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슬픈 현대: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평화 르네 지라르의 최근 저작『클라우제비츠를 완성하다』를 중심으로

        정일권 ( Il Kwaen Chung ) 한국조직신학회 2013 組織神學論叢 Vol.36 No.-

        르네 지라르(Rene Girard)의 최근 저작『클라우제비츠를 완성하다』 는 프로이센 출신의 장교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Carl von Clausewitz)의 미완의 저서인『전쟁론』(Vom Kriege)을 다루고 있다. 본고에서는 아직 국내 번역되지 않은 지라르의 이 최근 저작 중 주요한 부분을 번역, 소개하면서 관련 논의들을 덧붙이고자 한다. 특히 지라르의 이론을 레비- 스트로스, 헤겔, 쉘링, 코제브, 클라우제비츠, 횔덜린, 니체, 하이데거, 레비나스 등의 사상과의 관련성 속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희생양 메커 니즘에 의해서 내부 폭력을 통제하면서 스스로를 보호한 전통적 사회 질서와 그 영원회귀의 사상이 기독교 의해 탈신성화 되면서 이제는 내적 중개와 부정적 무차별화로 특징지워지는 묵시록적 상황으로 변했다. 현대사회는 최선의 사회이기도 하지만, 최악의 사회, 특히 상처받기 쉬운 연약한 사회가 될 수도 있다. 지라르는 횔덜린의 슬픔, 침묵, 은거에 대한 논의에서 현대인들에게 타자와의 폭력적 근접성으로부터 올바른 거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레비- 스트로서의 소위 야만적인『슬픈 열대』를 염두에 두면서 본고는 뜨겁고도 묵시록적인『슬픈 현대』에 대해서 근본인류학적 성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지라르에 의하면 기독교는 인류를 희생제의적 목발로부터 해방시켰고, 동시에 우리의 운명에 대해서 보다 성숙한 자세로 책임지게 만들었다. 그렇기에 전지국적 차원에서 무차별화된 시대 속에서 평화를 위해서는 우리의 상처받기 쉬운 운명에 대한 보다 성숙하면서도 계몽된 묵시록적 합리성이 요청된다. Tristes Modernes, my comments on Ren? Girard`s latest Book Achever Clausewitz are named after Tristes Tropiques which was written by Claude Levi-Strauss, French anthropologist and one of the founders of structural anthropology. Levi-Strauss saw the world of the so-called savage mind vanishing around him. He visits the last remnants of indigenous tribes in the interior of Brazil, peoples who are being wiped out by the encroachment of western-modern civilization. The sadness of his title seems to be due in part to his realization of his culpability in this loss. The fifth chapter of Girard`s book Achever Clausewitz is entitled Tristesse de Holderlin. By meditating on Tristesse de Holderlin, Girard seems to deal with the greaty tragedy of our era of internal mediation and negative undifferentiation. His book is an apocalyptic book. According to Girard, by revealing the founding murder, Christianity destroyed the ignorance and and superstition that are indispensable to such religions. Our modern civilization is the most creative and powerful ever known, but also the most fragile and threatened because it no longerhas the safety valve of archaic religion. Girard has the impres-sion that Clausewitz held the key to understand the tragedy and sadness of the our apocalyptic modern world. Tristes Modernes are comments on the fragile, vulerable and apocalptic modernity. Concerning the increase in undifferentiation at the planetary level and our entrance into an era of internal mediation, Girard speaks of the apocalyptic turn. The linear time that the Crucified forced us to adpot makes the eternal return of the gods impossible, and thus also any mimetic reconciliation on the head of the innocent victims. But , according to Girard, ancient India had a capacity for renunciation that the West does not imagine. In my book, Paradoxie der weltgestaltenden Weltentsagung im Buddhismus. Ein Zugang aus der Sicht der mimetischen Theorie Rene Girards (Paradox of world-constructing world-renunciation in Buddhism. In the light of mimetic theory of Rene Girard), I have argued that this unimaginable capacity for renunciation in India and also in Buddhism(sacred institution of world-renunciation) could be understood as a kind of sacrificial institution. The sacred anti-structural institution of world-renunciation as safty valve could be thought of as a kind of contained chaos and the contained violence. This festive institution of world-renunciation seems to be an institution to contain violence. For Girard, Christian revelation acclerated a trend to extremes by eliminating more and more sacrifices. Girard argues that the West`s failing resides in its refusal to see the coming of Christianity as a liberating maturity, and anti-sacrificial education. Girard recommends a apocalyptic wisdom of right distance in our violent proximity to the other.

      • KCI등재

        르네 지라르 모방이론의 재인식 -모방적 욕망과 그 결과

        김진식 ( Jin Chic Kim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3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96

