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활용한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유형 탐색

        김화록,김보현,박미경,이홍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8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latent profiles of childcare teachers with play support competence (PSC) and to describe each latent profile characteristic. Method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survey to a total of 338 childcare teachers who were working childcare center in metropolitan. We composed PSC of childcare teacher into cognitive, affective and practical competence, and analyzed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ir PSC level. We analyzed latent profile, which is a person-centered approach, and based on the results, we categorized the PSC profile of childcare teachers and defined their characteristic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we classified five PSC profiles: the ‘lowest PSC profile’, which had very low levels of cognitive, affective, and practical competence related to play support, was 4.14% of all childcare teachers, the ‘low PSC profile’, which had relatively low cognitive, affective, and practical competence levels, was 19.23% of all, the ‘medium PSC profile’, which had average level of each competence, was 37.28% of all, the ‘high PSC profile’, which had relatively high level of each competence, was 22.78% of all, and the ‘highest PSC profile, which had very high level of each competence, was 16.57% of all.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various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PSC within the childcare teacher group, rather than considering the childcare teacher as the ‘cohort group’ in relation to PSC. We also suggest that customized approach considering the profile characteristics related to PSC is requir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분석하고, 놀이지원역량 프로파일 유형별특성을 규명하여 놀이지원역량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수도권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3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인지적, 정의적, 실천적 역량으로 구분하고, 놀이지원역량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사람 중심적 접근(person-centered approach)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프로파일 유형을 확인하고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결과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잠재프로파일 유형은 인지적 역량, 정의적 역량, 실천적 역량의 상호결합 정도에 따라 5개로 도출되었다. 놀이지원 관련 인지, 정의, 실천적 역량 수준이 모두 매우 낮은 ‘놀이지원역량 최저 집단’은 전체어린이집 교사의 4.14%, 인지, 정의, 실천적 역량 수준이 비교적 낮은 ‘놀이지원역량 저집단’이 19.23%, 인지, 정의, 실천적 역량수준이 모두 평균수준인 ‘놀이지원역량 중집단’이 37.28%, 인지, 정의, 실천적 역량 수준이 비교적 높은 ‘놀이지원역량 고집단’이22.78%, 인지, 정의, 실천적 역량 수준이 매우 높은 ‘놀이지원역량 최고 집단’은 16.57%로 분류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놀이지원역량과 관련하여 어린이집 교사를 단일집단으로 인식하기 보다는 집단내 놀이지원역량 수준에 따른 다양한 집단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하고, 각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효율적인 프로파일 운영을 위한 웹 서비스 기반의 프로파일 프레임워크

        김경식(Kyung-Sik Kim),이재동(Jae-Do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3 No.1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안된 프로파일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웹 서비스 기반의 프레임워크를 설계 및 구현한다. 프로파일들은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관련 정보들로 구성되어야 하며 사용자 디바이스, 프로파일 저장소, 서비스 서버간에 주기적?비주기적 또는 이벤트에 따라 교환이 가능해야한다. 또한 프로파일들은 개인화된 서비스를 위해 프로파일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 업체들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프로파일들이 개인화된 서비스에서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기능들을 제공하는 프로파일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제안된 프로파일 프레임워크는 다양한 디바이스와 플랫폼에 관계없이 프로파일 교환 및 제공을 위해 웹 서비스를 사용하였다. 또한 프로파일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메타데이타 구성 방법과 동적 구성 방법 등의 기술들을 프레임워크에 적용하였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실험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플랫폼 및 디바이스에 관계없이 프로파일 교환 및 제공이 가능하였으며, 프로파일 처리 및 관리에 효율적이었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구현된 시스템은 효율적인 프로파일 운영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의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framework based on Web Service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the profiles that were proposed to provide a user with personalized service. The profiles must be constituted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user and could be exchanged according to cyclic?acyclic or event among user's device, profile repository and service server for providing the user with personalized service. The profiles also must be supplied the services providers that need to the profiles for the personalized service. The profile framework is necessary to provide the functions like this for managing effectively of the personalized service. The proposed framework used the Web Services for exchanging and providing the profile regardless the various devices and platform. The framework also was applied the metadata constitute method and dynamic constitute method for managing effectively of the profile. The result of experiment using proposed framework was effective process and management of the profile and could exchange the profile with regardless of platform and device. The implemented system using the proposed framework was foundation of providing the personalized services with a user by through a effective management function of the profile.

