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산운영관리 연구의 아젠다

        홍석기(Suk-Ki Hong) 한국생산관리학회 2012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3 No.4

        International academic associations tend to periodically publish research papers on their past and present research according to bibliometric analysis, and further present future research agenda. The Korean Produc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 Society (KPOMS), the representative academic association in Korea in subject of produc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 has seldom published research results on their journal characteristics by systematic methods like bibliometric analysis. This study examines 472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POMS from its first issue in Feb. 1990 to those in December. 2011 according to (1) author types, (2) research subjects, (3) research methods, and (4) research industri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uture research areas and some research guidelines for resear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POM research has been developed in diverse criteria including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with the Korean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of KPOM itself. In additions,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economy and academics, research in some areas like quality of work and environmental production has not been conducted sufficiently, and needs to be performed in the near future. 해외 전문학술지의 경우 학술지 발표논문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통하여 학술지뿐 아니라 연구자체의 과거와 현재를 조사하여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반하여 대한민국의 대표적 생산운영관련 학술단체인 한국생산관리학회가 발간하는『한국생산관리학회지』는 창간 이래로 학술지를 통해 발표된 연구결과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이 거의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한국생산관리학회지』의 창간호부터 2011년 12월까지 발간된 총 472편의 논문을 저자유형,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산업 분야 등을 기준으로 학술연구의 과거와 현재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분석결과 특정 주제에 대해 연구가 미진한 부분 등이 발견되었다. 이를 토대로 기존연구의 보완되어야 할 부분과 함께 미래연구를 위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국내 노사관계 연구의 지평과 과제

        양동훈,정선욱 한국인사조직학회 2015 인사조직연구 Vol.23 No.1

        This article conducts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f industrial relations (IR) research published in Korean, and sets forth future research agenda. Three hundred and fifteen IR-related articles from six major management journals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KJM),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JOM),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KJIR), Quarterly Journal of Labor Policy (QJLP), Business Administration Study (BAS), and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JBA) – for the period 1994~2014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research topic, research design, research methodology, and unit of analysis. Overall, 138 articles were published in KJIR, 49 in JOM, 34 in KJM, 42 in QJLP, 38 in KJBA, and 14 in BAS. The most frequent research topic was outcomes and changes in workplace IR (37%), follow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relations actors, such as employers, unions, and government (26%).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the majority of the studies were empirical (95%) and over half were cross-sectional (62%). Secondary data (35%) was the most common form of data used, followed by survey data (34%). Establishment/firm-level analysis (40%) was slightly more common than individual-level analysis (37%). Four notable results were found. First, as with most other IR studies, Korean research continues to examine practical IR issues, such as temporary work, work shifts, emotional labor, industrial unions, wage peak systems, and the extension of the statutory retirement age. Second, a growing number of studies have employed secondary data sets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the Korea Labor Institute (KLI),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oEL). Third, a growing number of well-designed, in-depth case studies have provided new theori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Examples include the studies of Hyundai Motors by Kwon and Yoon (2012) and Park (2013), the study of Yuhan Kimberly by Jung (2012), the study of Chosun Brewery Company by Park and Lim (2013), and the study of Posco by Park (2012). Finally, a growing number of studies have conducted industrial- and national-level rather than individual- and workplace-level IR analyses. The present study ends by recommending three research directions which deserve close attention. The first is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polarization of Korea’s industrial relations and the IR issues of small and mid-sized firms, considering that current studies tend to focus on the IR issues of large firms overlooking the real issues of small and mid-sized firms. Second, the legalization of labor relations deserves further scholarly attention. With the decrease in union density and a recent series of controversial labor issues, we have seen that labor relations tend to rely on court’s decision. Given the possible drawbacks of this, such as worsening labor-management relationship and lower receptivity of court’s decision by each party, the present study calls for the in-dep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nalysis of how to maintain the autonomy of collective bargaining and thus restore trust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while being complemented with court’s decision when necessary. The third possible research direction is for more attention to be paid to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firms and subsequent IR actors’ responses. Possible research topics include labor disputes, cross-cultural management, labor standards and union recognition in foreign subsidiaries, the transfer of Korean HR/IR practices to foreign subsidiaries, and labor unions’ response to outsourcing or the shifting of production to other countries. 본 연구는 지난 20년간 경영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노사관계 연구들을 주제별, 연구방법별로 분류하고 과거 연구동향을 정리하여 미흡한 부분을 미래 연구과제로 제시하고자 한다. 저자들은 문제해결 중심적이라는 노사관계학의 성격을 감안하여 경영학 분야 6개 저널(인사조직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산업관계연구, 대한경영학회지, 경영학연구, 노동정책연구)에 발간된 논문 315편을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작업장 혁신 및 숙련, 노동유연화, 제도적 압력과 작업장 변화등 작업장 노사관계의 결과 및 변화를 다룬 연구가 가장 많았고(37%), 그 다음으로 노사관계 주체간 관계, 즉 단체교섭, 노사갈등, 협상 및 조정, 근로자 참여 등에 연구가 많았다(26%). 방법론 측면에서는 실증연구가 대부분(95%)을 차지하였고, 횡단적 자료(62%) 사용이 많았다. 자료 수집 면에서는 2차 자료(35%)와 설문조사(34%)가 주를 이뤘고, 분석수준은 사업장/기업 수준(40%)과 개인 수준(37%)이 많았다.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연구 동향은 다음과 같다. 학문 특성을 반영하듯 비정규직, 산별노조, 임금피크제 등 시대상황을 반영한 연구가 많았고, 다양한 2차 자료를 활용한 사업장 수준의 연구가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 가설검증연구에 비해 사례연구는 매우 적었으나 체계적인 사례분석방법론을 활용하여 심도깊은 질적연구 결과물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이론 개발 가능성 및 풍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작업장수준과 개인 단위의 연구 외에 초기업적 차원의 제도, 관행 및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점차 증가한 점도 관찰되었다. 향후 연구 주제로서 저자들은 노사관계 양극화에 대한 방안, 노조조직률 하락에 따른 적절한 근로자대표성의 보완, 노동입법과 단체교섭 간의 역할분담, 글로벌 노사관계에 대한 대응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연구소 기반 집단 연구군의 DB 구축현황과 쟁점 − 인문한국플러스(HK+)지원사업단의 사업 성과를 중심으로 −

