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SNS중독경향성과 나무그림검사 반응특성 -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남가인 ( Nam¸ Ga-in ),박성혜 ( Park¸ Sung-hae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1 미술심리치료연구 Vol.1 No.1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ddiction tendency on SNS using time and SNS average daily using time of adolescents, to compare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Tree-Drawing Test by the degree of SNS addiction tendency according to gender, and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of Tree-Drawing Test on SNS addiction tendency based on the study results. 280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attending in high school located in Gangwon province were the study subjects, and Tree-Drawing Test and survey were conducted. A total of 246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5.0 program except 34 data of collected data that were omitted from the survey or that didn't get parental consent. In addition,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s by each variable and potential for utilization of Tree-Drawing Test was verified.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SNS addiction tendency by the gender, SNS using time and SNS average daily using time of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at female students had higher SNS addiction tendency than male students, and the longer the SNS using time and SNS average daily using time, the higher SNS addiction tendency. Second, in case of male students with high SNS addiction tendenc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expression of thick (strong) line in more than 2/3 of the paper and more than 1/3 and less than 2/3 of the paper. In case of content analysis, there were many expressions of tree crown shown with angular form, roughness, scars or knots and a jammed lines. In case of low SNS addiction tendency, the expression that omits roots from tree drawing and richly divides branches with 2 strokes was significant. In case of female students, the expressions of thick (strong) lines and ground line on a hill or on an island in more than 2/3 of the paper and more than 1/3 or less than 2/3 of the paper were significant in the formal analysis, and the expressions of the omission of tree crown, sharp end of the branch, angular form or roughness and rounded and curved stems were significant in the contents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found the possibility of using Tree-Drawing Test as a drawing test tool that can measur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such as impulse or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high SNS addiction tendency.

      • KCI등재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장병준(Byoungjun Jang),이주은(Jueun Lee),이재연(Jaeyeu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5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SNS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거부민감성이 SNS 중독 경향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경험회피와 사회불안을 매개로 하는 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적합성과 각 변인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방법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 충남 소재의 4년제 대학 재학생 18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변인들 간 관계를 추정하기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및 상관분석을 하고, 이중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6를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대학생의 거부민감성, 경험회피, 사회불안, SNS 중독 경향성은 모두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둘째, 남녀 대학생 모두 거부민감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나 경험회피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녀 대학생 모두 거부민감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나 사회불안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경험회피 또한 사회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여학생의 경우 경험회피와 사회불안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남학생에게서는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SNS 중독 경향성이 높으며 두 변인의 관계는 경험회피 및 사회불안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가 남녀 대학생 간 성차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SNS 중독 경향성을 치료할 때 성별에 따른 다양한 치료계획과 상담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we established a model in which rejection sensitivity mediates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in the path to SNS addiction tendency, and checked the model's fit and the relevance of each variable. Methods For the study, These data were collected from 182 students going to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and Chungnam, and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2.0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Process Macro Model 6 was used to examine the dual mediation effect. Resul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jection sensitivity, experience avoidance, social anxiety,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ll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Second, rejection sensitivity did not directly affect SNS addiction tendencies of bo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but it affected experience avoidance. Third, for bo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rejection sensitivity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SNS addiction tendency, bu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anxiety, and experience avoidance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anxiety. Fourth,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were found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NS addiction tendency for female students, but not for male students.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e higher rejection sensitive is, the higher SNS addiction tendency 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can be explained by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NS addiction tendency shows gender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suggesting that different treatment plans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according to gender are needed to treat SNS addiction tendency.

      • KCI등재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대인불안과 또래관계 질의 매개효과

        문영주,최은실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7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nxiety and peer relationships on the effect of adolescents' covert narcissism on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addiction tendency. It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353 students attending four junior high school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tr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se results were as follows. Adolescents' covert narcissism, SNS addiction tendency, social anxie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Findings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nxie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in the effect of adolescents' covert narcissism on SNS addiction tendency. However, the indirect effect of adolescents' covert narcissism to SNS addiction tendency through social anxiety was not significant. The paths leading to SNS addiction tendency through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nd through social anxie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covert narcissism, in explaining adolescents' SNS addiction tendency. The findings on mediating variables suggest the need to improve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in adolescents to reduce their SNS addiction tendency.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ways to prevent SNS addiction tendency through counseling and practice, and the need to approach treatment differently are suggested.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nxie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on the effects of adolescents' covert narcissism on SNS addiction tendency.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불안과 또래관계 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의 4개 중학교에서 재학 중인 353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자료로 SPSS 21.0 , Mplus 7.2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 SNS 중독경향성, 대인불안 및 또래관계의 질은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대인불안과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내현적 자기애가 대인불안을 경유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이르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으며, 내현적 자기애가 또래관계의 질을 경유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이르는 경로와 내현적 자기애가 대인불안과 또래관계의 질을 경유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대인불안,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청소년의 SNS 중독경향성을 설명하는데 있어 성격특성인 내현적 자기애의 중요성을 규명하였고, 또래관계가 매개한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또래관계를 향상시키는 것이 SNS 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및 실제에서 SNS 중독경향성을 예방하고 치료에 차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외로움을 통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하정은,김경미 한국상담학회 2023 상담학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경상권의 대학생 343명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SNS중독경향성, 외로움,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였으며, SPSS 25.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는 SNS중독경향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외로움은 부분매개하였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외로움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였다. 넷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외로움을 통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 결과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로 인한 외로움은 SNS중독경향성을 예측할 수 있으며, SNS중독경향성을 완화시키는 데 사회적 지지의 역할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SNS중독경향성의 예방 및 완화를 돕기 위한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loneliness and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NS addiction tendency. To this end, 343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nd Gyeongsang Province were surveyed for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NS addiction tendency, loneliness, and social support,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NS addiction tendency. Second, loneliness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and SNS addiction tendency. Third,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controlled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NS addiction tendency.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NS addiction tendency, there was a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rough loneliness. This result means that loneliness caused by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can predict SNS addiction tendency, and the role of social support is important in alleviating SNS addiction tendenc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factors that affect college students’ SNS addiction tendency and provided evidential materials to prepare intervention strategies to help prevent and alleviate SNS addiction tendency.

