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iciency of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PES) in Preservation of Farmland for Mitigation of Flood Damage in the age of Climate Change- Case study of Japan -

        신 와카마츠 미카,김홍석 한국농촌계획학회 2020 농촌계획 Vol.26 No.1

        Rural degradation can be observed in many countries and especially farmland abandonment is increasing rapidly in these decades. Negative consequences of farmland abandonment are seen not only dropping self-sufficiency rate of agricultural production, but also in loss of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and loss of traditional community forms as used to see in strong connection within community in rural area of Japanese. We recognize that one of the multi-functions of farmland is the disaster mitigation as one of ecosystem services. It is required to take a measurement for farmland conservation and its related activities by community in order to pursue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The direct payment for hilly mountainous area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PES) since the direct payment aims at farmland preservation activities. Through analysis on relation between direct payment and disaster mitigation,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efficient use of the direct payment. Also, we predict damage cost under RCP8.5 using marginal effect of analysis. We use panel data of 2005, 2010 and 2015 of precipitation data and Agricultural Census. We found out that the area of direct payment implemented with community activities has disaster mitigation effect. The community activities of farmland preservation are required especially in un-favored area. Even though we observed the efficient use of the payment through disaster mitigation by direct payment, which is indirect way,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arguments of efficiency of the direct payment. It is also linking with verification of relation between importance of farmland conservation and sustainability. For more disaster mitigation activities, community capacity is a key factor as seen in the variable of community activities.

      • KCI등재

        공익직불제의 경지규모별 소득분배 형평성 개선 검증

        오세윤,이승진,손찬호,문한필 한국농식품정책학회 2023 농업경영정책연구 Vol.5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wheth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ublic service direct payments, which has become a key agricultural policy with the reorganization of the direct payments in 2020, has actually improved the equity of income distribution by farm size. Therefore, we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gricultural public subsidies and farm size in 2018 and 2021 by analyzing a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 using raw data from the Farm Economic Survey. Considering that the basic public direct payments were set at three different reference points (0.5 ha, 2 ha, and 6 ha) with a regressive unit price of public direct payments, we divided the farm samples into three groups around these points, and found that the slope of the farm size to the agricultural public subsidies changed from the point to the original design in all samples. Specifically, the amount of received agricultural public subsidies by farm size in 2021 compared to 2018 increased significantly at all three points, influencing the fact that the unit price of public direct payments was set higher than that of previous direct payments. Moreover, in 2021, the slopes of the estimation changed modestly at both 2 ha and 6 ha, the thresholds at which the unit price of public direct payments. This is a clear indication that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direct payments has contributed to improving equity in the distribution of income between small and large-scale farms, especially compared to 2018, when there was no change in the slope in all samples. Using the averages of transfer income and farm income by farm scale to compare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ublic direct payments, it can be inferred that it has also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and stabilization of equity in transfer income and farm income. Since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public direct payments has been effective in improving equity in terms of income distribution by farm scale, if the budget for public direct payments is increased,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the equity of income distribution among farmers by increasing the unit price of public direct payments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regressive unit price.

      • KCI등재

        서비스 전달과정에서의 이용자 권한 강화 방안에 대한 고찰 -장애등급제 폐지 및 직접지불제도를 중심으로-

        이승기 ( Seung Ki Lee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4 사회복지연구 Vol.45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strength of user`s right in service delivery process, and focuses on two areas. First one is to discuss the necessity which the process of service delivery will be changed from supplier-oriented system to user-oriented one, in order to strengthen user′s right, especially in terms of choice and control. It can be facilitated by the abolishing of classification of disability. Second one is to introduce direct payments which money is directly given to user, instead of being given to supplier. This article also stresses that there is possibility of setting up direct payments because voucher system, a precursor of direct payments, is widely settled down for social service area in Korea.