        김묘정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23 동방문화와 사상 Vol.15 No.-

        이 글은 연구소 기반 집단 연구군의 DB 구축 현황과 쟁점을 확인하고자 기획된 것으로, 연구소 기반 집단 연구군 중에서도 인문한국플러스(HK+)지원사업단의 사업 성과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대학 부설 연구소의 경우 집단 연구 과제를 수주하여 연구를 진행하는데, 이 글에서는 인문한국플러스(HK+)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연구소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인문학연구의 사회적 확산이라는 취지에 맞춰 연구가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는지 살피는 동시에 이들 연구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DB 구축 현황을 중점적으로 검토해보았다. 이에 2장에서는 먼저 집단 연구군 인문한국플러스(HK+)지원사업단을 전체적으로 개관하는 동시에 DB 구축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어서 3장에서는 DB 구축 양상을 세 가지 형태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는데, 첫 번째로는 인문기초학문분야의 아젠다 중심 DB 구축 양상을 분석하였다. 인문기초학문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소의 경우 대부분 문학, 역사, 철학 등의 기초 인문학 연구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각 연구소에서 상정한 아젠다(Agenda)를 중심으로 DB를 구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는 인문한국플러스(HK+)지원사업을 수행하는 연구소들 가운데 연구 필요에 의해 그리고 학문에 대한 기여를 목적으로 자체적으로 디지털 사전을 편찬해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인연구군에서 해결할 수 없는 방대한 자료의 집대성, 그중에서도 가장 많은 시간과 공력을 요구하는 디지털 사전 편찬이라는 작업이 연구소 기반 집단연구군에 의해 시도되고 또 결과물로 도출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세 번째로는 해외지역분야의 DB 구축 양상을 살피는 동시에 해외 자료 수집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이에 해외 지역학 중심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문화, 정치, 경제, 사회 등의 제 분야를 망라하여 해외 지역학 그 자체에 관심을 두고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우리 학계에서 용이한 연구가 가능하도록 DB를 구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글은 각 연구소에서 구상하고 또 시행하고 있는 인문한국플러스(HK+)지원사업 가운데 DB관련 대표 성과를 예시로 제시하면서 향후 디지털 인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그려보고자 한 것이다. DB의 경우 학문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기본 토대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연구소 중심 사업 성과가 종합적으로 제시된 바 없으므로 이 글에서는 DB 성과를 중심으로 분석해 발전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DB construction in the research institute-based group research group, and discussed focusing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HK+ project group among the research institute-based group research groups. In the case of university-affiliated research institutes, they receive a group research project and conduct research, and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direction in which research is being conducted in line with the purpose of social spread of humanities research, while focusing on the current status of DB construction in these research institutes. Accordingly, in Chapter 2, the research group HK+ project group was reviewed as a whole and the DB construction pattern was reviewed. Subsequently, in Chapter 3, the DB construction pattern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and discussed. First, the agenda-oriented DB construction pattern in the humanities and basic studies field was analyzed. Most of the research institutes that conduct research in the field of basic humanities have focused on strengthening basic humanities research capabilities such a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so they have confirmed that they are building a DB around Agenda proposed by each research institute. Secondly,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research institutes conducting the HK+ project, data is visualized by compiling digital dictionaries on their own according to research needs and for the purpose of contributing to learning. It is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the massive collection of data that cannot be solved by the individual research group, among them, digital dictionary compilation, which requires the most time and effort, was attempted and derived by the research institute-based group research group. Third, while examining the construction pattern of DB in overseas regional fields, the meaning of overseas data collection was also discussed. Accordingly, research centered on overseas regional studies is being conducted,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DB is being established so that it can be easily studied in our academic world by collecting data from all fields such as culture,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This article aims to draw the future direction of digital humanities by presenting representative achievements related to DB among the HK+ projects envisioned and implemented by each research institute. In the case of DB, despite the basic foundation data that can contribute to academic development, the performance of the research institute-centered project has not been comprehensively presented, so this article attempt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by analyzing DB performance.

