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워드 임베딩 기반의 기술 개체명 인식 방법 연구

        이유진 ( Yujin Lee ),김세빈 ( Sebin Kim ),김장원 ( Jangwon G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2

        최근 4차 산업 혁명시대에 이르러 다양한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지적 재산권 확보가 중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대표적인 지식재산권의 하나인 특허의 발명 또한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특허 데이터에 포함된 기술명 식별을 위해 딥러닝 기반 기술명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그 결과 특정 분야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에 대한 개체명 식별이 가능함을 보인다.

      • KCI등재

        전식득지 개념과 선구적 결의성에 대한 비교철학적 연구

        정은해(Cheong, Eun-hae) 불교학연구회 2010 불교학연구 Vol.27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유식불교와 하이데거철학을 비교한다. 이 비교는 전식득지와 선구적 결의성이라는 두 주요개념에 초점을 두고 수행된다. 전식득지 개념은 三性, 轉依, 涅槃, 四智, 身土등의 개념들을 도움으로 해서만 분명하게 이해되는 개념이다. 선구적 결의성은 현존재, 개시성, 퇴락, 탈-존, 존재 허용, 배려적 교섭 등의 개념들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개념이다. 위에 언급된 개념들의 관련체계에 근거를 두고, 필자는 1) 圓成實性을 본래적 개시성에, 2) 能轉道를 선구적 결의성에, 3) 本來自性淸淨涅槃을 현존재에, 4) 無住處盤涅槃을 탈-존에 대응시킨다. 5) 아울러 四智를 각기 탈-존, 본래적개시성, 존재허용, 배려적 교섭에 대응시키고, 6) 네 종류의 身土를 각기 근원적 개시성, 본래적 개시성, 공동세계, 주변세계에 대응시킨다. 대응된 개념들의 구체적 의미의 검토에 따르면, 대응된 개념들 사이에는 많은 불일치점이 보이는데, 이것들은 그것들이 속한 개념체계들이나 근본입장들 사이의 차이로 소급될 수 있다. 1) 인간에 의해 성취될 수 있는 원성실성은 그 자체로, 곧 인간의 참여 없이도 존재할 수 있는 듯이 보이는 반면에, 본래적 개시성은 인간의 참여 없이는 존재할 수가 없다. 2) 능전도는 개인의 개별성을 지양하는 것인 까닭에 더 이상 개별적이지 않은 일심一心을 회복하는 길로 여겨지는 반면에, 선구적 결의성은 비본래적 자아를 지양하면서 본래적인 개별적 자아를 회복함을 의미한다. 3) 열반은 더 이상 은폐성을 갖지 않는 상태로서 진여와 개인 사이의 재통합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에, 탈-존은 비은폐성의 은폐성에 대한 결의적 관계를 가리킨다. 4) 4지는 서로 위계적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에, 비은폐성, 세계 개시성, 존재 허용, 배려적 교섭은 직선적인 가능화 관계를 갖고 있다. 5) 4종류의 신토가 득지의 정도에 따라 구분되는 듯한 반면에, 근원적 개시성, 본래적 개시성, 공동세계, 주변세계도 역시 가능화의 직선적 관계를 나타낸다; 아울러 공동세계와 주변세계가 같은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 대응되고 있는 개념들 사이의 상응관계는 불완전하다고 말할 수 있다. 혹자는 비교되는 개념들 사이의 많은 불일치점들이나 유식불교와 하이데거철학 사이에 놓인 기본적 입장들의 차이에 대해 놀라거나 당혹해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비교철학이 비교되는 것들을 동일시하거나 그것들 사이의 우월성 관계를 확정하는 시도가 아니라, 그들 각자의 고유성을 밝혀내려는 연구인 한에서, 그것들 사이에 현존하는 차이들에 대해 당혹해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전식득지로 성취되는 진여는 유무와 생사를 넘어서는 것이고,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의 사유와 행동에 있어서 중도中道를 취하게끔 할 수 있다. 그 반대로 선구적 결의성으로 성취되는 본래적 개시성은 역사적이고 유한한 것이며,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의 가치를 이러한 역사적인 (비연속적으로 연속적인) 세계 속에서 남김없이 실현하게끔 할 수 있다. 한편으로, 혹자는 자신과 법계의 비실재적 실재성에서부터, 생사가 더 이상 특별한 의미를 갖지 않는 그런 마음의 평화를 얻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혹자는 자신과 역사적 세계의 유한성의 인식에서부터 어떤 절대적 가치가 자신의 삶 속에 놓여 있다고 믿을 수 있다. 사람들이 생사의 문제를 넘어선 마음의 평화를 또는 자신의 유한한 삶을 살만한 가치를 필요로 하는 게 사실이라면, 유식불교와 하이데거철학이 모두 인류에 의해 요구되는 것이라는 점도 확실하다. This essay compares Consciousness Only Buddhism and Heidegger's philosophy. This comparison is performed with a focus on two major concepts: 'acquiring bodhi by the transmutation of consciousness'[轉識得智] and 'anticipatory resoluteness'[vorlaufender Entschlossenheit]. The 'acquiring bodhi by the transmutation of consciousness' concept is understood only by the aid of other concepts such as the Three Natures [三性], Transmutation of Support[轉依], Nirvana[涅槃], Four Knowledges[四智], and Four Body-Lands [身土]. The 'anticipatory resoluteness' concept also is closely related with other concepts such as Da-sein, Disclosedness[Erschlossenheit, Entborgenheit], Falling[Verfall], Ek-sistence[Ek-sistenz], Letting Beings Be[Sein-lassen], and Concernful Dealings[besorgender Umgang]. Based on the respective context of relations of the mentioned concepts, I have paralleled; 1) the Perfect, Complete, True nature[圓成實性] with Authentic Disclosedness, 2) the Path that Can Transmute[能轉道] with Anticipatory Resoluteness, 3) Nirvana that is intrinsically pure by nature[本來自性淸淨涅槃] with Da-sein, 4) Nirvana with no fixed abode[無住處涅槃] with Ek-sistence, 5) Four Knowledges(the Knowledge like a Great and Perfect Mirror, the Knowledge of Sameness, the Knowledge of Wonderful Observation, and the Knowledge of Achieving the Task) with Ek-sistence, Authentic Disclosedness, Letting Beings Be, and Concernful Dealings, and 6) Four Body-Lands(the Lands of the Essential Body, the Body of Personal Enjoyment, the Body for the Enjoyment of Others, and the Transformation Body) with the Primordial Discolsedness, Authentic Disclosedness, With-World, and Environment. Through an examination of concrete meanings of the paralleled concepts, many discrepancies were shown that can be reduced to the difference between respective conceptual systems or fundamental positions. 1) The Perfect, Complete, and True Nature that can be achieved by human beings seems to exist in itself and without the participation of human beings, whereas the Authentic Disclosedness cannot exist without the participation of human beings. 2) The Path that Can Transmute seems to be the Path to recover One Mind that is no longer individual because of sublating personal individuality, whereas the Anticipatory Resoluteness means the recovery of authentic individual-self through sublating the inauthentic self. 3) Nirvana seems to indicate a personal reunified relation to the True Suchness that has no more closedness, whereas Ek-sistence indicates a personal resolute relation to the un-disclosedness of Disclosedness. 4) Four Knowledges seem to have a hierarchical interrelation, whereas Disclosedness, World-Disclosedness, Letting Beings Be, and Concernful Dealings have a lineal relation of enabling. 5) Four Body-Lands seem to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achieved knowledge, whereas Primordial Disclosedness, Authentic Disclosedness, with-World, and Environment show the lineal relation of enabling; in addition,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paralleled concepts is incomplete because of the sameness of with-World and Environment. Someone might be astonished or embarrassed with so many discrepancies between paralleled concepts or with the difference in regard to fundamental position between Consciousness Only Buddhism and Heidegger's philosophy. However, there is no need to be embarrassed with their present differences, as long as the comparative philosophy is a research to clarify their respective peculiarities and not a trial to identify the compared partners or to confirm their relation of superiority.