      • KCI등재

        인지 기반 혁신 수용채택 모델에 기반을 둔 모바일 결제 서비스 UX 디자인 방향 비교 분석-ZooMoney와 Samsung Pay를 중심으로-

        김한나,정의철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1

        모바일 결제 서비스는 전통적인 오프라인 상거래 시스템의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 기대되는 혁신 기술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화폐를 대체할 새로운 가상 결제수단을 사용자가 수용하는 과정을 인지적 관점을 통해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혁신수용과 관련된 고전적인 연구 모델들을 근래의 IT 기술수용 모델들과 비교, 분석하여 가상매체를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 서비스의 사용 경험에 맞추어 재구축하였다. 우선 구매 전 사고과정에서 온전한 채택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자 경험 변화를 고려하여 각 단계별 인지적 특성을 정의하고, 이에 따른 인지과정을 세분화하였다. 각 연구모델에서 제시된 부정적인 인지 요인과 이에 상응하는 긍정적인 인지 요인을 각 단계 별 인지적 특성에 따라 중요도와 관련성을 기반으로 배치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인지과정에 따라, 의사결정과 관련된 주요 개념을 형성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인 인지 요인들과 이를 완화하는 긍정적인 요인과의 관계성을 규명할 수 있는, 모바일 서비스 사용 경험에 최적화된 ‘혁신 수용채택 모델(IA-AM: Innovation Acceptance-Adoption Model)’을 제안하였다. IA-AM을 기반으로 모바일 결제 서비스 성패 사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선험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새로운 가상 매체를 어떻게 디자인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고찰하였다. ‘기대’ 단계에는 보편적 용어나 메타포를 활용하여 서비스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하면서, 브랜드를 접목하여 신뢰도를 높였다. ‘도입기’에는 친숙한 레이아웃을 적용하여 작동원리에 대한 이해를 돕고, 과업을 분할하고, 이를 취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신속한 의사결정을 지원하여 사용의지를 강화했다. ‘적응기’에는 체득된 제스처를 활용하여 신속한 실행을 지원하고, 공감각적 요소를 통해 경과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숙련기’에는 사용자의 경험 확장을 위한 구조적 변화와 콘텐츠 접목 및 고도화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용자에게 익숙한 사용패턴이 있는 실물매체를 가상매체로 전환 시, 사용자의 인지적 관점에서 혁신 수용과 채택의 과정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UX디자인 방향을 모색 및 검토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Mobile payment service is an innovation technology expected to change the paradigm of traditional offline commerce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accepting new virtual payment methods to substitute for physical payment methods from a cognitive point of view.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we have reconstructed the classical research model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with recent IT technology acceptance models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of using mobile services. Firstly,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were defined considering the changes of the user 's experience. Secondly, the corresponding negative and positive factors were placed on the research model by importance and relevance according to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each process. Through the above process, we propose Innovation Acceptance-Adoption Model(IA-AM) that can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gative cognitive factors that affect the formation of major concepts related to decision making and the positive factors that mitigate it. We analyzed the UX design of mobile payment services based on this model. Therefore, we examined the possibilities as a method of establishing the UX design strategy of IA-AM. In the 'expectation' stage, service messages were clearly communicated using universal terminology or metaphor, and reliability was enhanced by combining brand. In the 'Beginner' stage, familiar layouts helped users understanding. And divided tasks, and authority to cancel encouraged that users can make faster decisions. In the 'Intermediate' stage, familiar gesture supported rapid execution, and sensory elements informed users recognizing the progress. In the 'Advanced' stage, structural changes and content integration for user's experience extension were done. This study suggests a model for exploring and examining the UX design direction, so that designers can approach from the cognitive viewpoint when converting from physical to virtual mediums.

      • KCI등재후보

        영국 재가노인보호서비스 공급확대를 위한 민간영리부문의 참여와 한국에의 시사점

        우국희(Kug Hee Woo) 한국노인복지학회 2006 노인복지연구 Vol.0 No.32

        노인수발보험제도 도입에 의해 재가시설의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시설 인프라의 구축은 제도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사안임에도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추가로 확충되어야 할 재가시설의 수치가 정확하게 추계되고 있지 못하다. 그런데, 급격하게 증대하는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서는 공적부문이나 민간비영리부문만의 역할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재가서비스 시장에서 민간영리부문의 참여 확대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민간영리부문의 확대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어 온 영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민간부문의 참여 확대를 가져온 요인들은 무엇인지, 그리고 현재 민간참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재가노인보호의 전개방향은 어떠하며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6가지 측면에서의 다양한 노력들이 영국에서 시도되어 온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노력들로부터 노인수발보험제도의 시행을 앞두고 재가보호서비스 기반조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우리나라에 중요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oday, the policy priority of long term care for the elderly is the domiciliary care. In U.K., an objective of the 1990 National Health Service and Community Care Act wa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domiciliarty care services to enable people to live in their own homes. To facilitate this, the Act demanded local authorities to increase the independent sector to offer care services. This resulted in a rapid growth of independent sector, especially, private sector provision. This study examined the various strategies to extend and reinforce the domiciliary care in U.K. and discussed several negative sides of them. As a result, six key strategies emerged from this study, that is, funding and financial incentives, change of the role of local authority social service departments from provider to purchaser, emphasis on personal care not domestic help, intensification services―providing a more intensive service for fewer people, expansion of Direct Payment Scheme, exemption an additional tax.