        Rene Girard maintient depuis Mensonge romantique et Verite romanesque que notre desir n`est pas desir spontane mais desir mimetique, a savoir que notre desir emane de la mimesis du desir de l`autre. Cependant, notre jugement sur l`imitation n`est pas univoque. Par exemple le conseil le plus repandu des dirigeants politiques de nos jours est <imitez moi, moi qui n`imite personne> comme une sorte de <double bind>. Contrairement au conseil des dirigeants, le conseil de Jesus-Christ nous invite a <imiter moi qui suis aussi imitateur>. Au moment de suivre le conseil de Jesus-Christ, dit Rene Girard, nous nous rendons compte que nous sommes deja imitateurs depuis longtemps. Devrons-nous admettre que nous sommes imitateurs? Il faut tout d`abord considerer notre vie quotidienne en detail. Pour bien comprendre la theorie mimetique de Rene Girard, il est necessaire d`examiner en detail le processus de naissance de ce que nous voulons ou ce que nous voulons etre. Nous voulons toujours faire quelque chose. Notre reflexion peut etre divisee en deux points. Tantot nous voulons faire ce qui est directement relie a notre existence et tantot ce qui n`est pas directement lie a notre existence. On peut discriminer ce qui est directement relie a notre existence et ce qui n`est pas directement lie a notre existence. On peut classer un comportement visant ce qui est directement relie a notre existence comme <besoin> et un comportement visant ce qui n`est pas directement lie a notre existence comme <desir>. Le besoin directement lie a notre existence est une sorte d`instinct humain c`est-a-dire phenomene naturel tout simplement. Assouvir des besoins est aussi un phenomene naturel. Donc remettre en question le fait d`assouvir des besoins est absurde. C`est pourquoi on peut dire que le besoin est une chose absolue tandis que le desir est une chose relative. Par suite, d`ou emane le desir relatif? Nous pensons comme evident que notre desir emane de nous-meme, c`est-a-dire spontanement. Si notre desir etait spontane nous serions autonomes. Si c`etait le cas, nous jugerions et deciderions toujours par nous-memes. Sommes-nous vraiment de tels etres? Mais souvent il nous arrive de realiser que notre gout nous vient d`un modele. Et lorsque nous achetons quelque chose d`important, nous nous referons a l`experience des autres; sur l`Internet pour trouver les gens qui nous entourent lateralement familiers avec le domaine qui nous interesse. Ainsi, toutes nos actions impliquent toujours les autres. En d`autres termes, nous desirons toujours par imitation des autres. Comme les romantiques l`affirment, si nous supposons que notre desir est spontane, c`est-a-dire que notre desir est autonome, nous devrions savoir de naissance ce que nous voudrions faire. Mais nous avons maintenant un nouveau desir que nous n`avons pas eu l`an dernier. Cela va sans dire que nous sommes affectes par des influences externes. On peut dire que ces influences externes ne sont que le fait d`autres hommes. Afin de bien nous representer les caracteristiques de nos desirs causes par l`imitation, Rene Girard a appele notre desir <desir mimetique>, cela veut dire que notre desir est cause par l`imitation du desir de l`autre. Nous pouvons constater que notre desir est metaphysique tandis que notre besoin est physique. Et avec l`aide de Geometrie du desir de Rene Girard nous avons pu constater que l`amitie et la haine ont la meme racine, et le sexe aussi est un resultat de la rivalite mimetique. De meme nous constatons que notre vie quotienne est aussi impregnee de l`imitation. Comme on le voit, nous pouvons constater la presence de l`imitation dans notre vie quotidienne et reconnaitre la pertinence de la Theorie Mimetique de Rene Girard. Et alors il arrive une grande opportunite propice pour la theorie mimetique. Il se confirme que nous ne pouvons pas imiter volontiers mais malgre nous-meme nous imitons, independamment de notre volonte. C`est par la decouverte des <neurones miroirs>, faite par l`experiences des sciences naturelles que la these se trouve validee. Nous sommes en mesure de reconnaitre l`importance de l`imitation de l`homme a travers la decouverte des neurones miroirs. Comme l`a ecrit Ramachandran, La decouverte des neurones miroirs est la plus importante nouvelle non-transmise de la decennie. Il y a fort a parier toutefois que cette decouverte va avoir d`enormes consequences pour notre comprehension de l`homme. Apres avoir atteste que notre desir s`impregne d`imitation et que le processus de notre conduite peut s`expliquer par les neurones miroirs, nous sommes en mesure de confirmer la pertinence de la Theorie mimetique de Rene Girard.

      • KCI등재후보

        현대 기독교철학의 동향 사실의 망각된 목소리 르네 지라르의 기독교 변증론 -해체주의 철학, 포스터모더니즘과 후기구조주의와의 이론논쟁 중심으로-

        정일권 ( Il Kwaen Chu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1 기독교철학 Vol.13 No.-

        Rene Girard was recently elected to one of only 40 members, or immortels,of the Academie Francaise, France`s highest intellectual honor. French President Nicolas Sarkozy was citing his words. Girard has received the Dr. Leopold-Lucas-Award of the Eberhard-Karls-University in Tubingen, Germany. The university awarded the prize for Girar`s fundamental and seminal cultural studies on violence and its containment. Girard`s work crosses the fields of literature, anthropology, theology, philosophy, sociology, psychology. His mimetic theory, emphasizes the role of imitation in our lives, as an effect and a behavior and a motivation. Girard`s theory suggests that mimesis is the basis of all human conflict, and that the resolution of conflict through the public sacrifice of a scapegoat was the very foundation of archaic religions and civilizations. Girar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ristian intellectuals of our time. With the publication of Things Hidden since the foundation of the world(1977), Girard began to make explicit the impact of Christianity on religion.He has continued to amplify his Christian apologetics in subsequent writings. He argues for Christianity`s unique status among religions. When properly understood, his mimetic theory can provide the basis and framework for a Christian apologetics that remains faithful to traditional doctrine while allowing those new to the faith a unique vista for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Christianity. Christianity, for Girard, is the end of archaic religions because it reveals that the victim is innocent. Girard`s insight that Jesus is not the ``immaculate victim`` of human violence who thereby becomes sacralized but someone who explodes that paradigm. Girard argues, with good reason, that this victim based reading of Scripture is wrong. Jesus`` incarnation did not take place to supply a victim adequate to his wrath; rather, Jesus came into the world precisely to reveal and abolish the nexus between violence and the sacred. I consider Girard`s work to be a convincing affirmation of the truth and uniqueness of Christianity in light of modern historical and anthropological methods. According to Girard, Nietzsche was the first philosopher to understand that the collective violence of myths and rituals (everything he named Dionysos) is of the same type as the violence of the Pass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s not in the facts, which are the same in both cases, but in their interpretation. Myths, Girard argues, are based on a unanimous persecution. Judaism and Christianity destroy this unanimity in order to defend the victims unjustly condemned and to condemn the executioners unjustly legitimated. Girard predicts the future Christian renaissance. Girard thinks the relativism of our time is the product of the failure of modern anthropology, of the attempt to resolve problems linked to the diversity of human cultures. Anthropology, Girard asserts, has failed because it has not succeeded in explaining the different human cultures as a unitary phenomenon, and that is why we are bogged down in relativism.