      • KCI등재

        하이네의 하이데거 시간론 비판에 대한 현상학적 검토

        정은해 한국하이데거학회 2013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33

        This essay examines the validity of Heine’s evaluation on Heidegger’s time-theory. His evaluation is to be summarized by four sentences. Firstly, Heidegger’s ecstatic temporality separates, according to Heine, present from past and future. However, in ‘anticipatory resoluteness’ (vorlaufende Entschlossenheit) and ‘calmness’ (Gelassenheit), present is not separated from past and future. Although it is true that anticipatory resoluteness begins from the anticipation of the death which is a future possibility, anticipatory resoluteness itself is the ecstatic temporality in which present is united with past and future. Likewise,although calmness begins from waiting for the call of Being that is a future possibility,calmness itself is the ecstatic temporality in which present is united with past and future. Secondly, Heidegger’s ecstatic temporality separates, according to Heine, Dasein from beings. But Heidegger elucidates the very difference between the being of Dasein and the being of other beings from the phenomenological viewpoint, and doesn’t argue that they could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irdly, Heidegger’s ecstatic temporality separates,according to Heine, theory from practice. Yet, the fact that Heidegger didn’t suggest authentic existence as a practical imperative can not be the reason for Heine’s assertion that the former separates theory from practice. For people can acknowledge that the theory of authentic existence might be a guide to practice. Fourthly, Heidegger’s ecstatic temporality separates, according to Heine, the question of Being as such from temporality itself. But Heidegger elucidates that time and presence are given together in the way of belonging-together from appropriative event (Ereignis). It is not phenomenology but substantialism to believe that the phenomenon of the belonging-together of different things (time and presence) presupposes the substantial separation of the different things. 이 글은 하이데거 시간론에 대한 하이네의 평가가 정당한지를검토한다. 그의 평가는 네 문장으로 정리된다. 첫째로 하이네는 하이데거의탈자적 시간성이 현재를 과거 및 미래로부터 분리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하이데거의 선구적 결의성과 초연성에 있어서 현재는 과거와 미래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선구적 결의성이 죽음의 선구로부터 시작되고 죽음이 미래적가능성이라는 점은 사실이지만, 선구적 결의성 자체는 현재적인 것이다. 초연성이 존재의 부름의 기다림에서 비롯되고 존재의 부름이 미래적 가능성이라는 점은 사실이지만, 초연성 자체는 과거 및 미래와 현재가 통일되어 있는 탈자적 시간성이다. 둘째로 하이네는 하이데거의 탈자적 시간성이 현존재를 존재자들로부터 분리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하이데거는 현상학적 관점에서 현존재의 존재방식과 다른 존재자들의 존재방식의 차이를 규명할 뿐이지 그 존재자들이 서로 분리된 것이라고 규명하는 것은 아니다. 셋째로 하이네는 하이데거의 탈자적 시간성이 이론을 수행으로부터 분리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하이데거가 본래적 실존을 하나의 실천명령으로 제시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그가 이론과 수행을 분리했다는 주장의 근거가 될 수는 없다. 그런 명령이 없어도 많은 사람들은 본래적 실존의 이론을 수행의 지침으로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로 하이네는 하이데거의 탈자적 시간성이존재 그 자체에 관한 논의를 시간성 자체로부터 분리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하이데거는 시간과 현존이 사건 속에서 함께 주어진다고 밝혀 그들이 분리된 것이 아니라 공속적인 것임을 밝힌다. 상이한 것들의 공속성이 상이한것들의 분리성을 전제한다고 보는 하이네의 태도는 현상학적 태도가 아니다.

      • 하이네의 하이데거 시간론 비판에 대한 현상학적 검토

        정은해 ( Cheong Euh-hae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3 존재론 연구 Vol.33 No.-

