾸지도 못하면서 익숙하지 않은 번거로운 절차만을 군더더기로 첨가시킨 것으로 널리 채택되어 오래 지속되기는 어려운 혼례방식이었다고 하겠다.

      • KCI등재

        만해 한용운의『 님의 침묵』에 나타난 합일지향성과 동학사상

        최옥선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9

        This study intends to clarify orientation towards oneness (union) reflected in “Love’s silence (Nimui Chimmuk)” of Han Yong-un by associating it with Donghak thought. As for the research methods, firstly, they are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Mosim” & principle of equality of Donghak and the poem “Love’s silence.” Secondly, they are based on the analysis of connection between “Salim” & recovery of life” and the poem “Love’s silence.” With this, it is possible to clarify that orientation towards oneness observed in “Love’s silence” is closely related to Donghak thoughts. As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Love’s silence (Nimui Chimmuk)” expects that “I” should recognize the tragic reality where “my beloved one” is absent and the equality of relationship as a way to self-discipline based on “Mosim” should be recovered. Secondly, it wishes that “I” look forward to meeting “my beloved one” and aim at the recovery of fundamental life as a practical “way” based on “Salim.” The research results show: Firstly, the way to self-discipline for recovery of equality of “me” and “my beloved one” reflected in “Love’s silence (Nimui Chimmuk)” has a correlation with “Moshim” and principle of equality of all creatures observed in “Sicheon ideology” or “Heart of Heaven” of Donghak. Secondly, the practical act for recovery of life reflected in “Love’s silence “ is highly related to “Salim” which is the practical ethics of Donghak based on the concept of “serving people like the Heaven.” In this regard, orientation towards oneness shown in “Love’s silence” is considered a universal love for humanity beyond nationalism and a practical song wishing for recovery of equality of all creatures and restoration of fundamental life. 이 연구의 목적은 한용운의『 님의 침묵』에 나타난 합일지향성을 동학사상과 관련지어 밝혀내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는,『 님의 침묵』의 작품을 중심으로 동학의 ‘모심’ 과 평등사상과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또 동학의 ‘살림’과 생명성 회복과의 연관성도 분석한다. 이로써『 님의 침묵』에 나타난 합일지향성과 동학사상과의연관성을 밝혀낼 수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님의 침묵』의 ‘나’는 ‘님’이 부재한 비극적 현실을 인식하고, ‘모심’이라는 수양의 도(道)로써 관계의 평등성이 회복되기를 기대한다. 둘째, ‘나’는 ‘님’과의 만남을 고대하며 ‘살림’이라는 실천적도(道)로써 근원적 생명성이 회복되기를 지향한다. 연구 결과는 첫째『, 님의 침묵』에 나타난 평등성 회복을 위한 수양적 도(道) 는 시천주의 ‘모심’과 만물 평등사상과 연관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님의 침묵』에 나타난 생명성 회복을 위한 실천적 행위는 동학의 실천적 윤리인 사인여천의 ‘살림’ 과 연관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용운의『 님의 침묵』에 나타난 합일지향성은 민족주의를 넘어선 보편적 인류애로서, 만물 평등 회복과근원적 생명성 회복에 대한 수양과 실천의 노래였다. *

      • KCI등재

        古조리서로 본 종가(宗家)의 살림문화 - 『수운잡방(需雲雜方)』, 『음식디미방』, 『온주법(蘊酒法)』을 중심으로

        이난수 ( Nan Su Lee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4 어문론총 Vol.62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ead families’ culture based on their fo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cook books ( Suwunjapbang, Eumshikdimibang, and Onjubeop) of head families in the Gyeongsangbuk-do area written in the 16th to 18th centuries. First, the cultural aspect of head families’ food was studied through the motives and external environment for writing the cook books. The three cook books were written in need of good food for the head families’ social association and unity of the clan. That is, the head families’ practice of ‘ancestral ritual services and hospitality to guests and visitors’ was reflected in food. This is suggested by the meanings implied in the names of the cook books and the background for writing the books. The largest part of the cook books is occupied by wine, which represents head families’ food. It is because the head families needed wine not only for the rituals of coming-of-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or worship but also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networks. Wine plays the role of catalyst softening human relations and that of lubricant promoting the unity of community. That is, wine is essential for the practice of ‘ancestral ritual services and hospitality to guests and visitors.’ Thus, this study discussed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wine as well as the consequent effects, and examined the functions of wine as food and medicine. This is not overlooking the harmful effect of wine on health, but just for understanding the head families’ salim (housekeeping) culture observed in a series of processes of making and consuming food in the chapters for wine. For this reason,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common wine brewing methods and medicinal wines. Emphasis on mind and attitude in brewing wine shows that, along with the cleanness of materials, the brewer’s purity and sincerity were required, and records on the efficacies of wine stress the importance of salim through food.

