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아에 대한 형이상학적 해석의 양상들__니까야(Nikāya)에 나타나는 ‘실천적 무아’와 비교를 위한 시론__

        임승택 인도철학회 2017 印度哲學 Vol.0 No.51

        I presume that the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anattan) could be divided into the metaphysical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and the practical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This paper focuses on the metaphysical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one is selflessness denying rebirth which rejects the doctrine of rebirth (saṁsāra) in a manner similar to nihilism (uccheda-vādā), the second interpretation is selflessness replaceable with not-self which denies existential elements (pañcakkhandhas) and considers them as not-self in order to reveal the transcendental self, and the third one is selflessness coexisting with rebirth that goes into defining selflessness through rebirth. All of these interpretations are common with each other in that they are intended to build the universal theories of selflessness. These interpretations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y attempt to explain the teachings of the Buddha in response to their own times. However, according to my review, all of them have problems that cannot be overlooked. First, selflessness denying rebirth negates the self after death. But about the world after death, neither affirmation nor negation is possible. Especially, this interpretation is contradictory to the teaching of rebirth which is presented through the transcendental wisdom (pubbenivāsānussatiñāṇa) with samādhi. On the other hand, selflessness replaceable with not-self is not based on the Early Buddhist literatures. It could also be pointed out that, as Abhidharmakośa’s criticism reveals, it presupposes the mysterious self which could not be transcendental or meaningful. Finally, selflessness coexisting with rebirth asserts that rebirth is possible in the state of selflessness. But this interpretation eventually becomes an explanation of the rebirth only, and it is not suitable as a clarification of selflessness itself. Because according to the Buddha’s teachings, after attaining the state of selflessness, rebirth disappears. I believe that the metaphysical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could be contrasted with the practical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that are directly based on the Early Buddhist Nikāyas. But in terms of volume, I put off the work of contrasting each other to the next opportunity, particularly after writing an article on the practical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I hope that the prototypical selflessness by Buddha will be examined closely through a series of these works, and the meaning of the teaching of selflessness becomes more evident. 필자는 무아 해석의 시대적 단층이 ‘형이상학적 무아’와 ‘실천적 무아’로 대별될 수 있다고 전제한다. 본고는 전자의 ‘형이상학적 무아’를 규명하는 데 주력한 것으로, 거기에는 다시 3가지 유형의 세부적 해석 양상이 존재한다. 단멸론의 방식으로 윤회의 교리를 배척하는 ‘윤회 부정의 무아’, 초월적 자아를 드러내기 위해 경험적 요인들을 부정하는 방식의 ‘비아와 교체 가능한 무아’, 무아의 논리로써 윤회를 규명해 들어가는 ‘윤회와 공존하는 무아’ 등이다. 이들은 보편적인 무아 이론의 구축을 의도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이와 같은 ‘형이상학적 무아’ 해석은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붓다의 가르침에 대한 해명을 시도한 것이라는 점에서 나름의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필자의 검토에 따르면 이들 모두는 간과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먼저 ‘윤회 부정의 무아’는 죽음 이후의 자아를 부정한다. 그러나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해서는 부정도 긍정도 원칙적으로 가능하지 않다. 특히 ‘윤회 부정의 무아’는 삼매에 의한 초월적 지혜를 통해 제시되는 윤회설과 정면으로 부딪힌다. 한편 ‘비아와 교체 가능한 무아’는 직접적인 문헌적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다. 또한 구사론의 비판을 통해 드러나듯이, 초월적인 것일 수도 유의미한 것일 수도 없는 자기 모순적 자아를 내밀하게 전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윤회와 공존하는 무아’는 무아인 상태로 윤회한다는 입장을 펼친다. 그러나 이것은 결국 윤회를 설명하는 논리일 뿐, 무아 자체에 대한 해명으로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노출한다. 필자는 이상과 같은 ‘형이상학적 무아’가 니까야에 일관된 방식으로 등장하는 ‘실천적 무아’와 대조를 이룬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분량 관계상 서로를 대조하는 작업은 다음 기회로 미룬다. 필자는 이러한 일련의 작업이 붓다가 가르친 원형적 무아를 생각해 보게 하고, 무아설의 의의에 대해 더욱 고양된 의식을 갖게 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 한국 생전예수재의 역사적 형성과 종교문화적 의미 - ‘삶의 현장성’과 ‘종교성의 개인화’의 측면에서 -