      • KCI등재

        르네 지라르(René Girard)의 성서적 종교와 비폭력

        박종균(Jong Kyunn Park) 한국기독교학회 2004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34 No.-

        The French literary critic and anthropologist Rene Girard has claimed to discover the mechanism that links violence and religion. The extent of his claim is even more audacious he believes that in the mechanism linking violence and religion lie the origins of culture. Our purpose is to present this thesis symphathetically, then point out what has been made of it by critics, and draw conclusions concerning its relevance to interpretation especially in the world in which we live today. According to Girard. human culture has been founded on two principles, which he calls "mimetic rivalry" and the "surrogate victim mechanism." Mimesis refers to the propensity of humans to imitate other people both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Girard observes that the desire to appropriate another person`s possessions. lovers and very being may seem innocent at first, but it poses a fundamental threat to community life. In imitating one`s models. one may come to approach others` power and threaten others` own position? in which case others quickly become rivals who tell one not to imitate them. When one imitates the model`s thoughts. there is hamronry; when one imitates the model`s desires, the model becomes one`s obstacle and rival. Mimesis thus inexorably leads to rivalry, and rivalry leads sooner or later to violence. From his study of mimetic desire in the modem novel, Girard named to the relation of violence and the sacred in early cultures, especially in primal religions and Greek tragedy. Girard believes, a long series of primal murders, repeated endlessly over possibly a million years. taught early humans that the death of one or more members of the group would bring a mysterious peace and discharge of tension. This pattern is the foundation of what Girard calls the "surrogate victim mechanism" . Often the dead person was hailed as a bearer of peace. a sacred figure. even god. Fearful that unrestrained violence would return, early humans sought ritual ways to re-enact and resolve the sacrificial crisis of distinctions in order to contain violence. This is why rituals from around the world call for the sacrifice of humans and animals. For Girard, the sacred first appears as violence directed at a sacrificial victim, a scapegoat. Every culture achieves stability by discharging the tensions of mimetic rivalry and violence onto scapegoats. Scapegoating channels and expels tensions recur, a new crisis threatens, and sacred violence is once again necessary. According to Girard, every culture arises from the incessantly repeated patterns of mimetic rivalry and scapegoating. Some authors, like the Greek tragedians, caught a glimpse of the underlying dynamics of the cycle and the arbitrariness of the choice of victim. But only the Bible, Girard contends, offers a full unveiling of the pattern of violence and a rejection of it. Girard began his career as a secular thinker unaffiliated with any religious tradition led him to conclude that the Christian revelation unveils the patterns of violence and provides the divine response. Having become convinced that the gospel alone reveals the full truth of the human condition, Girard became a Christian. According to Girard`s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he people of Israel were. like all other people, steeped in the surrogate victim mechanism. But the biblical authors, especially the psalmist, the prophets, and the sages of Isreal, recognized the primordial pattern and denounced it. Many psalms express the perspective of the victims, and the author of the Book of Job sides with the maligned Job rather than his friends. The Suffering Servant poems present the age-old mythological drama: a crowd surrounds and innocent victim and heaps abuse upon him. The point of view, however, has changed. The biblical author does not accept the charges: the victim is innocent and is vindicated by God. Such is also the message of the New Testament. In Jesus. God appears in history as the innocent victim, who goes to

      • KCI등재

        르네 지라르(Rene Girard)의 단일 희생양 구조(single victim mechanism)의 빛 아래서 고찰하는 한국 기독교 저널리즘의 명암과 앞으로의 방향성 연구

