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CT와 정보 화소 밀도를 이용한 PDA로 획득한 명함 영상에서의 영역 해석

        김종흔,장익훈,김남철 한국통신학회 2004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9 No.8C

        본 논문에서는 PDA에 장착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획득한 명함 영상에 대한 효율적인 영역 해석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크게 영역 분할, 정보 영역 분류, 문자 영역 분류의 3개 과정으로 구성된다. 영역 분할에서는 입력 명함 영상을 8${\times}$8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고 각 블록을 저주파 대역에서의 정규화 된 DCT 계수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정보 블록과 배경 블록으로 분류한 다음, 블록에 대한 영역 라벨링을 통하여 정보 영역과 배경 영역으로 분할한다. 정보 영역 분류에서는 각 정보 영역을 블록 신호의 수평, 수직 방향 에지 성분과 저주파 대역에서의 DCT 계수의 에너지 비와 이진화 된 정보 영역 내에서의 흑화소인 정보 화소의 밀도를 이용하여 문자 영역과 배경 영역으로 분류한다. 문자 영역 분류에서는 분류된 문자 영역을 정보 화소의 밀도와 평균 런 길이를 이용하여 다시 큰 문자와 작은 문자 영역으로 분류한다. 실험결과 제안된 영역 해석 방법은 여러 종류의 명함을 다양한 주변 여건에서 PDA로 획득한 시험 영상에 대하여 정보 영역과 배경 영역을 잘 분할하고, 정보 영역을 문자 영역과 그림 영역으로 잘 분류하며, 다시 문자 영역을 큰 문자와 작은 문자 영역으로 잘 분류함을 보였다 그리고 제안된 영역 분할 방법과 정보 영역 분류 방법은 기존의 방법들보다 각각 약 2.2-10.1%와 7.7%의 에러율 향상을 보였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fficient algorithm for region analysis of business card images acquired in a PDA by using DCT and information pixel density.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three parts: region segmentation, information region classification, and text region classification. In the region segmentation, an input business card image is partitioned into 8 f8 blocks and the blocks are classified into information and background blocks using the normalized DCT energy in their low frequency bands. The input image is then segmented into information and background regions by region labeling on the classified blocks. In the information region classification, each information region is classified into picture region or text region by using a ratio of the DCT energy of horizontal and vertical edge components to that in low frequency band and a density of information pixels, that are black pixels in its binarized region. In the text region classification, each text region is classified into large character region or small character region by using the density of information pixels and an averaged horizontal and vertical run-lengths of information pixel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yields good performance of region segmentation, information region classification, and text region classification for test images of several types of business cards acquired by a PDA under various surrounding conditions. In addition, the error rates of the proposed region segmentation are about 2.2-10.1% lower than those of the conventional region segmentation methods. It is also shown that the error rates of the proposed information region classification is about 1.7% lo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information region classification method.

      •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육과정 변천과 지역 단원 구성의 특징

        강창숙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8 No.2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Geography in high school were analyzed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It focuses on internal demand aspects and external influence asp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tent organization of Korean Geography was composed of systematic geography centered on human geography after 『Geography I』 in the second period. Until the second period, 『Geography I』 was composed of the traditional regional geography, and in the fourth period, 『Geography II』 was changed to a regional geography method. Second, in the national curriculum, Korean Geography was changed to a compulsory subject period of 『Our Country Geography』→ blank period for Our Country Geography→a compulsory subject period of 『National Geography』→chaotic period of National Geography→ a compulsory subject period of 『Korean Geography』→and elective subject period of 『Korean Geography』. Third, in the systematic geography-centered content organization, regional geography was composed of one or two units, including ‘geography of living in each region,’ which is a key topic, or in conjunction with ‘the meaning of the region and regional classification’ or ‘unification and division of national territory.’ Finally, the regional classification was centered on functional regions, but in actuality was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regional names according to regional classification were made up of different names, such as different hierarchical names, at different times when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ir regional scop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지역 단원 구성, 지역 구분 등 내재적 측면과 사회과 편제 등 외재적 측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지리는 제2차 교육과정기 『지리 I』부터 인문지리 중심의 계통지리로 구성되었다. 지역지리 단원은 제2차 시기 『지리 I』까지 전통 지역지리(지방지) 체계로 구성되었고, 제4차 시기 『지리 II』부터 지역지리 체계로 변화되었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에서 한국지리는 『우리나라 지리』 필수 과목기→우리나라 지리 학습 공백기→『국토지리』 필수 과목기→국토지리 학습 혼란기→『한국지리』필수 과목기→『한국지리』 선택 과목기로 변천되었다. 셋째, 계통지리 중심 내용 체계에서 지역지리는, 핵심 주제가 되는 ‘각 지역의생활’이 1개 단원으로 포함되거나, ‘지역의 의미와 지역 구분’ 혹은 ‘국토 분단과 통일’ 단원과 연계되어 2개 단원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역 구분은 기능 지역 중심으로 이루어졌지만, 그 실제는 행정구역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지역 구분에 따른 지역명칭은 그 범위와 지역성을 가늠하기 어렵게 명명되거나 위계가 다른 명칭이 혼용되었다.