      • KCI등재

        영남문화 연구에 대한 반성적 전망 -영남문화연구원의 연구를 중심으로-

        황위주 ( Wee Zoo Hwa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6 嶺南學 Vol.0 No.29

        본고는 영남문화연구원에서 지난 15년 동안 수행한 연구의 현황을 검토한 다음, 향후의 연구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 것이다. 영남문화연구원에서 그동안 수행한 연구 가운데 가장 주목할 성과는 ‘낙동강유역의 인간과 문화’‘고문서를 활용한 영남지역 생활문화 연구’ ‘영남지역 고문서 아카이브 구축과 계층별 생활사 연구’ ‘권역별 거점연구소 협동번역사업’ ‘경북 주요종가 소개책자 및 영상물 제작’ 등 5종이었고, 기타 ‘문헌·서지’ ‘인물’ ‘유물·유적’등에 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였다. 그러나 이런 연구의 이면에는 장기지속적인 과제의 부족, 외부 의뢰에 편승한 수동적인 연구 편중, 연구대상 선택의 엄정성 부족 등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향후에는 우선 이와 같은 기존연구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가다듬는데서 시작해야 할 터인데, 이를 위해서는 먼저 콜로키엄의 활성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구체적 연구에 있어서는 현재 진행 중인 연구를 보완하고 확대하는 차원의 연구, 예컨대 ‘주요 문헌의 역주’ ‘종가 연구의 이론 보완과 아젠다화’ ‘인물 연구의 체계화’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겠고, 지금까지 유의하지 못한 대상, 예컨대 ‘정체성과 관련한 상주지역’ ‘대구 경북에서 주목받고 있는 세계문화유산’ ‘기존 연구에서의 소외지역’ 등의 연구에 특별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모든 연구는 결국 인재 확보와 제도 정비 문제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향후에는 이런 문제 해결에 연구 못지않게 유의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Youngnam Culture Institute``s 15 years of research results, and presents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The most noteworthy research achievements of Youngnam Culture Institute include the following five areas: Humans and Cultures in the Nakdonggang River Basin; Research on Yeongnam Region``s Lifestyle Culture Using Historical Documents; Construction of Archives of Yeongnam Region``s Ancient Historical Documents and Research on History of Lifestyles by Class of People; Joint Translation Project between Regional Hub Research Centers; and Production of Major Gyeongbuk Head Families Handbooks and Videos. Studies on other literature and biographies, historical figures, historical relics and remains have also been actively conducted. But, behind these studies were a lack of long-time projects, passive research activities based on external requests, and a lack of appropriate selection of targets of research. Future research should begin by improving the methodologies designed to overcome these research problems, and towards that end, first, colloquium should be activated. Also, withregard to specific research, there is a need to complement and expand ongoing studies, such as annotation of major literature, theoretical complementation for research on head families and putting them into /agenda, and systemization of research on historical figures. Further, there is a nee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targets receiving little attention, such as Sangju related to stagnant development, World``s cultural heritages receiving attention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s excluded from existing research. However, all studies should boil down to the securing of talented researchers and improvement of relevant systems. Thus, these problems should be tackled as hard as the research itself.