        박재은 ( Jaeeun Park ) 한국개혁신학회 2020 한국개혁신학 Vol.65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기독교 저널리즘이 현상적으로 가지고 있는 명암(明暗)의 이유를 프랑스 인류 철학자 르네 지라르(Rene Girard, 1923-2015)의 단일 희생자 구조(single victim mechanism)의 빛 아래서 분석하고 앞으로 한국의 기독교 저널리즘이 나아가야할 건설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작금의 한국 기독교 언론은 미메시스(mimesis) 모방 욕구를 통해 세속 언론의 가치를 모방하고 있으며, 이는 결국 언론의 폭력이라는 이름으로 기독교계에 전방위적으로 투사되고 있다는 사실이 지라르의 이론을 바탕으로 논증될 것이다. 사실 기독교 언론 속에 감추어진 이런 모방, 폭력, 희생자 구조는 타파되어야 할 성질의 것들이다. 모순과 역설로 가득찬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이 드러났을 때 비로소 구속의 역사가 열린 것처럼, 모방과 폭력과 희생양으로 가득 찬 한국 기독교 언론의 민낯이 드러날 때 비로소 시대의 등불로서의 기독교 저널리즘 본연의 가치를 되찾게 될 것이라는 사실이 본 연구를 통해 논증될 것이다. 연구의 순서는 (1) 한국 기독교 저널리즘의 명암과 상황적 현상을 분석한 후, (2) 이런 분석 내용을 지라르의 미메시스 모방 욕구, 폭력의 사이클, 단일 희생자 구조의 빛 아래서 살펴 본 다음, (3) 이를 토대로 건전하고 건설적인 기독교 언론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순서를 취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 기독교 저널리즘의 명암과 앞으로의 건설적인 방향성이 르네 지라르의 사상적 빛 아래서 모색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phenomenical light and shadow of Korean Christian journalism and to present a constructive direction which Korean Christian journalism needs to step forward in the basis of Rene Girard’s single victim mechanism and its implication. This study, based on Girard’s theories such as a mimesis desire, disclosure of violence, and single victim mechanism, demonstrates that Korean Christian journalism imitates the secular value of non-Christian journalism and as a result, journalistic violence is projected to a single victim in all directions. The meaningfulness of Christ’s redemptive history, according to Girard, reveals when a contradiction or paradox of Christ’s cross and death are disclosed in detail. Just like this, when the phenomenical light and shadow of Korean Christian journalism, which is filled with a mimesis desire, violence, single victim, are fully revealed, the true meaning and value of Korean Christian journalism will appear. The study will process that (1) after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Christian journalism, (2) the situation will be analyzed in light of Girard’s theories. (3) After this, a constructive direction, which Korean Christian journalism needs to proceed, will be searched in the basis of the analysis.

      • KCI등재

        새로운 희생위기로서의 현대사회

        정일권(Chung, Il-kwaen) 대한철학회 2013 哲學硏究 Vol.125 No.-

        본고에서는 르네 지라르의 최근 저작을 통해서 그가 분석하는 현대사회의 위대함 동시에 그 연약함을 논의한다. 지라르에게 있어서 현대 서구사회는 전통적 사회나 원시적 사회와는 구별되는 독특한 업적을 이루었다. 지라르에 있어서 현대사회는 최선의 사회 인 동시에 최악의 사회이기도 하다. 지라르는 계몽주의적 전통에 서 있으면서도 그 변증법과 연약함을 동시에 본다. 지라르에게 있어서 희생양 메커니즘은 문명을 보호하는 메커니즘이었다. 이 메커니즘의 작동원리가 유대-기독교의 텍스트에 의해서 가시적으로 드라나게 되고 또한 비판받게 됨에 따라 새로운 사회시스템이 탄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서구적 의미에서의 인권과 평등, 그리고 민주주의가 싹트게 된 것이다. 이는 서구 문화의 업적이지만, 또한 새로운 거대한 위기도 가져왔다 지라르는 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의 차이소멸 혹은 무차별화 과정을 거대한 새로운 희생위기로 분석했다. 현대인의 불만과 르상티망은 바로 내적 중개의 시대인 현대사회의 구조와 관련이 있다. 전통적 사회가 내부의 폭력과 갈등을 여러 형태의 채널과 희생양 메커니즘을 통해서 초기에 억압하고 통제하기에 외적으로 평화스러워 보이고,안정되어 보이는 차가운 사회라면, 서구적 의미의 현대사회는 그 전통적 메커니즘이 더 이상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뜨거운 사회라고 볼 수 있다. 파시즘의 문제는 바로 이 차이소멸 혹은 무차별화되고,평등하고 민주적인 현대사회의 불확실성과 다양성,시간과 역사의 테러라는 뜨거운 긴장을 견디지 못하거나,혹은 전통적 사회와 그 신화로 복귀함으로 그 불확실성을 해소하려는 위험한 시도라고 지라르는 분석한다. According to Girard, the gradual erosion of every dharma, of every rigid social hierarchy and division based on sacral norms, has plunged the modern individual into mimetic social flux, deep into ever more extreme oscillations of desire and resentment mobilized by the increasing democratization of societies. A stable hierarchy canalizes the mimetic desire because of a restriction on external mediation and thus prevents imitation leading to conflict. The primitive religions, many world religions and traditional cultures are shaped by the principle of hierarchy and social differentiation (caste system in Hinduism; graded priestly caste and hierarchical bureaucracy in the Inca empire, etc.) The modern world, however, is characterized by increasing competition, growing rivalry and increasing feelings of envy and jealousy. The traditional, anti-egalitarian movements feel the potential danger of the disappearance of social differences and therefore try to maintain the social differences. Girard rightly points out the curse and blessing of mimetic competition In modern society. Girard stressed the importance of renunciation as a way out of the abyss of mimetic rivalry. He used the paradoxical formulation of the creative renunciation. At first glance, Girard's emphasis on the creative renunciation, especially those phrases that speak explicitly of a renunciation of the mimetic desire, seems to be close to Buddhism that sees overcoming of all human suffering in the extinction of desire. Girard sees the solution but not in the denial of life itself, but the death of arrogant attempt at self-empowerment. For Girard, the biblical revelation of scapegoat mechanism destroyed the archaic forms of violence reduction and led to the modern world,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large mimetic crisis. If the history of modern society is marked by the dissolution of differences, that clearly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sacrificial crisis. Indeed, the phrase modern world seems, for Girard, almost like a synonym for sacrificial crisis. Girard has noted, however, that the modern world manages to retain its balance, precarious though it may be; and the methods it employs to do so, though extreme, are not so extreme as to destroy the fabric of the society. Primitive societies are unable to withstand such pressures. Whereas traditional societies had institutions that maintained social differences and so averted or canalized the outbreak of mimetic crisis, modern societies including Buddhist modern societies are characterized by the pursuit of equality with the result that the mimetic crisis is constantly lying in wait. But, in spite of apocalyptic view on modernity, Girard acknowledges the achievement of the modern and western world and its growing ability to decipher phenomena of collective violence and then to produce texts of persecution rather than myths. The discovery of the founding mechanism as a mechanism not only of religion but of culture itself is a decisive step. A society that replaces myth by an awareness of persecution is a society in the process of desacralization. Girard says that outside modern and western society the mechanism is invisible because it is constantly in retreat. In Judaeo-Western society, on the other hand, it has gradually come forward again and is more and more visible. This growing visibility has innumerable consequences. In so far as light is shed on the victimage mechanism, concepts like violence and unjust persecution become thinkable and began to paly a larger role in cultural institutions.

