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자기주도성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관계성과 온라인 학습경험의 매개효과: SES 차이를 중심으로

        백아롱,조영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2 한국청소년연구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an online learning experien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S groups.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were revealed by utilizing 2,383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ses from the KCYPS, 2018. The results showed that self-directedness had a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between relatedness and the online learning experience. Self-directedness not only has a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ut also h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relatedness and online learning experiences. Last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S groups was significant only in the effect of self-directedness on relatedness; moreover, the low SES group was higher than the high SES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providing intensive learning guidance for alienated groups with low SES, as well as the need for support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relatedness. 본 연구에서는 주변인과 직접적인 교류가 적은 온라인 학습이 증가하는 현 상황에서 중학생이 주변인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정도인 관계성과 온라인 학습경험이, 자기주도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고 이러한 차이가 SES 상하 집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의 중학교 1학년 2,383명(남학생 1,288명, 여학생 1,095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성, 관계성, 온라인 학습경험, 학업성취도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고, 다집단 분석을 활용하여 SES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주도성은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관계성과 온라인 학습경험의 유의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자기주도성이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관계성과 온라인 학습경험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다집단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SES집단 간 경로 차이는 자기주도성이 관계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SES가 낮은 집단이 SES가 높은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 감염증 상황으로 온라인교육이 확대된 현 시점에서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되는 변인인 자기주도성, 관계성, 온라인 학습경험의 중요성과 한계점을 논의하였으며, SES 집단 간의 차별적인 학습 및 정서적 지원의 중요성에 관해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이는 코로나19 감염증으로 인해 전반적인 학생들의 기초학력이 낮아진 상황에서 특히 SES가 낮은 사회소외계층에게 학습에 대한 집중적인 지도뿐만 아니라 자기주도성, 관계성을 위한 지원이 학교 및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부모 SES, 사교육,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 간의 관계 연구

        오숙영(Oh, Sook Yo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2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SES, 사교육,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 간의 상호 관계를 선형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개념화하고,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구조적 모형에 대한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검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첫째, 다변량회귀분석을 통하여, 모든 잠재변인의 하위요인들 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PLS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구조적 모형에 대한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검정하는 것이다. 셋째, PLS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구조적 모형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단순무선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오차 허용범위 5%, 신뢰수준 95%를 기준으로하여, 일반계 5개 고등학교 386명을 추출했다. 통계방법은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ulti-Variate Regression,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이 사용되었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version 20.0, AMOS version 20.0, Smart PLS Version 2.0이 사용되었다. 우선, 자기조절학습능력검사도구 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수렴 타당도와 집중타당도를 검정했다. 다음으로, 전체 잠재변인들 타당도는 PLS 구조방정식으로 측정모형(수렴타당도, 집중타당도)과 구조모형으로 검정했다. 연구결과, 하위요인 간 관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 교육수준은 사교육비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총수입도 사교육비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사교육기간은 인지, 동기, 행동의 자기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 교육수준은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은 언어, 수리, 외국어, 탐구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다섯째, 사교육기간은 언어, 수리, 외국어, 탐구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여섯째, 부교육은 언어, 수리, 외국어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구조방정식 경로계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SES는 사교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둘째, 사교육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셋째, 부모 SES는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이때, 사교육은 부모 SES와 자기조절학습능력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다섯째, 사교육은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이때,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사교육과 학업성취의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부모 SES는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부모 SES와 학업성취 사이에는 사교육의 매개효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 사교육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이중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의 SES는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사교육을 경유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경유하여, 혹은 사교육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경유하여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parents’ SES, extracurricular learning,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and achievement as Linear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n,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Path Coefficient and Goodness of Fit Index by using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Specifically, the first step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measurement variables of latent factors by using Multi-Variate Regression. And the second step is to testify Goodness of Fit Index and Path Coefficient of Structural Model by using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ubjects used are 386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academic high school according to 5% permitted range and 95% confidence range. The statistics methods used in study a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ulti-Variate Regression, and the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is useful for formative indicators. The statistics programs used are SPSS version 20.0, AMOS version 20.0, and SmartPLS version 2.0.M3.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at includes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re presented for validity of self regulatory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Measurement Model including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Structural Model of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are presented for the validity of total lat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ignificance of path coefficients are as followed. 1)Parents’ SES has an effect on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2)The extracurricular learning has an effect on the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3)Parenrs’ SES has an effect on the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The mediation effect of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S and self-regulatory. 4)The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has an effect on achievement. 5)The extracurricular learning has an effect on achievement. The mediation effect of the self-regulatory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achievement. 6)Parents’ SES has no effect on achievement. The mediation effect of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the self-regulatory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achievement. As a results, although parents’ SES has no direct effect of achievement, it can has an effect on achievement through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through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 KCI등재