      • KCI등재후보

        한국인과 한국계 미국인간의 측모 선호도에 관한 연구

        이근혜(Keun-hye, Lee) 대한치과의사협회 2009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4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 preference to the esthetic profile between Korean women and Korean American women. The interviewee were consisted of 30 Korean women and 30 Korean American women respectively. The survey has been done by using questionnaire. Altered facial profile of each normal male and female was got by moving maxilla, mandible to the front and back to survey the preference among the various profile. Then results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Korean women, in choosing the men’s profile, 9 people out of 30, picked the standard profile as a most preferred profile, and bimaxillary retrusion and bimaxillary protrusion profile were followed by 6 people and 5people respectively. 2. In Korean American women, in choosing the men’s profile, the 18 people out of 30, pick the bimaxillary retruded profile as a most preferred profile, and the standard profile were followed. 3. In Korean women, in choosing the women’s profile, 18 people out of 30, picked the bimaxillary retruded profile as a most beautiful profile, and standard profile were followed by having 10people’s voting. 4. In Korean American women, in choosing the women’s profile, the 14 people out of 30, chose the bimaxillary retruded profile as a best one and the standard profile were followed by 12 people’s voting. The preference of men’s profil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p<0.05) but the both group picked the bimaxillary retruded profile as a most beautiful when they choose the women’s profile and then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 KCI등재

        사교육비 지출의 변화 패턴과 관련 특성 분석

        박현정(Park, Hyun-Jeong),신택수(Shin, Tacksoo),하여진(Ha, Yeojin),이준호(Lee, Joon-Ho)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1~5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지난 5년간 학생들이 어떤 형태로 사교육비를 지출해왔는지를 LPAMS(Longitudinal Profile Analysis via Multidimensional Scaling) 모형을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영어와 수학 사교육비 지출액의 변화 추이는 두 개의 대표적 프로파일, 그리고 국어 사교육비 지출액의 변화 추이는 하나의 대표적 프로파일로 분류되었다. 모든 응답자들을 이들 프로파일에 대한 유사성 정도에 기초하여 유형화한 결과, 영어와 수학 사교육비 지출액의 변화 추이는 유형 1 “중3때 증가 후 고교때 감소”, 유형 2 “중3때 감소 후 고교때 증가”, 유형 3은 “고1때 증가 후 원래 복귀”, 유형 4 “고1때 감소 후 원래 수준으로 복귀”로 분류되었다. 국어는 유형 1 “중3때 증가했다가 고1때 감소한 후 약반 등”, 유형 2 “중3때 감소했다가 고1때 증가한 후 다소 감소” 두 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사교육비 지출액의 변화 패턴이 학생들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본 결과, 지역 및 가정배경이 상대적으로 열악하거나 성취도나 교과에 대한 효능감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학생들의 경우 전반적인 사교육비 지출액 규모가 작을 뿐만 아니라 사교육비 지출이 패턴도 영어와 수학의 경우에는 유형 4(고1때 감소 후 원래 수준으로 복귀), 국어의 경우에는 유형 1(중3때 증가했다가 고1때 감소한 후 약반등)에 속할 가능성이 컸다. 이는 자원이 충분하지 못한 집단은 급박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교육비를 줄이고(고등학교 1학년), 대학 입시가 가까워올수록 자신들의 한정된 자원의 투입을 증대시키는 전략을 취하는 것이라는 이론적 예측과 일치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derive the longitudinal patterns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using the first-year to fifth-year KELS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 data using the LPAMS (Longitudinal Profile Analysis via Multidimensional Scaling) model. The results indicated two prototypical profiles for English and Mathematics private tutoring, and one prototypical profile for Korean private tutoring. Based on the similarity of individual student’s profile to these prototypical profiles and their mirror profiles, students’ longitudinal patterns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from the 7th grade to 11th grade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for English and Mathematics. The group 1 which resemble the first prototypical profile can be interpreted as an ‘increase in expenses at 9th grade and then decrease afterwards’. The group 2 which resemble the mirror profile of the first prototypical profile can be interpreted as an ‘decrease in expenses at 9th grade and then increase afterwards’. The group 3 which resemble the second prototypical profile can be interpreted as an ‘increase in expenses at 10th grade and then decrease afterwards’. The group 4 which resemble the mirror profile of the second prototypical profile can be interpreted as an ‘decrease in expenses at 10th grade and then increase afterwards’. The group 5 consists of those who were unable to easily classified into any of the above groups. For the Korean, the students’ longitudinal patterns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from the 7th grade to 11th grade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similarity of individual student’s profile to a prototypical profile and its mirror profile. The group 1 which resemble th prototypical profile can be interpreted as an ‘increase in expenses at 9th grade but decrease at 10th grade and then small rebound’. The group 2 which resemble the mirror profile of the prototypical profile can be interpreted as an ‘decrease in expenses at 9th grade but increase at 10th grade and then small decrease again’. The group 3 consists of those who were unable to easily classified into any of the above groups. Finally, we examined whether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do differ based on these longitudinal patterns of students’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ith low family SES and coming from rural areas spend less money to the private tutoring and are also more likely to belong to group 4 in English and Mathematics and group 1 for Korean. These results seem to support our hypothesis that those with limited financial resources will decrease the private tutoring expenses when it’s not urgent (such as 10th grade) and concentrate their limited input when it’s urgent (such as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gets near at 11th and 12th grades).