        민순의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1 무형문화연구 Vol.0 No.5

        This study inquires the circumstances and the time of formation of Korean funeral ceremonies preparing for rebirth (生前預修齋). It also ascertains the truth that the ceremonies had been popular in the low people after the 17th century and changed in the forms and the meanings in the 19th century. The faith of ten hell kings (十王信仰) was accommodated in Goryeo period. The aims of the faith were the cure of diseases and the rebirth in paradise in the period. The faith was also became the ideal background of the Buddhist 10 funerals carried after the death of the dead (七七齋, 百日齋, 小祥齋, 大祥齋). Nevertheless there was no evidence of the existence of Korean funeral ceremonies preparing for rebirth. The existences of paintings of ten hell kings (十王圖) were reported in Choseon Dynasty Annals (朝鮮王朝實錄) and Sutra of the Ten hell Kings (佛說預修十王生 七經) was published many times in Choseon dynasty. The original forms of comtemporary Korean funeral ceremonies preparing for rebirth appeared in the reign of king Jung-jong in the former 16th century. The ceremonies of that time were characterized of burning of fake money or fake bills. And they seemed to be practiced among the royal women. Manual book for Korean funeral ceremonies preparing for rebirth (預修十王生七齋儀纂要) was published all over the country. Furthermore several monks wrote the letters to give the message about the funeral ceremonies preparing for rebirth to Buddha (豫修齋疏文). All these facts were the evidences of the existence and the population of Korean funeral ceremonies preparing for rebirth after 16th century. A report of public customs in 19th century shows a buddhist event practiced in the intercalary months. It may be the variant form of the early funeral ceremonies preparing for rebirth. I think that there were three special figures of the events. They were the intercalary month, the women and the money. I interpret the three figures shows that Korean funeral ceremonies preparing for rebirth let the death in the life and that the ceremonies emphasized the individuality of the persons. This study proposes the characters will be named as the expression of ‘the Field of Life’ and ‘the individualization of Religiosity’. They should be also thought the outstanding characters of Korean funeral ceremonies preparing for rebirth. 본 연구는 한국불교에서 생전예수재가 성립한 경위와 발현 시점에 대해 살피고, 17세기 이래 대중화와 민간화의 과정을 거치며 19세기에 들어 형식과 의미에서 다소 변모하게 된 모습을 확인한다. 고려 초부터 왕실 일각에서 수용된 시왕신앙은 신자 본인의 사후 왕생을 위해 믿어졌을 뿐 아니라 점차 치병의 목적도 띄게 되었다. 고려 후기에는 망자 사후 10회에 걸쳐 올리는 추천재의 사상적 기반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고려시대에 예수재가 설행되었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는다. 조선 초에도 시왕도에 대한 보고나 『시왕경』 자체의 간행 사실로부터 시왕신앙이민간에서 상당히 유포되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을 예수재의 설행으로 곧바로 연결시키기에는 여전히 미흡함이 있다. 16세기 초 중종 시기에는 이미지전 소번을 특징으로 하는 명백한 예수재의 원형이 나타나 있었으며, 이것이 왕실의 내명부 등 주로 상류층 여인들이 주도하는 신앙의례였던 것으로 보인다. 17세기에 전국적으로 예수재 의례집이 발간되고 19세기 초까지 승려들의 수륙의문도 적지않게 제작되면서 예수재에 대한 대중적 요구가 커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19세기 전반에 쓰여진 『동국세시기』에는 예수재임이 분명해 보이는 윤달의 불교행사가 보고되고 있는데, 그 특징은 ‘윤달’과 ‘여성’과 ‘돈’으로 집약된다. 그리고 이세 가지 키워드는 예수재가 삶 속에 죽음을 끌어들이며 본유의례로서의 성격을 갖고 신자에게 개별자로서의 자각을 가능하게 한다는 의미로 읽혀진다. 본고에서는이 두 가지 의미를 각각 ‘삶의 현장성’과 ‘종교성의 개인화’로 표현하였다. 오늘날 복원되어 설행되는 예수재들은 『동국세시기』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완전히 풍속화된 모습이 아니라 『시왕경』과 『찬요』에서 설명되고 제시된 의미와 절차에충실하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19세기에 대중적으로 변화된예수재의 의미가 여전히 각인되어 있다. 수생전과 함합소의 의미를 두고 목숨값과면죄부라는 해석이 공존하는 것은 그 단적인 예라 하겠다. 예수재가 많은 연구를 통하여 본래의 의미와 절차에 충실하게 설행되는 것은 중요하고 의미 있는 일이지만, 한국의 종교문화 속에서 획득되며 다져진 또 다른 해석과 의미 역시 존중되어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서울 흥천사 극락구품도(極樂九品圖)에 투영된 19세기 이상향

