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경건주의가 근대 선교와 교회갱신에 끼친 연구

        이수영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6

        본 논문에서는 독일의 경건주의 운동(Pietism Movement)를 통하여 교회를 어떻게 갱신할 것인가와 동시에 근대 선교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으며, 교회갱신을 위해서는 경건주의의 회복과 그 역사성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그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독일의 경건주의는 내면의 영적 삶과 체험을 강조하고 참된 교리의 실천적 삶을 통하여 교회갱신을 이루어 근대 선교와 교회갱신에 끼친 영향이 지대하였다. 독일의 경건주의는 선교적 차원뿐만 아니라, 교회 안에서의 무기력한 교리 주의와 정통주의 에 대한 저항운동으로서 신앙에 대한 중생의 체험을 강조하였다. 경건주의 운동은 17세기 이후부터 18세기 이전까지 50년 동안에 있었던 독일의 스 페너(Spener)와 프랑케(Francke)를 중심으로 일어난 내적 신앙 운동이었다. 경건주의 운동이 발흥했던 시기는 보헤미아 지방에서 가톨릭과 개신교가 대립하여 30년 전쟁으 로 인하여 말할 수 없는 고통과 굶주림, 전염병과 죽음으로 인구의 절반 이상이 죽었 던 암울한 시대였다. 당시 종교적 상황을 보면, 저급한 영적 수준과 도덕적 타락, 통 치자들의 교권 지배욕, 그리고 성직자들의 사변적 교리 논쟁 등으로 교회는 점점 무 기력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간의 흐름 속에서 교회가 점점 무기력해지는 상황에서 교회의 세속화와 정통주의, 외면적인 기독교 신앙과 교리의 화석화에 대항하여 내면적 영적 삶과 중생의 체험을 강조하는 경건주의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 진젠도르프(Zinzendorf) 백작이 모라비안 교도들을 위하여 근거지를 마련하여 Herrnhut 형제단 교회를 세움으로서 선교활동이 시작되었다. 선교활동의 내용으로는 십자가에 대한 묵상을 통하여 그리스도와의 교제이었다. 18세기 경건주의는 빈민구제 에는 열심이었으나 세계선교에는 관심이 없었다. 그런데 Francke가 극적인 영적 체험 과 회심을 통하여 덴마크-할레대학에 선교회가 조직되어 전도와 선교를 위한 외방 선 교의 전진기지가 생긴 것이다. 이어서 웨슬리가 모라비안 교도들의 신앙을 체험하면 서 회심의 정서적 경험으로서 신생과 그리스도인의 완전성화로서 감리교의 맥을 세우 게 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경건주의의 갱신은 개인으로부터 교회의 변화로 시작되었다. 결과적으 로 개인을 갱신시킬 수 있는 구조와 제도를 도모하는 것이 교회갱신 운동이라고 볼 수 있다. 갱신을 위한 구조적 체제의 변화에만 집중할 경우 그 본질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개인과 교회구조는 그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순환적인 성령과의 관계 하에 교회갱신과 개인적인 갱신은 이루어져야 한다. 즉 성령의 역사는 말씀 속에서 개인과 교회를 변화시키는 갱신의 역사를 이루는 것이다. 동시에 경건주의는 칭의된 상태로서 성화적인 성격을 부여함으로 중생과 체험을 강조함을 알 수가 있다. German pietism emphasized the inner spiritual life and experience and achieved church renewal through the practical life of true doctrine,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modern missions and church renewal. German pietism emphasized not only the missionary dimension, but also the experience of rebirth in the church as a resistance movement against doctrinalism and orthodoxy in the church. So, how to renew the church through German pietism? At the same time, what kind of influence did it have on modern missions, and for the renewal of the church, we want to examine the restoration of pietism and its historicity. The pietism movement was an internal religious movement centered on Spener and Francke of Germany that occurred 50 years after the 17th century and before the 18th century. In the Bohemia region, Catholics and Protestants confronted, and the Thirty Years' War was a bleak situation in which more than half of the population died from unspeakable suffering, death, starvation, and epidemics. At the same time, the low spiritual level and moral depravity of the rulers and the clergy's speculative doctrinal disputes made the church increasingly helpless. It was in this context that he resisted the secularization of the church, orthodoxy, and the fossilization of outwardly Christian beliefs and doctrines. Thus, pietism, which emphasizes the inner spiritual life and the experience of being reborn, has emerged. Second, Count Zinzendorf prepared a base for the Moravians and established the Herrnhut Brotherhood Church, and missionary activities began. The content of missionary activity was communion with Christ through meditation on the cross. Pietism in the 18th century was zealous for the relief of the poor, but had no interest in world missions. However, Francke had a dramatic spiritual experience, and through such a conversion, a missionary church was organized in Denmark-Halle University, and a foreign mission forward base for evangelism and missions was established. And as Wesley experienced the faith of the Moravians, he established the vein of Methodism as an emotional experience of conversion and the sanctification of Christians. Finally, the renewal of pietism begins with the transformation of the church from the individual. It can be seen as a church renewal movement to develop a structure and system that can renew each person individually. If we focus only on the change of the structural system for renewal, the essentiality is reduced, 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church structure is worked out by the Holy Spirit, and church renewal and personal renewal take place under a cyclical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work of the Holy Spirit constitutes the work of renewal that changes individuals and the church in the Word. At the same time, pietism emphasizes regeneration and experience by giving it a sanctifying character as a justified state.