        Comparison of an Endoscopic Scoring System and the Simplified Magnetic Resonance Index of Activity in Patients with Small Bowel Crohn’s Disease

        Na Ji Eun,Kim Honsoul,Hong Sung Noh,Song Kyoung Doo,Kim Ji Eun,Kim Eun Ran,Kim Young-Ho,Chang Dong Kyung 거트앤리버 소화기연관학회협의회 2024 Gut and Liver Vol.18 No.1

        Background/Aims: The newly derived simplified magnetic resonance index of activity (MARIAs) has not been verified in comparison to balloon-assisted enteroscopy (BAE) for patients with small bowel Crohn’s disease (CD). We studied the correlation of MARIAs with simple endoscopic scores for CD (SES-CD) of the ileum based on magnetic resonance enterography (MRE) and BAE in patients with small bowel CD. Methods: Fifty patients with small bowel CD who underwent BAE and MRE concurrently within 3 months from September 2020 to June 2021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primary outcome wa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tive score of ileal SES-CD (ileal SES-CDa)/ileal SES-CD and MARIAs based on BAE and MRE. The cutoff value for MARIAs identifying endoscopically active/severe disease, defined as ileal SES-CDa/ileal SES-CD of 5/7 or more, was analyzed. Results: Ileal SES-CDa/ileal SES-CD and MARIAs showed strong associations (R=0.76, p<0.001; R=0.78, p<0.001).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of MARIAs for ileal SES-CDa ≥5 and ileal SES-CD ≥7 was 0.92 (95% confidence interval, 0.88 to 0.97) and 0.92 (95% confidence interval, 0.87 to 0.97). The cutoff value of MARIAs for detecting active/severe disease was 3. A MARIAs index value of ≥3 identified ileal SES-CDa ≥5 with a sensitivity of 85% and specificity of 87% and detected ileal SES-CD ≥7 with a sensitivity of 87% and specificity of 86%. Conclusions: This study validated the applicability of MARIAs compared to BAE-based ileal SES-CDa/SES-CD.

      • KCI등재후보

        경쟁적 요인을 고려한 사회적 기업 분류 모델과 적용

        최무진(Moo-Jin Choi)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1 로고스경영연구 Vol.9 No.1

        자유주의와 시장 만능 메커니즘에 기초한 신자본주의 경제는 21세기 들어 세계적인 금융위기를 몰고 왔으며 그로 인해 청년실업문제, 경제적 양극화 등 사회적 문제를 심화시켜왔다. 최근 정부는 신자본주의 경제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한 복지적 대안으로,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을 실천하는 대안으로, 비영리 자선단체들은 다양한 수입원 확보의 대안으로 사회적 기업에 주목하고 있다.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즈니스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사회적 기업은 다양한 자원들을 경쟁적 시장에서 확보해야 하고, 제품과 서비스를 시장에 판매해야 하지만 기존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개념과 분류방식에는 여전히 경쟁적 요인들이 누락되어 있었다. 따라서 영리추구 기업들을 위한 전통적인 경영 이론들이 사회적 기업 경영에도 적용될 수 있음에도 아직 그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분류체계에 대한 문헌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이를 경쟁적 시장이라는 현실에 적용할 경우에 생겨나는 갭(gap)과 한계점을 모색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적 틀, 즉 사회적 기업 가치사슬 모형, 경쟁적 요인을 고려한 사회적 기업분류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분류 모델을 국내 세(3) 곳의 사회적 기업과 한 개의 영리 기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모델의 타당성과 활용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개념적 틀을 통해 경쟁적 시장에서 투입자원을 확보하고 생산물을 팔아야 하는 사회적 기업들의 전략과 진화경로를 모색해 볼 수 있고, 영리추구 기업들은 그들의 사회적 기업-CSR 연계전략을 모색해 볼 수 있다. In the 21st century, Liberalism and New-capitalism based upon the competitive market mechanism have brought serious financial crises and deepened unemployment of young people and economic polarization. Recently, the government, cooperations and philanthropic organizations began to pay attention to roles of social enterprises (SEs) as an alternative institution to solve various social problems which can not be completely cured by the pro-market economy. The government has seen SEs as media to remedy the high unemployment rate of young generation and alienated class of people: cooperations have noted SEs from the perspectiv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nd non-profit philanthropic organizations have sought SEs as an alternative strategy to increase funds. Various types of social enterprises (SEs) have been established and tested to solve social problems by the businesslike approaches. Often they have to acquire resources (labor, facilities, space etc.) and sell products and/or services at competitive, free markets. However, since theories and classification models about SEs do not include competitive factors, it is often difficult to apply managerial knowledges on profit-pursuing cooperations to understanding SEs. Therefore, this paper thoroughly reviewed literatures about concepts and classification schemes of SEs, then discussed gaps and limitations of them when they are applied to SEs, and developed new conceptual frameworks, the value chain of SEs and the classification model of SEs in consideration of competitive factors. We validated the new classification model and proposed its usages by describing characteristics of four (4) companies from competitive market perspectives. The new framework was insightful for SEs in the competitive markets to seek an appropriate growth strategy and evolutionary future paths and for traditional cooperations to explore a strategy of linking CSR with SEs.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Supplemental Educational Services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정진주,홍원표 韓國比較敎育學會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5