        유경희 동양미술사학회 2017 동양미술사학 Vol.11 No.-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reation, features, and inception of the icons observed in the 19th-century Buddhist painting of nine grades of rebirth the western Paradise(極樂九品圖), which visualizes the world of paradise. In the 19th century, Buddhist paintings with a unique format appeared; they were divided both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create nine sections, depicting scenes of paradise and rebirth. Such paintings, titled the Nine Grades of Rebirth th the western Paradise, were popular at the Royal Temple (願堂)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This essay examines their characteristics based on a Buddhist painting of the type enshrined in the Heungcheonsa Temple in Seoul. In the late 19th century, Heungcheonsa Temple benefitted from the generous support of the Heungseon Daewongun, Yi Haeung(李昰應, 1820∼1898], who was the regent and father of King Gojong. The temple`s reconstructed halls enshrined newly created Buddhist paintings and served as Wondang, which prayed for the good fortune of the royal family. After the regent fell from power, Buddhist paintings were produced under the sponsorship of court ladies to wish for peace in the royal family. In 1885, four Buddhist paintings were completed and enshrined in Heungcheonsa Temple, including Nine Grades of Rebirth of Paradise. During the 19th century, the painting`s unique format was popular in the Gyeonggi region, as were paintings of Arhats and the Eight Great Events. This article traces the origin of icons in Nine Grades of Rebirth of Paradise in Heungcheonsa Temple to the Buddhist paintings that depict paradise and its description in Sutras. However, the motifs of halls, houses, and auspicious animals are believed to be derived from those of Guo Fenyang`s Enjoyment of Life (郭汾陽行樂圖) or Taoist Immortal on Their Way to Xi Wang Mu`s Banquet (瑤池宴圖), which symbolize good auspices in the real world. In the 19th century, paintings of auspicious tokens proliferated among the general public around Gwangtonggyo Bridge. To people who had not been to paradise, paintings that included the symbolic system wishing for longevity, eternity, prosperity of descendants(especially males), peace, and fortune would have provided a believable model of utopia. This article also aims to determine the undocumented production date of Nine Grades of Rebirth of Paradise. The painting`s depiction of halls and figures was compared with that of Ten Kings of Hell by an unknown artist, which is dated to 1885. The style of Ten Kings of Hell` was similar to that of Nine Grades of Rebirth of Paradise by monk painter, Daeheo Chehun (大虛體訓); therefore, a plausible theory is that Ten Kings of Hell` was created by Daeheo Chehun himself or by a member of his school. Nine Grades of Rebirth of Paradise in Heungcheonsa Temple, a Royal Wondang in the 19th century, represents 19th-century Koreans` dreams of paradise. Since they had not experienced the world of death, they could only imagine the afterlife.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 possibility of falling into hell and so strove to avoid this fate. They dreamed of a future that was better than the present. The place they imagined would have been modeled on the comfortable and pleasant spaces in the real world. 이 글은 19세기 극락세계의 모습을 불화로 가시화한 <極樂九品圖>에 대해 조성배경과 특징, 그리고 圖像의 연원을 구명한 글이다. 19세기에는 전체 화면을 가로와 세로로 분할하여 나누고, 극락의 세계과 왕생장면을 그린 독특한 형식의 불화가 출현하여 近畿지역 왕실의 願堂을 중심으로 유행하였다. 이러한 불화를 <극락구품도>라고 하는데 이 글에서는 서울 興天寺에 봉안된 <극락구품도>를 통해 불화의 도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흥천사는 19세기 후반 고종의 私親이자 실권자였던 興宣大院君 李昰應(1820∼1898)의 전폭적인 후원으로 佛事가 후원되었다. 이하응의 후원에 힘입어 흥천사에서는 전각을 重修하고, 불화를 새롭게 조성하여 전각에 봉안하였으며 왕실의 祈福을 기원하였다. 이하응 이외에도 흥천사에서는 상궁들의 후원으로 불화가 조성되었다. 왕실의 안녕을 빌기 위해 흥천사에는 1885년 <극락구품도>를 비롯하여 4점의 불화를 봉안하였다. 이 때 함께 봉안되었다고 생각되는 <극락구품도>는 독특한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른바 화면 분할식 나한도, 팔상도 등의 불화에도 적용되었으며 19세기에 주로 근기지역에서 유행된 형식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흥천사 <극락구품도>에 보이는 도상을 기본적으로는 극락을 묘사하는 불화나 경전의 變相에서 찾았지만 전각, 기물, 동물의 모티프 등은 당시 현실세계에서 吉祥을 상징하는 郭汾陽行樂圖나 瑤池宴圖에서 차용하였다고 보았다. 길상의 기능을 하던 이런 그림들은 19세기 이후 광통교를 중심으로 민간에 유통·확산되었다. 장수와 영원, 多男과 자손번창, 태평과 복락을 바라는 상징체계가 구현된 회화의 이미지는 극락에 가보지 못한 사람들에게 그 세계에 대한 바람과 이상향의 모델로 차용된 것이다. 또한 이 글에서는 제작연대가 기록되지 않은 흥천사 <극락구품도>의 연대를 비정하였다. 1885년 조성되었다고 전해지는 흥천사 명부전 <十王圖> 10폭을 비교하여 전각, 인물표현 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시왕도>는 <극락구품도>를 그린 畵僧大虛?訓의 화풍과 유사하였다. 따라서 <시왕도>가 <극락구품도>의 제작자였던 대허체훈이나 그 일파에 의해 그려졌을 가능성을 제기해보았다. 흥천사 <극락구품도>는 19세기 왕실 원당에서 조성된 불화로 당대인들이 꿈꾸었던 극락 세계의 일면을 보여준다.