      • The Truth about Smart Tourism: A Qualitative Research Agenda

        Hyo Dan Cho Smart Tourism Research Center 2023 Journal of smart tourism Vol.3 No.4

        This research note aims to provide a critical understanding of "tourist stupidity" and "exclusiveness" within the smart tourism domain and to propose a corresponding qualitative research agenda. It argues that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are too infrequently applied, leading to a paradox evident in smart tourism studies. Accordingly, it suggests that embracing a qualitative perspective is essential to diversify the scholarly discourse and promote advanced inquiry in the field of smart tourism. It further seeks to contribute to ongoing debates by focusing on umbrella terms, such as "tourist stupidity" and "exclusiveness," for a more nuanced and holistic understanding of smart tourism and proposes a research agenda that advocates a re-evaluation of qualitative approaches.

      • KCI등재

        저널리즘 연구 경향에 대한 국내외 비교 분석: 뉴스 관련 논문의 주제어 분석을 통해

        이종혁 ( Jong Hyuk Lee ),최윤정 ( Yun Jung Choi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5 No.3

        새로운 미디어기술의 확산과 뉴스 이용자의 적극적 참여로 저널리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데이터저널리즘, VR저널리즘, 네트워트저널리즘, 소셜저널리즘 등 새로운 양식에 대한 시도도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저널리즘 연구가 이러한 변화에 따라가지 못한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의식에서 최근 국내외 저널리즘 연구 경향을 살펴보고, 주로 사용되는 학술적 개념과 이론을 비교 분석하고자 기획됐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2∼2017년 국내외 학술지(외국7곳, 국내 6곳)에 게재된 뉴스 관련 논문395건(외국 212건, 국내 183건)을 수집했다. 이어서 이 논문들로부터 주제어 1,434개(외국 769개, 국내 665개)를 도출한 뒤, 추상적 개념, 구체적 개념, 이론으로 분류했다. 추가로 이 주제어들을 연구영역(S-M-C-R-E)과 연구수준(개인-관행-조직-조직 외부-이념)별로 나눠 분석했다. 분석결과, 외국 논문에서는 온라인뉴스(onlinenews)와 소셜미디어(social media) 등 매체를 뜻하는 구체적 개념들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추상적 개념 가운데는 선택적 노출(selective exposure)과 뉴스 가치(news values) 등이 주요 연구 소재로 등장했다. 국내 논문에서는 뉴스 가치, 다양성, 공정성 등의 추상적 개념과 취재원 등의 구체적 개념들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론에서는 프레이밍과 의제설정이 국내외 논문 모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요컨대, 취재원과 뉴스 가치 등의 전통적연구 소재들이 여전히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한편, 소셜미디어와 같은 기술 관련 소재나 댓글과 같은 이용자 참여에 대한 소재도 새롭게 나타나고 있었다. 저널리즘 이론에 대해서는 새로운 시도와 개발이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With the spread of new media technologies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news users, interest in journalism is increasing. However, there is also a criticism that journalism research can not keep up with these chang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trends of domestic and foreign journalism research and to analyze the academic concepts and theories used by the researc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395 news-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and overseas journals from 2012 to 2017. Then, from these articles, 1,434 key-words were derived and classified into abstract concept, concrete concept, and theory. In addition, these key-words were analyzed by research areas(S-M-C-R-E) and research levels(individual-routine-organization-extra mediaideology). As results, in foreign articles, the most frequently used concrete concepts were online news and social media. Among abstract concepts, selective exposure and news values have emerged as major research topics. In Korean articles, abstract concepts such as news value, diversity, and fairness, and the concrete concepts such as sources and news values were mentioned most frequently. In theory, framing and agenda setting were found to be the most used theories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In short, traditional research subjects such as news sources and news values are still being studied. On the other hand, new subjects about user participation and social media is drawing attention. In terms of theories, journalism researchers lack in new attempts and developments.

      • KCI등재

        해양관광 연구경향 분석을 통한 연구방향 탐색 연구

        진영재(Jin Young Jae) 한국해양관광학회 2008 해양관광학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search direction and guideline by analysis on trends of marine tourism research.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s, I surveyed against marine tourism research in korea on database of national assembly library. At the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marine tourism research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nine typ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esents a typology of marine tourism research result to search research direction and guideline on marine tourism research in future.