      • KCI등재

        경건주의의 교육과 선교

        조용선(Yong Sun Cho)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08 선교와 신학 Vol.22 No.-

        교육 목회에 있어서 설교, 예배, 가르침, 선교, 봉사 등의 긴밀한 관계와 균형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교회는 말씀에 치우친 경향이 있었다. 이 논문은 특별히 교육과 선교의 관계와 역할에 초점을 두고 있다. 중세 경건주의는 하나의 좋은 예이다. 경건주의는 여러 형태로 나타났는데 슈페너와 루터 경건주의, 분리주의적 경건주의, 뷔템베르그 경건주의 등이다. 그 중에서 특히 프랑케의 할레 경건주의는 교육과 선교를 중시하였다. 프랑케는 인간은 교육을 받아야 하고, 자연적 상태에서 은혜의 상태로 옮겨 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학교를 많이 세워서 습관화, 교리문답 교육, 학생의 삶에 맞는 방법 등을 통해 교육하였고, 학생들의 실천과 적용을 강조하였다. 학생들은 실제로 학업 중에 고아 학교 교사로 봉사하였다. 할레 대학에서 공부한 학생들 중에 많은 선교사들이 배출되었다. 프랑케의 영향력은 할레 대학, 독일 개신교를 넘어 세계로 뻗어 나갔다. 할레-덴마크 선교회는 선교사들을 인도, 러시아 등지로 파송하기에 이르렀다. 프랑케에게 있어서 교육과 선교의 목적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일이며, 하나님의 사역이었다. 그는 ‘교육’ (디다케)을 통해 신앙과 삶의 변회를 실현하려 하였고, 이것은 국내외 선교의 장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졌다. 할레 경건주의의 교육과 선교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사역의 열매를 맺은 것처럼, 이러한 중요한 연관성을 한국 교회도 인지해야 할 것이다. Even though it is important that an educational pastorate maintain harmony and balance in preaching, chapel, teaching, mission, and service, Korean churches have been putting uneven emphasis on sermon delivery (i.e. Kerygma). This thesis will especially focus on the function of education and mission,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Pietism of the Middle Ages is a great example that shows the importance of missionary work. There are several types of Pietism: Spener and Luther’s Pietism, Separateistic Pietism, and Wuerternberg’s Pietism. Among them, Halle-Pietism under Franke focused especially on education and mission. Franke emphasized how a human being should get educated to change himself from the natural state to the state of grace. He also claimed that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consideration what a student went through his or her life. In addition, he argued that it is important to educate students on catechism, and make education habitual. To achieve this goal, he founded many schools in which practice and application were emphasized. Theology students were required to serve in schools for orphans. Many missionaries have been produced among those who studied at Halle University. Franke’s influence started from Halle and went beyond German Protestantism to the international sphere. Halle-Denmark Missionary Association sent missionaries to India, and Halle-Pietism expanded its territory of mission to Russia. There was an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Halle-Pietism’s education and mission which produced fruit of ministry. This important relationship should also be recognized in Korean churches.