      • 서울 흥천사 극락구품도(極樂九品圖)에 투영된 19세기 이상향

        유경희 ( Ryu Kyunghee ) 동양미술사학회 2017 동양미술사학 Vol.5 No.-

        이 글은 19세기 극락세계의 모습을 불화로 가시화한 <極樂九品圖>에 대해 조성배경과 특징, 그리고 圖像의 연원을 구명한 글이다. 19세기에는 전체 화면을 가로와 세로로 분할하여 나누고, 극락의 세계과 왕생장면을 그린 독특한 형식의 불화가 출현하여 近畿지역 왕실의 願堂을 중심으로 유행하였다. 이러한 불화를 <극락구품도>라고 하는데 이 글에서는 서울 興天寺에 봉안된 <극락구품도>를 통해 불화의 도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흥천사는 19세기 후반 고종의 私親이자 실권자였던 興宣大院君 李昰應(1820∼1898)의 전폭적인 후원으로 佛事가 후원되었다. 이하응의 후원에 힘입어 흥천사에서는 전각을 重修하고, 불화를 새롭게 조성하여 전각에 봉안하였으며 왕실의 祈福을 기원하였다. 이하응 이외에도 흥천사에서는 상궁들의 후원으로 불화가 조성되었다. 왕실의 안녕을 빌기 위해 흥천사에는 1885년 <극락구품도>를 비롯하여 4점의 불화를 봉안하였다. 이 때 함께 봉안되었다고 생각되는 <극락구품도>는 독특한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른바 화면 분할식 나한도, 팔상도 등의 불화에도 적용되었으며 19세기에 주로 근기지역에서 유행된 형식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흥천사 <극락구품도>에 보이는 도상을 기본적으로는 극락을 묘사하는 불화나 경전의 變相에서 찾았지만 전각, 기물, 동물의 모티프 등은 당시 현실세계에서 吉祥을 상징하는 郭汾陽行樂圖나 瑤池宴圖에서 차용하였다고 보았다. 길상의 기능을 하던 이런 그림들은 19세기 이후 광통교를 중심으로 민간에 유통·확산되었다. 장수와 영원, 多男과 자손번창, 태평과 복락을 바라는 상징체계가 구현된 회화의 이미지는 극락에 가보지 못한 사람들에게 그 세계에 대한 바람과 이상향의 모델로 차용된 것이다. 또한 이 글에서는 제작연대가 기록되지 않은 흥천사 <극락구품도>의 연대를 비정하였다. 1885년 조성되었다고 전해지는 흥천사 명부전 <十王圖> 10폭을 비교하여 전각, 인물표현 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시왕도>는 <극락구품도>를 그린 畵僧大虛?訓의 화풍과 유사하였다. 따라서 <시왕도>가 <극락구품도>의 제작자였던 대허체훈이나 그 일파에 의해 그려졌을 가능성을 제기해보았다. 흥천사 <극락구품도>는 19세기 왕실 원당에서 조성된 불화로 당대인들이 꿈꾸었던 극락 세계의 일면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reation, features, and inception of the icons observed in the 19th-century Buddhist painting of nine grades of rebirth the western Paradise(極樂九品圖), which visualizes the world of paradise. In the 19th century, Buddhist paintings with a unique format appeared; they were divided both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create nine sections, depicting scenes of paradise and rebirth. Such paintings, titled the Nine Grades of Rebirth th the western Paradise, were popular at the Royal Temple (願堂)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This essay examines their characteristics based on a Buddhist painting of the type enshrined in the Heungcheonsa Temple in Seoul. In the late 19th century, Heungcheonsa Temple benefitted from the generous support of the Heungseon Daewongun, Yi Haeung(李昰應, 1820∼1898], who was the regent and father of King Gojong. The temple`s reconstructed halls enshrined newly created Buddhist paintings and served as Wondang, which prayed for the good fortune of the royal family. After the regent fell from power, Buddhist paintings were produced under the sponsorship of court ladies to wish for peace in the royal family. In 1885, four Buddhist paintings were completed and enshrined in Heungcheonsa Temple, including Nine Grades of Rebirth of Paradise. During the 19th century, the painting`s unique format was popular in the Gyeonggi region, as were paintings of Arhats and the Eight Great Events. This article traces the origin of icons in Nine Grades of Rebirth of Paradise in Heungcheonsa Temple to the Buddhist paintings that depict paradise and its description in Sutras. However, the motifs of halls, houses, and auspicious animals are believed to be derived from those of Guo Fenyang`s Enjoyment of Life (郭汾陽行樂圖) or Taoist Immortal on Their Way to Xi Wang Mu`s Banquet (瑤池宴圖), which symbolize good auspices in the real world. In the 19th century, paintings of auspicious tokens proliferated among the general public around Gwangtonggyo Bridge. To people who had not been to paradise, paintings that included the symbolic system wishing for longevity, eternity, prosperity of descendants(especially males), peace, and fortune would have provided a believable model of utopia. This article also aims to determine the undocumented production date of Nine Grades of Rebirth of Paradise. The painting`s depiction of halls and figures was compared with that of Ten Kings of Hell by an unknown artist, which is dated to 1885. The style of Ten Kings of Hell` was similar to that of Nine Grades of Rebirth of Paradise by monk painter, Daeheo Chehun (大虛體訓); therefore, a plausible theory is that Ten Kings of Hell` was created by Daeheo Chehun himself or by a member of his school. Nine Grades of Rebirth of Paradise in Heungcheonsa Temple, a Royal Wondang in the 19th century, represents 19th-century Koreans` dreams of paradise. Since they had not experienced the world of death, they could only imagine the afterlife.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 possibility of falling into hell and so strove to avoid this fate. They dreamed of a future that was better than the present. The place they imagined would have been modeled on the comfortable and pleasant spaces in the real world.

