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 교실수업연구를 위한 관점 제안 - 엘리아스의 ‘문명화 과정’을 중심으로 -

        옹진환(Ong, Jin-h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는 엘리아스의 사회학 논의를 참고하여 사회과교육에서 교실수업연구를 위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엘리아스는 ‘결합태’ 개념을 활용하여 사회와 개인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드러내고, 경기 모델을 통해 사회 변화 양상의 의미를 제 시하며, 이를 뒷받침하는 내적 통제 기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교실수업을 분석하는 하나의 관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엘리아스의 논의를 통해 교사와 학생의 이분법적 구조에 입각한 논의 실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정태적인 시 각에서 이뤄지는 연구수업 등의 문제를 지적할 수 있다. 또한 변화하는 교실환경에서도 여전히 나타나는 다양한 통제 양상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사회과 교실수업연구에서 주목해야 할 점을 크게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과 교실수업연구에 있어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의존성에 관심을 갖는 연구들이 늘어날 필요가 있다. 둘째, 반성적 실천가의 의미를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확장하여 사회과의 사회과학 내용이 시민성 교육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에 주목해야 한다. 셋째, 민주시민교육의 취지에서 사회과 수업에서 나타나는 내적 통제의 일환으로 학생들 간의 권력 관계 역시 사회과 교실수업연구의 주제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suggests a new perspective for classroom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Specifically, based on Elias s theory of sociology, this paper suggests some aspects of classroom research. Elias noted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the individual and suggested a model of competition as a tool to explain social change. It also explains how the internal control mechanism works to support this. This analysis can be used as a perspective for analyzing classroom instruction. In other words, through the discussion of Elias, the discussion of the discussion based on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the teacher and the student can be confirmed, and the problems such as the research class conducted from a static perspective can be pointed out. You can also see the various aspects of control that still appear in a changing classroom environment.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researcher presented three notable parts of social studies classroom study. First, research on teacher-student interdepence needs to be increased in social studies classroom research. Second, the meaning of reflective practitioners should be extended to both teachers and students, and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social science contents of social studies into citizenship education. Third, as a democratic civic education, one of the internal controls that appear in social studies classes, power relations between students also need to be treated as an important subject of social studies classroom research.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과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사회과교육연구』의 연구 동향 분석

        허수미,김세현,최율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0 사회과교육연구 Vol.27 No.2

        This Meta-analysis examined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using text mining, network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In analyzing every article published in the journal from 2003 to 2019,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rends and network relations among major research topics. Based on these results, we also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his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quantitative imbalance among the seven major research topics. While the imbalance has been reduced in recent years, the topics considered to be the basi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such as citizenship and democracy have critically decreased. Second, research on curriculum, textbook, and lesson study is overly isolated. It is important to maintain balance between in-depth research and integrated research by expanding the integrated research strategy for those isolated research topic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Meta-analysis for research on social studies education based on new methodological approaches such as big data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마이닝과 연결망분석 그리고 질적 연구방법을 혼합하여 ‘사회과교육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2003년부터 2019년까지 발행된 모든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특성과 주제간 연결관계를 설명하고 보완이 필요한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사회과교육연구는 연구주제 간 편차가 존재했고 점차 연구다양성과 영역 간 균형성이 개선되고 있으나 사회과 본질과 관련된 기초연구주제의 약화는 보완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교과서, 수업연구 영역이 지나치게 독자적인 영역으로 연구되는 경향이 보이며, 이러한 영역에서 연계성을 가진 통합형 연구의 확대 및 질적 개선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영역별 심층 연구와 연계성이 강화된 통합형 연구의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과교육 연구 분야에 대한 빅데이터분석 등 새로운 연구기법을 활용한 메타연구 활성화가 필요하다.