      • 초등학생 진로연구의 현황 및 진로상담의 과제

        공윤정(Younn-Jung Gong) 한국교육상담학회 2022 교육상담연구 Vol.3 No.2

        이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학술지에 게재된 초등학생 대상 진로상담 및 진로교육 관련 연구들을 검색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고, 진로상담 관련 연구가 기여하는 부분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2011년에서 2020년 8월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84개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진로 연구의 게재 동향으로는 2011 년부터 2020년 8월까지 비교적 지속적으로 초등학생 진로관련 논문이 발표되었다. 학술지별로는 실과교육연구, 초등상담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진로교육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순으로 진로관련 논문이 게재되었다. 둘째, 연구 주제별로는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관련 변인 연구가 75편으로 가장 많았고, 진로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연구 71편, 연구동향 리뷰 및 메타분석 연구 12편 등이었다. 셋째,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관련한 변인을 탐색한 연구에서는 진로성숙, 진로포부, 진로인식, 진로발달 등이 종속변인으로 다루어진 경우가 많았다. 넷째, 진로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평가 연구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비교 연구가 46편, 실험집단, 비교 집단, 통제집단의 세 집단 간 비교연구가 4편으로 비교적 과학적인 검증 절차를 거쳐 프로그램 효과 검증이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상담프로그램으로는 독서상담, 아동과 부모참여 집단상담, 빈곤가정 아동 대상 집단상담, 강점기반 집단상담, 스트로크 활용 집단상담 등 상담의 이론을 적용한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었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진로상담연구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초등학생 대상 진로상담연구의 과제로는 진로발달에 대한 종단 연구, 진로개인상담의 과정 및 성과연구, 최근의 진로상담이론과 경험적 연구결과를 통합한 진로개입 연구, 이주배경학생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y searching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education-related stud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over the past 10 yea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4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rom 2011 to August 2020.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pers were published relatively continuously by year. Studies were published in the order of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The Journal of Leam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and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al Research. Second, as for the research topic, there were 75 studies investigating variables related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71 studies on career program development and progrmn effectiveness, and 12 studies on research trend review and meta-analysis. Third, studies that explored variables related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opted variables such as career maturity, career aspiration, career perception, and career development. Fourth, most research on career progrmn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adopted the comparative studie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s for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s, various programs applying counseling theories were developed, such as reading counseling program, strength-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strok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asks for career counseling research are described. Research agenda include longitudinal studies on career development, studies on the process and outcome of individual career counseling, career intervention studies that integrate recent career counseling theories and empirical findings, and continuous research on elementry school students with various backgrounds.

      • KCI등재

        의제설정의 공공성으로 본 ‘한국형’ 인문사회과학 싱크탱크의 길

        이시윤 역사문제연구소 2024 역사비평 Vol.0 No.148

        1999년 정부출연 인문사회과학 국책연구기관들을 총괄하는 경제사회연구회와 인문사회연구회가 출범하고 2005년 경제·인문사회연구회로 통합된 이래 ‘한국형 싱크탱크(think tank)’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뤄져 왔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연구기관의 목표와 역할이라는 중심 정체성을 둘러싼 혼란 또한 오랜 기간 계속되었다. 이 글은 반복된 혼란의 근본적인 원인이 국책연구기관들이 생산해 온 지식의 공공성(公共性)에 대한 평가의 부재로부터 온다는 것을 지적하고, 공공성의 확보를 위해 상향식 의제설정을 확대하는 것으로부터 ‘한국형’의 길을 모색할 것을 제안한다. 먼저, 본고는 싱크탱크에서 생산된 지식의 공공성이 국가-시민사회-학술영역 사이 교집합을 형성하는 정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함을 골자로 하는 이론적 개념틀을 논의한다. 이어 2010년대 경제·인문사회연구회에서 수행된 796건의 연구 프로젝트 키워드 분석 결과를 통해 이곳이 거의 전적으로 하향식(top-down) 의제의 지식을 생산해 왔음을 본다. 결론에서는 국책연구기관이 아래로부터의 상향식(bottom-up) 의제 설정 채널의 확보를 통해 국가-시민사회-학술영역 사이 ‘생산적 긴장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지식의 공공성을 확보할 것을 제안하고, 이로부터 인문사회과학 싱크탱크를 만들어 나가는 데 필요한 고민 지점들을 논의한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and Social Sciences and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Humanities in 1999, which oversaw state-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their merger into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2005, efforts to build a “Korean think tank” have been ongoing. However, confusion over the central identity of research institutes’ goals and roles has persisted for a long time. This article argues that a fundamental cause of the repeated confusion is the lack of evaluation of the public nature of the knowledge produced by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and suggests that a ‘Korean-style’ path to securing publicity begins with expanding bottom-up agenda setting. First, this paper discusses a theoretical conceptual framework that suggests that the publicness of knowledge produced by think tanks should be evaluated by the extent to which it forms an intersection between the state, civil society, and academia. Then, through a keyword analysis of 796 research projects conducted by the Nationa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the 2010s, we show that the institute has almost exclusively produced knowledge with a top-down agenda. In the conclusion, I propose that the institute should secure the publicness of its knowledge by creating a “productive tension” between the state, civil society, and the academic sphere through securing channels for bottom-up agenda-setting, and discuss the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the futur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hink tank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