      • KCI등재

        초등학생 성취목표 프로파일의 예측요인과 학업적 적응과의 관계

        정윤경,김소영,송주연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2

        This study examined the achievement goal profi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escribes how the profiles are associated with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including academic achievement and other motivational variables. 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on 7,158 sixth graders and revealed four goal profiles. The profiles and the respective percentages of the students were as follows: “High Multiple Goals” (17%), “Average Multiple Goals” (45%), “Average Mastery Low Performance” (32%), and “Highly Low Performance” (6%).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erformance approach and avoidance goals were more pronounced in identifying the profiles and a coexistence of the two performance goals emerged across the goal profiles. When “Average Multiple Goals” was defined as the reference group,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High Multiple Goals,” as they perceived higher parental academic support and teachers’ achievement pressure and held a higher growth mindset. In addition, “High Multiple Goals” showed the highest value on academic achievement, effort, and intrinsic motivation assessed a year after, as well as test stres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group,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Average Mastery Low Performance profile and the Highly Low Performance profile, as they perceived lower parental academic support and teachers’ achievement pressure. Students in these profiles showed the lowest value on academic achievement, effort, and intrinsic motivation a year after. The reference group showed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on effort and intrinsic motivation compared to the aforementioned profile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understanding of motiv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possible future studie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나타내는 성취목표 프로파일 유형을 탐색하고 프로파일 분류를 예측하는 개인 및 사회문화적 예측변인을 살펴본 후,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학업성취 및 동기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6학년 초등학생 7158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숙달, 수행접근, 수행회피목표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 다중목표(17%), 평균 다중목표(45%), 평균 숙달-저 수행목표(32%), 초저 수행목표(6%)로 명명할 수 있는 프로파일 유형 4개가 분류되었다. 프로파일 유형 간에는 숙달목표보다 수행접근과 수행회피목표 수준의 차이가 두드러졌고 모든 프로파일에 걸쳐 수행접근 및 회피목표가 공존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예측 및 결과변인과 관련하여 평균 다중목표 프로파일을 기준집단으로 삼았을 때, 학생들이 부모의 학업적 지원과 교사의 성취압력을 높이 지각할수록, 지능에 대한 성장신념이 높을수록 기준집단에 비해 고 다중목표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해당 프로파일은 1년 뒤의 성취도, 노력조절전략, 내재동기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동시에 시험․학업 스트레스도 가장 높이 지각하는 양면성이 드러났다. 한편, 학생들이 부모의 학업적 지원과 교사의 성취압력을 낮게 지각할수록 기준집단에 비해 평균 숙달-저 수행목표 집단과 초저 수행목표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이 두 집단은 1년 뒤 가장 낮은 수준의 학업성취도와 노력조절, 내재동기 수준을 보였다. 기준 집단은 앞서의 두 집단에 비해 높은 내재동기와 노력수준을 보였으나 학업성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고 다중목표 집단만큼 높은 시험․학업 스트레스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동기를 이해하기 위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성취목표지향성 프로파일에 따른 중학생의 학습기술과 학업성취도의 차이