      • KCI등재

        한국 복지체제에서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의 방향성 연구

        유영림,이현숙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A Study on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for Disabled People in Welfare Regime of KoreaYonglim You & Hyunsuk Lee Abstract: This research purpose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for disabled people in Korean Welfare Regime analysis. This research adopted the Welfare State Typology Theory of Esping-Andersen (1990) as research method. For this research, it is performed to clarify the Welfare Regime Type of Korea and analyze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disabled people of the UK, USA, Sweden, and Korea in the methodological frame. As a result, Welfare Regime of Korea is classified as a mixture of Liberalism and Conservatism. Furthermor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for disabled people in Korea is classified as a Liberal Welfare Regime. However, the Korean Personal Assistance Service for disabled people has a constraint in the user’s right of choice, decision, and control because of voucher delivery system.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for disabled people of Korea develops the Direct Payment System and Personal Budget System to strengthen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y. Key Words: Personal Assistance Service for Disabled People, Welfare Regime, Direct-payment System, Personal Budget System, Welfare State Typology 한국 복지체제에서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의 방향성 연구유 영 림*ㆍ이 현 숙** 요약: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한국 복지체제유형을 분석한 후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발전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 방법은 한국의 복지체제유형과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분석하기 위해 선택한 Esping-Andersen(1990)의 복지국가유형화 분석틀이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방법론 틀을 기준으로 한국의 복지체제 유형 관련 문헌을 검토하고 활동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 국가인 미국, 영국, 스웨덴의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고찰한 후 한국의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의 복지체제는 자유주의 복지체제와 보수주의 복지체제의 혼합형으로 추정되었다. 한국의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특징은 자유주의 복지국가유형서비스로 분류되었다. 하지만 바우처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장애인의 자기선택권, 결정권, 통제권이 제한되어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의 인권을 강화할 수 있는 서비스현금지급제도의 도입과 그 지원체계를 제안하였다. 핵심어: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복지체제유형화, 서비스현금지급제도, 개인예산제도, 복지국가 □ 접수일: 2022년 1월 17일, 수정일: 2022년 2월 6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주저자, 초당대학교 조교수(First Author, Professor, Chodang Univ., Email: ylyou@cdu.ac.kr)** 교신저자, 전주비전대학교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Vision Univ., Email: yrth9702@naver.com)

      • KCI등재

        발달장애인 지원에 있어서 영국 개인예산제도의 함의와 쟁점

        김진우(Kim Jin Woo)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8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1 No.41

        본 연구는 영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개인예산제도가 발달장애인을 위해 어떠한 제도적 발전을 이루어왔으며 우리 사회가 이의 도입을 검토할 때 시사할 수 있는 함의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발달장애는 역사적으로 사회적 무관심과 차별뿐만 아니라 장애 내에서도 열등한 서열관계에서 벗어나지 못했는데 직접지불제도에서도 마찬가지로 정책적으로 배려받지 못하는 존재였다. 하지만 1996년 이후 제도적 보완과정을 통해 2014년 Care Act이 제정되는 과정에서 보다 유연하고 발달장애적 특성에 맞는 자기주도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완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개인예산제도가 논의중에 있고 도입 가능성과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뜨겁고 정부는 커뮤니티케어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나서고 있다. 지역사회 내 돌봄서비스가 탈시설화와 연결된다면, 지역사회에 의한 돌봄서비스 제공의 핵심은 돌봄이용자의 역량강화와 이용과정에서의 삶의 주체성 회복인데 이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개인예산제도라는 점에서 이에 대한 진지한 고민은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 때 발달장애인 또한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자신의 의사가 최대한 관철될 수 있도록 정보제공, 욕구파악과 의사소통, 금전관리 등 다양한 부가적 지원이 이루어져야만 개인예산제도의 본래적 취지가 그들에게도 그 성과로 나타날 수 있어 관련 정책과 내용 마련에 정부와 실천현장은 부가적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Developmental Disability is keenly related with social indifference and discrimination and also inferior status in comparison to physical disability due to the hierarchy of disability. This principle can be also applied to the area of Direct Payment and Personal Budget in the UK as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not supposed to be covered into the scheme of Direct Payment. However, personal budget could be legislated in the 2014 Care Act by virtue of continuing supplementation process. The necessity of adopting Personal Budget system in South Korea is still on debating. But under the positive atmosphere that government proclaimed in 2018 that community care policy will be well organized on soon, which casted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surrounding the implication of Personal Budget in relation to community care policy. In addition, Personal Budget is supporting the empowerment of service users with choice and control. There needs that the amount of services should be enough to overcome suffering situation of services user and also the way and process in utilizing care service should be renovated from the viewpoint of choice and control where Personal Budget policy intends to achieve. To modify the original scheme of Personal Budget system into our society we need to develop and supplement the policy and manuals of provid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money management and other supports designed personalized for developmental disability. By doing these the original intension of Personal Budget system will be achieved.