      •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백현종(Hyun Jong Baik)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19 상담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국내 SNS 중독경향성에 관한 동향연구이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에서 ‘SNS’, ‘SNS 중독’, ‘중독경향성’을 검색하여 2011년부터 2019년까지 KCI에 등재된 학술지 논문 50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년도, 연구 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분석방법, 측정 도구, 연구 변인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SNS 중독경향성에 관한 연구는 2011년도에 처음으로 시작되어 2019년까지 그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대상을 살펴보면,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가 가장 활발한 것을 알 수 있다. 연구주제로는 변인 간 관계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양적 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SNS 중독경향성은 회귀분석이 사용된 연구 31편 중 27편에서 종속 변인으로 사용되어 다양한 독립변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SNS 중독경향성에 관한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SNS addiction tendency in Korea. Methods: For this purpose, SNS , SNS Addiction and Addiction Tendency was searched in RISS, and 50 articles published in KCI(Korea Citation Index) accredited journals from 2011 to 2019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It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year, subjects,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alysis methods and research variables. Results: Study on SNS addiction initially appeared in 2011 and rapidly increased in 2019.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mos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of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was the most common topic of studies an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research methods. SNS addiction tendency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27 out of 31 studies using regression analysis and it was related to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future directions of a follow-up study on SNS addiction tendency.

      • KCI등재

        중학생의 부정적 또래관계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황영주,김진숙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negative peer relationships on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on this path. For this purpose, 685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Gwangju were asked to use structured questionnaires related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NS use characteristics, SNS addiction tendency, negative peer relationships, and academic resilience through random sampling for five days in July 2018, and the relationship was measured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to process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egative peer relationships negatively affects the subject’s SNS addiction tendency,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eer relationships and SNS addiction tendency was verifi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negative peer relationships as an influence factor of SNS addiction tendency and suggests the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 need to strengthen academic resilience to lower SNS addiction tendency.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부정적 또래관계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경로에서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년 7월 5일간 무작위 표본추출을 통해 광주광역시에 거주중인 중학생 685명 참여자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SNS 사용특성, SNS 중독경향성, 부정적 또래관계, 학업탄력성 등과 관련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자료처리를 위해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관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 또래관계는 SNS 중독경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또래관계와 SNS 중독경향성의 영향관계에서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SNS 중독경향성의 영향요인으로 부정적 또래관계를 제시하였으며 SNS 중독경향성을 낮출 수 있는 학업탄력성의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SNS 이용 및 중독경향성에 따른 온라인과 오프라인 대인관계 성향의 관계