      • KCI등재

        미군기지 주변지역의 유형별 특성에 따른 발전방안 연구

        한인영 ( In Young Han ),오은주 ( Eun Joo Oh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4 地方行政硏究 Vol.28 No.4

        In 2006 “Special Act on Support for Areas, etc. Adjacent to Districts Granted to the United States Armed Forces in Korea” was legislated and since then, “comprehensive plans for development of areas, etc.” have been implemented. However, the plans for every sixty-two regions (Si and Gun) are monotonous across regions, ignoring variety in regional characteristics. Most projects in the plans have concentrated on the physical policy approach such as road building and park construc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differentiated policy direction on the basi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ixty-two regions. In order to comprehensively identify regional classification, seventeen indicators are developed to embrac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a cluster analysis on the factor scores of the indicators is utilized. Sixty-two regions are classified into five-type regions. Finally, this study offers policy suggestions for five regional groups.

      • KCI등재후보

        해외직접투자와 지역경제성장

        박성익 한국지역사회학회 2008 지역사회연구 Vol.16 No.1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possibility of manufacturing hollowing-out due to foreign direct investment may differ across domestic regions, this paper studies the effec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regional economic growth.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shar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rom Seoul-metropolitan area including Inchon and Kyunggi is dominant compared to those of other regions. However, the share of Seoul-metropolitan area is gradually decreasing. Second, regression results of pooling and fixed effect models that do not take regional differences into account show that larger foreign direct investment leads to faster regional economic growth. These results are in line with general results that evidence of manufacturing hollowing-out in Korea is weak. However, it is also revealed that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no longer holds, when regional differences are noted and regressed separately. In Seoul-metropolitan area including Inchon and Kyunggi,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economic growth is still significant. On the contrary, in other regions the relationship is not significant any longer. It is also noted that in Julla area, larger foreign direct investment leads to slower regional economic growth. This result suggests that manufacturing hollowing-out due to foreign direct investment indeed differ across domestic regions.

      • KCI등재

        지역특성분석을 통한 지역유형화에 관한 연구

        이의용(Lee, Yeo-Young) 한국주거환경학회 2014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im a method to enhance reg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regional characteristic development of 31 cities in Gyeongi-do. Strengthening regional competitiveness, as a plan to secure the region-level growth power and make a region to grow spontaneously, is an important political task for not only the national government but local government as well along with balanced development of national territory. The major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specialization of 31 cities in Gyeonggi-do and based on this, deduct a plan to strengthen regional competitiveness of a concerned local government and present a political proposal.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analysis, 28 indexes in total 6 parts, economic, personnel, environment, public, culture and welfare element, were selected,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by collecting data using the statistical year book of Gyeonggi-do, data of Gyeonggi-do and data from preceding studies and standardizing each data and then 31 cities were classified into 6 groups (6 clusters). The 1st cluster appeared that 5 elements are lower than the average of Gyeonggi-do except the environmental element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aveage of Gyeonggi-do. The 2nd cluster showed that the personnel, environmental and public element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of Gyeonggi-do but the rest elements did not reach the average of Gyeonggi-do. The 3rd cluster appeared that the economic, environment and welfare element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of Gyeonggi-do but the personnel, public and culture element were low. The 4th cluster presented that the economic, personnel and cultural element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of Gyeonggi-do but the environmental, public and welfare element were below the average of Gyeonggi-do. The 5th cluster appeared that every element but the personnel element was lower than the average of Gyeonggi-do. The 6th cluster showed that the personnel and environmental element were lower than the average of Gyeonggi-do but the economic, public, cultural and welfare elem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verage of Gyeonggi-do.