      • KCI등재

        JOHANN ARNDT IN KOREA: DIE KOREANISCHE ÜBERSETZUNG DES WAHREN DES WAHREN CHRISTENTUMS (1605-1610)

        PARK Jeung-Keun(박정근)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4

        20세기 후반 한국 기독교는 빠른 성장을 경험했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교회 갱신의 요청 앞에 놓여 있다. 또한 교회 갱신의 요청과 함께 거의 동시적으로 믿는 자들의 내적 경건의 관심도 강하게 나타났다. 주목할 만한 점은 교회 갱신과 내적 경건을 갈망하는 이러한 한국 기독교의 상황이 독일 경건주의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고, 한국에서의 독일 경건주의 연구는 요한 아른트(Johann Arndt)와 필립 야곱 슈페너(Philipp Jakob Spener) 그리고 경건주의의 절정을 이룬 할레(Halle)의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August Hermann Francke)로 집중되었다. 특히 경건주의의 기원인 아른트를 통해 내적 경건을 그리고 경건주의의 교회 개혁의 아버지로 평가되는 슈페너의 개혁 문서 피아 데시데리아(Pia Desideria, 경건한 소망)를 통해 한국 교회의 갱신을 위한 과제들을 들여다 보곤 하였다. 먼저 본 논문은 아른트의 “참된 기독교” 제1권이 한국에서 번역 발행되기 전까지의 시대적 배경을 살펴 보았다. “참된 기독교”가 처음으로 번역 발행된 이 시대는 교회 갱신과 내적 경건에 관심뿐만 아니라 영성에 대한 관심 또한 고조된 시기였는데, 이러한 영성에 대한 관심은 광범위한 경건 서적이 발행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이 시대적 흐름에 독일 경건주의의 기원 요한 아른트의 주저 “참된 기독교에 대한 4권의 책” (Vier Bücher vom Wahren Christentum, 1605-1610) 중 제1권이 1988년 처음으로 번역 발행되었다. 그러나 한국어 번역본은 1979년 미국에서 발행된 영어 번역본(Johann Arndt. True Christianity)을 사용한, 즉 독일어에서 영어로, 영어에서 다시 한국어로의 과정을 거친 번역본이다. 따라서 본 글은 “참된 기독교”의 한국 번역본이 발행되기까지의 교회역사적 배경을 살펴본 이후, 독일어 원 저작을 영어를 통해 번역된 한국어 번역본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신비적 표현이나 참회론(Bußverständnis)을 비롯한 아른트의 중심교리가 한국어 번역을 통해 잘 전달되었는지, 또한 어떤 본문에서 첨가 삭제 변형되었는지, 본문 분석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after the Korean War, the Protestant churches experienced rapid growth. On the one hand, they encountered problems of corruption within the church and, on the other, criticism from society. As a result of these problems, new demands for a church reform or the attempt to find such a church constantly arise. It is striking that the great desire for the spiritual life of the faithful arose almost simultaneously with the demands for a church reform to the Protestant churches. This context of the Protestant churches can be traced, on the one hand, to the great revivalist movement in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on the other hand, to Pietism. Reflecting on the revival movement and Pietism, the Protestant churches seek to find a solution to the task of renewing and reforming the churches. In Pietism research in Korea, which combines the practice of faith with Arndt and the church reform with the Pia Desideria Speners, one tries to find a new way to renew the Protestant churches. Since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interest in Christian ‘spirituality’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 the Protestant churches. This interest is based on the religious needs of the faithful. In the so-called spirituality-renaissance of Korea numerous classical editions literature was published, and to these publications the Eunsung publishing house contributed substantially, where also “True Christianity” appeared in the year 1988. As a template for the translation, the translator has the English edition “Johann Arndt. True Christianity”, which was edited by Peter Erb in 1979. The translation of “True Christianity” appeared in 1998 in a slightly revised second edition and in 2004 in a third edition. With the ever-growing interest in Pietism, Arndt’s “True Christianity” has been spreading since the last decade of the 20th century. Although Johann Arndt and the Korean translation of his “True Christianity” still play a subordinate role in the Korean community and the daily lives of the faithful, they are becoming more and more popular in Pietism research and Korean theology students due to a growing interest in German Pietism.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hurch until the Korean translation of “True Christianity” was published, and then compared the original German text with the Korean translation translated into English. In particular, I tried to analyze the text whether Arndt’s central doctrines, including mystical expressions or Penance, were well communicated through Korean translation, and in which texts were added or deleted.