      • KCI등재

        朝鮮前期 園林文化의 한 局面

        이종한(Lee Jong-Ha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1 No.-

        朝鮮前期의 한문학사는 당시 문인들을 勳舊·士林으로 나누는 구도로 논의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시각을 통해 두 집단의 대별적인 측면을 주목해온 것을 반성하고 그들이 공유했던 부분들을 ‘원림문화’를 통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대상 인물들을 成宗朝에 서로 다른 문학적·정치적 성향을 보인 것으로 논의된 ‘勳舊’와 ‘新進士類’에 해당하는 인물들로 선택했다. 이들의 일상과 문학에서 원림 문화가 자리잡고 있는 양상을 통해 두 문학 담당층의 공유점들을 확인해 보았다. 당시 원림 문화는 ‘훈구’와 ‘신진사류’의 일상 속에서 공통적으로 향유되었다. 서거정과 김종직은 자신의 가택에 별도로 화원을 조성했으며 이를 보고 느낀 바를 시문으로 나타내기도 했다. 또 강희맹과 조위도 자신의 원림에 花樹을 직접 재배했었고, 김굉필도 평소에 산수에 대한 애호가 깊어서 별서를 따로 지어서 그 곳에 원림을 조성했다는 기록이 확인된다. 조선 전기의 문인들이 원림을 문학적 소재로 대할 때에도 서로 유사한 양상이 확인되었다. 즉, 기존의 시각을 따르자면 훈구의 경우 관각적 화려함에 기반한 神仙思想이 내재된 표현, 신진사림의 경우 주자학을 의식한 心性陶冶와 관련된 표현이 서로의 문학이 지니는 대별적인 특징들이었다. 하지만 원림에 대한 문학에서는 두 집단이 이러한 표현들을 함께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고찰되어진 부분들은 기존의 ‘훈구’와 ‘신진사류’를 二分해서 대별적으로 보는 시각으로는 파악하기 힘든 특징들이다. 물론 원림이 그 특성상 당시의 인물들에게 문화적 산물로서 향유되는 것이 그저 자연한 현상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속에서 엿보이는 전기 문인들의 일상적 생각과 표현에서 대립이 아닌 공유점이 찾아지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그리고 훈구에서 사림으로 이어지는 과정 전체에서 대상 인물들을 아우르지 못한 점에도 한계가 있다. 하지만 대상 시기가 훈구와 사림의 선구인 ‘신진사류’가 만나기 시작하는 시점이므로 이 부분에서 발견되는 접점에도 의미가 없진 않을것이다. The dualistic structure which divides the literati into the two group, Hungu(勳舊) and Salim(士林) has made many discussions about the history of the literature of the early Chosun period. This study reflects the tendency that some researches have focused on each groups' different characters, and tries to find the sharing part of the two groups. Hungu(勳舊) and New scholar-officials(新進士類) in the reign of king Seong-jong(成宗), who have been researched as having contrary literary and political characters, a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sharing parts between two groups are searched by focusing on how the garden culture are enjoyed in their daily lives and literature. At that time the enjoyment of the garden culture were common to Hungu(勳舊) and New scholar-officials(新進士類). Seo Geo-Jeong(徐居正) and Kim Jong-jik(金宗直) grew their gardens and wrote many poetries with the appreciation of their gardens. Kang Hi-maeng(姜希孟) and Jo We(曺偉) also grew trees and flowers in their own garden, and there are some records saying that Kim Goeng-pil(金宏弼) liked the scenery of nature so much that he built some cottages and grew gardens near them. When the garden is regarded as literary material, similar aspects are found between them. The existing study says about each groups' literary characters that Hungu(勳舊) often uses the expressions implying the idea of immortals(神仙思想) that are from the splendidudy says wan-gak(館閣) literature, and Salim(士林) often uses the expressions implying the training of mind(心性陶冶) that are from the Zhuxi studies. However, these expressions are used altogether when they see garden as a literary material. These parts can rarely be found in the view focusing on the contrary points between them. The fact that they enjoyed the garden culture together would be a natural cultural phenomenon, but it would be significant that we can find out the similar things, not the contrary things in their daily thoughts and literary expressions. There's a limit in this study that it can't involve the whole people in the course in which the people in charge of literature are changing from Hungu(勳舊) to Salim(士林). However, the time this study focuses on is the beginning point when the two groups start to meet each other, so the sharing point between them would be meaningf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