      • 사회과 교육정보화 관련 연구동향과 과제

        윤혜순(Yun, Hye-Su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5 학습과학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사회과 교육정보화 관련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주요 성과와 연구과제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후보)학술지에서 선정한 사회과 교육정보화 관련 논문 106편을 내용분석법을 통해 연도 및 학술지 별 연구현황, 연구방법,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1996년 이후로 연구가 시작되었고, 200년대 들어 교육정보화정책과 첨단 테크놀로지 활용교육이 확대되면서 연구도 증가하였다. 둘째, 사회과 교육과 교육공학 분야에서 주로 다루었으나, 29개의 학술지에 발표될 정도로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되었다. 셋째, 연구방법은 실험연구가 가장 많고, 문헌연구, 개발연구, 조사연구의 순으로 많았다. 넷째, 연구영역은 설계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활용과 개발에 관한 순서로 진행되었다. 다섯째, 테크놀로지 유형에 따른 연구는 기술변화에 따라 연구가 이루어졌고 웹기반 학습, 모바일 러닝, 컴퓨터기반 학습 활용에 관한 연구가 많았다. 최근 모바일러닝에 관한 연구가 확대된 것은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따른 것이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회과 교육정보화 관련 연구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will look at the trend of research in the social studies upon ICT Policy in education and analyze its major performance and tasks. Toward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the subjects, method, and topics of 106 theses related to the social studies upon ICT Policy in education selected from academic papers registered or to be registered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First, the research began in 1996 and increased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ICT Policy in education and expansion of education using advanced technology in the 2000s. Second, although the research mainly involved subject of social studies and Educational Technology, it was studied in diverse fields as can be seen in the publications in academic journals as many as 29. Third, as for the research method, experiment research was most frequent,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 development research and survey research. Fourth, as for the research domain, design was most frequent, followed by usage and development. Finally, research on the technology type changed according to evolving technology and there were a number of studies regarding the usage of web-based learning, mobile learning and computer-based learning. The recent expansion of research on mobile learning can be attributed to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xtbook for the subject of social stud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s future tasks of research on social studies upon ICT Policy.

      • KCI등재

        인문사회 영재교육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안재형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1

        The present study sought to answer two research questions: Firstly, How do teaching and learning occur in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econdly, What a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the study found that the potentials for new education examined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and interpreted: (1) The students come to engage in creative thinking, whereby they see the world from uncommon perspectives. (2) Motivated, the students build their confidence and design their future selves, thus experiencing the growth of their own selves. (3) Through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he students learn to see an even bigger world. (4) The students encounter “alter egos” who share their interests and passion. (5)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emonstrates the power to be free from a climate that emphasizes private/extracurricular education. The limitation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tasks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nd examined: (1) As for the curricula, while student-centered classes abound, teacher-centered classes are deficient. (2) The gifted education center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s situated in an educational climate that stresses results over processes. (3) There are not enough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본 연구는 인문사회 영재교육원을 연구현장으로 선정하여 인문사회 영재교육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인문사회 영재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진단하고, 발전적인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인문사회 영재교육에서의 상호작용을 총체적으로, 또한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므로, 본 연구는‘문화기술적 사례연구’를 통한 참여관찰과 면담을 연구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문사회 영재교육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다고 평가받고 있는 국내 최초의 인문사회 영재교육원에서 2014학년도에 진행된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참여관찰하였고, 인문사회 영재교육 대상자로 선발된 세 명의 학생, 수업을 담당한 한 명의 교사와 면담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인문사회 영재교육의 가르침과 배움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기술하고 분석함으로써, 둘째,‘인문사회 영재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는 무엇인가?’의 답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문사회 영재교육원에서의‘가르침’과‘배움’을 통해 파악한 새로운 교육의 가능성을 첫째,‘창의적 사고’, 둘째,‘자아 성장’, 셋째,‘융합과 통합’, 넷째,‘흥미와 열정을 함께 나누는 또 다른 나’, 다섯째,‘사교육 풍토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인문사회 영재교육의 힘’이라는 다섯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인문사회 영재교육원이 안고 있는 한계와 과제를 첫째,‘넘치는 학생 중심 수업과 부족한 교사 중심 수업’, 둘째,‘과정보다 결과를 중시하는 교육풍토’, 셋째,‘인문사회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부족’이라는 세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해석하였다.

      • KCI등재후보

        북한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신효숙 통일연구원 2006 統一 政策 硏究 Vol.15 No.1

        The aim of th study is to present prospects of North Korean educational study, through discussing the issues and evaluating the results of study. Area of North Korean educational study has been surprisingly extended since 1990, especially after the historical South-North Korean sumit talks. Thus focusing to recent study results of North Korean education, this research values issues and efforts, and tries to show directions of development in the future. in the second chapter by arranging present conditions of North Korean educational study in periods and subjects, it displays characteristics and limits of the study. The third chapter classi-fies results of North Korean educational study into detailed subjects which include methods and theories of the research, the educational policy and object, the compulsory educational policy and school educational system, social functions of education, and the historical study of education. They presented and evaluated issues that could be disputed. The conclusion assesses overall outcomes of studies and shows developmental directions of North Korean educational studies.