        신현숙,류정희,안정은 한국교육학회 2010 敎育學硏究 Vol.48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profile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dopt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test differences in learning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profile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71 seventh-graders (147 boys and 124 girls) attending a middle school in G city. The results of the cluster analyses, ANOVAs and MANOVA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were grouped into four profiles: performance goal oriented,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ed, approach goal oriented, avoidance goal oriented. Second, overall differences in the use of learning skills were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greatest use of learning skills was found in the approach goal oriented profile. Compared to the avoidance goal oriented profile, the performance goal oriented profile was better at self management, class participation, problem solving, test tak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Interestingly, the performance goal oriented profile was better at test taking than the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ed profile. Third,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was not significant in Science. However, academic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was higher in the approach goal orientated profile than in the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ated and avoidance goal orientated profiles. In addition,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Math and English was highest in the approach goal oriented profile. These results imply that it be necessary to examine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rom a multiple goal perspectiv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중다목표의 관점에서 중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이 어떻게 군집화 되는지를 분석하여 성취목표지향성 프로파일을 확인하고, 학습기술과 학업성취도에 있어 프로파일 간 차이가 유의한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중학교 1학년 271명(남학생 147명, 여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지필식 질문지를 실시하였으며 기말시험 성적(국어, 사회, 수학, 영어, 과학)을 검토하였다. 군집분석 및 일원분산분석,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분석의 결과, 수행목표지향형, 숙달회피목표지향형, 접근목표지향형, 회피목표지향형의 네 가지 프로파일이 도출되었다. 둘째, 성취목표지향성 프로파일 간 학습기술의 차이는 자기관리, 수업참여, 과제해결, 읽기, 쓰기, 시험치기, 정보처리 모두에서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접근지향형 프로파일이 모든 학습기술 하위영역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수행목표지향형 프로파일이 회피목표지향형 프로파일에 비해 자기관리, 수업참여, 과제해결, 시험치기, 정보처리에서 우수하였다. 시험치기에서는 수행목표지향형 프로파일이 숙달회피목표지향형 프로파일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성취목표지향성 프로파일 간 학업성취도의 차이는 국어, 사회, 수학, 영어에서 유의하였으나 과학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사회 점수는 접근목표지향형 프로파일이 숙달회피목표지향형 프로파일과 회피목표지향형 프로파일보다 더 높았고, 국어, 수학, 영어 점수는 나머지 세 프로파일에 비해 접근목표지향형 프로파일에서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을 중다목표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 학생 이해와 지도에 유용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중고령자의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에 따른 유형과 주관적 건강 및 종합적 행동 경향의 차이

        임영명(Young-Myoung Lim),김아람(Ah-Ram Kim),박지혁(Ji-Hyuk Park) 대한작업치료학회 202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2 No.1