      • KCI등재

        르네 지라르의 기독교 변증에 대한 개혁주의생명신학의 평가

        길상엽 ( Sangyup Gil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1 생명과 말씀 Vol.29 No.1

        지라르는 원래 기독교인이 아니었지만 그의 오랜 인류학 연구를 통해 스스로 기독교인이 되었다. 그는 오직 ‘인류 문화의 기원’이라는 하나의 주제에 천착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신화와 유대-기독교의 성서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 복음서의 계시를 발견했다. 지라르는 인간의 욕망이 자율적인 것이 아니라 모방적인 것이라고 말한다. 이것은 주체의 자율성을 부정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과 맥락을 같이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포스트모던의 상대주의와는 전혀 다른 결론에 이른다. 지라르에 따르면 우리 인류는 필연적으로 모방경쟁을 통한 갈등 때문에 폭력의 영원한 굴레에서 빠져 나올 수 없는 존재이다. 모방경쟁을 통한 공동체의 폭력의 위기 상황에서 인류는 무고한 희생양에 대한 폭력을 통해 위기를 극복한다. 이것을 지라르는 희생(양) 메커니즘이라 부른다. 공동체 위기의 원인이면서 동시에 공동체 화해의 수단이기도 한 폭력은 스스로를 감추며 인류의 문화와 역사를 만들어 왔다. 그러나 인류 역사의 어느 순간부터 폭력의 연쇄과정에는 결정적인 단절이 생겼다. 이 단절은 무엇보다 감추어진 진실의 계시에 근거하는데, 지라르는 바로 이러한 계시의 단초를 유대-기독교의 성서에서 발견한다. 지라르에 따르면 폭력의 은폐성은 무엇보다 신화에서 드러난다. 현대의 많은 학자들이 성서와 신화의 유사점을 주장하지만 정작 그들은 그것들의 결정적인 차이점은 보지 못하고 있다. 성서와 신화가 비록 많이 닮아 있지만 폭력에 대한 해석은 정반대이다. 신화는 희생양을 비난하고 폭력을 가하는 사람들의 입장을 옹호한다. 하지만 성서는 정반대로 무고한 희생양의 편에 서 있다. 성서는 신화와 달리 폭력의 메커니즘에 빠져 있지 않으며, 오히려 십자가에서 그 정체를 폭로한다. 따라서 지라르에 따르면 희생양 메커니즘을 해체하고 폭로하는 십자가는 폭력에 대한 승리이며, 사탄에 대한 승리이다. 또 십자가는 희생양 메커니즘에 사로잡혀 박해자의 폭력을 은폐하는 신화에 대한 승리이다. 이러한 지라르의 성경과 십자가 이해는 그의 인류학 연구에 근거한 것이다. 따라서 그의 주장처럼 그것은 현대 포스트모더니즘의 상대주의에 맞설 수 있는 지적 수단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그의 연구는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인 것을 전제하지 않기 때문에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그의 성경해석과 십자가 이해는 출발부터가 잘못된 것이다. 참된 신학의 주체는 인간이 아니라 하나님이시므로 신학은 인간이 하나님에 대해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것이 되어야 한다. Girard was not originally a Christian, but through his long anthropological studies he became a Christian. He only clung to the theme of "origin of human culture." In the process, he found revelations in the Gospel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mythological and Jewish-Christian Bibles. Girard says that human desires are not autonomous but mimetic. This is in line with the ideas of postmodernism that negate the autonomy of the subject. Nevertheless, he comes to a completely different conclusion from postmodern relativism. According to Girard, we humans are inevitably out of the eternal bonds of violence because of conflict through mimetic rivalry. In a crisis of community violence through mimetic rivalry, humanity overcomes the crisis through violence against innocent victims. This is called the victimage mechanism. Violence, a cause of community crisis and a means of commun-ity reconciliation, has concealed itself and shaped human culture and history. But at some point in human history, there was a crucial break in the chain of violence. This break is based, among other things, on the hidden revelation of truth, which Girard finds in the Jewish-Christian Bible. According to Girard, the concealment of violence is manifested above all in mythology. Many modern scholars claim similarities between the Bible and mythology, but they do not see their crucial differences. Although the Bible and mythology are much alike, the interpretation of violence is the opposite. Mythology defends the position of those who blame the scapegoat and violent. The Bible, on the contrary, is on the side of an innocent victim. Unlike mythology, the Bible does not fall into the mechanism of violence, but rather exposes its identity on the cross. Thus, according to Girard, the cross that dismantles and exposes the victimage mechanism is a victory over the victimage mechanism and a victory over Satan. The cross is also a victory over the myth that is obsessed with victimage mechanism and conceals the persecution's violence. Girard's theory is based on his anthropological research. Thus, as he argues, it is also an intellectual means to counter the relativism of modern postmodernism. However, his study does not presuppose that the Bible is the word of God, so it is bound to have limitations. His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d understanding of the cross are wrong from the start. Since the subject of true theology is God, not humans, theology should be what God says, not what humans say about God.