      • KCI등재

        행정통합과 지방분권

        최우용(Choi, Woo-Yong) 한국비교공법학회 2020 공법학연구 Vol.21 No.4

        [1] 현대는 광역행정의 시대이다. 지방자치단체는 광역행정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현행 법제도 하에서는 지방자치법상의 특별지방자치단체(특히, 지방자치단체의 조합)이라는 제도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중앙권한의 과감한 지방 이양을 통해[지방분권] 광역행정에 대응 할 수도 있다. 한편으론, 과감한 지방자치단체 간의 통합을 통해 광역지방자치단체를 설립하여 행정 수요에 대응하는 방안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다. [2] 지방분권을 추진함에 있어 주의할 것은,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개념의 혼용이다.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은 근거 법률, 정책 목적과 수단 등에 있어 명백한 차이가 있다. [3] 특별지방행정기관의 정리가 필요하다. 특별지방행정기관의 무분별한 설치는 우리실정법 체계와도 부합하지 않는다. 이는 「지방자치법」 제102조나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제18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 두 법령에서는 특별지방행정 기관은 어디까지나 지방자치단체의 보완적이고 보충적인 기관으로 기능적 분권과 보충성의 원칙에 의한 설립을 주문하고 있다. 특별지방행정기관의 설치를 위한 근거는 행정법규가 아닌 법률로 정해야 한다. [4] 사무구분 및 사무배분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 현대적 행정 수요(특히 자치경찰제 도입, 교육자치 실시, 복지 행정, 안전 등)에 부응하는 새로운 기준 마련이 필요하고, 보충성의 원칙과 기초지방자치단체 우선의 원칙에 충실한 사무배분이 이루어져야 한다. 공동사무는 역기능적 측면(중앙정부의 재정분담 없는 지자체 감독, 지방이양 및 책임 회피 우려, 중복행정 등)이 많아 철저한 실태를 파악한 뒤 폐지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지방자치단체 간의 통폐합을 통한 행정통합의 경우, 다음과 같은 공법적 과제에 유의하여야 한다. 첫째, 헌법상의 지방자치 이념을 반영한 통합이어야 한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의 폐치분합이 우선인지, 행정구역의 조정을 통한 광역행정에의 대응이 가능한지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 셋째, 지방분권을 전제로 한 과감한 사무배분․재정배분의 문제를 함께 논의하여야 한다. 넷째, 주민 의사의 반영과 행정절차의 준수 등 민주적 정당성의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6] 지방자치단체 간의 통폐합을 통한 광역적 사무에 대응하고 협력적 지방자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본문에서 언급한 통폐합의 전제적 조건들에 충실하여야 한다. 과연 통합이 필요한지, 아니면 현재의 제도하에서도 협력적 지방자치를 구현해 나갈 수 있는지를 결정함에는 정치적 결단이 필요하겠지만, 지방자치의 기본인 “주민에 의한, 주민을 위한” 통합이 되어야 한다. 행정통합은 부수적인 도구에 불과하다. 목적이 되어서는 안된다. [1] Today is the era of regional administration. The local governments are seeking for various methods to cope with regional administration. Under the current legal system, the system called the special local autonomous government(especially, the association of local governments) in the Local Government Act could be used. It is also possible to cope with regional administration through the drastic transfer of central authority to regions. In the meantime, the measures for coping with administrative demand could be sought for by establishing the regional local governments through the drastic integration of local governments. [2]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decentraliz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mixed use of the concept of decentralization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e decentralization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show clear differences in legal basis, and purpose and means of policy, which should not be overlooked. [3] The organization of special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would be needed. The thoughtless installation of special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is not suitable for the positive law system of Korea. This is shown in the analysis of the Article 102 of 「The Local Government Act」 or the Article 18 of 「The General Rules on the Organization and Fixed Number of Administrative Agencies」. Those two laws specify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by the principles of functional decentralization and subsidiarity as they are just complementary and subsidiary agencies of local governments. Also, the basis for the installation of special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should be decided by laws, instead of administrative regulations. [4] The affairs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affairs distribu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new standard meeting the modern administrative demands(especially, the introduction of municipal police system,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autonomy, welfare administration, safety, and etc.), and also to perform the affairs distribution faithful to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and the principle of basic local government as the priority. As the common affairs have lots of adverse effects(local government’s supervision without the central government’s financial allotment, concerns about local devolution and evasion of responsibility, duplicated administration and etc.), it is desirable to abolish or minimize them after thoroughly understanding the actual state. [5] In case of administrative integration through the integ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it would b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asks in public law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the integration reflecting the ideology of local autonomy in the constitution. Second, it would be necessary to thoroughly verify if the abolition/amalgamation of local governments would be prioritized, and if it would be possible to cope with regional administration through the adjustment of administrative districts. Third, with the premise of decentralization, the drastic affairs distribution and financial distribution should be discussed together. Fourth, the democratic legitimacy such as the reflection of residents’ opinions and observance of administrative procedure should be secured. [6] In order to cope with regional affairs through the integ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also to realize the collaborative local autonomy, it would be necessary to be faithful to the basic premises mentioned by this thesis. Regarding the matter of if the integration would be needed or the collaborative local autonomy should be realized under the current system, there should be a political decision. However, it should be the integration “by residents and for residents” which is the basis of local autonomy.