      • KCI등재

        인문사회 영재교육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안보형(Ahn Boh hy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인문사회 영재교육원을 연구현장으로 선정하여 인문사회 영재교육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인문사회 영재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진단하고, 발전적인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인문사회 영재교육에서의 상호작용을 총체적으로, 또한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므로, 본 연구는‘문화기술적 사례연구’를 통한 참여관찰과 면담을 연구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문사회 영재교육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다고 평가받고 있는 국내 최초의 인문사회 영재교육원에서 2014학년도에 진행된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참여관찰하였고, 인문사회 영재교육 대상자로 선발된 세 명의 학생, 수업을 담당한 한 명의 교사와 면담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인문사회 영재교육의 가르침과 배움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기술하고 분석함으로써, 둘째,‘인문사회 영재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는 무엇인가?’의 답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문사회 영재교육원에서의‘가르침’과‘배움’을 통해 파악한 새로운 교육의 가능성을 첫째, ‘창의적 사고’, 둘째, ‘자아 성장’, 셋째, ‘융합과 통합’, 넷째, ‘흥미와 열정을 함께 나누는 또 다른 나’, 다섯째, ‘사교육 풍토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인문사회 영재교육의 힘’이라는 다섯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인문사회 영재교육원이 안고 있는 한계와 과제를 첫째,‘넘치는 학생 중심 수업과 부족한 교사 중심 수업’, 둘째, ‘과정보다 결과를 중시하는 교육풍토’, 셋째, ‘인문사회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부족’이라는 세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해석하였다. The present study sought to answer two research questions: Firstly, How do teaching and learning occur in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econdly, What a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the study found that the potentials for new education examined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and interpreted: (1) The students come to engage in creative thinking, whereby they see the world from uncommon perspectives. (2) Motivated, the students build their confidence and design their future selves, thus experiencing the growth of their own selves. (3) Through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he students learn to see an even bigger world. (4) The students encounter “alter egos” who share their interests and passion. (5)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emonstrates the power to be free from a climate that emphasizes private/extracurricular education. The limitation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tasks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nd examined: (1) As for the curricula, while student-centered classes abound, teacher-centered classes are deficient. (2) The gifted education center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s situated in an educational climate that stresses results over processes. (3) There are not enough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KCI등재