      • KCI등재

        일반 : 독일 경건주의의 근원에 대한 고찰

        김영선 ( Young Seo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1 No.-

        본 논문은 독일 경건주의 근원에 대한 통찰을 통해 경건주의가 무엇인가를 묻고 그 답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삼는다. 이를 위해 먼저 종교개혁 이후 ‘경건성의 위기’와 ‘30년 종교전쟁’이 독일 경건주의의 발생 배경이 되었다는 것을 논한다. 그리고 경건주의의 역사적이고 본질적 근원은 종교개혁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나, 결정적이고 실제적인 근원은 영국의 청교도주의와 네덜란드의 경건주의 운동인 ‘나데레 레포르마티’라는 것을 밝힌다. 본 논문의 목적은 초기 독일 경건주의의 핵심적 인물들의 정황과 청교도주의, 그리고 ‘나데레 레포르마티’의 내용을 고찰하여 이들이 독일 경건주의 근원의 주류에 서 있으며, 경건주의의 본질은 교회와 사회의 ‘갱신’에 있음을 파악하고 작금의 부패하고 타락한 한국교회의 변화와 갱신을 요청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무엇이 참된 그리스도인이며 무엇이 참된 기독교인지 그 길을 보여준다. This paper is aimed at reflecting on the origin of German Pietism, and providing an answer concerning this matter. To begin with, we will examine the fact that the crisis of godliness and the 30-year religious war after the Reformation have caused German Pietism. Second, we will make it clear that the historic and essential origin of Pietism dates back to the Reformation, but the critical and practical origin can be boiled down to Puritanism in Britain and Nadere Reformatie in the Netherland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ull over Puritanism, Nadere Reformatie, and the circumstances key German Pietists were in, and suggest that they are the main factors that comprise the origin of German Pietism. Furthermore,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that the essence of Pietism is to reform church and society, and request the change and reform of Korean church, which is now depraved and corrupted. Thus, it can suggest what true Christians and Christianity are like.