      • KCI등재

        고려후기 관경16관변상도의 원류와 독자성

        이승희 국립중앙박물관 2019 미술자료 Vol.- No.95

        This study examines the compositions and icon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ang and Song Dynasty transformation tableaux of the Visualization Sutra (觀無量壽經), accompanied by educational interpretations. Its aim was to determine the origins and identity of Goryeo Visualization Sutra transformation tableaux through the study of issues of Chinese regional characteristics. Visualization Sutra transformation tableaux prevalent during the Tang Dynasty were created under the influence of Seon Buddhist doctrinal interpretation, which was highly influential in areas such as Shaanxi, Shanxi and Henan provinces. In Seon Buddhism visualizations 1~13 of the Visualization Sutra, known as “contemplations,” are said to have been created at the request of Queen Vaidehi. Perhaps because of this, Vaidehi appears in contemplation in each visualization in Tang Dynasty Visualization Sutra transformation tableaux. Visualisations 14~16, by contrast, describe the nine levels of rebirth into the Pure Land and show Shakyamuni preaching for the benefit of the general public, not at Vaidehi’s request. Therefore, the queen is not depicted in these visualizations. Instead, they show those in the lowest grades of rebirth following Amitabha and being reborn in paradise despite having descended into hell, reflecting the Seon Pure Land beliefs. Song Dynasty Visualization Sutra transformation tableaux differ considerably from those of Tang in terms of both composition and iconography. While those of Tang are positioned around the Amitabha Pure Land tableau, those of Song are separated from the Amitabha Pure Land transformation tableau and produced as independent Buddha paintings. The introductory section and 16 visualizations of the Visualization Sutra, too, are divided and painted as two pictures, or rendered with the introductory section strongly diminished and the 16 visualizations emphasized. When it comes to the depiction of the 16 visualizations, too, scenes from the nine classes of rebirth in the Pure Land are painted larger and located more centrally than those of the 13 visualizations, placing the focus not on the process of rebirth in the Pure Land but on scenes of listening to preaching in the Pure Land after rebirth. I believe this depiction reveals an interest in attaining Buddhahood through religious practice after Pure Land rebirth, in contrast to Seon Pure Land belief, which was interested principally in rebirth in paradise itself. Though it is not possible to specify the precise time when the Song forms of transformation tableaux of the sixteen visualizations of the Visualization Sutra were introduced to Goryeo, they are presumed to have been transmitted around the 12th or 13th century via Ningbo, the city used by both states as their official trading port. After inheriting Song styles, the transformation tableaux of late Goryeo showed a further stage of evolution, taking apart and reconstituting compositions, as seen in examples now housed in Saifukuji, Otakaji, Chionin and Rishoji temples in Japan. The Saifukuji and Otakaji paintings maintain the Song sixteen visualization transformation tableaux form while demonstrating the Pure Land ideas of Goryeo in details such as the layout of scenes from the nine classes of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in their depiction of the reborn as bodhisattvas in scenes of prophecies of attaining Buddhahood. In the Chionin painting, by contrast, visualizations 1~7 visualizing paradise and scenes from the nine classes of rebirth in the Pure Land are plac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work and rendered in a small size, while visualizations of Amitabha and bodhisattvas, corresponding to numbers 8~13, are depicted in a larger size and afforded a central position. This demonstrates the Goryeo concept of trying to perceiving Amitabha through mental and spiritual practice. The reborn souls that appear to represent the actual individuals who commissioned the painting are depicted in visualization 12, testifying to the strong desire for Pure Land rebirth among those in Goryeo who sponsored the production of Buddhist paintings. 