        고등학교 사회⋅예술 융합 수업 ‘핑크와 블루, 경계를 넘다’ 사례를 통한 사회과 창의교육 수업의 효과

        최윤정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교육 Vol.6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ink and Blue, Crossing the Border’, a social studies⋅arts convergent creative education lesson applied to S Girl’s high school in Seoul, and to discuss the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of such practices as a new attempt in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researcher planned the lesson and following research process through Design-Based Research method, and collected a variety of data given mixed method research including quantitative(pre- and post-surveys) as well as qualitative(student reflections, artifacts, and teacher report) sources generated in the course of lesson application and evaluation.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students' perception on social studies and creative competency improved to a significant level. In terms of students’ perception on the subject area, major changes were in subject value and subject learning self-efficacy, while in creative competency, improvements in divergent think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were noteworthy.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lesson was also at a high level (average 4.26/5 point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understanding of class content and materials used in class was particularly high. In the meantim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demonstrated the following as meaningful outcomes of the lesson: self-reflection on gender stereotypes and awareness expansion to social problems, experience of creative expression and new perspectives, and learning through interactions and sharing id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xploring various possibilities and attempts for creativity⋅convergence education in secondary social studies education given new educational demands expected in future social changes. 본 연구는 서울 S여자고등학교에 적용된 ‘핑크와 블루, 경계를 넘다’ 사회⋅예술 융합 창의교육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고 이러한 수업 실천 및 시도가 사회과교육에 시사하는 가능성과 의의를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설계기반연구 방법을 도입한 본 연구는 수업 적용 및 평가의 과정에서 생성된 양적(사전⋅사후 설문조사)⋅질적(학생의 수업 결과물 및 소감문, 교사의 수업적용보고서) 자료를 수집하고 혼합연구방법을 통해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교과 인식 및 창의 역량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교과 인식 측면에서는 교과 가치와 교과 학습 자기효능감에서, 창의 역량에서는 확산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측면에서의 변화가 주요하였다. 수업 만족도 또한 높은 수준(평균 4.28/5점)이었는데,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도와 수업에서 활용한 자료에 대한 만족도가 특히 높았다. 학생의 수업 소감문과 학습 결과물, 교사의 수업적용 보고서 등을 종합한 질적 분석의 결과, 성 고정관념에 대한 자아성찰 및 사회문제로의 인식 확장, 창의적 표현과 현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의 경험, 의사소통 및 공유를 통한 공동체적 배움이 수업에서의 긍정적 경험 요소들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 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교육적 수요에 따라 중등 사회과 수업에서의 창의융합교육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과 시도를 탐색하는데 유용한 학술적⋅실천적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언어,교육 : 일본어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실태 및개선 방안 -서울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인문학 ( Hwal Ran Kim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4 비교문화연구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ctual operation condition of Japaneselecture based o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located in Seoul to investigate the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terms of lifelong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remarkable point was that a majorityof Japanese lecture courses are highly focused on the elderly and 86% of thewelfare organizations are providing free education. Regarding the effect of specialized business for the aged run by social welfarecommunity center, it says, as Korea changing to aging society at the beginningof 21st century, it has put focus on strengthening personal competences ofseniors through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recreationalactivity programs and culture classes. It means foreign language classes areoperating as one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reinforcement ofindividual capability. Considering this tendency, it is expected that the lifelongeducation participation rate of the elder in Seoul will be raised. So, systematicimprovements will be needed for this. First, it is required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Educational and CulturalIndustry and work hard to make it public so it could be invigorated and utilizedby people usefully at the same time. Second, Japanese language training that mostly 55-year-old or more than60-year-old people receive at the welfare center needs to be systematized forpreparations on proper studying environment which provides the older withappropriate education method and content as well. Third, stable and systematic operation should be available through the linkwith experts in the field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elderly education. 338 비교문화연구 제35집 (2014. 6.)Fourth,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is needed, which is able to satisfyone`s desires for learning. Hence, targeting Japanese learners at each welfarecenter, we need to know the estimation of satisfaction degree and consciousnesson learning Japanese. Finally, it has not been studied sufficiently regarding the instructors onteaching Japanese language in this paper, but it has been reported that most ofsocial welfare centers, where Japanese language lectures are provided, are runby volunteers who can teach Japanese. Thus, the study on actual condition forJapanese language instructors will be conducted as well later on.

      • KCI등재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Methods Course to Prepare Elementary Teachers as Global Citizenship Educators

        Sohyun A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교과교육학연구 Vol.20 No.3

        This action research began with the premise of critical need of supporting elementary teacher candidates in their growth as global citizenship educators who have knowledge, passion and skills to incorporate global citizenship into daily teaching. Building on the literature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is action research joins a growing scholarship that informs the works to bring a global dimension to teacher education. It explores the nature and extent of globally oriented social studies methods course in assisting elementary teacher candidate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전공 대학원생의 질적연구방법론 수업경험에 관한 연구

        정혜숙,최문정,유정자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0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2 No.-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social welfare graduate students' experiences with a clas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its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education. The study participants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methodological pluralism contributing to the essential purpose of social work research through the heuristic paradigm. And they had an opportunity to appreciate the strength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fits to field-based research. They shared their experiences with the need for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through their attention to the external world and others, and their practice to self-reflection processes. The study results hint that students' difficulties learn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ould be achieved through a communal, mutual-aid process as the study participants had in their class. Suggestions include to develop a system to cultivate teaching manpower for and to enhance social welfare students' learning efficiency and accessibility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질적연구방법론’ 수업경험을 탐색해봄으로써 사회복지교육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질적연구방법론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은 휴리스틱패러다임 관점을 통해 사회복지조사의 본래 목적에 근거한 방법론적 다원화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현장중심연구에 적합한 질적연구방법론의 강점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그들은 질적연구과정에서 필요한 외부세계로의 집중과 자기성찰 및 타자중심으로 변화하는 훈련을 통해 반성적 사고 및 실천의 필요성을 공유하였다. 한편 낯설고 방대한 질적연구방법론 학습과정의 어려움은 학교수업과 같은 공동체적 지지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교육환경에서 극복해나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사회복지교육의 과제로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질적연구방법론 관련 학습 접근성 및 용이성을 높이기 위한 관련 교과목 개발과 개설의 활성화 그리고 교수인력 양성을 위한 시스템 개발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