      • KCI등재

        독일 경건주의의 근원에 대한 고찰

        김영선 한국개혁신학회 2014 한국개혁신학 Vol.41 No.-

        This paper is aimed at reflecting on the origin of German Pietism, and providing an answer concerning this matter. To begin with, we will examine the fact that the crisis of godliness and the 30-year religious war after the Reformation have caused German Pietism. Second, we will make it clear that the historic and essential origin of Pietism dates back to the Reformation, but the critical and practical origin can be boiled down to Puritanism in Britain and Nadere Reformatie in the Netherland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ull over Puritanism, Nadere Reformatie, and the circumstances key German Pietists were in, and suggest that they are the main factors that comprise the origin of German Pietism. Furthermore,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that the essence of Pietism is to reform church and society, and request the change and reform of Korean church, which is now depraved and corrupted. Thus, it can suggest what true Christians and Christianity are like. 본 논문은 독일 경건주의 근원에 대한 통찰을 통해 경건주의가 무엇인가를 묻고 그 답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삼는다. 이를 위해 먼저 종교개혁 이후 ‘경건성의 위기’와 ‘30년 종교전쟁’이 독일 경건주의의 발생 배경이 되었다는 것을 논한다. 그리고 경건주의의 역사적이고 본질적 근원은 종교개혁으로 거슬러 올라 갈 수 있으나, 결정적이고 실제적인 근원은 영국의 청교도주의와 네덜란드의 경건주의 운동인 ‘나데레 레포르마티’라는 것을 밝힌다. 본 논문의 목적은 초기 독일 경건주의의 핵심적 인물들의 정황과 청교도주의, 그리고 ‘나데레 레포르마티’의 내용을 고찰하여 이들이 독일 경건주의 근원의 주류에 서 있으며, 경건주의의 본질은 교회와 사회의 ‘갱신’에 있음을 파악하고 작금의 부패하고 타락한 한국교회의 변화와 갱신을 요청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무엇이 참된 그리스도인이며 무엇이 참된 기독교인지 그 길을 보여준다.

      • KCI등재

        북스테후데, 《고난 당하신 주님의 지체》(Membra Jesu Nostri), BuxWV 75, 그리고 경건주의(Pietism)

        이가영 한국서양음악학회 2008 서양음악학 Vol.11 No.1

        Dietrich Buxtehude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in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In particular, our understanding of his music primarily focuses on the organ works that Buxtehude composed in the course of his tenure as an organist at St. Mary’s church in Lübeck, resulting that a study that deals with his sacred vocal music is highly limited. However, considering that Buxtehude wrote a large number of vocal works containing cantatas, concertos, and oratorios, the sacred genres that are representative of the late 17th and early part of 18th century Germany, a research that examines the music and the text of these works appears to be in due course. In an attempt to address the characteristics of Buxtehude’s vocal composition, this paper analyzes one of his important cantatas, 《Membra Jesu Nostri》, first explaining the formal structure of the work, moving to the detailed discussion of the musical configuration, harmonic progression, and the metrical structure of the work. 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the ways in which Buxtehude musically illustrates the messages of the text by integrating various musical factors that I listed above into the work. In addition to the musical analysis, this paper explores Buxtehude’s relation to pietism of the 17th century, arguing that the text of 《Membra Jesu Nostri》, sometime implicitly and other times explicitly, suggests a strong undercurrent of pietism. As a result, the paper demonstrates a refined and a sophisticated musical work that is built on the basis of rhetorical expression with various layers of musico-textual meanings. Dietrich Buxtehude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in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In particular, our understanding of his music primarily focuses on the organ works that Buxtehude composed in the course of his tenure as an organist at St. Mary’s church in Lübeck, resulting that a study that deals with his sacred vocal music is highly limited. However, considering that Buxtehude wrote a large number of vocal works containing cantatas, concertos, and oratorios, the sacred genres that are representative of the late 17th and early part of 18th century Germany, a research that examines the music and the text of these works appears to be in due course. In an attempt to address the characteristics of Buxtehude’s vocal composition, this paper analyzes one of his important cantatas, 《Membra Jesu Nostri》, first explaining the formal structure of the work, moving to the detailed discussion of the musical configuration, harmonic progression, and the metrical structure of the work. 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the ways in which Buxtehude musically illustrates the messages of the text by integrating various musical factors that I listed above into the work. In addition to the musical analysis, this paper explores Buxtehude’s relation to pietism of the 17th century, arguing that the text of 《Membra Jesu Nostri》, sometime implicitly and other times explicitly, suggests a strong undercurrent of pietism. As a result, the paper demonstrates a refined and a sophisticated musical work that is built on the basis of rhetorical expression with various layers of musico-textual meanings.