        박규나,최승원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Relationship Between Online and Offline InterpersonalRelationships According to SNS Use and Addiction TendencyGyuna Park & Sungwon Choi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terpersonal tendency of SNS users and non-users in their 20s and the interpersonal tendency according to the level of SNS addiction tendency. As for the research method, offline and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on 432 people in their 20s nationwide,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In this paper, SNS users were more social-friendly in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more rebellious-disbelief online than non-users. The risk group for SNS addiction tendency was more sympathetic and social-friendly in on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n the general group. The more dominant-superior, competitive-aggressive online, and non-social-unfriendly offline, the higher the SNS addiction tendency. Data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ies are presented by dividing SNS use, addiction tenden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ir 20s, which are the main users of SNS, into online and offline. Key Words: Social Network Service (SNS), SNS User/Non-User, SNS Addiction Tendency, Online Interpersonal Tendencies, Offline Interpersonal Tendencies SNS 이용 및 중독경향성에 따른 온라인과 오프라인 대인관계 성향의 관계박 규 나**ㆍ최 승 원*** 연구 목적: 본 연구는 20대의 SNS 이용자 및 비이용자의 대인관계 성향과, SNS 중독경향성 수준에 따른 대인관계 성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전국의 20대 432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및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고,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이 논문의 연구내용은, SNS 이용자는 비이용자보다 오프라인 대인관계에서 더 사교-우호적, 온라인에서 더 반항-불신적이었다. SNS 중독경향성 위험군은 일반군보다 온라인 대인관계에서 더 동정-수용적, 사교-우호적이었다. 온라인에서 지배-우월적이고 경쟁-공격적일수록, 오프라인에서는 비사교-비우호적일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SNS 주이용 계층에 해당하는 20대의 SNS 이용과 중독경향성 및 대인관계를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나누어 대인관계 성향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핵심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NS 이용자・비이용자, SNS 중독경향성, 온라인 대인관계 성향, 오프라인 대인관계 성향 □ 접수일: 2022년 11월 2일, 수정일: 2022년 11월 18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이 논문은 주저자의 석사학위논문의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임.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5A2A01025984). ** 주저자,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석사(First Author, Master, Duksung Women’s Univ., Email: dsaw333@hanmail.net)*** 교신저자,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uksung Women’s Univ., Email: karatt92@duksung.ac.kr)

      • KCI등재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념명확성과 사회비교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박지연 ( Park Ji Yeon ),김정민 ( Kim Jung Min ),박초희 ( Park Cho Hee ),노현진 ( Noh Hyun Jin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4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자기개념명확성 및 사회비교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명확성과 사회비교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경기 및 인천 지역의 3개 중학교와 2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1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Win 21.0을 사용한 기술통계, t-검정,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과 SPSS Macro의 부트스트래핑 방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SNS 중독경향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의 자기개념명확성과 사회비교 순으로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기개념명확성과 사회비교는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SNS 중독경향성의 기제 및 SNS 중독경향성 감소 및 심리치료를 위한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comparison on the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comparison on SNS addiction tendencies in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targeting 315 students attending three middle schools and two high school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PSS Macro's bootstrapping method were performed using SPSS Win 21.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NS addiction tendency depending on the gender of adolescents. Second, it was revealed that adolescents'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comparison had an influence on SNS addiction tendency. Third,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comparison were found to have a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SNS addiction tend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echanisms of adolescents' SNS addiction tendency, reduction of SNS addiction tendency, and implications for psychotherap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신민주(Shin Min-Ju)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0 청소년상담학회지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북 00시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SNS 중독 경향성, 거부민감성 설문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은 SPSS 23.0과 SPSS 매크로 프로그램을 활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기술 통계 분석, 빈도 분석, 상관 분석, 계층적 회귀 분석 및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내현적 자기애, SNS 중독경향성, 거부민감성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는 SNS 중독경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거부민감성은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간의 관계에 부분적인 매개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는 중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중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간의 관계에 거부민감성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에 대한 사항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the covert narcissism, SNS addiction tendency,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460 students from middle schools located in Gumi city, Gyeongsangbuk-do, and the collected data were, for hypothesis test, analyzed using SPSS 23.0 and SPSS macro program. The hypothetical model was test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association among the covert narcissism, SNS addiction tendency, rejection sensitivity. Second, the covert narcissism had direct effect on SNS addiction tendency. Third, the rejection sensitivity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This study shows that the covert narcissism has effect on SNS addiction tendency in middie school students. It was also verified that the rejection sensitivity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limitation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성 차이와 대인관계문제의 조절된 매개효과

        임수진,이수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ath of internal narcissism toward SNS addiction tend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intend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internal narcissism personality would lead to the SNS addiction tendency through interpersonal problems and that the internal narcissism effect on the interpersonal problems can depend on Gender differ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0 middle school students (95 male and 145 female students) in Gwangju area. Th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PSS Macro PROCESS Model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interpersonal problems mediation efffect between inner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Gender difference moderatiing effect between internal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problems relationship.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ender differ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between internal narcissism personality and SNS addiction tendency relationship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cently, social networking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in our society and it shows the highest rate of addiction in early middle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ctors of inner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problems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focusing on the gender differences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prevent adolescent SNS addiction problems have. 본 연구는 남녀 중학생의 내현적자기애가 대인관계 문제를 통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성차이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의 남녀 중학생 240명(남학생 95명, 여학생 145명)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기초통계분석, 상관분석, SPSS Macro PROCESS 모델 4, 모델 1, 모델 7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 중 맞섬의 문제는 유의미한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향함과 멀어짐의 문제는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둘째, 내현적자기애와 대인관계 맞섬문제에서 성차이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는 성에 따라 다르게 대인관계 문제에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내현적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성 차이와 대인관계 맞섬문제는 유의미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내현적자기애 성향이 대인관계 맞섬 문제에 미치는 영향은 성차이에 의해 조절되며, 이러한 대인관계 맞섬의 문제는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내현적자기애와 대인관계문제의 심리적인 요인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며, 청소년의 SNS 중독문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