이 연구는 당과 송시대의 서로 다른 관경변상도의 화면구성과 도상적인 특징을 교학적인 해석과 함께 살펴보고, 지역성의 문제를 고찰하여 고려후기 관경변상도의 원류와 독자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당대 유행했던 관경변상도는 중국의 섬서성, 산서성, 하남성 등지에서 영향력이 컸던 善導교학의 영향 하에 조성되었다. 선도는 『관무량수경』 중 1~13관까지를 정선관이라 하여 위제희의 요청으로 이루어졌다고 하는데, 그래서인지 위제희가 각 관에 관상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반면 14~16관까지는 산선관이라 하여 위제희의 요청 없이 석가모니불이 대중을 위해 설법한 관이므로 위제희가 표현되지 않는다. 대신 지옥에 빠진 모든 중생까지도 구원한다는 선도의 정토관이 반영되어 하품왕생자들이 지옥에 빠졌음에도 불구하고 아미타불을 따라 극락왕생하는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송대 관경변상도는 당대의 것과 화면의 구성과 도상 면에서 상당히 차이가 있다. 당대 관경변상도가 아미타정토변의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반면, 송대 관경변상도는 아미타정토 변상도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형식의 불화로 제작되었다. 『관무량수경』의 서분과 16관도 따로 나누어 두 폭으로 그리거나 서분을 극도로 약화시켜 표현하고 『관무량수경』의 16관을 강조하였다. 관경16관변상도의 표현에 있어서도 1~13관까지의 장면보다 구품왕생장면이 화면의 중앙에 크게 그려지는데, 왕생의 과정에 초점을 두지 않고 왕생 이후 극락세계에서 설법을 듣는 장면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표현은 왕생자의 극락왕생이 주된 관심사였던 선도의 정토관과는 다르게 왕생 이후에 수행을 통한 성불에 대한 관심을 드러낸 것이라고 생각된다. 송대의 관경16관변상도 형식이 고려로 전래된 시기를 특정할 수는 없지만, 고려와 송의 공식적인 교역항이었던 영파를 통해 12~13세기 경에 전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송대 관경 16관변상도의 형식을 계승한 고려후기 관경16관변상도는 사이후쿠지(西福寺)본과 오타카지(大高寺)본이며, 지온인본과 린쇼지본은 한 단계 진화하여 화면의 구성을 해체하여 재구성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사이후쿠지본과 오타카지본은 송대 관경16관변상도의 형식을 유지하면서 구품왕생장면의 배치와 구품왕생자의 모습을 보살형으로 표현하는 등에서 고려인들의 정토인식을 드러냈다. 반면 지온인(知恩院)본에서 극락세계를 관하는 1~7관과 구품왕생장면을 화면의 상단과 하단에 작게 배치하고, 중앙에 8관부터 13관까지에 해당하는 아미타불, 보살관을 크게 부각시킨 것은 마음의 수행을 통해 아미타부처님을 감득하고자 했던 고려인들의 관상에 대한 인식을 드러낸다. 또한 보관에 표현된 실제 발원자를 형상화한 듯한 왕생자들의 모습에서 불화 조성의 후원자했던 고려인들의 강한 염원이 담겨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일본 헤이안 시대의 여인왕생설화에 관한 연구

        李市埈(Lee Si-j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9 외국문학연구 Vol.- No.36

        This article is the contempl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story of women's rebirth that is shown on the history of rebirth of the Heian Era. The following is the outline of the characteristics. First is one the personal trait of the women of rebirth. Compared to men, rebirth of woman has the value on moderate personality. It indicates that the society at the time was not just having the religious implication within the Buddhism but to idealize the soft and obedient virtue. Second, it is the matter on characteristics displayed on the miracle of rebirth, and in the event of the rebirth of women, the heavenly clothes, lotus flower and motive of fragrance are confirmed as more frequently emerged than the cases of men. These miracles that are attributable from the image of women, ordinary life and virtue of devoting flowers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contents in the story tale that would be of help in making the rebirth story containing the contents unique for women. And, third is the matters on marriage and sex between man and wife. If the personality and performance for rebirth are accompanied, any woman may gain the rebirth and it tends to consider single with the positive views. If married, it considers as ideal not to sleep with the husband, and when the husband is deceased, woman is valued if her chastity is well in tact.