        이 글은 하이데거 시간론에 대한 하이네의 평가가 정당한지를 검토한다. 그의 평가는 네 문장으로 정리된다. 첫째로 하이네는 하이데거의 탈자적 시간성이 현재를 과거 및 미래로부터 분리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하이데거의 선구적 결의성과 초연성에 있어서 현재는 과거와 미래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선구적 결의성이 죽음의 선구로부터 시작되고 죽음이 미래적 가능성이라는 점은 사실이지만, 선구적 결의성 자체는 현재적인 것이다. 초연성이 존재의 부름의 기다림에서 비롯되고 존재의 부름이 미래적 가능성이라는 점은 사실이지만, 초연성 자체는 과거 및 미래와 현재가 통일되어 있는 탈자적 시간성이다. 둘째로 하이네는 하이데거의 탈자적 시간성이 현존재를 존재자들로부터 분리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하이데거는 현상학적 관점에서 현존재의 존재방식과 다른 존재자들의 존재방식의 차이를 규명할 뿐이지 그 존재자들이 서로 분리된 것이라고 규명하는 것은 아니다. 셋째로 하이네는 하이데거의 탈자적 시간성이 이론을 수행으로부터 분리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하이데거가 본래적 실존을 하나의 실천명령으로 제시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그가 이론과 수행을 분리했다는 주장의 근거가 될 수는 없다. 그런 명령이 없어도 많은 사람들은 본래적 실존의 이론을 수행의 지침으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로 하이네는 하이데거의 탈자적 시간성이 존재 그 자체에 관한 논의를 시간성 자체로부터 분리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하이데거는 시간과 현존이 사건 속에서 함께 주어진다고 밝혀 그들이 분리된 것이 아니라 공속적인 것임을 밝힌다. 상이한 것들의 공속성이 상이한 것들의 분리성을 전제한다고 보는 하이네의 태도는 현상학적 태도가 아니다. This essay examines the validity of Heine’s evaluation on Heidegger’s time-theory. His evaluation is to be summarized by four sentences. Firstly, Heidegger’s ecstatic temporality separates, according to Heine, present from past and future. However, in ‘anticipatory resoluteness’ (vorlaufende Entschlossenheit) and ‘calmness’ (Gelassenheit), present is not separated from past and future. Although it is true that anticipatory resoluteness begins from the anticipation of the death which is a future possibility, anticipatory resoluteness itself is the ecstatic temporality in which present is united with past and future. Likewise, although calmness begins from waiting for the call of Being that is a future possibility, calmness itself is the ecstatic temporality in which present is united with past and future. Secondly, Heidegger’s ecstatic temporality separates, according to Heine, Dasein from beings. But Heidegger elucidates the very difference between the being of Dasein and the being of other beings from the phenomenological viewpoint, and doesn’t argue that they could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irdly, Heidegger’s ecstatic temporality separates, according to Heine, theory from practice. Yet, the fact that Heidegger didn’t suggest authentic existence as a practical imperative can not be the reason for Heine’s assertion that the former separates theory from practice. For people can acknowledge that the theory of authentic existence might be a guide to practice. Fourthly, Heidegger’s ecstatic temporality separates, according to Heine, the question of Being as such from temporality itself. But Heidegger elucidates that time and presence are given together in the way of belonging-together from appropriative event (Ereignis). It is not phenomenology but substantialism to believe that the phenomenon of the belonging-together of different things (time and presence) presupposes the substantial separation of the different things.

      • KCI등재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나타난 '본래성'의 의미와 그 교육적 함의

        신교남(Shin Kyo Nam),이병승(Lee Byung Se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나타난 '본래성'의 의미를 고찰하고, '본래성' 회복 과정에서 나타난 교육적 함의를 탐구하는 데 있다. 하이데거가 존재론에서 밝히고자 한 중요한 과제들 중의 하나는 현존재의 본래성 회복이며 이는 양심과 결단이 요청된다. 현존재는 세계-내-존재로서, 또한 시간의 개념을 가진 존재로서 죽음을 인식하고 이것을 계기로 새로운 결단을 내리며 의지를 가지고 실천하려고 애쓰는 존재이다. 죽음은 형식적인 교육을 통해 인식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그것은 실존주의자들이 강조한 바 있는 비형식적 혹은 단속적인 교육을 통해 자각되는 대상이다. 삶에서 만나는 위기, 각성, 충고, 만남, 죽음 등을 통해서 인간은 용기 있는 결단을 내리고 강한 의지로 실천한다. 죽음이라는 사건을 통해 양심의 소리를 듣고 결단하여 실천하는, 그리하여 스스로 인생의 주체가 되는 본래성 회복의 과정은 자기교육이라는 교육학적 함의를 담고 있다. 본래성 회복은 지ㆍ정ㆍ의 중 의지적 부분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양심과 결단을 필요로 한다고 볼 수 있다. 죽음이 본래성 회복의 중요한 계기인 동시에 삶 전환의 중요 사건이라면 자기교육의 하나인 죽음교육은 중요한 주제로서 장차 무게 있게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authenticity in the ontology of Heidegger and to suggest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Heidegger understood the usual life of Dasein is inauthentic. Human beings should recover the authenticity by means of conscience and resoluteness. The ways of life of Dasein that lives a life without authenticity are idle talk, curiosity, and ambiguity, and such being-in-the-world lives together with other people without problems. Dasein as an individual recognizes anxieties when he faces death to recover authenticity but this is the turning point to transform his normal life to the authentic one. Death cannot be understood via the formal education but should be accpeted through the non-formal and non-continual education that is emphasized by the ontologist. Crisis, awakening, advice, relationships, death during the life motivate the human being to make decisions and to take actions. If the conscience and the resoluteness through forerunning to death are the methods to recover the authenticity, those recovering process should hav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elf-education for the human beings to be the owner of their life. Will represents the conscience and resoluteness that is needed to recover the authenticity. If death is the important motivation to recover the authenticity as well as the critical event to transform the life, death education as one of self-education methods should be the essential subject for future study.