      • KCI등재후보

        르네 지라르의 사상과 개혁주의 문화관과 변증학

        정일권 ( Il Kwaen Chung ) 개혁신학회 2013 개혁논총 Vol.28 No.-

        20세기 후반부터 점차적으로 영미권 뿐 아니라, 유럽 대륙의 철학과 인문학에서 기독교 철학과 기독교 변증학의 르네상스가 오고 있다. 특히 21세기 초반부터 세계적인 차원에서 새롭게 등장한 도킨스와 선교적 무신론의 등장으로 다시금 기독교 변증학이 다시금 중요하게 되었다. 현대철학, 곧 포스트모더니즘, 해체주의 철학, 후기구조주의 등이 니체와 하이데거의 계보로부터 파생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후기기독교적 혹은 반기독교적 흐름을 가장 강하게비판하고있는학자가르네지라르이다『. 문화의기원』을지라르는해독했다. 지라르는 인문학 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끼치며 인문학계의 다윈’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그는 범신론이나 다신론은 끊임없이 신들을 생산하는 장치들이라고 본다. 지라르에 의하면 유대-기독교 전통의 유일신론의 신은 희생양 메커니즘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다. 이에 반해 다신교는 수많은 희생양의 초석에서 발생한다. 고대사회에서는 희생양 메커니즘이 작동할 때마다 새로운 신이 발생되고 제작된다. 그러나 유대교는 이런 식으로 신을 생산하는 장치를 처음부터 엄격히 거부했다. 유대교에서 신은 더 이상 희생양이 아니고, 희생양도 더 이상 신격화되지 않는다. 이것이 우리가 이른바‘계시’라고 부르는 것이라고 지라르는 말한다. 기독교 교육의 목표는 예수 그리스도를 모방하면서 거룩하게 되어가는 성화일 것이다. 불교의 목표인 붓다가 되는 것, 곧 성불은 기독교의 성화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은폐된 희생양으로서의 붓다들은 모방하기에는 위험하고도 매우 예외적인 존재다. 파계를 최고의 단계로 보는 디오니소스적인 붓다들의 범죄행위들이 재가신자들의 교육과 모방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는 사실을 불교지식인들은 알고 있다.붓다들의 깨달음의 심리학은 이후 곧바로 사리숭배, 미라숭배 등으로 우상화되어 버린다. 폭력적으로 성스러운 존재 붓다들의 깨달음의 우상화의 문제다. 지상의 신들로서의 붓다들의 우상 숭배적 신성화 과정을 지라르의 희생양 메커니즘 속에서 해독해 내었다. 붓다들의 깨달음은 포스트모던적 의미에서의 해방적 해체가 아니라, 전근대적 의미에서 우상화되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deal with the recent renaissance of Christian philosophy and apologetics mainly in the light of Rene Girard`s theory. Rene Girard was recently elected to one of only 40 members, or immortels,of the Academie Francaise, France`s highest intellectual honor. He has continued to amplify his Christian apologetics in subsequent writings. He argues for Christianity`s unique status among religions. When properly understood, his mimetic theory can provide the basis and framework for a Christian apologetics that remains faithful to traditional doctrine while allowing those new to the faith a unique vista for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Christianity. Christianity, for Girard, is the end of archaic religions because it reveals that the victim is innocent. It is Girard`s theory, it seems to me, that most urgently needs to be debated, now that atheist triumphalism is sweeping all nuances away. Thinkers like Dawkins and Hitchens leap at once to the conclusion that religion is the cause of this violence and sexual obsession, and that all the crimes committed in the name of religion can be seen as the definitive disproof of it. Not so, argues Girard. By submitting to violence, Christ reveals and uproots the structural matrix of all religion. Christ and Bodhisattvas are also different. The Christ, because of the scandal of particularity, must be unique while Bodhisattvas are manifold. While Christians are traditionally exhorted to be like Christ, Buddhists are called to be Bodhisattvas. The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uniqueness of Christ and the plurality of Bodhisattvas is not to be overlooked. Unlike Christianity and Islam, the historicity of a unique founding figure is not intrinsic in Buddhism: all Buddhas and Bodhisattvas are the same and interchangeable. The idea of a plurality of Buddhas is common. Some Buddhists believe Jesus Christ was a bodhisattva. But the exceptional breaking and transgression of Bodhisattva in the path of initiation can be understood as the staged crimes and methodical transgression of taboos on the side of the reconciliatory victims. The initiatory vows of Bodhisattva involves exceptional breaking of basic moral or disciplinary precepts in order to accomplish a higher aim. These examples of exceptional licence to break the basic rules of morality in special cases of alturistic motivation is to be read from the perspective of genetic mechanism of surrogate victim.