      • KCI등재

        An Analytical Study of “Rebirth” (Punabbhava) in Buddhism with Special Reference to Ashin Ukkattha’s Interpretation

        Ven. Suriya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 Vol.24 No.-

        This thesis provides an analytical study of rebirth (punabbhava) with special reference to Ashin Ukkattha’s interpretation in Myanmar/Burma. Ashin Ukkattha was a Buddhist monk, a polyglot, who wrote a book named “Lu-thay Lu-pyit” (man-dies, man-becomes only), which presents a theory that deviates from the Buddha’s teachings and from Buddhist texts. Ashin Ukkattha’s new interpretation offers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problem of rebirth. The problem in this study is that the explanation of the condition of rebirth in the Buddhist texts and the explanation of the birth process i.e., test-tube baby and human cloning in biology, differ from one another. The birth process, from the Buddhist point of view, is one of rebirths that are explained by the doctrine of kamma and rebirth. The researcher found in this research that human cloning is a new form of “saṃsedaja,” Though Ashin Ukkattha’s interpretation of rebirth deviates from the Buddha’s teaching, his interpretation is closer to the current biology of human cloning process by studying rebirth (punabbhava) from a hermeneutic point of view.

      • KCI등재

        일본 헤이안 시대의 여인왕생설화에 관한 연구-『日本往生極楽記』에서 『本朝新修往生伝』까지-

        이시준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9 외국문학연구 Vol.- No.36

        This article is the contempl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story of women's rebirth that is shown on the history of rebirth of the Heian Era. The following is the outline of the characteristics. First is one the personal trait of the women of rebirth. Compared to men, rebirth of woman has the value on moderate personality. It indicates that the society at the time was not just having the religious implication within the Buddhism but to idealize the soft and obedient virtue. Second, it is the matter on characteristics displayed on the miracle of rebirth, and in the event of the rebirth of women, the heavenly clothes, lotus flower and motive of fragrance are confirmed as more frequently emerged than the cases of men. These miracles that are attributable from the image of women, ordinary life and virtue of devoting flowers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contents in the story tale that would be of help in making the rebirth story containing the contents unique for women. And, third is the matters on marriage and sex between man and wife. If the personality and performance for rebirth are accompanied, any woman may gain the rebirth and it tends to consider single with the positive views. If married, it considers as ideal not to sleep with the husband, and when the husband is deceased, woman is valued if her chastity is well in tact. 본고는 이들 왕생전에 보이는 여인왕생담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여인왕생자의 성품에 관해서다. 남성에 비해 여성왕생자는 온화하다는 성품이 중요시된다. 이는 당시 사회가 불교 안의 종교적 의미에 머무르지 않고, 부드럽고 순종적인 덕 목을 이상시하고 있었다는 점을 말해 준다. 두 번째, 왕생의 기서(奇瑞) 에 나타난 특징에 관해서인데, 여인왕생의 경우는 천의(天衣), 연화(蓮 花), 향기나 이향(異香)의 모티브가 남성의 경우보다 빈번하게 등장함 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성의 이미지, 일상생활, 헌화공양등에 의해 비 롯된 이들 기서는, 설화속의 내용과 긴밀하게 연동되어, 여성특유의 내 용을 담은 왕생담으로 만들어지는 데에 일조하고 있다. 세 번째, 결혼 과 부부간의 성(性)에 관해서인데, 왕생을 위한 성품과 수행이 동반되 었다고 한다면 여인이라 할지라도 누구라도 왕생을 얻을 수 있으며, 미 혼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경향이 있다. 기혼인 경우에도 남편과 동금 (同衾) 하지 않으며, 남편과 사별후 정절(貞節)을 지킬 것을 이상시하고 있다.