      • KCI등재

        세계지역구분체계에 관한 사례 연구: 특성과 함의

        구동회 국토지리학회 2013 국토지리학회지 Vol.4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세계지역구분에 관한 우리나라와 외국의 사례들이 가진 특성들을 검토하여 세계지역구분의 기준과 체계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UN의 세계지역구분체계는 기본적으로 대륙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하위지역을 구분할 때에는 동서남북 등 기본방위를 기준으로 삼는다. 사례 기관들은 기관의 속성에 따라 나름대로의 기준을 가지고 세계를 하위지역으로 구분하고 있으나, 거시적 지역 단위는 대륙 구분에서 출발하고 있다. 사례 기관들의 세계지역구분체계는 CIA를 제외한다면 세계를 대개 5~8개의 하위지역으로 구분한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세계지역구분체계를 모색하기 위해서는, 세계의 지역구분을 출발점으로 삼고 있는 세계지리 분야의 구분체계를 참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classification systems of world regions, and draws some implications on standards and systems of the classification of world regions. In the United Nations geoscheme, the macro-geographical regions are basically arranged to the extent possible according to continents, and the smaller geographical subregions are divided by the cardinal directions.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lso divide the world into subregions according to continents, and most of them except Central Intelligence Agency (CIA) divide the world into 5 ~ 8 subregions. In order to exploring rational and systematic classification systems of world regions,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classification systems in the field of world regional geography.

      • KCI등재

        시·도간 통행 및 산업연계 분석을 통한 광역권역 구분

        김광익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4

        This study makes up mega-regions through analysis of commuting patterns and inter-industry analysis between regions. The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see the link structure between regions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because it can analyze regional division or regional linkage. Firstly, this study classifies the commuting region into three or four mega region; mega Capital Region, Kyungsang Region and Jeonla Region through factor analysis. In case of Kyungsang Region are classified into Kyungbuk Region and Kyungnam Region. Secondly this study classifies the inter-industrial lingkage region into two or three mega region; mega Capital Region and Kyungsang Regionthrough factor analysis. In case of mega Capital Region are classified into Capital Region and Jeonla Region. As a result, the study finds that the region-wide boundary based on the industrial linkage tends to include the commutting boundary, especiall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Kyungsang region.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시·도간 통행 및 산업연계 분석을통하여 광역권역을 구분해 보았는데, SPSS를 활용한 요인분석 기법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우선 시·도간 통행연계구조를 분석하여 통행권역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 통행권역은 대체로 3-4개 권역으로 구분되는데, 충청, 강원, 제주를 포함한 광역수도권, 전라권, 경상권 등의 3개 광역권역 구분과 경상권이 경북권과 경남권으로 세분되어 나타나는 4개 권역 구분이다. 그리고 산업을 크게 제조업과 서비스업으로 구분하여 시·도간 연계구조 분석을 통하여 산업연계권역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 대체로 2-3개 권역으로 구분되는데, 경상권과 경상권을 제외한 초광역수도권 등의 2대권역, 그리고 초광역수도권에서 전라권이 분리되는 3대권역 구분이다. 결과적으로 통행연계권역 보다 산업연계권역이 더 광역화되는 초광역수도권이 형성된 것과 경상권이 하나로 형성된 특징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1차원 메디안 필터 기반 문서영상 영역해석

        박승호,장대근,황찬식 대한전자공학회 2003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0 No.3