      • KCI등재

        Johann Arndt in Korea: Die koreanische Übersetzung des Wahren Christentums (1605-1610)

        박정근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4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after the Korean War, the Protestant churches experienced rapid growth. On the one hand, they encountered problems of corruption within the church and, on the other, criticism from society. As a result of these problems, new demands for a church reform or the attempt to find such a church constantly arise. It is striking that the great desire for the spiritual life of the faithful arose almost simultaneously with the demands for a church reform to the Protestant churches. This context of the Protestant churches can be traced, on the one hand, to the great revivalist movement in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on the other hand, to Pietism. Reflecting on the revival movement and Pietism, the Protestant churches seek to find a solution to the task of renewing and reforming the churches. In Pietism research in Korea, which combines the practice of faith with Arndt and the church reform with the Pia Desideria Speners, one tries to find a new way to renew the Protestant churches. Since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interest in Christian ‘spirituality’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 the Protestant churches. This interest is based on the religious needs of the faithful. In the so-called spirituality-renaissance of Korea numerous classical editions literature was published, and to these publications the Eunsung publishing house contributed substantially, where also “True Christianity” appeared in the year 1988. As a template for the translation, the translator has the English edition “Johann Arndt. True Christianity”, which was edited by Peter Erb in 1979. The translation of “True Christianity” appeared in 1998 in a slightly revised second edition and in 2004 in a third edition. With the ever-growing interest in Pietism, Arndt’s “True Christianity” has been spreading since the last decade of the 20th century. Although Johann Arndt and the Korean translation of his “True Christianity” still play a subordinate role in the Korean community and the daily lives of the faithful, they are becoming more and more popular in Pietism rese-arch and Korean theology students due to a growing interest in German Pietism.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hurch until the Korean translation of “True Christianity” was published, and then compared the original German text with the Korean translation translated into English. In particular, I tried to analyze the text whether Arndt’s central doctrines, including mystical expressions or Penance, were well communicated through Korean translation, and in which texts were added or deleted. 20세기 후반 한국 기독교는 빠른 성장을 경험했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교회 갱신의 요청 앞에 놓여 있다. 또한 교회 갱신의 요청과 함께 거의 동시적으로 믿는 자들의 내적 경건의 관심도 강하게 나타났다. 주목할 만한 점은 교회 갱신과 내적 경건을 갈망하는 이러한 한국 기독교의 상황이 독일 경건주의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고, 한국 에서의 독일 경건주의 연구는 요한 아른트(Johann Arndt)와 필립 야곱 슈페너(Philipp Jakob Spener) 그리고 경건주의의 절정을 이룬 할레(Halle)의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 케(August Hermann Francke)로 집중되었다. 특히 경건주의의 기원인 아른트를 통해 내적 경건을 그리고 경건주의의 교회 개혁의 아버지로 평가되는 슈페너의 개혁 문서 피아 데시데리아(Pia Desideria, 경건한 소망)를 통해 한국 교회의 갱신을 위한 과제들을 들여다 보곤 하였다. 먼저 본 논문은 아른트의 “참된 기독교” 제1권이 한국에서 번역 발행되기 전까지의 시대적 배경을 살펴 보았다. “참된 기독교”가 처음으로 번역 발행된 이 시대는 교회 갱신과 내적 경건에 관심뿐만 아니라 영성에 대한 관심 또한 고조된 시기였는데, 이러한 영성에 대한 관심은 광범위한 경건 서적이 발행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이 시대적 흐름에 독일 경건주의의 기원 요한 아른트의 주저 “참된 기독교에 대한 4권의 책” (Vier Bücher vom Wahren Christentum, 1605-1610) 중 제1권이 1988년 처음으로 번역 발행되었다. 그러나 한국어 번역본은 1979년 미국에서 발행된 영어 번역본(Johann Arndt. True Christianity)을 사용한, 즉 독일어에서 영어로, 영어에서 다시 한국어로의 과정을 거친 번역본이다. 따라서 본 글은 “참된 기독교”의 한국 번역본이 발행되기까지의 교회 역사적 배경을 살펴본 이후, 독일어 원 저작을 영어를 통해 번역된 한국어 번역본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신비적 표현이나 참회론(Bußverständnis)을 비롯한 아른트의 중심 교리가 한국어 번역을 통해 잘 전달되었는지, 또한 어떤 본문에서 첨가 삭제 변형되었 는지, 본문 분석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독일 경건주의의 신학교육: 슈페너의  『경건한 소망』 (Pia Desideria, 1675) 그리고 『신학연구의 방해요소에 관하여』 (De impedimentis studii theologici, 1690)를 중심으로