        학업부진학생들을 위한 보충수업(SES: Supplemental Educational Services)은 모든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보장함으로써 공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려는 정책적 차원의 노력이다. 특히 저소득층 학생들일수록 학력 수준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들을 위한 보충수업은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조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기준으로 학업부진 학생들을 선별하고, 누가, 어떤 종류의 보충수업을 제공할 것이냐는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특히 한국과 미국은 학업 성취와 학교의 책무성을 강조하던 신자유주의적 정책에서 벗어나 학업부진 학생들에 대한 새로운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과도기적 상황에 주목하면서 본 연구는 역사적 배경과 현황, 성과, 주요 쟁점 등의 측면에서 양국의 보충수업을 비교하고 있다. 연구 결과, 한국과 미국 모두 학업부진 학생들의 학력향상에 주안점을 두고 있지만, 한국에 비해 미국 학교들의 보충수업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의 경우 기본적으로 모든 학업부진 학생들에게 보충수업 참여기회가 제공되고 있지만, 미국의 경우 수혜자의 비율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의 일차적 원인은 예산이 제한되어 있는 상태에서, 민간 업체에 보충수업을 위탁하는 미국식 시장주의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학업부진학생들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보충수업 지원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Supplemental Educational Services (SES) are government initiated tutoring services to strengthen basic skills of academically underachieving students and thus close achievement gaps among students. Recently, however, the direction of SES has shifted its gear away from the test-driven accountability system in the United States (US) and Korea. Based on related literature, official documents, and statistics data, this study investigates major aspects of SES in the US and Korea, suggesting implications for future SES in the two countries. Major findings illustrate; 1) SES both in the US and Korea aim to serve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yet place a primary emphasis on academics, 2) the US and Korea show contrasting results of SES i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3) the US and Korea use different approaches in selecting SES participant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equality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4)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the US and Korea is the openness of real markets for S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SES in Korea and the US.

      • KCI등재
      • KCI등재

        계층간 학력 격차의 변화: 학교정책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위정 한국교육사회학회 2012 교육사회학연구 Vol.22 No.3

        OECD PISA 2000년과 2009년 한국 자료를 이용하여 계층간 학력 격차가 지난 10여 년 간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추이를 살펴보고, 계층간 학력 격차를 매개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 학교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2000년과 2009년 사이 읽기점수 에 대하여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SES) 계수의 크기가 커졌으며, 분산에 대한 설명량도 증 가하여 계층간 학력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수월성 향상 현상이 나타난다. 분위회귀분석 결과, 2009년에는 성적분위가 높을수록 점수가 더 많이 증가하였으며, SES 계 수의 효과도 성적 중상위분위에서 더 크게 증가한 경향이 나타난다. 따라서 계층간 학력 격 차가 확대된 것으로 보이지만, 하위계층의 성적이 하락했다기보다는 상위계층의 성적이 더 크게 향상되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몇몇 학교변수가 이러한 학력격차 현상에 일조한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분화와 자율성의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학교운 영자율성의 경우 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졌으며, 성적 분위기 높을수록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결과활용(학생)은 성적 분위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것은 주로 수준별 수업의 효과로 보인다. 다층분석 결과, 2009년 학 교평균 SES의 효과가 커진 것과 학교평균 SES와 SES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난 것에도 주 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10년 사이 전반적으로 학교 효과가 증가했으나, 차별적 학교효과도 증가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how class differences in educational achievement has been changed during the last 10 years and explains which school variabl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backgrounds and student achievement using PISA 2000 and PISA 2009 South Korea data. Findings suggest socioeconomic inequalities has widened between 2000 and 2009. The results of multi-level analysis show that the coefficient of socioeconomic status(SES) on the reading ability and variance explained by adding SES grows. However, widening class gap mostly results from the fact that the achievement of upper class improves more than lower class. The results of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student achievement tends to move upward between two periods generally, but test score increases more at the higher quantiles and the effect of SES tends to be stronger at the middle-high quantiles in 2009. Some school variables are found to contribute to these socioeconomic inequalities. Especially, the increasing differentiation and school autonomy seem to have a considerable impact. The autonomy of school management and the extent to use test results(student accountability) have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 achievement at the higher quantiles. Also, it is noteworthy that the effect of school mean SES increase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hool mean SES and SES become significant in 2009.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hool effect has increased between two periods, but the differential school effect also increases.