        인쇄문서를 전자문서로 자동변환하기 위해서는 문서영상 영역해석과 문자인식 기술이 필요하다. 이들 중 영역해석은 문서영상을 세부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영역을 문자, 그림, 표 등의 형태로 분류한파. 그러나 문자와 그림의 일부는 크기, 밀도, 화소분포의 복잡도가 비슷하여 정확한 분류가 어렵다. 따라서 영역해석에서의 오 분류는 자동변환을 어렵게 만드는 주된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분서영상을 문자와 그림영역으로 분할하는 영역해석 방법을 제안한다. 문자와 그림의 분류는 1차원 메디안 필터링을 기반으로 한 방법을 이용하여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또한 메디안 필터링에 의해 발생하는 볼드체 문자와 그래프나 표와 같은 그림영역의 오 분류 문제를 표피 제거 필터와 문자의 최대크기를 이용하여 해결한다. 따라서 상용제품을 포함한 기존의 영역해석 방법보다 그 성능이 우수하다. To convert printed images into electronic ones automatically, it requires region analysis of document images and character recognition. In these, regional analysis segments document image into detailed regions and classifies thee regions into the types of text, picture, table and so on. But it is difficult to classify the text and the picture exactly, because the size, density and complexity of pixel distribution of some of these are similar. Thu, misclassification in region analysis is the main reason that makes automatic conversion difficult. In this paper, we propose region analysis method that segments document image into text and picture regions. The proposed method solves the referred problems using one dimensional median filter based method in text and picture classification. And the misclassification problems of boldface texts and picture regions like graphs or tables, caused by using median filtering, are solved by using of skin peeling filter and maximal text length. The performance, therefore, is better than previous methods containing commercial softwares.

      • KCI등재

        거점국가 학습 방법에 의한 라틴 아메리카 지역의 이해

        조성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8 No.2

        This study looked at the hub nation-centered learning by regional classification for understanding the Latin American region, which is not directly related to Korean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or understanding of the large scale region like a continent, the nation- centered as a hub country approach is more useful for deepening local recogni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than continental scale. Secondly, the usefulness of the hub nation-centered approach is can be understood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n depth. And the learning of the secondary and tertiary nations learning is focus on specific points except for the basic and common points obtained through the primary hub nations learning, which can reduce the learning burden and overlap of contents. Thirdly, the Latin American region is consists of 33 countries from Mexico in the northern to Chile in the southern. The Latin American reg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regions: Central America(8), South America(12) and the Caribbean(13). Fourthly, Brazil is absolute position in terms of population and area size in Latin America. And Mexico is a large position in Central America, Cuba is a large share of Caribbean countries. Therefore, the three countries(Brazil, Mexico and Cuba) have been selected as the primary hub nations for Latin America understanding. Fifthly, it proposed eight secondary nations, three in the Central America(Panama, Belize, Costa Rica), three in South America(Colombia, Peru, Argentina) and two in the Caribbean(Iti, Trinidad and Tobago). However, nation-centered approach has limitations in learning natural geographical elements, such as mountain ranges and streams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ontinental scale. 우리나라 학생들과 직접관련성이 적은 라틴 아메리카 지역의 이해를 위해서, 지역분류 방법에 의한 거점국가 선정과 거점국가 중심의 학습방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륙과 같이 큰 규모의 지역을 학습하는 데는 대륙 전체적인 접근 보다는, 거점국가 중심의 지역이해 방법이 지역에 대한 인식을 깊게 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에 의한 학습이 가능하다. 둘째, 지역분류에 의한 거점국가 선정과 학습방법은 1차 거점 국가의 학습을 통하여, 지역의 공통적 특성을 깊이 있게 이해하여 지역인식의 거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2차 및 3차 국가의 학습은 1차 거점국가 학습을 통해서 얻은 기본적이고 공통적인 사항을 제외하고 특이성을 중심으로 학습할 수 있어서, 학습 부담과 내용 중복을 줄일 수 있다. 셋째, 라틴아메리카 지역 33국은 중미(8국), 남미(12국), 카리브 해(13국) 등 3개 지역으로 세분할 수 있다. 넷째,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는 인구 규모나 면적에서 브라질의 위치가 절대적이다. 그리고 중미에서는 멕시코, 카리브 해 국가들 중에서는 쿠바의 비중이 크다. 따라서 이들 3개국(브라질, 멕시코, 쿠바)을 라틴아메리카 지역 이해의 1차 거점 국가로 선정하였다. 다섯째, 2차 거점국가로는 특이성을 중심으로 중미에서 3개국(파나마, 벨리즈, 코스타리카), 남미에서 3개국(콜롬비아, 페루, 아르헨티나), 카리브 해에서 2개국(아이티, 트리니다드 토바고) 등 8개국을 제시했다. 그러나 국가 중심 학습 방법은 대륙 단위의 특성을 지니는 산맥이나 하천 등의 자연지리적 요소를 학습하는 데에는 한계점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