      • 르네 지라르의 미메시스(모방) 이론에 비판적 소고

        유경동(Kyoung-dong Yoo) 감리교신학대학교 2021 신학과세계 Vol.- No.100

        르네 지라르(René Girard)의 ‘모방(미메시스, mimesis)’이론은 신학계에도 많은 반향을 일으켰다. 특히 지라르의 ‘희생양(scapegoat)’ 개념은 구약 성경의 제사 제도에 대한 통찰력으로서 인간의 모방 욕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역사를 통하여 구축된 인간 문명의 허구에 대하여 고발하고 있으며, 유대-기독교의 평화주의 가능성에 대하여서도 모색하고 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지라르의 ‘미메시스’ 이론에 대한 영어권 학자들의 분석과 비판적 이론을 통하여 ‘미메시스’ 이론이 가진 한계에 대하여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는 지라르의 미메시스 이론에 관한 연구를 크게 세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는데, 첫째, 지라르의 ‘미메시스’ 이론에 대한 핵심적인 내용을 간략하고, 이어 다양한 관점을 서구학자들의 이론을 통하여 검토하며, 둘째, 지라르의 관점에 대한 비판을 검토하고, 그리고 셋째, 지라르의 이론에 대한 신학적 의의를 간략하게 정리하도록 하겠다. 한국 학계에 소개된 지라르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그의 ‘희생양’ 연구에 대한 고찰과 비판이 소수 있으며, 그의 ‘미메시스’ 이론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는 아직 없다. 따라서 이 논문은 신학적 관점에서 지라르 철학의 전반적 평가와 한계에 대한 서구권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지라르 연구를 위한 철학과 신학의 간 학문적 대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참고로 이 논문의 한계는 지라르의 미메시스 이론을 중심으로 서구권 학자들의 관점을 정리하는데 주안점을 두었기에 지라르 이론 전반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임을 밝히며, 후속으로 신학적 관점에서 구체적인 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The theory of Rene Girard on the correlation of religion and violence created ripples in the theological circles. Significantly, Girard’s concept of ‘scapegoat’ is the philosophical insight regarding the Old Testament’s sacrificial system that commented on the issue of the mimetic desire of humans and indicts the fabrications of the human civilization constructed throughout history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Judeo-Christan pacifism. The researcher proposes to examine the limits of the ‘mimesis’ theory through the English speaking scholars’ analysis and the critical theories on it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will approach the study of mimesis theory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an overview of the ‘mimesis’ theory of Girard will be made, and secondly, the viewpoints and the limits of his ‘mimesis’ theory will be examined through the ideas of the western scholars. Thirdly, the alternative to Girard’s view will be briefly proposed from the theological perspective. Most of the few precedent kinds of research concerning Girard in the Korean Academia are mostly centered on the reflections and the critique of his ‘scapegoat’ research, and there is no specific research on his ’mimesis’ theory yet. Therefore, this paper is expected to assist the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philosophy and religion in the study of Girard’s theories by examining the precedent researches of the limits of Girard’s philosophy in the west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 KCI등재