      • KCI등재

        현존재의 근원적 불안과 선구하는 결단성

        권순홍 범한철학회 2020 汎韓哲學 Vol.99 No.4

        이 글은 불안 4부작의 마지막 논문이다. 잠복한 불안과는 달리 근원적 불안은 현존재에 게 본래성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특히 근원적 불안은 불안의 까닭에서 제시되는 본래적 실 존의 도약대에 오르도록 현존재를 무시무시한 기분으로 위협한다. 그러나 근원적 불안이 기 투 현상과 손잡지 않고 혼자서도 현존재의 본래적 실존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 근원적 불안은 현존재의 유정성에 지나지 않는다. 피투성, 기투, 퇴락 등 세 가지 구조계 기로 구성된 염려의 구조적 통일성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유정성과 이해 또는 피투성과 기투는 구조적으로 통일된 채 서로 연동한다. 근원적 불안은 특출한 유정성답게 특출한 기 투 현상과 구조적 통일성을 형성하면서 서로 연동한다. 근원적 불안의 유정성과 연동하는 특출한 기투는 양심 현상에서 나타나는 책임존재로의 기투와 죽음으로의 기투이다. 또한 근 원적 불안의 유정성과 두 기투는 침묵으로서의 말과 함께 그 구조적 통일성에서 선구하는 결단성을 형성한다. 한편 근원적 불안은 본래적 실존을 장악하도록 현존재를 위협하는 데에서 알 수 있듯이, 고강도의 힘을 행사한다. 사실 현존재가 세인의 무리에서 고유한 자기를 되찾을 수 있도록 책임존재로 자신을 기투하는 것은 근원적 불안의 위력에 힘입은 덕분이다. 게다가 현존재가 죽음으로 선구하는 가운데 본래적 가능성을 선택하고 그리로 자신을 기투하는 것도 근원적 불안의 위력에 힙입은 덕분이다. 요컨대 현존재가 선구하는 결단성에서 근원적 방식으로 실 존하는 것은 근원적 불안의 고강도 위력에 힘입은 덕분이다. 이렇게 근원적 불안은 현존재 의 실존에서 책임존재와 죽음으로의 기투가, 한마디로 선구하는 결단성이 단행되도록 두 기 투를 가동하는 근원적 힘으로 활약한다. This is the last of four papers dealing with the phenomenon of anxiety. Unlike the latent anxiety, the original anxiety provides the possibility of authenticity to There-being. In particular, the original anxiety threatens There-being with an awesome mood to reach a springboard of the authentic existence presented by a structural moment of anxiety-for. However, the original anxiety does not enable the authentic existence of There-being by itself without joining with the phenomenon of project. The original anxiety is nothing more than the disposedness of Therebeing. As can be seen from the structural unity of concern composed of three structural moments such as thrownness, project and falling, disposedness and understanding or thrownness and project are structurally unified and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 original anxiety as an extraordinary mood must be interlocked with the outstanding phenomenon of project while forming the structural unity with it. The outstanding projects that are interlocked with the original anxiety are the project onto being-responsible and the project onto the death presented in the phenomenon of conscience. Also, the disposedness of original anxiety, the two projects and the talk as a silence form the anticipatory resoluteness in their structural unity. The original anxiety exerts a high-intensity power, as can be seen from threatening There-being to seize the authentic existence. It is thanks to the high-intensity power of original anxiety that There-being regains its own self from the They and projects itself onto being-responsible. In addition, it is thanks to the high-intensity power of original anxiety that There-being chooses the authentic possibility and projects itself onto it by running ahead to its own death. In short, it is thanks to the high-intensity power of original anxiety that There-being can exist in the original way of existence of the anticipatory resoluteness. In this way, the original anxiety exerts a overwhelming power that causes the anticipatory resoluteness with the two projects in the existence of There-being.