        목적: 중고령자의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를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s Analysis, LPA) 을 통해 잠재유형을 구분하고, 관련된 영향요인과 주관적 건강, 종합적인 행동 경향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온라인 리서치 업체를 통해 중고령자 300명을 대상으로 건강 라이프스타일 가치체계(Yonsei Lifestyle Profile-Values), 주관적 건강(Self-Rated Health), 종합적인 행동 경향(Yonsei Lifestyle Profile-ABCD)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라이프스타일 가치체계 자료는 LPA를 실시하였으며,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의 영향요인은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종속변수의 차이는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잠재프로파일은 가치체계 특성에 따라 3개로 분류되었다. 잠재프로파일 유형은 ‘낮은 건강 가치체계 (Profile1)’, ‘높은 건강 가치체계(Profile2)’, ‘중간정도의 건강 가치체계(Profile3)’로 명명되었다. 잠재프로파일의 영향요인은 개인적 요인에서 교육 수준과 연령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주관적 건강과 종합적 행동 경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중고령자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가 건강을 추구하는 유형일수록 일상에서 더 건강한 방식의 행동을 채택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는 건강관리 측면에서 라이프스타일을 건강한 방식으로 증진시키기 위해 가치체계를 고려한 개입 방안 및 방향성을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the value systems reflected in the healthy lifestyles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analyze differences in related influencing factors, subjective health, and comprehensive behavioral tendencies. Methods: Yonsei Lifestyle Profile-Values, Self-Rated Health, and Yonsei Lifestyle Profile-ABCD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rough an online research company. LPA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lifestyle value system dat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the classified latent profiles,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assess differences in th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profiles. Results: Three latent profiles based on value system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Low Health Values System (Profile1),’ ‘High Health Values System (Profile2),’ and ‘Moderate Health Values System (Profile3).’ Educational attainment and ag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se latent profiles. Addition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ubjective health and overall behavioral tendencies among the profiles.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ho prioritize health in their value systems are more likely to adopt healthier behaviors in their daily lives.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value systems when designing intervention strategies and directions aimed at promoting healthy lifestyles from a health management perspective.

      • KCI등재

        사회적 목표의 잠재프로파일과 성취정서, 학업노력,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한승수(Han, Seungsoo),이은주(Lee, Eunju)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다중목표관점에서 사회적 목표의 잠재프로파일 유형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사회적 목표의 잠재프로파일과 성취정서, 학업노력,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중학생 502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낮은 사회적 목표-낮은 지위형’, ‘낮은 사회적 목표-높은 지위형’, ‘평균 사회적 목표형’, ‘높은 사회적 목표형’의 4가지로 구분되었다. 다음으로 사회적 목표 잠재프로파일을 다항범주변인으로 변환하여 성취정서, 학업노력,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모형을 검증한 결과, ‘낮은 사회적 목표-높은 지위형’은 ‘낮은 사회적 목표-낮은 지위형’에 비해 즐거움과 불안을 부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평균 사회적 목표형’과 ‘높은 사회적 목표형’은 ‘낮은 사회적 목표-낮은 지위형’에 비해 즐거움과 불안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낮은 사회적 목표-높은 지위형’, ‘평균 사회적 목표형’, ‘높은 사회적 목표형’은 ‘낮은 사회적 목표-낮은 지위형’에 비해 지루함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즐거움은 학업노력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한 반면 불안과 지루함은 학업노력에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학업노력은 학업 성취를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사회적 목표 집단 유형이 학업노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평균 사회적 목표형’ 및 ‘높은 사회적 목표형’은 ‘낮은 사회적 목표-낮은 지위형’에 비해 즐거움과 학업노력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정적 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atent profiles of social goals from a multiple goal perspective, and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atent profiles of social goals, achievement emotions, academic effor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mprised 502 middle school students(36.7% boys, 63.3% girls) and the average age was 14.9.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profile analysis of social goals identified four profile groups: ‘low social goal-low status profile’, ‘low social goal-high status profile’, ‘average social goal profile ’, and ‘high social goal profile ’. Second, the low social goal-high status profile was found to have a direct and negative effect on enjoyment and anxiety as compared to the low social goal-low status profile(reference group).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social goal profile and the high social goal profile were found to have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enjoyment and anxiety as compared to the low social goal-low status profile. The low social goal-high status profile, average social goal profile, and high social goal profile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redom levels compared to the low social goal-low status profile. Third, enjoyment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levels of academic effort, whereas anxiety and boredom had no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levels of academic effort. The levels of academic effort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Fourth, enjoyment and academic effort had significant du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verage social goal profile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between high social goal profile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ntervention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XML 기반의 에너지 저장용 프로파일 어댑터 분석 및 설계