        김현의 지라르 이론 수용과 폭력 비판

        한래희 ( Lae Hee Ha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6

        본고는 1980년대 김현의 르네 지라르 이론 수용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토대로 김현이 폭력의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의 특징과 김현의 폭력 비판이 지닌 의미와 시사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1980년대 말 김현의 글에서 빈번하게 발견되는 죽음의 이미지와 모순어법이 김현 폭력 비판의 필연적 귀결이라는 문제의식을 토대로 이의 귀명을 위해 김현의 지라르 이론수용에 나타난 특징은 무엇인가, 김현의 폭력 비판은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는가 김현의 폭력 비판이 모순어법의 세계로 귀결된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의문을 중심으로 분석을 전개하였다. 2장에서는 욕망의 성격, 폭력에 대한 가치판단, 폭력을 제거하는 방법의 세 가지 점을 중심으로 지라르 이론 수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지라르의 경우 인간의 욕망은 모두 모방욕망이고 모방욕망으로 야기된 갈등의 해결이 주요한 과제로 등장한다. 이에 비해 김현에게는 모방욕망보다 제어 불가능한 과잉의 방식으로 존재하는 ``욕망의 욕망``이 폭력의 근원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다음으로 지라르는 ``좋은`` 폭력과 ``나쁜`` 폭력의 구분을 통해 전자를 통한 후자의 극복을 통해 질서의 성립을 설명하지만 김현은 억압적 기성문화에 대해 폭력으로 대응하는 대항문화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질서 정립적 폭력뿐만 아니라 저항의 방법으로서의 폭력 역시 거부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폭력을 제거하거나 줄이는 방법에서도 차이를 보이는데 지라르는 희생제의라는 만장일치적 폭력에 의해 폭력의 악순환을 극복할 수 있다고 보는 반면 김현은 자신의 폭력성에 대한 자기성찰과 사랑의 윤리를 통한 폭력 감싸기를 대안으로 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김현의 폭력 비판이 그의 실제 비평에서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는가에 대해 탐구하였다. 김현은 「증오와 폭력」이라는 글에서 일인에 대한 만인의 폭력이 나타나는 양상을 분석하는데 여기서 그는 지라르와는 달리 모방욕망이 아니라 개인의 이기적 욕망이 폭력의 뿌리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폭력의 극복 방안 또한 자신의 이기성을 감추려는 위선적 태도에 대한 자기감시와 욕망의 폭력성에 대한 성찰이 제시된다. 이와 더불어 「폭력과 왜곡」이란 글의 분석을 통해 김현의 폭력 비판이 지닌 특정과 그가 처하게 된 딜레마를 살펴보았다. 김현의 관점에 따르면 욕망은 억압의 기원이자 억압을 부정할 수 있는 기제라는 양면성을 지니고 폭력적 세계와 유토피아적 세계의 공통의 뿌리가 된다. 그러나 욕망을 유토피아 세계의 근원으로 간주할 경우 유토피아는 폭력과 억압이 사라진 완전한 세계일 수 없게 된다. 김현에게 욕망은 언제나 과잉의 형태로 존재하는 무조건적 만족추구의 충동이고 이것이 유토피아의 기원이라면 유토피아의 세계 또한 욕망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없다. 욕망의 양면성으로 인해 유토피아에 대한 갈망은 갈등이 사라진 상태에 안주하고자 하는 욕망으로 뒤바뀔 수도 있다. 위의 논의를 토대로 4장은 김현의 폭력 비판이 모순어법으로 귀결될 이유와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1980년대 김현은 평생에 걸쳐 옹호한 ``개인``을 구성하는 핵심적 요소로서의 ``욕망``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자유``의 이름으로 폭력을 비판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까라는 물음과 대면한다. 광주에서의 폭력이란 극악무도한 범죄 앞에서 인간이 취할 수 있는 태도를 복수와 용서, 원한과 망각이라고 할 때 원한을 해소하기 위한 복수는 불가능하고 종교적 관점에 기반 한 용서는 더더욱 생각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저항의 주체가 택할 수 있는 길은 망각의 거부밖에는 없다. 그러나 그를 둘러싸고 있는 현실은 죽음이고 부끄러움에서 나온 자기부정의 유혹이다. 이런 상황에서 죽음은 구원이자 태어남이라는 모순어법의 세계는 허무주의나 자기부정의 유혹을 극복하고 문학인으로서의 책임을 포기하지 않을 수 있는 방법으로 등장한다. 즉 유토피아를 향한 욕망이 억압으로 변질되는 것을 피하면서, 그리고 부재로서의 유토피아 혹은 억압 없는 자유를 향한 추구가 실패 할 운명이라는 점에 좌절하지 않으면서 문학적 실천을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이 모순어법의 세계라 할 수 있다. 고통이 각인된 몸의 기억은 그러한 모순어법의 세계를 지탱한 동력을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본고에서는 욕망 분석을 통해 폭력 비판을 수행하려고 했던 김현이 결국 모순어법의 세계와 몸의 기억에 호소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폭력에 대한 긴 탐색을 통해 그가 자신의 궁극적 지향점이라 할 수 있는 자유란 것이 불가능하고 실현되어서는 안되지만 포기할 수도 없는 역설적 상태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음을 보았다. 1980년대 김현이 보여준 폭력 비판은 욕망의 탐색을 통해 개인의 자유를 추구하려 했던 자유주의의 가능성과 이런 식의 자유주의가 감당할 수 밖에 없는 역설을 동시에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to discuss how critic Kim Hyun accept Rene Girard and the meaning of criticism of violence in Kim Hyun``s writing. The following three question is main issue of this thesis: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Kim Hyun``s acceptance of R. Girard``s theory? What is the main point of Kim Hyun``s criticism of violence? what``s the reason Kim Hyun``s criticism of violence concluded in oxymoron? In chapter 2, the characteristic of desire, value judgement fof violence, the method of eliminating violence is the three point of studying how Kim Hyun accepts R. Girard``s theory. R. Girard thinks that desire is imitative, and desire of imitation is the cause of conflict and disorder. In contrast, Kim Hyun thinks that desire is innate, and desire of desire is the root of violence. R. Girard distinguish good violence and bad violence, and believe that the former can overcome the latter. However, Kim Hyun deny all kinds of violence. R. Girard thinks that sacrifice rites is the remedy for vicious cycle of violence, but Kim Hyun believes that introspection of our violent nature and ethics like love is the way to overcome violence. In chapter 3, the main issue is that how Kim Hyun``s criticism of violence has been developed. In ``Hatred and Violence``, Kim Hyun emphasizes that egoistic desire, not desire of imitation, is the cause of violence by analyzing some novels and myths. The article ``Violence and distortion`` show the characteristic and dilemma of Kim Hyun``s criticism of violence. Desire has duplicity ; the cause of repression and the mechanism of denying suppression. repressive reality and utopia has same root, that is, desire. If we consider desire as the cause of utopia, we can``t help reach that conclusion that utopia can never be the world without repression, because utopia can``t escape the power of violent desire. Kim Hyun``s criticism of violence becomes the fight for desire of agreement or complacency, but this fight is destined to lose and fall into temptation of self-denial. In chapter 4, the main topic is to discover why Kim Hyun can``t help resort to oxymoron and the memory of body. Revenge, forgiveness, resentment, and oblivion is the four attitude man can take in front of brutal violence and death. Denial of oblivion is the only option. However, all he can find in his reality is death and nihilism. The oxymoron can be efficient alternative in this difficult situation. That paradoxical idea that death is life could be a method to overcome nihilism and to give literary person power to continue his wiring. The suffering imprinted in body could power to maintain the world oxymoron. Desire is the cause of violence in Kim Hyun``s thinking. Kim Hyun don``t give up the belief in desire``s power to deny the repressive reality, but desire can be the obstacle to free world. Kim Hyun``s criticism of violence shows the possibility and paradox that liberalism could encou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