      • KCI등재

        사회경제적 특성 및 유병에 따른 의료서비스 이용 행태

        이고은(Ko-Eun Lee),임복희(Bok-Hee 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7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만 25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특성 및 유병상태에 따른 의료서비스 이용행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SPS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적 통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χ²-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남자보다 여자가, 65세 이상, 고졸이상, 무직이 많았고 소득분위는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 직능, 소득분위를 함께 고려한 사회경제적 상태(socioeconomic status; SES)에 대한 점수는 7-8점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 응답자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보통으로 느끼고 있었다. 평균유병개수는 1.07±1.497개이며 외래서비스 평균이용횟수는 0.50±.0745회이며, 입원서비스 평균이용횟수는 0.12±0.454회로 외래서비스 이용횟수 보다 낮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병 및 주관적 건강상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과 직능, 소득분위 및 SES점수가 낮을수록 평균 유병개수는 많았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는 나쁘게 인식하였다. 현재 앓고 있는 질환에서 입원서비스는 중증일수록, 외래서비스는 만성일수록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SES점수가 높을수록 전반적인 의료서비스의 이용이 낮았고, SES점수가 낮을수록 의료서비스의 이용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사회경제적 특성이 낮은 집단에게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적절한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들이 질환에 노출되었을 때 적정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기반의 적절한 보건서비스 체계의 구축 및 시행의 필요성을 시사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behavior of medical servi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oeconomic status (SES) and prevalence by using the 6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for adults over 25 years old. Frequency an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ANOVA, χ²-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re female than male, 65 years old and over, high school graduate, and unemployed and income quintiles were similar. The SES score considering education level, function, and income quintiles was the highest at 7-8, and most of the respondents felt moderate about their subjective health condition. The mean number of prevalence was 1.07±1.497, the mean utilization of outpatient services was 0.50±0.045, and the mean number of inpatient services use was 0.12±0.454.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ubjects with prevalence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Higher age was associated with lower education, skill level, income, and SES score, and average prevalence was associated with poor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More serious prevalence was associated with greater utilization of inpatient services. More chronic prevalence was associated with utilization of outpatient services. In other words, higher SES score was associated with lower overall use of medical services. Lower SES score was associated with higher use of medical services. In conclusion, we must develop appropriate health education programs that can prevent diseases in groups with low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ere is the need to construct and implement a community-based appropriate health service system so that proper medical services can be used.

      • KCI등재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이 아동들의 언어능력 및 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임동선,김신영,송혜선,이하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5 No.1

        본 연구는 가정의 사회경제적지위(SES)와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이 학령전기 수용 및 표현어휘력과 학령기 어휘적용력, 언어유추력, 집행기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지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에서 공개한 6차년도(2013년, T1) 및 9차년도(2016년, T2)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6차년도 당시 만 5세였던 아동 318명의 데이터를 2개 시점에서 분석하였다. 월평균 가구 소득 및 부/모의 최종학력 데이터로 SES를 산출하였으며, 부모-자녀 상호작용, 수용・표현어휘력 검사, 다요인 지능검사의 어휘적용력과 언어유추력, 그리고 집행기능곤란 데이터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SES,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을 예측변인으로 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T1에서 수용어휘력은 SES와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 모두 유의한 설명력을 갖지 못하였으며, 표현어휘력은 두 변인 모두 유의한 설명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2에서 언어유추력은 SES와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 모두 유의한 설명력을 가졌으나, 어휘적용력과 집행기능은 SES만이 유의한 설명 변인이었다. 본 연구는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이 아동들의 일부 언어능력에 대해 SES 외에 추가적인 설명력을 가짐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SES가 낮은 가정에서 풍부한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언어능력의 격차를 해소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Effect of Individual and District-level Socioeconomic Disparities on Cognitive Declin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Seoul

        김건하,이혜아,박혜숙,이동영,조인호,최성혜,최경규,정지향 대한의학회 2017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2 No.9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district-level socioeconomic status (SES) on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impairment among the elderly. A 3-year retrospective observational analysis (2010–2013) was conducted which included 136,217 community-dwelling healthy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Seoul Dementia Management Project. Cognitive impairment was defined as 1.5 standard deviations below the norms on the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In the individual lower SES group, the cumulative incidence rate (CIR) of cognitive impairment was 8.7% (95% confidence interval [CI], 8.64–8.70), whereas the CIR in the individual higher SES group was 4.1% (95% CI, 4.08–4.10). The CIR for lower district-level SES was 4.7% (95% CI, 4.52–4.86), while that in the higher district-level SES was 4.3% (95% CI, 4.06–4.44). There were no additive or synergistic effects between individual and district-level SES. From this study, the individual SES contributed 1.9 times greater to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impairment than the district-level SES, which suggests that individual SES disparities c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public health related to cognitive impairment in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