      • KCI등재

        유럽연합에서의 핀테크 산업과 법의 적용

        김은경(Kim, Eun-Kyung)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6 江原法學 Vol.49 No.-

        최근 핀테크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도가 높아지고 그에 대한 사업성 또한 커서 법적 논의도 활발하다. 특히 유럽을 중심으로 관련 법분야의 발달과 함께 소비자보호법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유럽의 핀테크 사업모델은 그 구성이나 방식에 따라 감독청으로부터 허가를 받게 되는데, 주로 대체결제제도, 자동화금융포트폴리오관리, 클라우드펀딩, 클라우드 투자 및 클라우드대출, 자동화된 투자상담플랫폼(일명 로보어드바이저), 신호체계 및 자동주문실행을 위한 플랫폼과 가상통화(VC) 등이 그 예이다. 또한 핀테크 분야에서의 입법적 움직임에 따라 핀테크 산업 및 전자금융거래와 관련하여 다양한 지침이 등장했다. 전자금융거래에 관한 유럽이사회의 주요 지침으로는 ‘전자상거래지침’, ‘전자서명지침’, ‘전자화폐업무 지침’, ‘지급서비스 지침’, ‘격지자간 계약에 관한 소비자보호지침’ 등이 있다. 유럽연합에서는 비금융기업의 지급서비스에 대해 전자화폐 및 지급서비스 관련 지침이 적용된다. 전자화폐발행기관 인가를 받은 경우 계좌간 이체가 가능한 선불전자지급수단을 발행할 수 있고 지급결제대행 등 지급서비스기관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이 중 지급결제와 관련하여 최근 지침의 개정이 있었다. 유럽연합은 전자결제에 관한 기존의 지침(Payment Services Directive 1; PSD 1)을 대폭 개정하여 핀테크 산업을 전제로 하는 새로운 개정지침을 내어 놓았는데, 이것이 기존 지침의 최종 절충안인 Payment Services Directive 2(이하 “PSD 2”)이다. PSD 2의 주요 목적은 유럽 지급시장의 통합, 안전한 결제, 소비자 보호, 지급비용의 절감 등에 있다. 이 지침을 기반으로 유럽연합 회원국에서는 국내입법이 진행되었는데, 핀테크 분야에서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측면에서 제정된 법으로 인터넷플랫폼을 이용한 소액투자자의 보호와 관련된 소액투자자보호법(Kleinanlegerschutzgesetz), 최근 개정된 것으로 소액투자자보호법 대상 외의 투자자 보호와 관련된 자산투자법(Vermögensanlagengesetz, 이하 투자법)이 그것이다.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통화와 관련해서는 이것이 오로지 지급수단으로 이용된다는 측면에서 부가가치세제지침의 예외 대상으로 보아 거래세를 면제한다는 유럽사법재판소(ECJ)의 판결도 있었다. 그 외 금융선진국 대부분은 무권한거래에 대한 이용자 책임과 관련하여 신고 시기에 따라 책임한도를 명확하게 정해놓고 있는 것도 소비자 보호의 한 예이다. 전반적으로 유럽연합 회원국, 특히 독일의 경우는 유럽지급결제시스템에 있어서 소비자보호에 만전을 기하는 동시에 규제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핀테크 사업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다만 사이버범죄 등에 대항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보안문제에 신중을 기하는 측면으로 그 방향을 이어가고 있다. According to the recent increase in the social interest in the Fin-Tech, it is a actively discussion about the business potentiality and legal.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d consumer protection legislation going on in the European Union. The Fin-tech business model in the European Union should seek permission from the Regulation Authority in accordance with its constitution and process. In addition, various guidelines have emerged in connection with Fin-tech industrial and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legislative motion in the Fin-tech sector. The EU electronic payment on existing directives (Payment Services Directive 1; PSD 1) Significant amendments to Fin Tech Industrial premise with a new amended directives for taking placed PSD 1, which is the existing directives of the final compromise in Payment Services Directive 2 ( below the "PSD 2"). The main purpose of the PSD 2 is integrated, secure payment, reduction of consumer protection, payment of the expenses such as the European payments market. Based on these guidelines, the European Union minority investor protection (Kleinanlegerschutzgesetz)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small investors using the Internet platform enacted the law on the side for was the national legislation is in progress, protect investors in the fin-tech sector, recent amendments that the Law of assets investment (Vermögensanlagengesetz : Investment Law) and other relevant investor protection laws that will target small investors. Overall, it was the European Union, in particular Germany, in relation to the European payment system enable the Fin-Tech industry toward easing restrictions, while based on a thorough consumer protection.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cautious in security issues in order to prepare for cyber attack.