      • KCI등재

        실존론적 결단 행위의 무신론적 정향 문제 - 하이데거의 현존재 개념에 대한 본회퍼의 신학적-철학적 평가

        박욱주 한국대학선교학회 2019 대학과 선교 Vol.41 No.-

        In Akt und Sein, Bonhoeffer introduces Heidegger’s Sein und Zeit and examines the theological validity of the ontological thoughts articulated in the work.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hilosophical themes of ontic finitude and Dasein’s individuality and their theological implications, which Bonhoeffer elucidates in the process. And it also investigates his method of utilizing the core insights of Heideggerian existential ontology to advocate his own theistic anthropology. The former part of the study deals with Bonhoeffer’s critique of German epistemology and ontology. He delivers a sharp critique of the desire for self-deification and self-absolutization of human consciousness embedded in German Idealism and Husserlian phenomenology. In lieu of the argument that precedes it, the latter part of the study highlights his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Heideggerian existential ontology. Bonhoeffer acknowledges that Heidegger’s concept of the question of being matches his concept of the being-act dialectic. On the contrary, he firmly denies the attitude of self-absolutization shown in Heidegger’s concept of resolute temporality. This study has attempted to demonstrate that Bonhoeffer’s critical arguments on “secular” philosophy constitute a theological exemplar for studies aimed at articulating theistic-Christian transcendentalism and ontology. 본회퍼는 『행위와 존재』에서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을 소개하며 그 안에 포함된 존재사유의 신학적 적절성을 검토한다. 본 연구는 이런 검토 과정에서 본회퍼가 해명한 존재적 유한성과 현존재의 개별성이라는 철학적 테제를 중점 조명한다. 아울러 그가 어떤 방식으로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존재론이 전하는 핵심적인 통찰을 유신론적 인간학을 변론하는 데 활용하는지 살핀다. 논의의 전반부에서는 본회퍼가 수행한 독일 인식론과 존재론의 비판방식을 되짚어 본다. 그리고 이를 통해 그가 독일 관념론과 후설 현상학을 관통하는 인간 의식의 자기신격화 및 자기절대화 열망을 어떻게 폭로하고 비판하는지 알아본다. 후반부에서는 전반부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회퍼가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존재론에 함축된 신학적 함의들을 조명하는 방식들을 조사한다. 이로써 본회퍼의 존재-행위 변증법에 부합하는 하이데거 존재물음 논의의 긍정적 의의를 지목하는 한편, 결단의 시간성 개념에 내재되어 있는 자기절대화 경향의 부정적 의의 또한 조명해 본다. 이로써 본 연구는 본회퍼의 세속 철학에 대한 비판 작업이 유신론적-그리스도교적 선험론과 존재론 정립을 위한 모범을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려 한다.

      • KCI등재

        "Authenticity" 개념에 관한 교육학적 일고찰: 하이데거의 "죽음과 탄생"의 교육론

        서용석 ( Yong Seok Se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1 교육철학연구 Vol.33 No.3