        박정근 한국교회사학회 2022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3 No.-

        Pietism is evaluated as the “Second Reformation” movement that renewed the church after the Reformation. Pia Desideria, which was published in 1675 by Spener, the father of pietism, is a “guide to the direction of pietism” and a document of church reform. Among the reform proposals described in Pia Desideria, the reformation of theological edu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one, and Spener published an independent document on this subject entitled “De impedimentis studii theologici” in 1690. Therefore, this study starts from the literature analysis of Spenner’s reformed documents Pia Desideria and De impedimentis studii theologici on theological education. In both literatures, Spener presents various models of theological educ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hurch tradition. The proposed models of theological education by Spener include an apprenticeship-style edu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disciples for the formation of the personality, an inner piety education learned from medieval mystics, biblical theological education as a discovery of the Reformation, the practice of piety emphasized by pietism, and preacher training for the performance of the holy church. In particular, Spener emphasizes the biblical theology of the Reformation and inner piety through the legacy of medieval mysticism for theological education and proposes training for seminarians for church duties. is evaluated to be interested in holistic theological education. The “Structure of Theological Education,” which emphasizes such holistic theological education, can be understood in three ways: piety training, professional education in theology, and pastoral practice for the church. Therefore, the threefold “Structure of Theological Education,” which can be derived from the pietistic theological education of piety training (spiritual training), theological research (theoretical and practical theology), and pastoral practice for the church (pastoral practice), suggests an appropriate direction for theological education in Korea. 경건주의는 종교개혁 이후 교회를 갱신한 “제2의 종교개혁”운동으로 평가된다. 교회 개혁적 의미에서의 경건주의의 기원 슈페너가 1675년 발행한 『경건한 소망』(Pia Desideria)은 “경건주의의 방향 제시서”이면서 교회 개혁문서이다. 『경건한 소망』에서 기술된 교회 개혁안 중 가장 비중 있게 다룬 것이 신학교육의 개혁이고, 이 주제에 관하여 슈페너는 1690년   『신학연구의 방해요소에 관하여』(De impedimentis studii theologici)라는 독립된 문헌을 발행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학교육에 관한 슈페너의 개혁문서 『경건한 소망』 그리고 『신학연구의 방해요소』의 문헌 분석에서 출발한다. 슈페너는 자신의  『경건한 소망』과 『신학연구의 방해요소』에서 교회 전통을 통해 전승된 신학교육의 다양한 모델을 제시한다. 그가 제시한 신학교육의 모델로는 신학생들의 인격 형성을 위한 스승과 제자 사이의 도제식 교육, 중세 신비가들에게서 배우는 내적 경건 교육, 종교개혁의 유산인 성서학 중심 교육, 경건주의가 강조하는 경건의 실천 그리고 거룩한 교회의 직무 수행을 위한 설교자 양성 교육이다. 영성 훈련, 신학의 전문성 교육, 교회를 위한 목양적 실천이라는 경건주의 신학교육을 통해 도출해낼 수 있는 슈페너의 삼중의 「신학교육의 구조」는 전인적이고 통전적이며 장기적인 한국 신학교육의 구상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다고 평가해 본다.