      • KCI우수등재

        개정된 유럽연합 지급결제서비스지침의 보안위험에 대한 제도적인 대응과 관련 국내 전자금융 규제와의 비교 연구

        김현부,김인석 한국전자거래학회 2019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4 No.4

        Traditionally banks and other financial institutions use customers’ accounts and information managed by them and provide payment services in dominant positions. Recently, EU amends Payment Services Directive to institutionally guarantee access to customers’ accounts and use of account-related information even to third parties, which facilitates competition in financial markets and promotes innovation. However, this kind of change can increase potential security risks and therefore institutional responses from financial authorities are required so that all participants in financial markets can properly respond to security risks. In this study institutional responses to the security risks in the EU’s new Payment Services Directive (PSD2) are analyzed, comparisons between this and domestic electronic financial regulations are analyzed, an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improving domestic electronic financial regulations will be suggested. 전통적으로 은행 등 금융기관은 자신이 관리하는 고객의 계좌와 정보를 이용하여 지배적인 위치에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여 왔다. 최근 유럽연합은 지급결제서비스지침을 개정하여 고객 계좌에 대한 접근과 계좌 관련 정보의 제공을 제3자에게도 허용하는 것을 제도적으로 보장하여, 금융시장에서 경쟁을 촉진하고 혁신을 도모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변화는 잠재적인 보안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신․구 시장참여자 모두가 금융시장에서 보안위험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금융당국의 제도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럽연합의 새로운 지급결제서비스지침(Payment Service Directive, PSD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보안위험에 대한 제도적 대응을 분석하고 이를 국내의 전자금융규제와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국내 전자금융규제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사회서비스 이용자 재정지원 방식과 정책적 쟁점

        김은정(Eunjeong Kim)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社會科學硏究 Vol.25 No.1

        2007년부터 이용자에게 공공 재정을 직접 지원하는 바우처(voucher) 방식이 사회서비스 영역에 도입되었다. 공공 재정을 서비스 이용자에게 지원할 것인가 서비스 제공자에게 지원할 것인가 하는 재정지원방식은 서비스 자체의 특성을 포함하여 정책적인 주요 고려점들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장단점과 차별적 효과를 면밀히 검토한 후 결정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사회서비스에 대한 재정지원 방식은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논의를 기반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영역에서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재정을 지원하는 것과 관련된 주요 정책적 쟁점들을 고찰함으로써 바람직한 사회서비스 정책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미 사회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재정을 직접 지원해 온 복지선진국의 경험을 재정지원방식 선택의 기준들과 관련지어서 고찰하였다. 우선, 기존의 주요 이용자 재정지원 방식들의 주요내용을 간략히 검토하고, 이러한 제도들의 역사적 발전과정, 공통점과 차별성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이용자 재정지원 제도가 운영되면서 제기되고 있는 다양한 정책적 쟁점들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재정지원 방식을 선택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하는 주요 정책기준들을 요약,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책기준들로는, (1) 서비스의 전문성, 반복구매가능성 등과 같은 서비스 자체의 특성, (2) 공급기관의 다수 여부, 최소품질표준의 확보 등과 같은 서비스 제공 환경특성, 그리고 (3) 이용자의 인지능력, 정보접근성 등 이용자 관련 특성 등이 포함된다. In the areas of social services in general interest, the ways for the government to use public resources are classified as two categories, such as assisting service providers(either public or private) and service users. Historically, many welfare states have given priority to the ways assisting service providers, but nowadays the ways directly assisting service users are increasingly underscored in social service areas. In our society, the first step to assist service users in social care service areas was taken in 2007 using vouchers. This study explores the diverse ways to financially assist service users in social care service areas and to draw major policy issues surrounding those user -directed financial supporting systems. Understanding main features and strengths (or weakness) of user-directed financial supporting systems may shed light on the critical policy criteria for choosing the appropriate ways of financial support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fforts to establish those policy criteria should be made before user-directed supporting systems are practiced. The major considerations proposed in this study, when selecting financial support systems, are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s itself, service providing circumstances, and differences of social service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