        본 논문은 최근 우리 사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용어로서 ``authenticity``의 의미를 하이데거 존재론의 논의를 중심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하이데거의 용어로서의 ``authenticity``는 일반적으로 ``본래성``으로 번역되며, 이 용어에는 현존재의 본래적이지 않은 상태(즉, 비본래성)와의 대비가 들어있다. 따라서 본래성의 의미는 본래성을 상실한 상태가 어떤 것인가를 살펴봄으로써 일차적으로 밝혀질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본래성 개념에 내포된 하이데거의 강력한 교육학적 관심 또한 확인될 수 있다. 사실상, 본래성 개념은『존재와 시간』에 잠재적 형태로 들어 있는 하이데거의 교육이론에서 단연 핵심적인 지위를 차지한다. 『존재와 시간』에서 본래성은 ``선구적 결단``이라는 최종적 형태로 제시되며, ``선구적 결단``은 현존재의 실존적 죽음과 탄생이라는 두 극적 계기를 포함하는 실존적 운동으로 이루어진다. 본래성을 향한 실존적 운동은 현존재로 하여금 자신이 거주하는 세계에 주관적 깊이와 무게를 부여하도록 만들며, 이것은 현존재 자신의 존재에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한다. 본래성 개념이 갖는 교육학적 포인트는 바로 여기에 있다. 각자가 자신의 삶에서 주인이 되어야 한다는, 본래성 개념에 대한 낭만주의적 해석은 이 심각한 포인트를 놓치고 있다. 『존재와 시간』에 나타난 본래성 개념은 인간의 삶은 그 전체가 자신의 본래성을 끊임없이 추구해가는 실천적 수행이 이루어지는 교육의 장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In recent years our society has made frequent use of the term ``authenticity`` in both everyday and academic linguistic context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ich meanings of the concept of authenticit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Martin Heidegger`s use of the term in his magnum opus, Being and Time, and attempts to unfold Heidegger`s deepest educational considerations on the nature of human beings and their truthful existence that the concept carries with it. What is essential to the concept of authenticity is the idea of ``one`s own``, and thus authenticity or authentic existence stands in stark contrast to inauthenticity or inauthentic existence in which one`s own self is lost in the ``they``, which in Being and Time stands for anonymous social norms and standards. A hasty, yet very common reading of the everydayness of human existence pictured in Being and Time, however, should be resisted. It is not argued that human existence is ``proximally and for the most part`` inauthentic. Rather, inauthenticity should be taken as a particular condition in which Dasein finds itself when it somehow avoids the challenges of existential anxiety. In Being and Time, authenticity finds its fully developed form in ``forerunning resoluteness``, which can be taken to mean ``readiness-for-anxiety`` or ``readiness-for-existential death``. Existential death is a limit-situation in which Dasein cannot project itself upon any possible way to be since the world in which it operates collapses into total insignificance. In and through forerunning resoluteness, Dasein is existentially awakened and asked to be nonvolitionally resolute enough to be reborn. Then a moment of vision(Augenblick) befalls Dasein, and it experiences an emergence of a subjectively meaningful world. Whatever reborn Dasein does in this world truly belongs to its own self and thus can be said to be authentic. The concept of authenticity in Being and Time shows that the human life as a whole and in its every moment is an educational ground on which Dasein is always invited to the dramatic event of existential death and birth and thereby undergoes a radical transformation of its entire being.

      • KCI등재

        지리산권 남원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원천-- ‘휴머니즘’과 ‘실존적 결단’

        문동규 동학학회 2014 동학학보 Vol.0 No.31

        이 글은 지리산권 남원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원천을 ‘휴머니즘’과 ‘실존적 결단’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1894년 지리산권 남원지역에서는 동학농민혁명이 발생했다. 남원에서 김홍기, 이기동, 최진학, 전태옥, 김종학, 이기면, 이창우, 김우칙, 김연호 등이 기포(起包)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기포는 ‘잘 살기’ 위해서였다. 모순투성이의 현실세계와 고달픈 삶을 저 멀리 던져버리고 새로운 세상을 다시 여는 이상적인 세계관과 이상적인 삶에 대한 지향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 혁명의 원천은 역시 동학사상에 있다. 그것도 동학사상 저변에 흐르고 있는 휴머니즘 말이다. 이때 휴머니즘은 ‘인간의 인간다움’을 말하는 것으로서 ‘인간의 존재방식’과 연관되어 있다. 물론 인간의 존재방식은 ‘실존’을 말한다. 그런데 휴머니즘이 동학사상 근저에 흐르고 있다고 해서 이상적인 세계와 이상적인 삶에 대한 지향인 동학농민혁명이 나타날 수는 없다. 사실 휴머니즘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실존적 결단’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실존적 결단’이란 인간이 자신의 삶을 자기 자신이 아닌 세론이나 익명의 세인에게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서 선택하는 것, 즉 자신의 삶을 비본래적인 삶으로부터 본래적인 삶으로 변양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 자기 자신에게서 울려 퍼지는 양심의 소리를 인수하여 본래적인 삶을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것이 지리산권 남원지역의 동학농민군에게서 나타났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자신의 본래적인 삶을 살기 위해 1894년의 혁명에 참여하면서 그 기간 동안 주체적으로 살았던 것이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