        우용제 ( Yongje Woo ),박재홍 ( Jaehong Park ),강민구 ( Mingoo Kang ),권기원 ( Kiwon Kwon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5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6 No.5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은 전력 수요가 적을 때 전력을 저장해 두었다가 수요가 발생하거나 비상시 저장된 전력을 사용함으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여 필요할 때 사용 가능함으로써 에너지 이용 효율 향상, 전력공급 시스템 안정화 및 신재생 에너지 활용도 향상 효과를 가지는 시스템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에너지의 효율적인 소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을 원하는 수요자와 전력 수요 평준화를 원하는 공급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현재 에너지 저장장치를 구성하는 Power Conditioning System(PCS), Battery Management System(BMS), 배터리 셀은 제조사별로 상이한 규격을 가진다. 이로 인해 각 핵심 부품 간 인터페이스가 규격화되어 있지 않아, 에너지 저장장치의 구성 및 운영에 난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조사별로 상이한 특징을 가지는 부품들의 설정과 효율적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수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XML 기반의 에너지 시스템 전용 프로파일 시스템의 설계와 분석방안을 제안한다. 제조사별 PCS, BMS, 배터리 셀과 그 외의 주변 기기들의 설정 정보 및 운영 정보를 분석하여 프로파일 규격을 정의하고, 에너지 저장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파일 어댑터 소프트웨어를 설계 및 구현한다. 프로파일 어댑터를 통해 생성된 프로파일은 설정 프로파일과 운영 프로파일로 구성되며, 추후 확장성을 고려하여 표준 XML의 규격을 따른다. 구현된 프로파일 시스템의 검증은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에 적용되어 기본적인 충·방전 동작을 통해 정상 동작 결과를 제안한다. The Energy Storage System stores electricity for later use. This system can store electricity from legacy electric power systems or renewable energy systems into a battery device when demand is low. When there is high electricity demand, it uses the electricity previously stored and enables efficient energy usage and stable operation of the electric power system. It increases the energy usage efficiency, stabilizes the power supply system, and increases the utilization of renewable energy. The recent increase in the global interest for efficient energy consumption has increased the need for an energy storage system that can satisfy both the consumers` demand for stable power supply and the suppliers` demand for power demand normalization. In general, an energy storage system consists of a Power Conditioning System, a Battery Management System, a battery cell and peripheral devices. The specifications of the subsystems that form the energy storage system are manufacturer dependent. Since the core component interfaces are not standardized, there are difficulties in forming and operating the energy storage system. In this paper, the design of the profile structure for energy storage system and realization of private profiling system for energy storage system is presented. The profiling system accommodates diverse component settings that are manufacturer dependent and information needed for effective operation. The settings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various PCSs, BMSs, battery cells, and other peripheral device are analyzed to define profile specification and structure. A profile adapter software that can be applied to energy storage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profiles for energy storage system generated by the profile authoring tool consist of a settings profile and operation profile. Setting profile consists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energy device what composes energy saving system. To be more specific, setting profile has three parts of category as information for electric control module, sub system, and interface for communication between electric devices. Operation profile includes information in relation to the method in which controls Energy Storage system. The profiles are based on standard XML specification to accommodate future extensions. The profile system has been verified by applying it to an energy storage system and testing charge and discharge operations.

      • KCI등재

        CMP 패드 두께 프로파일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연구

        이태경,김도연,강필식,Lee, Tae-kyung,Kim, Do-Yeon,Kang, Pil-sik 한국산업융합학회 2020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23 No.6

        The chemical mechanical planarization (CMP) is a process of physically and chemically polishing the semiconductor substrate. The planarization quality of a substrate can be evaluated by the within wafer non-uniformity (WIWNU). In order to improve WIWNU, it is important to manage the pad profile. In this study, a device capable of non-contact measurement of the pad thickness profile was developed. From the measured pad profile, the profile of the pad surface and the groove was extracted using the envelope function, and the pad thickness profile was derived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each profile. Thickness profiles of various CMP pads were measured using the developed PMS and envelope function. In the case of IC series pads, regardless of the pad wear amount, the envelopes closely follow the pad surface and grooves, making it easy to calculate the pad thickness profile. In the case of the H80 series pad, the pad thickness profile was easy to derive because the pad with a small wear amount did not reveal deep pores on the pad surface. However, the pad with a large wear amount make errors in the lower envelope profile, because there are pores deeper than the grooves. By removing these deep pores through filtering, the pad flatness could be clearly confirmed. Through the developed PMS and the pad thickness profile calculation method using the envelope function, the pad life, the amount of wear and the pad flatness can be easily derived and used for various pad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