      • KCI등재

        본회퍼와 경건주의

        이상조(Sang-Jo L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4

        본회퍼에 관한 연구에서 ‘본회퍼와 경건주의’는 지금까지 거의 다루어지지 않은 주제이다. 그에게 있어서 경건주의란 하나님을 최소한 ‘개인적인 것’, ‘내면적인 것’, ‘사적인 것’의 영역에 붙잡아 두려는 시도로서 ‘복음적 그리스도교를 종교로 유지하려고 한 최후의 시도’에 불과했다. 이처럼 본회퍼가 경건주의를 부정적으로 바라보았기에 ‘본회퍼와 경건주의’는 학자들 사이에서 지금까지 관심의 대상이 되는 주제가 아니었다. 하지만 본회퍼는 일평생 경건 그룹과 계속해서 접촉하면서 자신의 신학 형성과 신앙적 결단을 취하는 데 지속적인 자극을 받았다. 특히 그는 헤른후트 공동체적인 경건주의적 경건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핑켄발데 신학원에서 생활하는 동안 교도소에서 시간을 보내는 동안, 심지어는 순교하는 마지막 날까지 헤른후트 형제단의 「매일 말씀 묵상집」(Die Losungen)을 영적 나침반 삼아 말씀과 기도에 집중하였다. 본회퍼와 경건주의 사이에는 차이점이 분명히 존재한다. 본회퍼의 신학적 관점은 그 시대의 경건주의의 관점보다 훨씬 더 넓다. 반면에 본회퍼의 생애는 경건주의적 신앙 색채를 띤 개인과 공동체와의 접촉을 통해 경건주의와 많은 유사점을 보이는 부분도 나타난다. 특히 본 논문은 본회퍼의 생애에 스며든 친첸도르프의 영향을 문헌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본회퍼의 생애와 신학을 다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안목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In the study of Bonhoeffer, ‘Bonhoeffer and Pietism’ is a topic that has rarely been addressed. For him, pietism was an attempt to hold God at least in the realms of the ‘personal’, ‘internal’, and ‘private’, and was nothing more than ‘the last attempt to maintain evangelical Christianity as a religion’. Since Bonhoeffer viewed pietism negatively, ‘Bonhoeffer and pietism’ has not been a topic of interest among scholars until now. However, Bonhoeffer’s lifelong contact with the pietistic Group continued to stimulate his theological formation and religious decisions. In particular, he was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by the Hernhutic piety. This thesis attempts to confirm the influence of Zinzendorf in Bonhoeffer’s life and literature. This study will provide a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Bonhoeffer’s life and theology from multiple perspectives.

      • KCI등재

        18세기 초 라이프치히,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August Hermann Francke, 1663-1727)와 그 이후

        이가영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2 音樂論壇 Vol.28 No.-

        The focus of this paper lies upon the composer, Johann Sebastian Bach, the city, Leipzig, and the theological context of the early part of 18th century Germany, trying to construct a ‘loose’ narrative that connects them from one another. In order to build the narrative, this paper discusses pietism that penetrates the later part of 17th century and the early part of 18th century Germany, stressing Franck'e role in reviving German pietism that was initiated from his mentor, Spener. By analyzing various types of arguments and complaints posed by Bach in the course of 1720s and 1730s, this paper attempts to draw a parallel found both in Bach's theological mind and the Pietism of the time. 이 글은 바흐라는 작곡가, 라이프치히라는 도시, 그리고 18세기 초반 이 도시의신학적 토양이라는 세 개의 축이 어떤 방식으로 서로 연계되어 있는지에 대한‘느슨한’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이 내러티브의 중심축은 18세기 초반 라이프치히의 경건주의(Pietism)이다. 이를 위해 17세기 말 라이프치히를 강타한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Auguest Hermann Francke)의 경건주의 운동과 그의 추방, 프랑케가 떠난 이후 라이프치히의 신학적 문맥, 그리고 바흐는 이 문맥을 어떤 방식으로 경험하게 되는지 탐구한다. 이를 통해 이글은 바흐의 신학적 사고에 경건주의가 얼마만큼 침투해 있었는지의 문제를 고민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