      • KCI등재

        상좌부불교의 제사의식 연구

        임인영 ( Lim¸ In-you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7

        인간은 살아가면서 많은 통과의례를 치른다. 그 가운데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의례 가운데 하나가 상제례(喪祭禮)이다. 한국불교에서 행하는 의식 가운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 가운데 하나도 재의식(齋儀式)이다. 불교의 제사 문화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대승불교에 치우쳐져 있고 상좌부불교의 죽음과 제사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본 논문은 상좌부불교 제사의 의의와 내용을 밝히고 한국불교와의 차이점을 살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상좌부불교의 죽음과 재생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상좌부불교 제사의 교의적 연원을 조명하고자 한다. 상좌부불교에서는 죽음의 과정 끝에 생의 마지막 마음인 죽음의 마음이 일어난다. 죽음의 마음이 생겨나서 멸하자마자 바로 다음에 재생연결식이 생겨나 다음 생이 이어진다. 죽음의 마음과 재생연결식 사이에 어떠한 간극도 존재하지 않는다. 죽음과 재생연결 사이에 어떠한 간극도 존재하지 않기에 죽음 이후에 망자를 위한 천도의식은 성립하지 않는다. 빠알리 경전의 많은 곳에서 부처님은 조상에 대한 제사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다. 상좌부불교에서도 제사의식은 존재하지만 그 효력은 제한적이다. 조상에게 올리는 제사는 그 조상이 아귀계에 태어났을 때 효력이 미친다. 다른 곳에 재생한 조상에게는 그 효력이 미치지 못한다. 하지만 우리들의 윤회는 너무나 길어서 우리 조상 가운데 아귀계에 태어난 자가 없다고 할 수는 없기에 제사는 효력을 가진다. 빠알리 불전의 이러한 가르침으로 인해서 남방 상좌부 불교권에서 제사의식은 조상의 직접적 천도에 맞추어져 있지 않다. 조상을 위한 제사에는 스님들을 초청해서 법문이나 독경을 듣는다. 이러한 의식 마지막에 스님들께 공양 올리고 그러한 공덕을 조상들에게 회향하는 방식으로 제사를 지낸다. 이처럼 한국불교의 제사의식은 대승 논서의 중유(中有) 이론에 따라서 천도 의식 등이 발달했고, 상좌부불교의 제사 의식은 무간재생(無間再生) 이론에 따라서 아귀계에 떨어진 조상에게 공덕을 회향하는 제사의식이 자리를 잡았다. A Person goes through many rituals in life. Among them, the most important ritual is funeral rituals and ancestral rituals (喪祭禮). Ritual ceremonies (齋儀式)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rituals performed in Korean Buddhism. Studies on Buddhist ancestral rite culture are mostly focused on Mahayana Buddhism, and studies on death and ancestral rites in Theravāda Buddhism are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significance and contents of the ancestral rituals of Theravāda Buddhism,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from Korean Buddhism. To this end, this study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doctrinal origins of Theravāda Buddhist ancestral rites by examining the death and rebirth linking of Theravāda Buddhism. According to the Abhidhamma, the death consciousness arises at the end of the process of death. Immediately after death consciousness has ceased, a rebirth consciousness arises, which leads to the next life. There is no gap between death consciousness and rebirth consciousness. Since there is no gap between the death and rebirth linking, there is no ceremony to lead ancestor to heaven. The Buddha states that ancestral rites are meaningful, but their effectiveness is limited in the early buddhist canon. The ancestral rites offered to ancestors take effect when the ancestor was born into the peta(hungry ghost) realm. It has no effect on ancestors that have been reborn elsewhere. However, our rebirth is so long that it cannot be said that none of our ancestors were born in the peta realm, so the ancestral rituals are always in effect. Due to these teachings of early Buddhism, the ancestral rites in the Theravāda buddhism are not aligned with the direct salvation ceremonies. In ancestral rites for ancestors, monks are invited to listen to Dhamma. At the end of these ceremonies, ancestral rituals are held in which offerings are made to the monks and the merits are dedicated to the deceased person. As such, Korean Buddhist funeral(cheondojae, 薦度齋) developed according to the theory of antarābhava(中有) in Mahayana scriptures and the Theravāda Buddhist funeral ceremonies took place to dedicate merit to the ancestors who is reborn in the peta realm according to theory of contiguity rebirth.

      • KCI등재후보

        김소월 시의 심층 심리와 미적 원리

        김점용 국어국문학회 2003 국어국문학 Vol.- No.13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depth psychology and aesthetic feature in So-Wol's poetry. At the bottom of his works, there is a principle of the change and creation that is based on the transformation myth. The principle of the change and creation is the essential to understand life and death, it is embodied as a image of the death and rebirth in his works. However, the image of the death and rebirth in his works has a special feature. So to speak, it reached the holy and sacred space, the same as many other ceremonies do. The poetic space which is spiritualized help the reader to broaden his aesthetic experience and pull up to a kind of religious experience. And also this special feature means that “the death and rebirth” is related to “Nim”(Thee), the core of his works. Till now, most debaters have concentrated on separation from Nim and have read consciousness of deprival, feeling of separation, sense of futility and hopelessness, but in the other side we could know that it premise strong belief in resurrection of Nim. The belief and expectation of rebirth makes another axis and dual structure of confrontation and unification, and at last give a tension and vitality to his works. But the belief in rebirth of Nim is possible just mythologically not really. It is embodied as the consciousness of irrevocability(non-resurrection) in his works. The idea, as we couldn't go back to our dead Nim. Nim also couldn't come back to us, is the basic sense of the consciousness of irrevocability. In the end the core of the mentality in his works is the process that the death of “Nim” bring about rebirth, the rebirth lead to the consciousness of irrevocability. It is a trace of his poetic conscious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